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osotis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곡 정보
'''Myosotis'''는 [[DEEMO]]의 수록곡이다.
|곡이름 = Myosotis
|원어이름 =
|그림    = [[파일:deemo ost vol3.png|256px]]
|음악가  = M2U
|음반    = [[Deemo, Vol.3]]
|레이블  = [[Rayark]]
|작사가  =
|작곡가  = M2U
|편곡  = M2U, NICODE
|프로듀서 =
}}
{{youtube|XZga5c9aJlQ|||center|'''YouTube Music 영상'''}}
'''Myosotis'''는 M2U가 작곡하고 [[구리리]]와 Lucy가 부른 [[DEEMO]]의 수록곡이다.
{{음악 서비스 연결 | 연결 = 음반
| 문구 = 음악 듣기 (DEEMO OST)
| Apple Music = 1499082185
| Spotify = 1OHf7O52o38zcZ7y4tct0Y
| YouTube Music = OLAK5uy_mBo4eW2aDLIYsMkdpZJhBzRB8vVlnJGFY
}}
=== 가사 ===
=== 가사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100%" align=center>'''     <span style="font-size:125%; ">가사 보기</span> (영어, 라틴어 / 해석)'''<br /><span style="font-size:85%; ">[[구리리|{{색|mediumorchid|⬥GURIRI}}]] {{색|#EC244C|⬥Lucy}}</span><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align=left><br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margin: auto;text-align: center; width:100%"
{{가사/시작
| style="border: 0px; border-bottom:1px dotted #ccc" | '''   <span style="font-size:110%; ">원문</span> (영어/라틴어)'''
|Per Ardua Ad Astra
|-
|
| style="border: 0px;" |
|역경을 헤치고 별을 향해
<span style="font-size:80%; ">'''Guriri''': {{색|mediumorchid|보라색}} / '''Lucy <sub>[라틴어]</sub>''': {{색|crimson|붉은색}}</span>
|#EC244C
<br/>
}}
<div style="max-height: 15em; height: 15em; overflow-y: scroll; vertical-align:top; padding:0px">
{{가사
{{색|crimson|Per Ardua Ad Astra<br/>
|Altiora Petamus
Altiora Petamus<br/>
|
Volente Deo, Lucete Stellae.<br/>}}
|더 높은 것을 찾게 하소서.
<br/>
|#EC244C
{{색|mediumorchid|I prayed that you might be saved<br/>
}}
and took every breath<br/>
{{가사
with me in the leafy shade.<br/>
|Volente Deo, Lucete Stellae.
I cried out in pain, "Please Save Us"<br/>
|
Si Nos Amas, Serva Nos. <sub>[라틴어]</sub><br/>
|신의 뜻대로, 별들이여 빛나라.
<br/>
|#EC244C
We'll get used to this<br/>
}}
hoax that our love made<br/>
{{가사/빈칸|2}}
when the moon comes out<br/>
{{가사
to watch the bright day light die.<br/>
|I prayed that you might be saved
<br/>
|
Hopefully you'll get used<br/>
|너를 살려달라고,
to my hugs and good-byes<br/>
|mediumorchid
when my love falls out of<br/>
}}
the sky as mournful rain.<br/>}}
{{가사
<br/>
|and took every breath  
{{색|crimson|Per Ardua Ad Astra<br/>
|
Bye bye, my doleful aria... <sub>[영어]</sub>}}
|나무 그늘 아래서 나와 함께
</div><br/>
|mediumorchid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auto;text-align: center; width:100%"
{{가사
| style="border: 0px; border-bottom:1px dotted #ccc" | '''   <span style="font-size:110%; ">해석</span>'''
|with me in the leafy shade.
|-
|
| style="border: 0px;" |
|살아 숨쉬게 해 달라고 기도했네.
<span style="font-size:80%; ">'''Guriri''': {{색|mediumorchid|보라색}} / '''Lucy <sub>[라틴어]</sub>''': {{색|crimson|붉은색}}</span>
|mediumorchid
<br/>
}}
<div style="max-height: 15em; height: 15em; overflow-y: scroll; vertical-align:top; padding:0px">
{{가사
{{|crimson|역경을 헤치고 별을 향해<br/>
|I cried out in pain, "Please Save Us"
더 높은 것을 찾게 하소서.<br/>
|
신의 뜻대로, 별들이여 빛나라.<br/>}}
|난 고통 속에 울부짖었네. "우리를 구해주소서"
<br/>
|mediumorchid
{{색|mediumorchid|너를 살려달라고,<br/>
}}
나무 그늘 아래서 나와 함께<br/>
{{가사
살아 숨쉬게 해 달라고 기도했네.<br/>
|Si Nos Amas, Serva Nos.
난 고통 속에 울부짖었네. "우리를 구해주소서"<br/>
|
우리를 사랑한다면, 우리를 구원해줘...<br/>
|우리를 사랑한다면, 우리를 구원해줘...
<br/>
|mediumorchid
찬란한 날, 빛의 숨이 사그러드는<br/>
}}
모습을 보기 위해 달이 떠오를 때,<br/>
{{가사/빈칸|2}}
그때 우리는 우리의 사랑이 만든<br/>
{{가사
이 거짓말에 익숙해지겠지.<br/>
|We'll get used to this hoax
<br/>
|
바라건대, 나의 사랑이 애절한<br/>
|찬란한 날, 빛의 숨이 사그러드는
비가 되어 하늘에서 떨어질 때<br/>
|mediumorchid
그 땐 당신이 나의 작별을 고하는<br/>
}}
포옹에 익숙해지길 바라.<br/>}}
{{가사
<br/>
|that our love made
{{색|crimson|역경을 헤치고 별을 향해<br/>
|
잘 가라, 나의 슬픈 아리아여...<br/>}}
|모습을 보기 위해 달이 떠오를 때,
</div>
|mediumorchid
|}
}}
{{가사
|when the moon comes out
|
|우리는 우리의 사랑이 만든
|mediumorchid
}}
{{가사
|to watch the bright day light die.
|
|이 거짓말에 익숙해지겠지.
|mediumorchid
}}
{{가사/빈칸|2}}
{{가사
|Hopefully you'll get used
|
|바라건대, 나의 사랑이 애절한
|mediumorchid
}}
{{가사
|to my hugs and good-byes
|
|비가 되어 하늘에서 떨어질 때
|mediumorchid
}}
{{가사
|when my love falls out of
|
|그 땐 당신이 나의 작별을 고하는
|mediumorchid
}}
{{가사
|the sky as mournful rain.
|
|포옹에 익숙해지길 바라.
|mediumorchid
}}
{{가사/빈칸|2}}
{{가사
|Per Ardua Ad Astra
|
|역경을 헤치고 별을 향해  
|#EC244C
}}
{{가사/
|Bye bye, my doleful aria...
|
|잘 가라, 나의 슬픈 아리아여...
|#EC244C
}}
</div></div>


