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하늘/메모장/C: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Cerulean님이 사용자:Cerulean/메모장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사용자:Cerulean/메모장/5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53번째 줄: 53번째 줄: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풀 해석
세종어제훈민정음
제는 글을 짓다, 어제는 임금이 지으신 것이다. 훈은 가르치다, 민은 백성이오, 음은 소리이니.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정(正)한 소리라.
國국之지語어音음이
국은 나라라, 지는 ~의[8], 어는 말씀이라.
나랏말싸미
異이乎호中중國국하야
異이는 다르다, 乎호는 어떤 것을

2021년 7월 13일 (화) 21:25 판

단, 어두가 아니라면 'g', 'd', 'b', 'j'가 되므로 톤이라고 해야한다. 따라서 돈가스를 톤가스라고 할 필요가 없다. 톤가스라고 하면 (Thongaseu)가 된다. 된소리, 거센소리, 예사소리 체계인 한국어와 유성음, 무기음 체계인 일본어와 음운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문자 입출력 함수

//함수의 매개변수는 포인터로 넣는다.

int fgetc( FILE *fp); //파일에서 문자를 입력받는다.

int fputc( int c, FILE *fp); //c에 저장된 문자를 파일로 출력한다.

문자열 파일에 출력 예제

fp = fopen("파일 이름.txt", "w");

fputc('a',fp);
fputc('b',fp);
fputc('c',fp);

fclose(fp);

실행 결과(파일)

abc

문자열 파일에서 읽어오기 예제

fp = fopen("sample.txt", "r");

while((c = fgetc(fp) ! = EOF)
    putchar(c);

fclose(fp);

문자열 단위 입출력

풀 해석

세종어제훈민정음

제는 글을 짓다, 어제는 임금이 지으신 것이다. 훈은 가르치다, 민은 백성이오, 음은 소리이니.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정(正)한 소리라.

國국之지語어音음이

국은 나라라, 지는 ~의[8], 어는 말씀이라.

나랏말싸미

異이乎호中중國국하야

異이는 다르다, 乎호는 어떤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