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도 (수학): 두 판 사이의 차이

20번째 줄: 20번째 줄:


== 유한집합과 무한집합 ==
== 유한집합과 무한집합 ==
만약 집합 ''A''가 자연수 ''n''과 동등하다면, 즉 <math>|S|=n</math>이라면 ''A''를 유한집합(finite set)이라 하고 ''A''가 ''n''개의 원소(element)를 가진다고 한다. 만약 ''A''가 유한집합이 아니라면 무한집합(infinite set)이라고 한다.
만약 집합 ''A''가 자연수 ''n''과 동등하다면, ''A''를 유한집합(finite set)이라 한다. 이때 ''A''가 ''n''개의 원소(element)를 가진다고 하고 <math>|S|=n</math>으로 표기한다.
 
만약 집합 ''A''와 ''B''가 유한집합이라면, <math>A\cup B</math>도 유한집합이며 <math>|A\cup B|\le |A|+|B|</math>이다. ''A''와 ''B''가 서로소라면, <math>|A\cup B|= |A|+|B|</math>이다.
 
''A''가 유한집합이 아니라면 무한집합(infinite set)이라고 한다. ''A''가 무한집합이면 임의의 <math>n\in \mathbb{N}</math>에 대해 <math>|A| > n</math>이다.


[[분류:집합론]]
[[분류:집합론]]

2015년 6월 19일 (금) 19:42 판

틀:학술 틀:토막글

정의

농도(Cardinality)집합론에서 정의되는 개념이다. 만약 유한집합이라면 "농도는 집합의 원소의 개수입니다!"라고 외치고 싶겠지만 잠시만 참자. 농도를 정의할 때는 다른 개념과 달리 "농도는 ...이다"라고 정의하지 않는다. 아래를 보자.

  • 집합 AB가 주어졌을 때, 일대일 대응 [math]\displaystyle{ f:A\to B }[/math]가 존재하면 AB의 농도는 같다 또는 AB는 동등하다(equipotent)고 하고, [math]\displaystyle{ |A|=|B| }[/math]로 나타낸다.
  • 집합 AB가 주어졌을 때, 일대일 함수 [math]\displaystyle{ f:A\to B }[/math]가 존재하면 A의 농도는 B의 농도와 같거나 그보다 작다고 하고, [math]\displaystyle{ |A|\le |B| }[/math]로 나타낸다.
  • 집합 AB가 주어졌을 때, 일대일 함수 [math]\displaystyle{ f:A\to B }[/math]가 존재하지만 일대일 대응 [math]\displaystyle{ g:A\to B }[/math]가 존재하지 않으면 A의 농도는 B보다 작다고 하고, [math]\displaystyle{ |A|\lt |B| }[/math]로 나타낸다.

이 정의가 이해되지 않는가? 간절히 기도하라. 우주가 도와줄 것이다.

성질

임의의 집합 A,B,C에 대해

  1. [math]\displaystyle{ |A|=|A| }[/math]
  2. [math]\displaystyle{ |A|=|B| }[/math]이면 [math]\displaystyle{ |B|=|A| }[/math]이다.
  3. [math]\displaystyle{ |A|=|B| }[/math]이고 [math]\displaystyle{ |B|=|C|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C| }[/math]이다.

이고 임의의 집합 A,B,C에 대해

  1. [math]\displaystyle{ |A|\le |A| }[/math]
  2. [math]\displaystyle{ |A|\le |B| }[/math]이고 [math]\displaystyle{ |B|\le |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B| }[/math]이다. (칸토어-베른슈타인 정리)
  3. [math]\displaystyle{ |A|\le |B| }[/math]이고 [math]\displaystyle{ |B|\le |C|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le |C| }[/math]이다.

즉, [math]\displaystyle{ =,\le }[/math]는 각각 동치관계, 반순서관계이다.

유한집합과 무한집합

만약 집합 A가 자연수 n과 동등하다면, A를 유한집합(finite set)이라 한다. 이때 An개의 원소(element)를 가진다고 하고 [math]\displaystyle{ |S|=n }[/math]으로 표기한다.

만약 집합 AB가 유한집합이라면, [math]\displaystyle{ A\cup B }[/math]도 유한집합이며 [math]\displaystyle{ |A\cup B|\le |A|+|B| }[/math]이다. AB가 서로소라면, [math]\displaystyle{ |A\cup B|= |A|+|B| }[/math]이다.

A가 유한집합이 아니라면 무한집합(infinite set)이라고 한다. A가 무한집합이면 임의의 [math]\displaystyle{ n\in \mathbb{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 \gt n }[/mat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