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y (THB)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소문자 제목}}
{{소문자}}
{{탭
{{탭
|여백좁게=y
|제목1=원곡
|제목1=원곡
|제목2=roop remix
|제목2=roop remix
|내용1={{youtube|IVId8C6wzEE|||center|'''YouTube Music 영상'''}}
|내용1={{youtube|IVId8C6wzEE|||center|'''(자동 생성된 영상)'''}}
|내용2={{youtube|lOSRVXiZMs4|||center|'''YouTube Music 영상'''}}
|내용2={{youtube|lOSRVXiZMs4|||center|'''(자동 생성된 영상)'''}}
}}
}}
<br/>
[https://soundcloud.com/roopdesign/ray-roop-remix 공식 음원 (roop remix)]<br/>
'''ray'''는 THB가 2009년에 발매한 싱글 《ray | bug》의 1번 트랙이다. 이후 작곡가 roop가 보컬을 추가해 리믹스한 버전이 '''ray (roop remix)'''란 이름과 함께 THB의 앨범 《T​.​H​.​B. | Switch | Air》의 6번 트랙으로 수록되었고, [[Tone Sphere]]의 튜토리얼 곡으로 선택되며 알려지게 되었다.
'''ray'''는 THB가 2009년에 발매한 싱글 《ray | bug》의 1번 트랙이다. 이후 작곡가 roop가 보컬을 추가해 리믹스한 버전이 '''ray (roop remix)'''란 이름과 함께 THB의 앨범 《T​.​H​.​B. | Switch | Air》의 6번 트랙으로 수록되었고, [[Tone Sphere]]의 튜토리얼 곡으로 선택되며 알려지게 되었다.


[https://soundcloud.com/roopdesign/ray-roop-remix 공식 음원 (roop remix)]


== 가사 (roop remix) ==
== 가사 (roop remix) ==
원곡에는 보컬가 없으나, roop가 리믹스한 음원에는 보컬이 포함되어 있다. 본 문단은 ray (roop remix)의 가사를 작성한 문단이다.
원곡에는 보컬가 없으나, roop가 리믹스한 음원에는 보컬이 포함되어 있다. 본 문단은 ray (roop remix)의 가사를 작성한 문단이다.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100%" align=center>'''   <span style="font-size:125%; ">가사 보기</span> (영어 / 해석)'''<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align=left><br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100%" align=center>'''   <span style="font-size:125%; ">가사 보기</span> (영어 / 해석)'''<br/><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align=left><br/>
{{가사/시작
{{가사/시작
|Late at night we drift alone
|Late at night we drift alone
76번째 줄: 76번째 줄:
</div></div>
</div></div>


