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nley Parable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배경색  =  
|배경색  =  
|글자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The Stanley Parable.jpg|250픽셀]]
|그림    = [[파일:The_Stanley_Parable.jpg|250픽셀]]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배급사  = Galactic Cafe
|배급사  = Galactic Cafe
29번째 줄: 29번째 줄:
<br />
<br />
{{유튜브|fBtX0S2J32Y}}
{{유튜브|fBtX0S2J32Y}}
게임 소개 영상.
게임 소개 영상.
{{-}}
{{-}}
46번째 줄: 45번째 줄:
;여성 나레이터: 박물관 엔딩에서 등장하는 여성 나레이터로, 남성 나레이터의 세계보다 더 위에 있는 인물로 보인다. 팬층에서는 큐레이터라고도 불린다.
;여성 나레이터: 박물관 엔딩에서 등장하는 여성 나레이터로, 남성 나레이터의 세계보다 더 위에 있는 인물로 보인다. 팬층에서는 큐레이터라고도 불린다.


;스탠리 패러블 어드벤쳐 라인™: 혼란 엔딩에서 등장하는 노란색 안내선으로. 스탠리의 길잡이 역할을 해주나 싶더니 결국 나레이터처럼 이야기를 스포하고 만다.
<s><b>더 스탠리 패러블 어드벤쳐 라인</b><br />
혼란 엔딩에서 등장하는 노란색 선으로. 스탠리의 길잡이 역할을 해주나 싶더니 결국 나레이터처럼 이야기를 스포하고 만다.</s>


==엔딩==  
==엔딩==  
53번째 줄: 53번째 줄:


스탠리 우화에는 13개의 엔딩들이 있다.
스탠리 우화에는 13개의 엔딩들이 있다.
[[파일:The Stanley Parable Ending.png|오른쪽|섬네일|모든 엔딩 루트 이미지.]]
[[파일:The_Stanley_Parable_Ending.png|오른쪽|섬네일|모든 엔딩 루트 이미지.]]
=== 왼쪽 계열 ===
=== 왼쪽 계열 ===
나레이터의 지시에 순응해 왼쪽 문을 택했을 시 볼 수 있는 엔딩들. 플레이어가 나레이터의 지시에 순응함으로서 나레이터가 게임의 주도권을 잡게 되고, 이후부터 나레이터의 지시를 어기려고 할 경우 '''죽는다.''' 하술하겠지만 나레이터가 계단 위쪽으로 올라가라고 지시하는데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미쳐서 죽고, 나레이터의 경고를 무시하고 정신 통제실로 가는 길에서 엉뚱한 길로 빠질 경우 압사되어 죽으며, 나레이터의 의도를 어기고 정신 통제 장치를 작동시킬 경우 시한 폭탄이 발동되어 폭사한다. 이 노선에서 살아남는 엔딩이라고는 나레이터의 지시에 끝까지 순응하는 자유 엔딩과 나레이터로부터 은근슬쩍 도망치는 탈출 엔딩 밖에 없다.
나레이터의 지시에 순응해 왼쪽 문을 택했을 시 볼 수 있는 엔딩들. 플레이어가 나레이터의 지시에 순응함으로서 나레이터가 게임의 주도권을 잡게 되고, 이후부터 나레이터의 지시를 어기려고 할 경우 '''죽는다.''' 하술하겠지만 나레이터가 계단 위쪽으로 올라가라고 지시하는데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미쳐서 죽고, 나레이터의 경고를 무시하고 정신 통제실로 가는 길에서 엉뚱한 길로 빠질 경우 압사되어 죽으며, 나레이터의 의도를 어기고 정신 통제 장치를 작동시킬 경우 시한 폭탄이 발동되어 폭사한다. 이 노선에서 살아남는 엔딩이라고는 나레이터의 지시에 끝까지 순응하는 자유 엔딩과 나레이터로부터 은근슬쩍 도망치는 탈출 엔딩 밖에 없다.
63번째 줄: 63번째 줄:
==== 폭파 엔딩 ====
==== 폭파 엔딩 ====
{{youtube|w-aMhZVQdHI}}
{{youtube|w-aMhZVQdHI}}
 
