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희야: 두 판 사이의 차이

Yurihouse>다비드상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국가 = +|나라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영상물 정보
|영상물이름  = 도희야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도희야 포스터.jpg|150px]]
|그림설명    =
|배급사      = 무비꼴라쥬
|방송채널    =
|제작사      = 파인하우스 필름, 나우 필름
|감독        = [[정주리]]
|제작        = 이창동, 이준동, 김지연
|작가        = [[정주리]]
|출연        = 배두나, 김새론, 송새벽 등
|해설        =
|장르        = 드라마
|나라        = {{나라|대한민국}}
|언어        = [[한국어]]
|연작제목    =
|개봉일      = [[2014년]] [[5월 22일]]
|방영일      =
|방영시각    =
|시즌수      =
|화수        =
|시간        = 120분
|시리즈      =
|이전작품    =
|다음작품    =
|웹사이트    =
|캐릭터원안  =
|캐릭터디자인 =
|연출        =
|미술        =
|촬영감독    =
|음악        = 장영규
|여는곡      =
|닫는곡      =
|영상포맷    =
|음성포맷    =
|번역배급사  =
|번역방송채널 =
|번역개봉일  =
|번역방영일  =
|번역방영시각 =
|비고        =
}}


===개요===
《'''도희야'''》는 2014년 5월 22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로, [[정주리]]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다. 칸 영화제의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되었으며, 전국 관객 10만 6천명을 기록하고 8억원의 수익을 올려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도희야》는 2014년 5월 22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로, [[정주리]]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다. 칸 영화제의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되었으며, 전국 관객 10만 6천명을 기록하고 8억원의 수익을 올려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 줄거리 ===
{{인용문2|
<poem>
외딴 바닷가 마을, 14살 소녀 도희
빠져나갈 길 없는 그곳에서,
친 엄마가 도망간 후 의붓아버지 용하와 할머니로부터 학대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도희 앞에
또 다른 상처를 안고 마을 파출소장으로 좌천된 영남이 나타난다.


러닝타임 119분.
도희의 구원, 영남
용하와 마을 아이들의 폭력으로부터 도희를 보호해주는 영남.
도희는 태어나 처음으로 만난 구원자이자, 이 세상의 모든 것이 되어 버린 영남과 잠시도 떨어져 있고 싶지 않다.
하지만, 영남의 비밀을 알게 된 용하가 그녀를 위기에 빠뜨리고...


===스토리===
도희의 마지막 선택
외딴 바닷가 마을, 14살 소녀 도희빠져나갈 길 없는 그곳에서, 친 엄마가 도망간 후 의붓아버지 용하와 할머니로부터 학대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도희 앞에 또 다른 상처를 안고 마을 파출소장으로 좌천된 영남이 나타난다. 도희의 구원, 영남. 용하와 마을 아이들의 폭력으로부터 도희를 보호해주는 영남. 도희는 태어나 처음으로 만난 구원자이자, 이 세상의 모든 것이 되어 버린 영남과 잠시도 떨어져 있고 싶지 않다. 하지만, 영남의 비밀을 알게 된 용하가 그녀를 위기에 빠뜨리고...도희의 마지막 선택무력하게만 보였던 소녀 도희, 하지만 영남과 헤어져야 할 위기에 처하자 자신의 온 세상인 영남을 지키기 위해, 돌이킬 수 없는 위험한 선택을 하게 되는데…<ref>[https://www.youtube.com/watch?v=gGh6j56oJwY 유튜브 공식 영화 예고편] 소개에서 발췌</ref>
무력하게만 보였던 소녀 도희,
하지만 영남과 헤어져야 할 위기에 처하자 자신의 온 세상인 영남을 지키기 위해,
돌이킬 수 없는 위험한 선택을 하게 되는데…
</poem>
}}


===등장인물===
===등장인물===
* 선도희
* 선도희
김새론이 연기. 집 안에서는 의붓아버지인 용하에게 학대 받고, 학교에서는 왕따를 당하는 중학생. 영남이 파출소장이 되어 내려온 날 만나게 되어, 영남으로부터 도움을 받게되는데.  
*: [[김새론]]이 연기. 집 안에서는 의붓아버지인 용하에게 학대 받고, 학교에서는 왕따를 당하는 중학생. 영남이 파출소장이 되어 내려온 날 만나게 되어, 영남으로부터 도움을 받게 된다.  


* 이영남
* 이영남
배두나가 연기. 현직 경찰로 서울에서 어떤 사건이 있은 뒤, 지방으로 좌천되어 파출소장이 된다.   
*: [[배두나]]가 연기. 현직 경찰로 서울에서 어떤 사건이 있은 뒤, 지방으로 좌천되어 파출소장이 된다.   


* 박용하
* 박용하
송새벽이 연기. 선도희의 의붓아버지로, 마을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연결해주는 브로커 역할을 하고 있다.
*: [[송새벽]]이 연기. 선도희의 의붓아버지로, 마을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연결해주는 브로커 역할을 하고 있다.
 