=== DEEMO 시리즈 ===
=== [[DEEMO]] 시리즈 ===
==== DEEMO ====
==== [[DEEMO]] ====
{{DEEMO의 수록곡
{{DEEMO의 수록곡
|일러스트=Deemo_myosotis.png
|일러스트=Deemo_myosotis.png
148번째 줄: 77번째 줄:
|Normal노트수=1027
|Normal노트수=1027
|Hard노트수=1291
|Hard노트수=1291
|수록 콜렉션=Deemo's Collection Vol.2
|특이사항=최초 Hard 11레벨
|특이사항=최초 Hard 11레벨
|변경점=Normal 레벨 상향 <sub>(이전 레벨: 8)</sub>
|변경점=
}}
}}
{{DEEMO/Deemo's Collection Vol.2}}<br />
{{DEEMO/Deemo's Collection Vol.2}}<br/>
{{대사|별님들이 나타나 햇빛이 사라질 즈음<br />내 눈물은 폭우로 변한단다.|플레이/FC 시 SNS 연동멘트 대사 (~v2.0)}}
{{대사|별님들이 나타나 햇빛이 사라질 즈음<br/>내 눈물은 폭우로 변한단다.||플레이/FC 시 SNS 연동멘트 대사 (~v2.0)}}






'''모바일 리듬게임 [[DEEMO]]의 1회차 엔딩 해금곡.'''
'''모바일 리듬게임 [[DEEMO]]의 1회차 엔딩 해금곡.'''<br/><br/>
1.0 최종 해금곡 및 보스곡 포지션을 맡고 있었던 [[Magnolia]]의 후속곡이며, 이전 곡과 같이 Hard 레벨의 최고 레벨을 갱신하였다. 이후 이 곡의 후속곡인 [[Marigold]]가 '잊혀진 모래시계' DLC의 최종 해금곡으로 수록되었다.
{{-}}


===== Hard =====
{{youtube|WHucZHnAV7w|||center|'''AC 영상'''}}


1.0 최종 해금곡 및 보스곡 포지션을 맡고 있었던 [[Magnolia]]의 후속곡이며, 이후 이 곡의 후속곡인 [[Marigold]]가 '잊혀진 모래시계' DLC의 최종 해금곡으로 수록되었다. 3.3 업데이트 이전까지 유일한 Hard 11레벨이었으며, SNS 전용 멘트를 지닌 최후의 무료 수록곡이기도 하다.
{{-}}


