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동음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link)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 한자어 ==
== 한자어 ==
청은 한자로 '''[[靑]]([[파란색]])''', 淸(맑다), 聽(듣다)<ref>시험에서 '듣기영역'의 한자어 표현인 "청해(聽解)"의 청이 이걸 쓴다. 참고로 [[일본어]]에선 약자로 聴이라 쓰는데 오로지 '청해'라는 단어를 위한 한자로 존재한다(...)</ref>, 廳(=庁, 관청), 晴((날씨가) 개다), 鯖([[청어]])의 의미로 쓰인다.
청은 한자로 '''[[靑]]([[파란색]])''', [[]](맑다), 聽(듣다)<ref>시험에서 '듣기영역'의 한자어 표현인 "청해(聽解)"의 청이 이걸 쓴다. 참고로 [[일본어]]에선 약자로 聴이라 쓰는데 오로지 '청해'라는 단어를 위한 한자로 존재한다(...)</ref>, 廳(=庁, 관청), 晴((날씨가) 개다), 鯖([[청어]])의 의미로 쓰인다.


=== 푸를 청 [[靑]] ===
=== 푸를 청 ===
{{:靑}}{{-}}
{{:靑|훈음}}{{-}}


=== 맑을 청 ===
=== 맑을 청 ===
{{:淸}}
{{:淸|훈음}}


# [[꿀]]의 일종. 석청, 목청이 있는데 예로부터 한약재로 꾸준히 쓰여왔다. 나무 줄기 내부 벌집에서 나온 꿀을 목청, 바위에 지어진 벌집에서 나온 꿀을 석청이라고 한다. 석청을 채취하는 과정이 매우 험난해서 석청의 가치를 더 높게 쳐준다.
# [[꿀]]의 일종. 석청, 목청이 있는데 예로부터 한약재로 꾸준히 쓰여왔다. 나무 줄기 내부 벌집에서 나온 꿀을 목청, 바위에 지어진 벌집에서 나온 꿀을 석청이라고 한다. 석청을 채취하는 과정이 매우 험난해서 석청의 가치를 더 높게 쳐준다.
# [[청나라]]
# [[청나라]]
# 청(淸)은 한국 요리에서 단맛을 내는 조미료 중 하나로 본디 꿀을 가리킨다. 흔히 조청이라고 하는데 조청(造淸)은 곡식의 전분질을 분해하여(=당화(糖化)) 만든 꿀의 유사품을 가리킨다.
# 청([[]])은 한국 요리에서 단맛을 내는 조미료 중 하나로 본디 꿀을 가리킨다. 흔히 조청이라고 하는데 조청(造[[淸]])은 곡식의 전분질을 분해하여(=당화(糖化)) 만든 꿀의 유사품을 가리킨다.
자세한 내용은 淸 링크로..
자세한 내용은 [[]] 링크로..
{{-}}
{{-}}



2021년 8월 26일 (목) 15:37 기준 최신판

에는 다음 뜻이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청나라는 중국의 옛 통일 왕조 국가다.

한자어[편집 | 원본 편집]

청은 한자로 (파란색), (맑다), 聽(듣다)[1], 廳(=庁, 관청), 晴((날씨가) 개다), 鯖(청어)의 의미로 쓰인다.

푸를 청[편집 | 원본 편집]

푸를 [청]

맑을 청[편집 | 원본 편집]

맑을 [청]

  1. 의 일종. 석청, 목청이 있는데 예로부터 한약재로 꾸준히 쓰여왔다. 나무 줄기 내부 벌집에서 나온 꿀을 목청, 바위에 지어진 벌집에서 나온 꿀을 석청이라고 한다. 석청을 채취하는 과정이 매우 험난해서 석청의 가치를 더 높게 쳐준다.
  2. 청나라
  3. 청()은 한국 요리에서 단맛을 내는 조미료 중 하나로 본디 꿀을 가리킨다. 흔히 조청이라고 하는데 조청(造)은 곡식의 전분질을 분해하여(=당화(糖化)) 만든 꿀의 유사품을 가리킨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로..

가공의 인물[편집 | 원본 편집]

  1. 시험에서 '듣기영역'의 한자어 표현인 "청해(聽解)"의 청이 이걸 쓴다. 참고로 일본어에선 약자로 聴이라 쓰는데 오로지 '청해'라는 단어를 위한 한자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