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Han Sans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폰트 정보
{{글꼴 정보
|폰트이름 = 본고딕
| 제목              = Source Han Sans<br />
|원어이름 = Source Han Sans<br />Noto Sans (언어)
Noto Sans CJK
|그림     = [[파일:Source Han Sans Preview 300px.png]]
| 제목/원어    =
|그림설명 =  
| 제목/한국어 = 본고딕
|자족    =  
| 제목/영어    =
|제작    = [[어도비]], [[구글]], 산돌커뮤니케이션, Changzhou SinoType, Iwata
| 그림               = Source Han Sans Preview 300px.png
|라이선스 = [[OFL]]
| 그림설명     =  
|출시일  = 2014년 7월 16일
| 소개              =  
|웹사이트 = [https://github.com/adobe-fonts/source-han-sans/tree/release GitHub] [https://www.google.com/get/noto/#sans-kore Google Noto Fonts] [https://typekit.com/fonts/source-han-sans-korean Typekit]
| 제작사          = [[어도비]], [[구글]], 산돌커뮤니케이션, Changzhou SinoType, Iwata
|비고    =  
| 제작자          =
| 라이선스       = [[OFL]]
| 가격              = 무료
| 다운로드      = [https://github.com/adobe-fonts/source-han-sans/tree/release GitHub] [https://www.google.com/get/noto/#sans-kore Google Noto Fonts] [https://typekit.com/fonts/source-han-sans-korean Typekit]
| 굵기              = 7종
| 출시일          = 2014년 7월 16일
}}
}}


Source Han Sans, 본고딕 혹은 Noto Sans (언어)는 [[어도비]]와 [[구글]]의 주도 하에 만들어진 [[중국어]]·[[한국어]]·[[일본어]] 통합 글꼴 모음이다.
== 개요 ==
Source Han Sans, 본고딕 혹은 Noto Sans CJK는 [[어도비]]와 [[구글]]의 주도 하에 만들어진 [[중국어]]·[[한국어]]·[[일본어]] 통합 글꼴 모음이다. 구글 측 제목인 Noto Sans CJK의 뜻은 No Tofu(글자 깨짐 없는) Sans(고딕) ChinaJapanKorea(한중일), 즉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용 글자 깨짐 없는 고딕체" 라는 말이다.


== 제작 배경 ==
== 제작 배경 ==
23번째 줄: 29번째 줄:


== 특징 ==
== 특징 ==
*최대 규모의 오픈 소스 [[글꼴]] 모음이다.
*최대 규모의 오픈 소스 [[글꼴]] 모음이다.  
*옛한글(고어)을 포함해 대만과 홍콩에서 사용되는 한자, 그리스어, 라틴어, 키릴 자모 등 42종의 언어를 표현할 수 있다.
*옛한글(고어)을 포함해 대만과 홍콩에서 사용되는 한자, 그리스어, 라틴어, 키릴 자모 등 42종의 언어를 표현할 수 있다.  
*오픈타입 표준 글꼴 최대 표현 글자 개수인 6만 5535자가 모두 사용되었다. 때문에 표현할 수 없는 한자도 있다.
*오픈타입 표준 글꼴 최대 표현 글자 개수인 6만 5535자가 모두 사용되었다. 때문에 표현할 수 없는 한자도 있다.  
*7단계의 굵기를 지원한다. 이는 무료 글꼴에서는 유례를 찾기 힘든 단계다.
*7단계의 굵기를 지원한다. 이는 무료 글꼴에서는 유례를 찾기 힘든 단계다.  
*히읗(ㅎ), 치읓(ㅊ)의 꼭지가 가로줄기가 아닌 세로줄기다. 한글 글꼴을 만든 산돌커뮤니케이션은 화면 출력에서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ref>[http://www.sandoll.co.kr/?viba_portfolio=bongothic-2 Adobe·Google 본고딕 | 장수영, 산돌커뮤니케이션]</ref>  
*히읗(ㅎ), 치읓(ㅊ)의 꼭지가 가로줄기가 아닌 세로줄기다. 한글 글꼴을 만든 산돌커뮤니케이션은 화면 출력에서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ref>[http://www.sandoll.co.kr/?viba_portfolio=bongothic-2 Adobe·Google 본고딕 | 장수영, 산돌커뮤니케이션]</ref>  
*한글 자소 조합 시 줄기가 연결된다.
*한글 자소 조합 시 줄기가 연결된다.  
*마침표와 쉼표 등의 점이 둥글다.
*마침표와 쉼표 등의 점이 둥글다.  
* 한국식, 일본식 한자, 중국, 대만, 홍콩의 한자를 실제에 거의 가깝게 표기할 수 있다.