나레이터의 의도를 어기고 정신 통제 장치를 오히려 작동시킬 시 볼 수 있는 엔딩. 자유 엔딩 막바지에서 자신을 배신한 플레이어이기에 나레이터의 조롱이 다른 엔딩들에 비해서도 제일 심하다. 이 엔딩에서 나레이터는 플레이어가 회사원 모두를 지배했던 정신 통제 장치를 꺼버리기는 커녕 오히려 이를 이용해 권력을 잡으려 했다는 명분을 들어 플레이어를 악역으로 만들고는 보안장치가 작동했다는 명목으로 대충 2분 뒤에 폭발하는 시한폭탄을 발동시킨다. 이후 시한 폭탄을 어떻게든 막으려는 플레이어를 비꼬고는 이 상황이 너무 재밌다며 중간에 시한폭탄 시간을 1분 가량 더 늘려주는 등 아예 플레이어를 달달 볶는다. 시한 폭탄이 터지기 직전에는 아예 나레이터가 내입에서 "그리고 모두 행복하게 살았답니다"가 나올때까지 네 인생의 매순간을 비웃어주겠다는 등 나레이터의 악랄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엔딩이다.
나레이터의 의도를 어기고 오히려 정신 통제 장치를 작동시킬 시 볼 수 있는 엔딩. 자유 엔딩 막바지에서 자신을 배신한 플레이어이기에 나레이터의 조롱이 다른 엔딩들에 비해서도 제일 심하다. 이 엔딩에서 나레이터는 플레이어가 회사원 모두를 지배했던 정신 통제 장치를 꺼버리기는 커녕 오히려 이를 이용해 권력을 잡으려 했다는 명분을 들어 플레이어를 악역으로 만들고는 보안장치가 작동했다는 명목으로 2분 뒤에 폭발하는 핵폭탄을 발동시킨다. 이후 시한 폭탄을 어떻게든 막으려는 플레이어를 비꼬면서 이 상황이 너무 재밌다며 중간에 남은 시간을 1분 가량 더 늘려주거는 등 아예 플레이어를 달달 볶는다. 시한 폭탄이 터지기 직전에는 아예 나레이터가 "그리고 모두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라는 말을 할 때까지 네 인생의 매순간을 비웃어주겠다는 등 나레이터의 악랄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엔딩이다.
 
겉보기에는 폭발을 막거나 탈출할 수 있을것처럼 보이지만, 그렇게 보이게 꾸며놓았을 뿐이며 실제로는 불가능하게 되어있다.<ref>주로 레벨 디자인을 맡았던 공동 메인개발자 윌리엄 퓨가 울트라 디럭스 출시이후 진행된 AMA에서 폭발엔딩에 분기점을 추가하는것은 폭발 엔딩을 망치는것이라는 답변을통해 불가능하다는것을 간접적으로 인정했다.</ref> 그렇기 때문에  폭발을 막거나 탈출하는 방법을 알기위해 또 폭발엔딩을 보면 이를 눈치채고 조롱한다.
 
잘 들어보면 30초 남았을때부터 멀리서 부터 시설 여기저기가 터져나가는소리가 들린다.


==== 자유 엔딩 ====
==== 자유 엔딩 ====
74번째 줄: 69번째 줄:
====탈출 엔딩====
====탈출 엔딩====
{{youtube|iLx9w-F_U4s}}
{{youtube|iLx9w-F_U4s}}
사장실로 들어가다가 문이 닫히기 전에 바로 뒤로 나올 경우 볼 수 있는 엔딩. 어떤 행동을 하던 나레이터가 어떠한 말도 하지 않으며, 원래의 사무실로 돌아가려하면 대신 사무실 오른쪽의 문이 열려있다. 이후 문으로 들어갈 경우 플레이어가 있는 회사가 완전히 똑같은 모양의 층들이 750개 넘게 있는 회사였단 것을 알게 된다. 이후 계단을 통해 계속 올라가다보면 탈출구가 보이는데, 이에 들어갈 경우 아무 설명 없이 게임이 암전되면서 끝난다. 나레이션도 없고, 조명도 거의 다 꺼져있어서 게임 특유의 음산함이 제일 극대화된다.
사장실로 들어가다가 문이 닫히기 전에 바로 뒤로 나올 경우 볼 수 있는 엔딩. 어떤 행동을 하던 나레이터가 어떠한 말도 하지 않으며, 원래의 사무실로 돌아가려하면 대신 사무실 오른쪽의 문이 열려있다. 이후 문으로 들어갈 경우 플레이어가 있는 회사가 완전히 똑같은 모양의 층들이 750개 넘게 있는 회사였단 것을 알게 된다. 이후 계단을 통해 계속 올라가다보면 탈출구가 보이는데, 이에 들어갈 경우 아무 설명 없이 게임이 암전되면서 끝난다. 나레이션도 없고, 조명도 거의 다 꺼져있어서 게임 특유의 음산함이 제일 극대화된다.


