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새 철도역 정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모바일 ==
== 모바일 ==
{{완료된 토론 시작}}


모바일에서 틀이 어떻게 엉킨다는 것이죠? 일단은 되돌려놓고 다시 고치는 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사용자:Chugun|Chugun]] ([[사용자토론:Chugun|토론]]) 2017년 3월 6일 (월) 10:44 (KST)
모바일에서 틀이 어떻게 엉킨다는 것이죠? 일단은 되돌려놓고 다시 고치는 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사용자:Chugun|Chugun]] ([[사용자토론:Chugun|토론]]) 2017년 3월 6일 (월) 10:44 (KST)
6번째 줄: 7번째 줄:
:: 일단 이 버전으로... 혹시 해결되었는지 확인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사용자:Chugun|Chugun]] ([[사용자토론:Chugun|토론]]) 2017년 3월 6일 (월) 10:57 (KST)
:: 일단 이 버전으로... 혹시 해결되었는지 확인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사용자:Chugun|Chugun]] ([[사용자토론:Chugun|토론]]) 2017년 3월 6일 (월) 10:57 (KST)
:::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pan style="font-family:'Segoe Script',cursive">[[사용자:Mykim5902|Centrair]]</span><small>(센트레아)</small> <small><b>[[사용자토론:Mykim5902|APP]]</b>·[[특수:기여/Mykim5902|DEP]]</small> 2017년 3월 6일 (월) 11:09 (KST)
:::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pan style="font-family:'Segoe Script',cursive">[[사용자:Mykim5902|Centrair]]</span><small>(센트레아)</small> <small><b>[[사용자토론:Mykim5902|APP]]</b>·[[특수:기여/Mykim5902|DEP]]</small> 2017년 3월 6일 (월) 11:09 (KST)
{{완료된 토론 끝}}


