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G-21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항공기 정보
{{무기 정보
|이름     = 미그 MiG-21
| 이름= 미그 MiG-21
|원어이름 =
| 그림=[[File:477f90ee76893ce7bfe6f9830ed3ccce3fc18f202a0f943ffee646760730b7b1e4ef82e9f4713246d705e35bcba901c48dfa40f5e7fbcd6e8d6bc9d2eb23442c010cc79c829d173acffe01843a9b97d0.jpg]]
|그림     = [[파일:477f90ee76893ce7bfe6f9830ed3ccce3fc18f202a0f943ffee646760730b7b1e4ef82e9f4713246d705e35bcba901c48dfa40f5e7fbcd6e8d6bc9d2eb23442c010cc79c829d173acffe01843a9b97d0.jpg]]
| 설명=북한 조선인민군 항공군의 미그-21
|그림설명 = 북한 조선인민군 항공군의 미그-21
| 국가= {{국기|소련}}
|종류     = 요격 전투기
| 종류= 요격 전투기
|제조    =  
<!-- 종류 -->
|설계    = 미코얀 구레비치 설계국
| 전투기= yes
|운영    = {{나라|소련}}
<!-- 역사 -->
|첫비행  =  
| 개발= 미코얀 구레비치 설계국
|생산연도 =  
| 개발년도= 1950~1956년
|사용연도 = 1959년~현재
| 생산=
|생산량  = 2만여대
| 생산년도=
|정원    = 1명(단좌), 2명(복좌)
| 가격=  
|엔진    = 투만스키 R-25-300 단발 터보팬 제트엔진
| 생산개수= 2만여대
|출력    =  
| 사용년도= 1959년~현재
|속도    = 마하2
| 실전= [[#실전]] 문단 참고
|무장     = 빔펠 K-13(아톨), 몰니야 R-60 등 (파일런 4개소)<br />23미리 GSh-23L 기관포(고정무장)
<!-- 일반 제원 -->
|길이    = 15.76m
| 제원_파생형=
|폭      = 7.15m
| 중량= 6.2톤(공허중량)
|높이    = 4.125m
| 길이= 15.76m
|비고    =  
| = 7.15m
| 높이= 4.125m
| 승무원= 1(단좌형)/2(복좌형)
<!-- 차량/함선/미사일/비행기 공통 제원 -->
| 무장= 빔펠 K-13(아톨), 몰니야 R-60 등 (파일런 4개소)
| 부무장= 23미리 GSh-23L 기관포(고정무장)
| 엔진= 투만스키 R-25-300 단발 터보팬 제트엔진
| 엔진출력=
| 속도      = 마하 2.2
| 항법_유도장치=
| 조향장치=
| 장갑=
| 적재용량=
| 연료적재량=
| 날개폭=
| 날개면적=
| 날개하중=
| 비행고도=
| 최대고도= 17,500m
| 상승속도=  
| 탐지장비=  
| 전자장비=
}}
}}


'''미그-21'''《'''МиГ-21'''》은 [[소련]]의 요격 전투기다.
'''미그-21'''《'''МИГ-21'''》은 [[소련]]의 요격 전투기다.


