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철도 1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서울 지하철 1호선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사용자 23명의 중간 판 15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1호선 틀}}
#넘겨주기 [[서울 지하철 1호선]]
 
{{+1|서울 地下鐵 一號線 / Seoul Subway Line 1}}
 
{| class="wikitable"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align="center" | '''서울 지하철 1호선'''
|-
| align="center" | '''운영기관'''
|| [[서울메트로]]
|-
| align="center" | '''영업거리'''
|| 7.8km
|-
| align="center" | '''궤간'''
|| 1435mm [[표준궤]]
|-
| align="center" | '''역 수'''
|| 10
|-
| align="center" | '''신호'''
|| [[ATS]]
|-
| align="center" | '''차량기지'''
|| [[군자차량사업소]]
|-
| align="center" | '''지상구간'''
|| 없음
|-
| align="center" | '''연혁'''
|| 1974.08.15. 서울역-청량리역 구간 개통<br />2005.12.21 [[동묘앞역]] 신설.
|}
[[파일:종로선 노선도.png|850px|가운데|서울 지하철 종로선 노선도]]
 
'''지하철 종로선 개통에 즈음하여'''<br /><br />여기 땅 속을 뚫어 3년 4개월 서울 시민 교통에 신기원을<br />이룩할 지하철 종로선이 650만 시민의 뜨거운 염원과<br />대망리에 완공 되었다<br />이 거역이 우리의 기술진과 노력으로만 이루어 졌으니<br />민족의 저력을 과시할 장한 일이다 그동안 이 일에 힘을<br />기울인 모든 분의 노고에 감사 드린다<br />오늘 역사적인 개통을 맞아 활기찬 의욕으로 자랑스러운<br />수도 서울과 영광된 조국에 힘을 다할 것을 다 함께<br />다짐하는 바이다<br />'''1974. 8. 15.'''<br />'''서울특별시장 양택식'''<ref>시청역 대합실에 붙어 있는 기념비에서 발췌</ref>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ref>[[한반도]] 전체에서 최초는 [[1973년]] 개통된 [[북한]]의 [[평양 지하철]]이다.</ref>
== 개요 ==
1974년 8월 15일에 개통된, [[서울 지하철]]의 한 노선이며 첫번째 노선. 한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며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개통된 [[지하철]]이다.
 
노선 색은 남색. 서울메트로가 운영한다.
지하구간인 서울-청량리 구간 까지만을 서울 지하철 1호선이라 칭하며, 나머지 1호선 전동차가 다니는 구간까지를 통튼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 칭한다. <del>하지만 다들 뭉뚱그려서 지하철 1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del><ref>사실 국내에서 많은 사람들이 지하철과 전철이 별도로 구분하지 않기 때문이다.</ref>
== 연혁 ==
[[1968년]] 착공하여 [[1974년]] [[8월 15일]] 개통했으며, 동시에 성북-청량리, 서울역-인천/수원 간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 단, 이 때에는 철도청 관할 전철 구간은 국철이라 해서 남색으로 표시했고, 서울메트로 구간은 1호선(종로선)이라 해서 빨간색으로 노선색을 따로 썼다.
 
그러나 이렇게 되자 막상 수도권 전철에서 남색 빨간색 각종 차량들이 섞여 다녀서(...) 사실상 무의미해 진 상태였던 데다가, 결정적으로 노선 색도 달라서 서울역이나 청량리에서 환승을 해야 하는지 혼란을 일으켜서 [[2000년]], 국철과 서울 지하철 1호선 색깔을 남색으로 통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 불리게 되었다.
 
== 복복선? ==
사실 초창기 [[1기 지하철 계획]]에서는 5호선 계획까지 있었고, 5호선은 1호선과 종각역에서부터 신설동역 사이 구간을 공용할 계획이었다. 이 때문에 사실 종로선 구간은 종각역~신설동역 구간에서 쌍섬식 승강장 개조가 가능하도록 미리 설계를 해 두었다.
 
그러나 개통식날인 [[1974년]] [[8월 15일]]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 사건|육영수 여사가 저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당시 [[서울특별시]]장 [[양택식]]이 사임하고, 후임으로 들어온 [[구자춘]] 시장이 기존 계획을 다 엎어버리고(...) 동아시아 최대 순환선 [[서울 지하철 2호선]]과 X자로 교차하는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및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으로 바꿔버리고 5호선 계획을 백지화해버리면서(...) 이 계획은 사실상 [[흑역사]]가 되어버렸다.
 