==사진 문제==
==사진 문제==
{{완료된 토론 시작}}
사진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 같네요. 어디가 문제일까요? --[[사용자:Chirho|Chirho]] [[파일:Chirho.png|17px]] [[사용자토론:Chirho|토론]] 2017년 4월 21일 (금) 16:31 (KST)
사진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 같네요. 어디가 문제일까요? --[[사용자:Chirho|Chirho]] [[파일:Chirho.png|17px]] [[사용자토론:Chirho|토론]] 2017년 4월 21일 (금) 16:31 (KST)
:아... <nowiki>[[파일:파일명]]</nowiki>으로 해야 하는군요... 이 내용은 설명문서에다 넣어놔야 할 듯 싶습니다.--[[사용자:Chirho|Chirho]] [[파일:Chirho.png|17px]] [[사용자토론:Chirho|토론]] 2017년 4월 21일 (금) 16:45 (KST)
{{완료된 토론 끝}}
== 나무위키 처럼 틀을 통합하고 뜯어고치고 싶은데요 ==
{{완료된 토론 시작}}
* 예시 : [[https://namu.wiki/w/%EA%B1%B0%EC%A0%9C%ED%95%B4%EB%A7%9E%EC%9D%B4%EC%97%AD]][[사용자:Minasang|Minasang]] ([[사용자토론:Minasang|토론]]) 2017년 10월 9일 (월) 23:06 (KST)
굳이 번잡하게 만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span style="font-family:'Segoe Script',cursive">[[사용자:Mykim5902|Centrair]]</span><small>(센트레아)</small> <small><b>[[사용자토론:Mykim5902|APP]]</b>·[[특수:기여/Mykim5902|DEP]]</small> 2017년 9월 23일 (토) 01:49 (KST)
: 지도를 제외하고 제일 넓은 부분을 차지하는 항목이 다국어 표기(...)인 저 디자인이 과연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사용자:눅세|눅세]] <small>([[사용자토론:눅세|토론]]ㅣ[[특수:기여/눅세|기여]])</small> 2017년 10월 10일 (화) 22:21 (KST)
:좀 복잡해 보입니다. 지도의 경우도 옵션처리할 부분이라 생각되고요 --[[사용자:Chirho|Chirho]] [[파일:Chirho.png|17px]] [[사용자토론:Chirho|토론]] 2017년 10월 11일 (수) 20:17 (KST)
{{완료된 토론 끝}}
== 부산도시철도 1구간 범위 표기 ==
{{완료된 토론 시작}}
*나무위키의 경우 전 노선을 적었습니다. 해당 역의 노선이 아니어도 표기되어 있죠. 다만 저는 4~6개의 노선이 전부 표기될 경우 표가 지나치게 길어질 것 같아 제외했습니다. 타 노선을 적을까요 말까요. 다른 분들의 의견을 구합니다 [[파일:Korail logo.svg|60px|link=사용자:KRRAIL]] ([[사용자토론:KRRAIL|토론]]) 2019년 12월 25일 (수) 14:26 (KST)
: 이에 대하여 오랫동안 생각해보았는데, 부산김해경전철처럼 구간이 딱 나뉘어있지 않는 경우에는 굳이 1구간 범위를 표시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부산 도시철도에서 사용하는 1/2구간은 수도권 전철에서 사용하는 거리비례와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0년 7월 23일 (목) 13:49 (KST)
** 요금이 1구간/2구간 밖에 없는 부산 도시철도와, 비례제로 요금이 가산되는 수도권 전철은 근본이 다를 수 밖에요. [[파일:Korail logo.svg|60px|link=사용자:KRRAIL]] ([[사용자토론:KRRAIL|토론]]) 2020년 7월 26일 (일) 16:41 (KST)
::: 과거에는 3구간이 있었다 하니, 본질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 혹시나 3구간이 부활해버리면 "2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곳" 같은 걸 적기엔 비효율적일 수도 있고요. --<span style="font-family:'Segoe Script',cursive">[[사용자:Mykim5902|Centrair]]</span><small>(센트레아)</small> <small><b>[[사용자토론:Mykim5902|APP]]</b>·[[특수:기여/Mykim5902|DEP]]</small> 2020년 7월 26일 (일) 16:47 (KST)
: 부김경전철·동해선↔지하철 환승의 경우 거리비례가 초기화되기 때문에 부김경전철·동해선↔부산지하철 환승을 고려한 구간은 별도로 기재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전 노선을 기재해야 할 경우에는 환승역이 1구간 범위에 들어오지 않는 경우 표시에서 제외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구요 --<span style="font-family:'Segoe Script',cursive">[[사용자:Mykim5902|Centrair]]</span><small>(센트레아)</small> <small><b>[[사용자토론:Mykim5902|APP]]</b>·[[특수:기여/Mykim5902|DEP]]</small> 2020년 7월 26일 (일) 16:48 (KST)
:: 환승은 고려하지 않고 해당 역에서 정차하는 노선만 적으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파일:Korail logo.svg|60px|link=사용자:KRRAIL]] ([[사용자토론:KRRAIL|토론]]) 2020년 7월 26일 (일) 17:13 (KST)
::: 환승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정보를 잘못 전달하는 것이므로 있으나마나인 것 같습니다.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0년 8월 2일 (일) 15:07 (KST)
:::: 해당 노선만 이용한다면 충분히 정보가 됩니다. 잘못 전달한다고 주장하시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파일:Korail logo.svg|60px|link=사용자:KRRAIL]] ([[사용자토론:KRRAIL|토론]]) 2020년 8월 2일 (일) 15:22 (KST)
::::: 나무위키처럼 환승을 고려하여 1구간을 모두 알려주지 않는 이상은 반쪽짜리라는 생각입니다. --[[사용자:Pika|Pika]] ([[사용자토론:Pika|토론]]) 2020년 8월 2일 (일) 15:30 (KST)
: 그러면야 다 적도록 하죠. [[파일:Korail logo.svg|60px|link=사용자:KRRAIL]] ([[사용자토론:KRRAIL|토론]]) 2020년 8월 2일 (일) 16:19 (KST)
:: 일단 BGL과 동해선을 제외한 전 노선을 적도록 하겠습니다. [[파일:Korail logo.svg|60px|link=사용자:KRRAIL]] ([[사용자토론:KRRAIL|토론]]) 2020년 8월 14일 (금) 22:16 (KST)
{{완료된 토론 끝}}

2022년 3월 9일 (수) 22:52 기준 최신판

모바일[원본 편집]

이 문단은 완료된 토론으로, 보존중입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정하지 말아주십시오.
Ledibug-Discussion.png

우측의 펼치기 버튼을 눌러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 틀이 어떻게 엉킨다는 것이죠? 일단은 되돌려놓고 다시 고치는 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Chugun (토론) 2017년 3월 6일 (월) 10:44 (KST)

스마트폰의 고해상도화로 인해 틀이 오른쪽 정렬되면 왼쪽의 빈틈 사이로 본문이 비집고 들어가는 증상이 있습니다. --Centrair(센트레아) APP·DEP 2017년 3월 6일 (월) 10:46 (KST)
잠깐 실험 좀 하겠습니다. --Chugun (토론) 2017년 3월 6일 (월) 10:48 (KST)
일단 이 버전으로... 혹시 해결되었는지 확인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Chugun (토론) 2017년 3월 6일 (월) 10:57 (KST)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Centrair(센트레아) APP·DEP 2017년 3월 6일 (월) 11:09 (KST)