미코얀 구레비치 설계국에서 개발한 단발 초음속 요격기자 소련 최초의 마하 2급 전투기다. 초음속 전투기 중 가장 많은 수가 생산된 기종으로<ref>모든 전투기 중 최다 생산량을 기록한 기종은 독일 메서슈미트 사의 [[Bf109]]다.</ref> 냉전 기간 동안 동구권과 친소 국가에서 절찬리에 운용되어온 기종이다.  
미코얀 구레비치 설계국에서 개발한 단발 초음속 요격기자 소련 최초의 마하 2급 전투기다. 초음속 전투기 중 가장 많은 수가 생산된 기종으로<ref>모든 전투기 중 최다 생산량을 기록한 기종은 독일 메서슈미트 사의 [[Bf109]]다.</ref> 냉전 기간 동안 동구권과 친소 국가에서 절찬리에 운용되어온 기종이다.  
39번째 줄: 60번째 줄:
미그21이 개발된 가장 큰 이유는 미군의 신형 폭격기인 B-47이 배치되면서 기존의 제공전투기와 요격전투기로는 요격이 불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이전 폭격기인 B-29는 대전기 폭격기라 미그15로도 요격이 가능했고 6.25전쟁 당시 미군에게 상당한 폭격기 손실을 강요했었다. 그러나 전후 개발되는 폭격기들은 더 높은 고도와 빠른 속도를 가지게 되었고 무엇보다도 핵투발 수단이 당대에는 아직 대륙간 탄도탄이 한창 연구되던 시기라 폭격기가 주 핵투발 수단이였다. 따라서 이를 요격할 수단은 필수였고 소련은 신형 요격기를 개발해야만 했다. 이전 전투기인 미그17과 미그19는 대전기 전투기들과 같이 제공임무를 담당하는 제공기였다면 미그21은 제공기로서 뛰어난 격투전 능력보단 빨리 발진하여 폭격기가 있는 고도에 최대한 짧은 시간안에 도달해 폭격기들을 요격하고 이탈해 적 호위기를 따돌리는걸 상정하였고 뛰어난 상승력과 초음속 성능이 요구되었다. 소련의 유체역학 연구소는 이런 당국의 지시로 이상적인 설계안을 제시했고 각 항공 설계국들이 이를 받아 전투기를 제작하게 되었는데 미코얀.구레비치 설계국(이하 미그)의 신형 기체가 주력  요격기체로 선정되어 1957년부터 양산되기 시작한다.
미그21이 개발된 가장 큰 이유는 미군의 신형 폭격기인 B-47이 배치되면서 기존의 제공전투기와 요격전투기로는 요격이 불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이전 폭격기인 B-29는 대전기 폭격기라 미그15로도 요격이 가능했고 6.25전쟁 당시 미군에게 상당한 폭격기 손실을 강요했었다. 그러나 전후 개발되는 폭격기들은 더 높은 고도와 빠른 속도를 가지게 되었고 무엇보다도 핵투발 수단이 당대에는 아직 대륙간 탄도탄이 한창 연구되던 시기라 폭격기가 주 핵투발 수단이였다. 따라서 이를 요격할 수단은 필수였고 소련은 신형 요격기를 개발해야만 했다. 이전 전투기인 미그17과 미그19는 대전기 전투기들과 같이 제공임무를 담당하는 제공기였다면 미그21은 제공기로서 뛰어난 격투전 능력보단 빨리 발진하여 폭격기가 있는 고도에 최대한 짧은 시간안에 도달해 폭격기들을 요격하고 이탈해 적 호위기를 따돌리는걸 상정하였고 뛰어난 상승력과 초음속 성능이 요구되었다. 소련의 유체역학 연구소는 이런 당국의 지시로 이상적인 설계안을 제시했고 각 항공 설계국들이 이를 받아 전투기를 제작하게 되었는데 미코얀.구레비치 설계국(이하 미그)의 신형 기체가 주력  요격기체로 선정되어 1957년부터 양산되기 시작한다.
===배치와 실전===
===배치와 실전===
[[파일:Mig 21MF.jpg|썸네일|240픽셀|8대를 격추한 북베트남 공군 미그21]]
[[베트남 전쟁]]당시 미그21은 월맹(현 베트남)의 최신예 기종이었다. 1966년부터 소련에서 선박으로 운송된 미그21은 월맹 공군에 배치되면서 미군의 압도적인 제공권에 맞서게 되었고 북폭을 가하는 폭격 부대를 상대로 상당한 선전을 보여주었다.
[[베트남 전쟁]]당시 미그21은 월맹(현 베트남)의 최신예 기종이었다. 1966년부터 소련에서 선박으로 운송된 미그21은 월맹 공군에 배치되면서 미군의 압도적인 제공권에 맞서게 되었고 북폭을 가하는 폭격 부대를 상대로 상당한 선전을 보여주었다.