== Tone Sphere ==
== [[Tone Sphere]]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100%" align=center>'''{{색|transparent|      }}에피소드 별 수록곡 정보 보기'''<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align=left>
<div class="col-md-6 col-xs-12" style='padding:0'>{{Tone Sphere/Press/Start}}</div>
<div class="col-md-6 col-xs-12" style='padding:0'>{{Tone Sphere/Press/Start}}</div>
<div class="col-md-6 col-xs-12" style='padding:0'>{{Tone Sphere/Solarsphere}}</div>{{-}}
<div class="col-md-6 col-xs-12" style='padding:0'>{{Tone Sphere/Solarsphere}}</div>{{-}}<br/>
</div></div><br />
{{Tone Sphere/곡 정보
{{Tone Sphere/곡 정보
|곡 제목=ray (roop remix)
|곡 제목=ray (roop remix)
|작곡가=roop loves THB
|작곡가=roop loves THB
|난이도 수=4
|난이도 수=4
|이미지=
  {{탭
  |버튼여백좁게 = y
  |제목너비고정=33.3%
  |여백 사용자지정=0rem
  |제목1=EASY
  |내용1=[[파일:tonesphere lesson.gif|x224px]]
  |제목2=NORMAL/HARD
  |내용2=[[파일:tonesphere ray.gif|x224px]]
  |제목3=EXPERT
  |내용3=[[파일:tonesphere ray alt.gif|x224px]]
}}
|추가 정보=
|추가 정보=
<div class="col-md-3 col-xs-3" style='padding:0'>
{{Tone Sphere/곡 정보/난이도 별 정보
{{Tone Sphere/곡 정보/난이도 별 정보
|난이도=EASY
|난이도=EASY
|레벨=0.5
|레벨=0.5
|팩=P/S, Solarsphere
|팩=<span style='font-size:93%'>Press/Start, Solarsphere</span>
|이미지=tonesphere lesson.gif
|노트 수=78
|노트 수=78
|콤보 수=111
|콤보 수=111
}}
}}</div><div class="col-md-3 col-xs-3" style='padding:0'>
{{Tone Sphere/곡 정보/난이도 별 정보
{{Tone Sphere/곡 정보/난이도 별 정보
|난이도=NORMAL
|난이도=NORMAL
|레벨=3
|레벨=3
|팩=Press/Start
|팩=Press/Start
|이미지=tonesphere ray.gif
|노트 수=189
|노트 수=189
|콤보 수=285
|콤보 수=285
}}
}}</div><div class="col-md-3 col-xs-3" style='padding:0'>
{{Tone Sphere/곡 정보/난이도 별 정보
{{Tone Sphere/곡 정보/난이도 별 정보
|난이도=HARD
|난이도=HARD
|레벨=5
|레벨=5
|팩=Solarsphere
|팩=Solarsphere
|이미지=tonesphere ray.gif
|노트 수=292
|노트 수=292
|콤보 수=583
|콤보 수=583
}}
}}</div><div class="col-md-3 col-xs-3" style='padding:0'>
{{Tone Sphere/곡 정보/난이도 별 정보
{{Tone Sphere/곡 정보/난이도 별 정보
|난이도=EXPERT
|난이도=EXPERT
|레벨=7.5
|레벨=7.5
|팩=Solarsphere
|팩=Solarsphere
|이미지=tonesphere ray alt.gif
|노트 수=354
|노트 수=354
|콤보 수=790
|콤보 수=790
}}}}
}}</div>
}}


roop remix 버전이 [[Tone Sphere]]의 초창기 곡으로 수록되었다. EASY 채보는 '''How to play Tone Sphere in 3 minutes (부제: LESSON)'''란 이름으로 수록되었으며, 다른 채보와 다르게 풀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이 외의 특이사항으로는 NORMAL을 제외하면<ref>NORMAL 최저 레벨은 [[already seen]]의 1레벨이다.</ref> 모든 난이도에서 최저 레벨을 배정받았다는 점.
roop remix 버전이 [[Tone Sphere]]의 초창기 곡으로 수록되었다. EASY 채보는 '''How to play Tone Sphere in 3 minutes (부제: LESSON)'''란 이름으로 수록되었으며, 다른 채보와 다르게 풀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이 외의 특이사항으로는 NORMAL을 제외하면<ref>NORMAL 최저 레벨은 [[already seen]]의 1레벨이다.</ref> 모든 난이도에서 최저 레벨을 배정받았다는 점.
131번째 줄: 123번째 줄:
{{탭
{{탭
|제목1=EXPERT
|제목1=EXPERT
|내용1={{youtube|z7j2WybpKLo|||center|'''★6 AP 영상'''}}
|내용1={{youtube|rWyarUvjVdE|||center|'''★6 AP 영상'''}}
단타와 슬라이드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패턴에서 단타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423 ~ 434 콤보에서 슬라이드가 섞인 16비트 패턴이 다른 구간에 비해 난이도가 높다. 후반부의 이빠진 8비트, 16비트 트릴에서도 박자가 밀리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제목2=HARD
|제목2=HARD
|내용2={{youtube|X_FlJ6TSABI|||center|'''★6 AP 영상'''}}
|내용2={{youtube|X_FlJ6TSABI|||center|'''★6 AP 영상'''}}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