문제는 이 때 이 대비한 공간이 필요없다는 이유로(...) 2, 3, 4호선을 만들 때 환승통로를 그냥 뚫어버리는 바람에, 1990년 [[서울 지하철 5호선]]을 지을 때 극악의 드리프트를 감행해야 했고, 지금까지도 1호선 전구간 완급결합은 불가능한 상태다(...) <del>돈이 엄청나게 깨지겠네</del>
 
== 운행차량 ==
* 서울메트로 1000호대 VVVF 전동차
*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지하철 1호선 역 목록
! 역번호
! km
! colspan="2" | 역명
! 승강장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 colspan="8" |↑ [[회기역|회 기]]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24
| style="text-align: right;" | 0.0
| [[청량리역|청량리]]
| 淸凉里
| │■│
| <span style="color: #73c7a6;">●</span>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style="width: 1.2em;" rowspan="10"|[[서울특별시]]
|rowspan="3"|[[동대문구]]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25
| style="text-align: right;" | 1.0
| [[제기동역|제기동]]
| 祭基洞
| ■││■
|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26
| style="text-align: right;" | 1.9
| [[신설동역|신설동]]
| 新設洞
| ■││■
| <span style="color: #33a23d;">●</span>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성수지선]]<br /><del><span style="color: #b2bd54;">●</span>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del>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27
| style="text-align: right;" | 2.6
| [[동묘앞역|동묘앞]]
| 東廟앞
| ■││■
| <span style="color: #c55c1d;">●</span>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rowspan="5"|[[종로구]]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28
| style="text-align: right;" | 3.2
| [[동대문역|동대문]]
| 東大門
| ■││■
| <span style="color: #32a1c8;">●</span>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29
| style="text-align: right;" | 4.0
| [[종로5가역|종로5가]]
| 鍾路5街
| ■││■
|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30
| style="text-align: right;" | 4.9
| [[종로3가역|종로3가]]
| 鍾路3街
| ■││■
| <span style="color: #fe5b10;">●</span>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br /><span style="color: #8b50a4;">●</span>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31
| style="text-align: right;" | 5.7
| [[종각역|종 각]]
| 鍾 閣
| ■││■
|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32
| style="text-align: right;" | 6.7
| [[시청역 (서울)|시 청]]
| 市 廳
| ■││■
| <span style="color: #33a23d;">●</span>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rowspan="2"|[[중구 (서울)|중구]]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color: white;" | 133
| style="text-align: right;" | 7.8
| [[서울역]]
| 서울驛
| │■│
| <span style="color: #32a1c8;">●</span>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br /><span style="color: #73c7a6;">●</span>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br /><span style="color: #3681b7;">●</span>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
| colspan="8" |↓ [[남영역|남 영]]
|}
 
== 여담 ==
* 국내에서 가장 짧은 '''도시철도''' 노선이다.(7.8km) 다만 [[2020년]] [[부산 도시철도 5호선]](사상하단선)이 개통되면 두 번째로 짧은 노선이 된다.
 
* [[시청역 (서울)|시청역]]과 [[종각역]] 사이에 극악의 드리프트 구간이 있다. 속칭 종각 드리프트. 이 구간은 서울 지하철 구간 중에서 가장 회전 반경이 좁은 곳이며, 평균 속도가 40km/h라는 충공깽스러운(...) 속도로 달리<del>는 게 아닌 기어가</del>고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당시 지하철은 굴착식이 아닌 개착식으로 건설했는데. 해당 구간 바로 옆에는 [[동아일보]] 사옥이 있었다. 문제는, 매끄럽게 지으려면 이 사옥을 철거해야 하는 상황이었던 것. 언론 탄압으로도 보일 수도 있는 사안이었던 데다가, 바로 옆에 [[청계천]]까지 있었으니, 더 이상 설명이 [[必要韓紙]]? 결과적으로 현재의 드리프트 구간이 완성되었다. 지도로 추정해 보건데 곡선반경이 대략 140R쯤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del>물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대신동 드리프트가 레전드이고 드리프트계의 본좌이다.</del>
 
* [[2015년]] [[4월 19일]] 오후 5시 42분,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전 역이 작성 완료되었다.{{ㅊ|이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 역 작성 완료를 목표로...}}{{ㅊ|그러다 사람 여럿 죽겠다 이놈아}}
 
== 참조 ==
<references/>
{{틀:대한민국의 지하철 및 경전철 노선}}
[[분류:서울 지하철 1호선| ]]

2021년 2월 14일 (일) 21:23 기준 최신판

넘겨줄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