로리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15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lolicon_is_a_bottle.jpg|섬네일|왼쪽|로리콘은 [[병]]이다.]]
[[파일:lolicon is a bottle.jpg|섬네일|오른쪽|로리콘은 [[병]]이다.]]
== 개요 ==
 
유래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 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확히는 '롤리타 콤플렉스'의 준말이다.
[[로리]]에게 애정을 느끼는 사람을 뜻하는 만화·애니메이션계 용어. 유래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의 일본식 발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확히는 '롤리타 콤플렉스'의 준말이다. 대개는 3세부터 15세 전후의 어린 소녀 또는 단신에 동안인 성인 여성 캐릭터를 선호하는 현상을 말하며, 그런 소녀들은 [[로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만 13~18세 (중고등학생) 정도의 키가 크고 마른 체격에 앳된 얼굴을 가진 어린 소녀 또는 동안에 키크고 늘씬한 젊은 여성을 선호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이 병적인 집착에 가까워질 경우 [[페도필리아]],  즉 소아 성애자라는 소리를 들을 있다.
이것이 캐릭터상이 아닌 실제 인물에 있어 병적인 집착에 가까워질 경우 [[페도필리아]],  즉 소아 성애자에 해당한다.
 
== 현실에서? ==
어린아이나 작고 귀여운 여성에게서 모성애·부성애나 보호본능을 느끼는 것까지는 큰 문제가 없고, 키 150근처의 앳되어 보이는 외모의 성인 여성을 이상형이나 연애대상으로 삼는 것도 개인 취향이라 할 있겠지만 실제로 중학생 이하의 어린이를 성적 대상으로 삼고 접근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용인되기 힘든 범죄 행위이다. 만약 본인이 본능적으로 어린아이에게 성적인 욕구가 생긴다면 정신건강의학과의 상담을 받거나 망상으로만 끝내야 한다.  
 
{{각주}}
 
[[분류:속어]]
[[분류:서브컬처]]

2022년 12월 1일 (목) 19:33 기준 최신판

로리콘은 이다.

로리에게 애정을 느끼는 사람을 뜻하는 만화·애니메이션계 용어. 유래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의 일본식 발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확히는 '롤리타 콤플렉스'의 준말이다. 대개는 3세부터 15세 전후의 어린 소녀 또는 단신에 동안인 성인 여성 캐릭터를 선호하는 현상을 말하며, 그런 소녀들은 로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것이 캐릭터상이 아닌 실제 인물에 있어 병적인 집착에 가까워질 경우 페도필리아, 즉 소아 성애자에 해당한다.

현실에서?[편집 | 원본 편집]

어린아이나 작고 귀여운 여성에게서 모성애·부성애나 보호본능을 느끼는 것까지는 큰 문제가 없고, 키 150근처의 앳되어 보이는 외모의 성인 여성을 이상형이나 연애대상으로 삼는 것도 개인 취향이라 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 중학생 이하의 어린이를 성적 대상으로 삼고 접근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용인되기 힘든 범죄 행위이다. 만약 본인이 본능적으로 어린아이에게 성적인 욕구가 생긴다면 정신건강의학과의 상담을 받거나 망상으로만 끝내야 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