=== 오른쪽 계열 ===
=== 오른쪽 계열 ===
나레이터의 지시에 반항해 오른쪽 문을 택했을 시 볼 수 있는 엔딩들. 이 노선 내내 나레이터가 자신에 반항하는 플레이어를 회유하려고 최대 4번을 시도하기 때문에 분기점이 꽤 많은 편이며, 나레이터의 회유를 얼마나 거부하려했는지에 따라서 엔딩의 내용도 급격히 달라진다.
나레이터의 지시에 반항해 오른쪽 문을 택했을 시 볼 수 있는 엔딩들. 이 노선 내내 나레이터가 자신에 반항하는 플레이어를 회유하려고 계속해서 시도하기 때문에 분기점이 꽤 많은 편이다.
====직장 엔딩====
====직장 엔딩====
나레이터의 전화기를 이용한 회유 시도에 플레이어가 응할 경우에 볼 수 있는 엔딩. 엔딩 내내 나레이터가 스탠리(플레이어)를 조롱하고 나중에는 플레이어를 죽게 만든다.
나레이터의 전화기를 이용한 회유 시도에 플레이어가 응할 경우에 볼 수 있는 엔딩. 엔딩 내내 나레이터가 스탠리(플레이어)를 조롱하고 나중에는 플레이어를 죽게 만든다.
88번째 줄: 82번째 줄:
====우주 엔딩====
====우주 엔딩====
{{youtube|4BRq_wzbf2I}}
{{youtube|4BRq_wzbf2I}}
 
플레이어가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이탈하고, 이후 나레이터의 회유 시도에 응할 경우 볼 수 있는 엔딩. 플레이어가 나레이터와 함께 밤하늘이 연상되는 아름다운 방 안에 이동하게 된다. 문제는 그 방 바로 옆에 높은 계단이 있고 플레이어가 거기에서 4번 연속으로 뛰어내리지 않는 한 게임이 끝나지 않기에 결국 플레이어가 반강제로 자살을 하게 된다. 계단을 끊임없이 올라가는 플레이어에게 반쯤 울먹이며 제발 자살하지 말라고 비는 나레이터가 인상적인 엔딩이다.
나레이터의 원래 업무(회의실 가기)로 돌려보내려는 회유, "아내"를 빌미로 어느 방으로 이동시키려는 회유를 모두 거부하다가 나레이터가 빨간 문, 파란 문을 매개로 마지막 회유를 시도할 때 빨간 문을 택하여 나레이터에 순응할 경우 보게 되는 엔딩. 엔딩에서 나레이터는 더 이상 이야기를 이어나가는 것을 지쳐서 포기하고 스탠리에게 아름다운 별들이 빛나는 방 안에 같이 있어볼 것을 제안한다. 하지만 이전에 나레이터를 계속해서 거부해온 전적이 있기 때문에 스탠리는 이를 거부('''배신''')하고 다른 방으로 빠져나간다. 그곳에는 한 높은 계단이 있는데, 스탠리는 나레이터가 울먹이며 돌아가자고 간청하는 것을 무시하고 계속해서 그 계단에서 뛰어내려 해당 엔딩을 파괴하려고 시도하고, 결국에는 스탠리가 사망하면서 엔딩도 암울하게 그대로 끝이 난다. '''배신''' 엔딩이라는 면에서 폭발 엔딩과 상극이며, 스탠리가 완전히 자살하기 직전에는 나레이터가 아예 체념하는게 인상적이다.
 
The Cutting Room Floor의 분석에 따라면 나레이터가 일시정지화면에서도 재시작하지 말아달라고 비는 내용이 있었으나 기획초기에 취소한듯한 흔적이 남아있다고한다.
The Cutting Room Floor의 분석에 따라면 나레이터가 일시정지화면에서도 재시작하지 말아달라고 비는 내용이 있었으나 기획초기에 취소한듯한 흔적이 남아있다고한다.


102번째 줄: 94번째 줄:
이동중인 플랫폼에서 뛰어내려 자살할 경우 볼 수 있는 엔딩. 나레이터가 굳이 죽어서라도 자신에게 반항하려한 플레이어를 조롱하면서 끝난다. 이 외에도 플랫폼이 이동하기 시작하자마자 플레이어가 뒤로 빠질 경우에는 나레이터가 플랫폼은 다시 돌아오지 않을거라며 투신을 종용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투신한 경우에도 나레이터가 플레이어를 조롱하는 건 마찬가지. 위의 우주 엔딩과 같이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하다.
이동중인 플랫폼에서 뛰어내려 자살할 경우 볼 수 있는 엔딩. 나레이터가 굳이 죽어서라도 자신에게 반항하려한 플레이어를 조롱하면서 끝난다. 이 외에도 플랫폼이 이동하기 시작하자마자 플레이어가 뒤로 빠질 경우에는 나레이터가 플랫폼은 다시 돌아오지 않을거라며 투신을 종용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투신한 경우에도 나레이터가 플레이어를 조롱하는 건 마찬가지. 위의 우주 엔딩과 같이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하다.
====포기 엔딩====
====포기 엔딩====
{{인용문|그는 책상에서 일어나 사무실에서 걸어 나왔습니다.|오프닝 컷씬의 가장 마지막 대사}}
시작할 때 플레이어의 사무실에서 밖으로 나가지 않고 아예 사무실 문을 닫아버릴 경우 볼 수 있는 엔딩. 사실 왼쪽 계열에도, 오른쪽 계열에도 속하지 않으나 나레이터에 반항한다는 맥락은 같기에 오른쪽 계열로 분류한다.
시작할 때 플레이어의 사무실에서 밖으로 나가지 않고 아예 사무실 문을 닫아버릴 경우 볼 수 있는 엔딩. 사실 왼쪽 계열에도, 오른쪽 계열에도 속하지 않으나 나레이터에 반항한다는 맥락은 같기에 오른쪽 계열로 분류한다.