===스태프===
감독 : [[정주리]]
 
각본 : [[정주리]]
 
출연 : 배두나, 김새론, 송새벽 등
 
제작 : 이창동, 이준동, 김지연
 
조감독 : 신종훈
 
촬영 : 김현석
 
조명 : 김경배
 
편집 : 이영림
 
동시녹음 : 김현상
 
음향 : 김필수, 정민주
 
미술 : 윤상윤, 조기원
 
음악 : 장영규
 
제작사 : 파인하우스 필름, 나우 필름
 
배급사 : 무비꼴라쥬


=== 제작진 ===
* 감독: [[정주리]]
* 각본: [[정주리]]
* 출연: 배두나, 김새론, 송새벽 등
* 제작: 이창동, 이준동, 김지연
* 조감독: 신종훈
* 촬영: 김현석
* 조명: 김경배
* 편집: 이영림
* 동시녹음: 김현상
* 음향: 김필수, 정민주
* 미술: 윤상윤, 조기원
* 음악: 장영규
* 제작사: 파인하우스 필름, 나우 필름
* 배급사: 무비꼴라쥬


===수상===
===수상===
59번째 줄: 103번째 줄:
* 제14회 댈러스아시안영화제 - 정주리
* 제14회 댈러스아시안영화제 - 정주리
* 제35회 황금촬영상 - 김새론, 정주리, 김현석
* 제35회 황금촬영상 - 김새론, 정주리, 김현석
<references />
 
{{각주}}
 
[[분류:한국 영화]]
[[분류:2014년 영화]]

2022년 4월 9일 (토) 23:17 기준 최신판

도희야
도희야 포스터.jpg
작품 정보
배급사 무비꼴라쥬
제작사 파인하우스 필름, 나우 필름
감독 정주리
제작 이창동, 이준동, 김지연
작가 정주리
출연 배두나, 김새론, 송새벽 등
장르 드라마
나라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개봉일 2014년 5월 22일
시간 120분
기타 정보
음악 장영규

도희야》는 2014년 5월 22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로, 정주리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다. 칸 영화제의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되었으며, 전국 관객 10만 6천명을 기록하고 8억원의 수익을 올려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줄거리[편집 | 원본 편집]

외딴 바닷가 마을, 14살 소녀 도희
빠져나갈 길 없는 그곳에서,
친 엄마가 도망간 후 의붓아버지 용하와 할머니로부터 학대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도희 앞에
또 다른 상처를 안고 마을 파출소장으로 좌천된 영남이 나타난다.

도희의 구원, 영남
용하와 마을 아이들의 폭력으로부터 도희를 보호해주는 영남.
도희는 태어나 처음으로 만난 구원자이자, 이 세상의 모든 것이 되어 버린 영남과 잠시도 떨어져 있고 싶지 않다.
하지만, 영남의 비밀을 알게 된 용하가 그녀를 위기에 빠뜨리고...

도희의 마지막 선택
무력하게만 보였던 소녀 도희,
하지만 영남과 헤어져야 할 위기에 처하자 자신의 온 세상인 영남을 지키기 위해,
돌이킬 수 없는 위험한 선택을 하게 되는데…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 선도희
    김새론이 연기. 집 안에서는 의붓아버지인 용하에게 학대 받고, 학교에서는 왕따를 당하는 중학생. 영남이 파출소장이 되어 내려온 날 만나게 되어, 영남으로부터 도움을 받게 된다.
  • 이영남
    배두나가 연기. 현직 경찰로 서울에서 어떤 사건이 있은 뒤, 지방으로 좌천되어 파출소장이 된다.
  • 박용하
    송새벽이 연기. 선도희의 의붓아버지로, 마을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연결해주는 브로커 역할을 하고 있다.

제작진[편집 | 원본 편집]

  • 감독: 정주리
  • 각본: 정주리
  • 출연: 배두나, 김새론, 송새벽 등
  • 제작: 이창동, 이준동, 김지연
  • 조감독: 신종훈
  • 촬영: 김현석
  • 조명: 김경배
  • 편집: 이영림
  • 동시녹음: 김현상
  • 음향: 김필수, 정민주
  • 미술: 윤상윤, 조기원
  • 음악: 장영규
  • 제작사: 파인하우스 필름, 나우 필름
  • 배급사: 무비꼴라쥬

수상[편집 | 원본 편집]

  • 제25회 스톡홀름영화제 최우수 첫 장편상 - 정주리
  • 제23회 부일영화상 신인 감독상 - 정주리
  • 제35회 청룡영화상 신인 여우상 - 김새론
  • 제15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정주리
  • 제20회 춘사영화제 - 배두나
  • 제2회 들꽃영화상 - 정주리
  • 제14회 댈러스아시안영화제 - 정주리
  • 제35회 황금촬영상 - 김새론, 정주리, 김현석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