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Mobile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8번째 줄: 48번째 줄:
* 당시 존재하던 [[스마트폰]] 운영체제 중 유일하게 전체 파일 구조를 공개한 [[파일 탐색기]]를 사용한다. 다른 운영체제는 시스템 폴더나 루트에 접근할 수 없으나, 파일 탐색기는 루트에서부터 탐색이 시작되며, 윈도우 폴더도 자유롭게 탐색 가능하다.<ref>그나마 ROM에 저장되어 있는 것은 바꿀 수 없다. 하지만 ROM 파일을 다른 것으로 덮어 씌운 ''효과''를 낼 수 있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기능은 내장 탐색기로는 안 된다.</ref>
* 당시 존재하던 [[스마트폰]] 운영체제 중 유일하게 전체 파일 구조를 공개한 [[파일 탐색기]]를 사용한다. 다른 운영체제는 시스템 폴더나 루트에 접근할 수 없으나, 파일 탐색기는 루트에서부터 탐색이 시작되며, 윈도우 폴더도 자유롭게 탐색 가능하다.<ref>그나마 ROM에 저장되어 있는 것은 바꿀 수 없다. 하지만 ROM 파일을 다른 것으로 덮어 씌운 ''효과''를 낼 수 있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기능은 내장 탐색기로는 안 된다.</ref>
* 폰 에디션으로 추가된 PDA폰 기능에서 MP3, WMA, MID 등 다양한 형식의 벨소리가 지원됐다. 화음수 따지던 MMF 시절에 원음 벨소리를 쓸 수 있었으니 혁명적이었으나, 한국은 통신사 요청 탓에 원음 벨소리 지정이 제한되어 왔다.
* 폰 에디션으로 추가된 PDA폰 기능에서 MP3, WMA, MID 등 다양한 형식의 벨소리가 지원됐다. 화음수 따지던 MMF 시절에 원음 벨소리를 쓸 수 있었으니 혁명적이었으나, 한국은 통신사 요청 탓에 원음 벨소리 지정이 제한되어 왔다.
*[[녹음]] 기능이 강력하다. 녹음 버튼이 있는 기종은 누르고 있는 동안 자동 녹음이 저장된다. 비밀스러운 녹취에 좋을 듯 하다.
*[[녹음]] 기능이 강력하다. 녹음 버튼이 있는 기종은 누르고 있는 동안 자동 녹음이 저장된다. 비밀스러운 녹취에 좋을 듯 하다.
* 배터리가 부족하면 강제로 [[비행기 모드]]로 전환한다. PDA의 주 기억 장치인 RAM 보존을 위한 것인데, 전화기로선 치명적이다.
* 배터리가 부족하면 강제로 [[비행기 모드]]로 전환한다. PDA의 주 기억 장치인 RAM 보존을 위한 것인데, 전화기로선 치명적이다.
58번째 줄: 59번째 줄:


포켓 PC 2000의 코드명은 "레이피어(Rapier)"이며<ref name="Codenames">De Herrera, Chris. [http://www.pocketpcfaq.com/wce/versions.htm ''Windows CE/Windows Mobile Versions'']. pocketpcfaq.com. Retrieved 6 September 2007.</ref>, [[2000년]] [[4월 19일]] 출시되었고, 윈도우 CE 3.0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두었다. 지원하는 아키텍쳐는 [[ARM]], [[MIPS]], [[SuperH|SH-3]]가 있고, 화면은 320×240 해상도의 QVGA만 지원한다. 포켓 PC 2000에 포함된 기능 및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포켓 PC 2000의 코드명은 "레이피어(Rapier)"이며<ref name="Codenames">De Herrera, Chris. [http://www.pocketpcfaq.com/wce/versions.htm ''Windows CE/Windows Mobile Versions'']. pocketpcfaq.com. Retrieved 6 September 2007.</ref>, [[2000년]] [[4월 19일]] 출시되었고, 윈도우 CE 3.0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두었다. 지원하는 아키텍쳐는 [[ARM]], [[MIPS]], [[SuperH|SH-3]]가 있고, 화면은 320×240 해상도의 QVGA만 지원한다. 포켓 PC 2000에 포함된 기능 및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마이크로소프트 포켓 오피스
* 마이크로소프트 포켓 오피스
** 포켓 워드
** 포켓 워드
125번째 줄: 127번째 줄:


두 기종 모두 176x220인 OS 표준과 달리 [[QVGA]]로 출시되었다. 굴림체가 조금 큼직하게 보이는 건 DPI가 그만큼 뻥튀기 됐기 때문이다.
두 기종 모두 176x220인 OS 표준과 달리 [[QVGA]]로 출시되었다. 굴림체가 조금 큼직하게 보이는 건 DPI가 그만큼 뻥튀기 됐기 때문이다.
* [[팬택 PH-S8000T]], [[2006년#2월|2006년 2월]]
* [[팬택 PH-S8000T]], [[2006년#2월|2006년 2월]]
: [[SD 카드]] 풀사이즈가 탑재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 한계로 1GB 이상 영역을 아예 쓰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 [[SD 카드]] 풀사이즈가 탑재되어 있다. 다만, 하드웨어 한계로 1GB 이상 영역을 아예 쓰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184번째 줄: 187번째 줄:


윈도우 모바일 6.1 은 [[2008년]] [[4월 1일]] 릴리즈되었다. 이것은 윈도우 모바일 6의 마이너 업그레이드(윈도우 CE 5.2)로, 메모리 사용과 관련한 성능 향상과, 내부 프로그램 배치에 변동이 있었다. 또한 윈도우 모바일 6.1.4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6가 내장되어, 종래 포켓PC에서 누릴 수 없었던 인터넷 사용도 가능하다.
윈도우 모바일 6.1 은 [[2008년]] [[4월 1일]] 릴리즈되었다. 이것은 윈도우 모바일 6의 마이너 업그레이드(윈도우 CE 5.2)로, 메모리 사용과 관련한 성능 향상과, 내부 프로그램 배치에 변동이 있었다. 또한 윈도우 모바일 6.1.4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6가 내장되어, 종래 포켓PC에서 누릴 수 없었던 인터넷 사용도 가능하다.
* 스레드 문자 메시지(채팅 형태) 지원이 추가되었다. ([[MS-SMS]])
* 스레드 문자 메시지(채팅 형태) 지원이 추가되었다. ([[MS-SMS]])
* [[윈도우 라이브]] 내장
* [[윈도우 라이브]] 내장
193번째 줄: 197번째 줄:


윈도우 모바일 6.5는 [[2009년]] [[5월 11일]]에 RTM이 OEM에게 배포되었다.(윈도우 CE 5.2.21140) 원래는 예정에 없던 OS였지만, 윈도우 모바일 7의 개발이 늦어짐에 따라 미봉책으로 내놓은 OS로, 출시 당시 "윈도우 폰"으로 불릴 것이라는 발표도 있었다. 여기선 터치스크린에 맞게 UI가 상당수 변경되었으며, 기존에 지원했던 클래식 포켓 PC 버전과 잘 사용되지 않는 해상도의 버전이 삭제되었고, 윈도우 모바일 6.1.4에서보다 더 강화되고 간편해진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6가 기본 내장되어 있다. 윈도우 모바일 6.5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 폰(My Phone)이라는 새로운 클라우드 포켓 컴퓨팅 서비스를 발표했다.
윈도우 모바일 6.5는 [[2009년]] [[5월 11일]]에 RTM이 OEM에게 배포되었다.(윈도우 CE 5.2.21140) 원래는 예정에 없던 OS였지만, 윈도우 모바일 7의 개발이 늦어짐에 따라 미봉책으로 내놓은 OS로, 출시 당시 "윈도우 폰"으로 불릴 것이라는 발표도 있었다. 여기선 터치스크린에 맞게 UI가 상당수 변경되었으며, 기존에 지원했던 클래식 포켓 PC 버전과 잘 사용되지 않는 해상도의 버전이 삭제되었고, 윈도우 모바일 6.1.4에서보다 더 강화되고 간편해진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6가 기본 내장되어 있다. 윈도우 모바일 6.5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 폰(My Phone)이라는 새로운 클라우드 포켓 컴퓨팅 서비스를 발표했다.
* 정전식 터치 지원을 위한 디자인 변경이 대폭 이루어졌다.
* 정전식 터치 지원을 위한 디자인 변경이 대폭 이루어졌다.
** 모든 메뉴 항목의 크기가 커졌다.
** 모든 메뉴 항목의 크기가 커졌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