== 기타 ==
== 기타 ==
*[[어도비]]는 Source Sans 패밀리의 일부인 'Source Han Sans'라는 이름으로, [[구글]]은 Noto(노토) 글꼴 패밀리의 일부인 'Noto Sans (언어)'라는 이름으로 배포한다. '본고딕'은 'Source Han Sans'의 한국어 별칭이다.
*[[어도비]]는 Source Sans 패밀리의 일부인 'Source Han Sans'라는 이름으로, [[구글]]은 Noto(노토) 글꼴 패밀리의 일부인 'Noto Sans CJK'라는 이름으로 배포한다. '본고딕'은 'Source Han Sans'의 한국어 별칭이다.  
*일본어 별칭은 源ノ角ゴシック(げんのかくごしっく), 중국어 별칭은 思源黑体(간체)·思源黑體(번체)다.
*일본어 별칭은 源ノ角ゴシック(げんのかくごしっく), 중국어 별칭은 思源黑体(간체)·思源黑體(번체)다.  
*언어별 글꼴 모음에 따라 국가별로 다른 한자 자형의 우선 순위가 결정된다. Source Han Sans의 경우 뒤에 아무것도 붙지 않으면 일본어, K가 붙으면 한국어, SC가 붙으면 중국어 간체(SimplifiedChinese), TC가 붙으면 중국어 번체(TraditionalChinese)
*언어별 글꼴 모음에 따라 국가별로 다른 한자 자형의 우선 순위가 결정된다. Source Han Sans의 경우 뒤에 아무 것도 붙지 않으면 일본어, K가 붙으면 한국어, SC가 붙으면 중국어 간체(SimplifiedChinese), TC가 붙으면 중국어 번체(TraditionalChinese)의 한자를 우선으로 한다.
*알파벳과 숫자, 특수 문자, 라틴어, 그리스어 및 키릴 자모 글리프 등은 어도비가 만든 기존의 Source Sans 글꼴을 사용한다.
*알파벳과 숫자, 특수 문자, 라틴어, 그리스어 및 키릴 자모 글리프 등은 어도비가 만든 기존의 Source Sans 글꼴을 사용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 5.0 롤리팝부터 Roboto 글꼴로 표현할 수 없는 한국어·중국어·일본어의 기본 글꼴로 사용된다. 이전까지는 기본 한글 글꼴로 [[나눔고딕]]이 사용되었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 5.0 롤리팝부터 Roboto 글꼴로 표현할 수 없는 한국어·중국어·일본어의 기본 글꼴로 사용된다. 이전까지는 기본 한글 글꼴로 [[나눔고딕]]이 사용되었다.  
*Spoqa(스포카)는 본고딕을 다듬어 [[Spoqa Han Sans|Spoqa Han Sans (스포카 한 산스)]]를 만들었다. 한국어, 일본어, 영어, 숫자, 특수문자의 어울림을 개선하고 용량을 줄였다.
*Spoqa(스포카)는 본고딕을 다듬어 [[Spoqa Han Sans|Spoqa Han Sans (스포카 한 산스)]]를 만들었다. 한국어, 일본어, 영어, 숫자, 특수문자의 어울림을 개선하고 용량을 줄였다.  


{{각주}}
{{각주}}
[[분류:글꼴]]
[[분류:글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