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하늘/메모장/모양자-소리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하 可(/*[k]ʰˤa[j]ʔ/, kʰɑX)
*하 可(/*[k]ʰˤa[j]ʔ/, kʰɑX)
*: (하)何 荷
*: (하) 何 荷
*: (가)可 歌 苛 呵 珂 軻 柯 哥 訶
*: (가)可 歌 苛 呵 珂 軻 柯 哥 訶
*환 睘(/*ɡʷeŋ/, ɡwiᴇŋ)
*환 睘(/*ɡʷeŋ/, ɡwiᴇŋ)
13번째 줄: 13번째 줄:
*: 惑
*: 惑
*첨 僉(/*s.qʰ[a]m/, t͡sʰiᴇm)
*첨 僉(/*s.qʰ[a]m/, t͡sʰiᴇm)
아래에서 알 수 있듯이 하 음을 가지고 可가 들어간 상당수의 글자들의 중고한어식 독음이 /ɦɑ/로 모두 같다. 중고한어는 한국, 일본의 한자음과 상당히 비슷하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min-width;"
|+ 하 可<br/>/*kʰaːlʔ/, /kʰɑX/, kě
|-
! 글자 !! 뜻 !! 발음
|-
| 河 || 물 || 하(/*ɡaːl/, /ɦɑ/)
|-
| 何 || 어찌 || 하(/*ɡaːl/, /ɦɑ/)
|-
| 荷 || 꾸짖을 || 하(/*ɡaːl/, /ɦɑ/)
|-
| 苛 || 가혹할 || 하(/*ɡaːl/, /ɦɑ/)
|-
| 魺 || 자가사리 || 하(/*ɡaːl/, /ɦɑ/)
|}
아 음을 가지고 可를 포함한 한자들의 상고한어는 거의 /*qaːl/ 중고한어는 /ʔɑ/, 하 음을 가진 것들은 상고한어가 /*ɡaːl/, 중고한어는 /ɦɑ/
일본, 한반도는 /ɦɑ/를 '하'라고 들여왔고 /ʔɑ/는 '아'로 들여왔다.
*: (검)儉 檢 劍 瞼 劒
*: (검)儉 檢 劍 瞼 劒
*: (험)險 驗
*: (험)險 驗

2022년 1월 14일 (금) 22:06 판

아래 한자들은 형성자인지 회의자인지는 고려하지 않음. 괄호의 앞에꺼는 상고한어, 뒤에꺼는 중고한어

아래는 상당수 형성자임.

  • 하 可(/*[k]ʰˤa[j]ʔ/, kʰɑX)
    (하) 何 荷
    (가)可 歌 苛 呵 珂 軻 柯 哥 訶
  • 환 睘(/*ɡʷeŋ/, ɡwiᴇŋ)
    圜 環 還
  • 환 奐(/*qʰʷaːns/, huɑnH)
    渙 煥 換 喚
  • 혹 或(/*[ɢ]ʷˤək/, ɦwək̚)
  • 첨 僉(/*s.qʰ[a]m/, t͡sʰiᴇm)

아래에서 알 수 있듯이 하 음을 가지고 可가 들어간 상당수의 글자들의 중고한어식 독음이 /ɦɑ/로 모두 같다. 중고한어는 한국, 일본의 한자음과 상당히 비슷하다.

하 可
/*kʰaːlʔ/, /kʰɑX/, kě
글자 발음
하(/*ɡaːl/, /ɦɑ/)
어찌 하(/*ɡaːl/, /ɦɑ/)
꾸짖을 하(/*ɡaːl/, /ɦɑ/)
가혹할 하(/*ɡaːl/, /ɦɑ/)
자가사리 하(/*ɡaːl/, /ɦɑ/)

아 음을 가지고 可를 포함한 한자들의 상고한어는 거의 /*qaːl/ 중고한어는 /ʔɑ/, 하 음을 가진 것들은 상고한어가 /*ɡaːl/, 중고한어는 /ɦɑ/

일본, 한반도는 /ɦɑ/를 '하'라고 들여왔고 /ʔɑ/는 '아'로 들여왔다.

  • (검)儉 檢 劍 瞼 劒
    (험)險 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