사진 문제[원본 편집]

이 문단은 완료된 토론으로, 보존중입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정하지 말아주십시오.
Ledibug-Discussion.png

우측의 펼치기 버튼을 눌러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 같네요. 어디가 문제일까요? --Chirho Chirho.png 토론 2017년 4월 21일 (금) 16:31 (KST)

아... [[파일:파일명]]으로 해야 하는군요... 이 내용은 설명문서에다 넣어놔야 할 듯 싶습니다.--Chirho Chirho.png 토론 2017년 4월 21일 (금) 16:45 (KST)

나무위키 처럼 틀을 통합하고 뜯어고치고 싶은데요[원본 편집]

이 문단은 완료된 토론으로, 보존중입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정하지 말아주십시오.
Ledibug-Discussion.png

우측의 펼치기 버튼을 눌러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굳이 번잡하게 만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Centrair(센트레아) APP·DEP 2017년 9월 23일 (토) 01:49 (KST)

지도를 제외하고 제일 넓은 부분을 차지하는 항목이 다국어 표기(...)인 저 디자인이 과연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눅세 (토론기여) 2017년 10월 10일 (화) 22:21 (KST)
좀 복잡해 보입니다. 지도의 경우도 옵션처리할 부분이라 생각되고요 --Chirho Chirho.png 토론 2017년 10월 11일 (수) 20:17 (KST)

부산도시철도 1구간 범위 표기[원본 편집]

이 문단은 완료된 토론으로, 보존중입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정하지 말아주십시오.
Ledibug-Discussion.png

우측의 펼치기 버튼을 눌러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나무위키의 경우 전 노선을 적었습니다. 해당 역의 노선이 아니어도 표기되어 있죠. 다만 저는 4~6개의 노선이 전부 표기될 경우 표가 지나치게 길어질 것 같아 제외했습니다. 타 노선을 적을까요 말까요. 다른 분들의 의견을 구합니다 Korail logo.svg (토론) 2019년 12월 25일 (수) 14:26 (KST)
이에 대하여 오랫동안 생각해보았는데, 부산김해경전철처럼 구간이 딱 나뉘어있지 않는 경우에는 굳이 1구간 범위를 표시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부산 도시철도에서 사용하는 1/2구간은 수도권 전철에서 사용하는 거리비례와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Pika (토론) 2020년 7월 23일 (목) 13:49 (KST)
    • 요금이 1구간/2구간 밖에 없는 부산 도시철도와, 비례제로 요금이 가산되는 수도권 전철은 근본이 다를 수 밖에요. Korail logo.svg (토론) 2020년 7월 26일 (일) 16:41 (KST)
과거에는 3구간이 있었다 하니, 본질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 혹시나 3구간이 부활해버리면 "2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곳" 같은 걸 적기엔 비효율적일 수도 있고요. --Centrair(센트레아) APP·DEP 2020년 7월 26일 (일) 16:47 (KST)
부김경전철·동해선↔지하철 환승의 경우 거리비례가 초기화되기 때문에 부김경전철·동해선↔부산지하철 환승을 고려한 구간은 별도로 기재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전 노선을 기재해야 할 경우에는 환승역이 1구간 범위에 들어오지 않는 경우 표시에서 제외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구요 --Centrair(센트레아) APP·DEP 2020년 7월 26일 (일) 16:48 (KST)
환승은 고려하지 않고 해당 역에서 정차하는 노선만 적으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Korail logo.svg (토론) 2020년 7월 26일 (일) 17:13 (KST)
환승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정보를 잘못 전달하는 것이므로 있으나마나인 것 같습니다. --Pika (토론) 2020년 8월 2일 (일) 15:07 (KST)
해당 노선만 이용한다면 충분히 정보가 됩니다. 잘못 전달한다고 주장하시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Korail logo.svg (토론) 2020년 8월 2일 (일) 15:22 (KST)
나무위키처럼 환승을 고려하여 1구간을 모두 알려주지 않는 이상은 반쪽짜리라는 생각입니다. --Pika (토론) 2020년 8월 2일 (일) 15:30 (KST)
그러면야 다 적도록 하죠. Korail logo.svg (토론) 2020년 8월 2일 (일) 16:19 (KST)
일단 BGL과 동해선을 제외한 전 노선을 적도록 하겠습니다. Korail logo.svg (토론) 2020년 8월 14일 (금) 22:1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