110번째 줄: 101번째 줄:
* 시크릿 디스코 : 정신지배기관의 모니터실에서 엘리베이터가 도착한 뒤 엘리베이터를 타지않고 60초정도 기다리면 문이 다시 열린다. 이때 왔던길을 다시 돌아가서 전구가그려진 버튼을 누르면 모니터실이 디스코 파티장냥 변한다. 모니터실 전체에 영향을 끼치는 아주 큰 이스터에그지만 나레이터가 알아채지 못한다.
* 시크릿 디스코 : 정신지배기관의 모니터실에서 엘리베이터가 도착한 뒤 엘리베이터를 타지않고 60초정도 기다리면 문이 다시 열린다. 이때 왔던길을 다시 돌아가서 전구가그려진 버튼을 누르면 모니터실이 디스코 파티장냥 변한다. 모니터실 전체에 영향을 끼치는 아주 큰 이스터에그지만 나레이터가 알아채지 못한다.
** 데모 : '감정 부스'들을 모아놓은곳을 잘 뒤져보면 감정대신 SECRET이라고 적힌 감정부스가 있다. 들어가보면 위의 시크릿 디스코와 같은 음악이 나온다.
** 데모 : '감정 부스'들을 모아놓은곳을 잘 뒤져보면 감정대신 SECRET이라고 적힌 감정부스가 있다. 들어가보면 위의 시크릿 디스코와 같은 음악이 나온다.
* 올해의 직원 : 왼쪽문으로 들어간뒤 벽에 걸린 사진들 중에 초록색 나뭇잎 사진을 다섯번 클릭하면 게임을 종료할때까자 게임내 모든 나뭇잎사진이 이 게임의 프로그래머 GranPC사진으로 변경되며, 해당 사진아래에 '올해의 직원'표지판이추가된다. 울트라 디럭스에서는 이스터에그가 삭제된 대신 Gran PC를 위한 그림이 모래바닥위에 놓여있는 이스터에그가 추가되었다.
* 세개의 점 : 창고에서 리프트에 타기전 오른쪽을 보면 철조망에 둘러쌓인 공간이 나오는데, 이곳의 벽을 잘 보면 벽돌 하나에 세개의 점(∵)이 찍혀있다.[https://youtu.be/krBMF3GO-a4 영상] 출시당시에는 이것이 무엇인지 아무도 몰랐으나, [[The Beginner's Guide|2년 뒤]] 밝혀진다.


==해설==
==해설==
136번째 줄: 125번째 줄:
*: 스페이스 바를 계속해서 누르면 된다.
*: 스페이스 바를 계속해서 누르면 된다.
* Unachievable(달성불가능)
* Unachievable(달성불가능)
*: 달성 조건이 난해하기로 정말 악명높은 도전과제. 일단 아무이유없이 갑자기 달성된 사람들도 꽤 있기때문에 달성하는 게 말그대로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라고 확인되었으나, 그 달성 조건은 출시한 지 10년 다 되어가는 현재도 불분명하다. 다만 게임 파일을 조작해서 도전과제를 얻는 방법이 꽤나 퍼져서 '''5.4%''' 가량의 플레이어가 이 도전과제를 얻었다. ('Commitment' 도전과제 달성자 수보다 2배 넘게 많다) 현재 까지 분석된 대로라면 달정조건 자체가 완전히 랜덤인것으로 추측되고있다. 도전과제 달성과정이 랜덤이므로 '달성될때까지 플레이한다'를 제외하면 플레이어의 개입이 완전히 차단되어있기 때문에 도전과제를 달성할 수 없다고 한것으로 보인다.
*: 달성 조건이 난해하기로 정말 악명높은 도전과제. 일단 아무이유없이 갑자기 달성된 사람들도 꽤 있기때문에 달성하는 게 말그대로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라고 확인되었으나, 그 달성 조건은 출시한 지 10년 다 되어가는 현재도 불분명하다. 다만 게임 파일을 조작해서 도전과제를 얻는 방법이 꽤나 퍼져서 '''5.4%''' 가량의 플레이어가 이 도전과제를 얻었다. ('Commitment' 도전과제 달성자 수보다 2배 넘게 많다)
{{각주}}
{{각주}}
[[분류:스팀 게임]]
[[분류:스팀 게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