----
초중반부는 초반의 트릴 + 동타 패턴을 제외하면 8레벨 수준으로 진행되나, 이 채보의 킬링패턴은 556 콤보 부근의 우블베이스 샘플링과 함께 시작된다. 경사가 급한 고밀도 슬라이드 패턴과 함께 연타가 섞인 단타 패턴이 빠르게 쏟아지며, 손을 급하게 움직여야 하는 구간이 많아 이 구간 하나만으로 FC 난이도가 기존 곡에 비해 훨씬 상승한다. 이 구간 이후 주의해야할 부분은 덥스텝 구간이 끝난 후 등장하는 왼손 8비트 단타 + 오른손 멜로디 구간.
{{탭
|제목1=Hard
|내용1={{youtube|WHucZHnAV7w|||center|'''AC 영상'''}}
초중반부는 초반의 트릴 + 동타 패턴을 제외하면 8레벨 수준으로 진행되나, 이 채보의 킬링패턴은 556 콤보 부근의 우블베이스 샘플링과 함께 시작된다. 경사가 급한 고밀도 슬라이드 패턴과 함께 연타가 섞인 단타 패턴이 빠르게 쏟아지며, 손을 급하게 움직여야 하는 구간이 많아 이 구간 하나만으로 FC 난이도가 기존 곡에 비해 훨씬 상승한다. 이 구간 이후 주의해야할 부분은 [[덥스텝]] 구간이 끝난 후 등장하는 왼손 8비트 단타 + 오른손 멜로디 구간.


수록 당시 [[ANiMA]]가 10레벨 극상위권으로 나오며 레벨 표기 논란이 있었으나, 이후 10레벨 상위권 곡의 난이도가 상향되면서 현재는 적정 난이도로 평가받는다.
수록 당시 [[ANiMA]]가 10레벨 극상위권으로 나오며 레벨 표기 논란이 있었으나, 이후 10레벨 상위권 곡의 난이도가 상향되면서 현재는 적정 난이도로 평가받는다.  
|제목2=Normal
|내용2={{youtube|6IRs4BJL7sI|||center|'''AC 영상'''}}
|제목3=Easy
|내용3={{youtube|HU5CtTsULfQ|||center|'''AC 영상'''}}
}}
 
==== DEEMO -Reborn- ====
{{DEEMO -Reborn-/Deemo's Collection Vol.2}}
----
{{탭
|제목1=Hard (TV 모드)
|내용1={{youtube|IY7aiCouQqw|||center|'''AC 영상'''}}
TV 모드 채보 중 유일한 11레벨 채보이다.
|제목2=Normal (TV 모드)
|내용2={{youtube|jRt3NdjZsq4|||center|'''99.95 FC 영상'''}}
|제목3=Easy (TV 모드)
|내용3={{youtube|BxgYcCsTsRA|||center|'''AC 영상'''}}
}}


==== [[DEEMO -Reborn-]] ====
===== Hard (TV 모드) =====
{{youtube|pUzEjsivEhk|||center|'''99.98 FC 영상'''}}
<br/>
현재까지 [[DEEMO -Reborn-]]의 수록곡 중 유일한 11레벨 채보이다.
=== [[Cytus]] ===
=== [[Cytus]] ===
{{Cytus의 수록곡
|일러스트=Cytus Magnolia.png
|곡제목=Myosotis
|아티스트=M2U & Nicode
|BPM=160
|EASY레벨=7
|HARD레벨=9
|EASY노트수=546
|HARD노트수=1172
|특이사항=
|변경점=
}}
{{Cytus/Chapter D}}
<br />
[[Magnolia]]의 히든곡. 일러스트에서 손 위의 꽃을 눌러 선택할 수 있다.
{{-}}
----
{{탭
|제목1=HARD
|내용1=
{{youtube|LUPyhkziwv0|||center|'''TP 100 영상'''}}
|제목2=EASY
|내용2=
{{youtube|HWi_SyiscHs|||center|'''MM 영상''', TP 99.07}}<br />
}}
=== DJMAX RESPECT & V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olspan="6" style="background:#fdd349; color:#333;" | Myosotis
|-
!style="background:#fdd349; color:#333;" |  || NORMAL || HARD || MAXIMUM || SC
|-
!style="background:#fdd349; color:#333;" | 4버튼
| 5 || 10 || 13 || -
|-
!style="background:#fdd349; color:#333;" | 5버튼
| 6 || 12 || - || 15
|-
!style="background:#fdd349; color:#333;" | 6버튼
| 5 || 10 || 13 || -
|-
!style="background:#fdd349; color:#333;" | 8버튼
| 7 || - || 14 || -
|}
DEEMO 곡이지만 Cytus 콜라보로 수록되었다. 콜라보 곡 중 유이하게 DEEMO, Cytus 1 두 곳에 수록된 곡이다.
{{탭
|제목1=8B MX
|내용1={{youtube|8-S94ZlUxqk|||center|'''MX 영상'''}}
|제목2=6B MX
|내용2={{youtube|LTePTWXqMr4|||center|'''MX 영상'''}}
|제목3=5B SC
|내용3={{youtube|tvpJFWmnaug|||center|'''MX 영상'''}}
|제목4=5B HD
|내용4={{youtube|DGfqwVKA7hg|||center|'''MX 영상'''}}
|제목5=4B MX
|내용5={{youtube|nV2_PmMDjWc|||center|'''MX 영상'''}}
}}
{{각주}}
{{각주}}
[[분류:DJMAX 시리즈의 수록곡]]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