46번째 줄: 65번째 줄:
그러나 미그21은 위협만 했던 것은 아니었고 기회만 되면 지상 관제른 따라 미군 전폭기를 적극적으로 추적, 격추하였다.  
그러나 미그21은 위협만 했던 것은 아니었고 기회만 되면 지상 관제른 따라 미군 전폭기를 적극적으로 추적, 격추하였다.  
주 희생양은 북폭 임무에 활발했던 센츄리 시리즈 전폭기들(F-102,105 등)이었으며 [[F-4]]도 다수 격추하였다.
주 희생양은 북폭 임무에 활발했던 센츄리 시리즈 전폭기들(F-102,105 등)이었으며 [[F-4]]도 다수 격추하였다.
[[파일:VPAF MiG-21 landing with chute.jpg|썸네일|260픽셀|착륙하는 북베트남 공군 미그21]]


물론 요격 과정에서 호위기들과의 전투는 필연적으로 벌어지게 되어 있었고 미그21은 곧 미 해,공군의 F-4 팬텀 전투기들과 조우하게 된다.
물론 요격 과정에서 호위기들과의 전투는 필연적으로 벌어지게 되어 있었고 미그21은 곧 미 해,공군의 F-4 팬텀 전투기들과 조우하게 된다.
57번째 줄: 74번째 줄:
그러나 미그21도 치명적 타격을 입어 전력 자체가 마비되기도 했다. 1966년에 미 공군이 격추한 10여대의 미그기에는 미그21도 포함되어 있었고 1967년에도 이어진 볼로 작전에서 전폭기 편대로 위장한 팬텀 편대들이 폭격 방해를 하는 미그21 요격전에 나서 한번에 7대가 격추되는 피해로 한동안 전장에서 자취를 감추기까지 했다.
그러나 미그21도 치명적 타격을 입어 전력 자체가 마비되기도 했다. 1966년에 미 공군이 격추한 10여대의 미그기에는 미그21도 포함되어 있었고 1967년에도 이어진 볼로 작전에서 전폭기 편대로 위장한 팬텀 편대들이 폭격 방해를 하는 미그21 요격전에 나서 한번에 7대가 격추되는 피해로 한동안 전장에서 자취를 감추기까지 했다.
이처럼 전폭기들도 당하고만 있던 것은 아니라서 자신들의 기관포를 이용해 미그21을 잡기도 했었고 폭격기인 B-52의 방어기총에 격추된 미그21도 있었다.
이처럼 전폭기들도 당하고만 있던 것은 아니라서 자신들의 기관포를 이용해 미그21을 잡기도 했었고 폭격기인 B-52의 방어기총에 격추된 미그21도 있었다.
 
아무튼 전쟁 기간동안 미그21은 팬텀과 3:1의 교환비를 내며 열세이긴 했지만 선전하였고 월맹 공군은 13명의 에이스를 미그21로 배출하였다. 그 중 무덤 대령으로 와전된 인물 중 하나인 응우옌 반꼭은 9대를 격추하며 대표적인 미그21 에이스로 알려져 있다.
아무튼 전쟁 기간동안 미그21은 팬텀과 3:1의 교환비를 내며 열세이긴 했지만 선전하였고 월맹 공군은 13명의 에이스를 미그21로 배출하였다. 그 중 무덤 대령으로 와전된 인물 중 하나인 응우옌 반꼭은 9대를 격추하며 대표적인 미그21 에이스로 알려져 있다.


한편 북한에서는 조선인민군 공군의 미그21이 미군 정찰기를 격추시킨 초유의 일도 발생하였다.
한편 북한에서는 조선인민군 공군의 미그21이 미군 정찰기를 격추시킨 초유의 일도 발생하였다.
당시 동해상에서 소련과 중국, 북한의 전자정보를 수집하던 EC-121 정찰기는 우수한 전자장비로 육지의 동태를 살피다 비행체가 발견되면 빠르게 이탈하곤 했는데, 이에 격추 계획을 세운 북한은 방면인 어랑비행장에 배치된 구형 미그15로는 고고도를 비행하는 정찰기를 잡기엔 무리라 판단했고 평양 순천비행장에서 두대의 미그21을 차출한다.
당시 동해상에서 소련과 중국, 북한의 전자정보를 수집하던 EC-121 정찰기는 우수한 전자장비로 육지의 동태를 살피다 비행체가 발견되면 빠르게 이탈하곤 했는데, 이에 격추 계획을 세운 북한은 방면인 어랑비행장에 배치된 구형 미그15로는 고고도를 비행하는 정찰기를 잡기엔 무리라 판단했고 평양 순천비행장에서 두대의 미그21을 차출한다.
[[파일:EC-121 PR-21 USN.jpg|썸네일|240픽셀|해당 EC-121 기체]]


차출된 미그21은 노출 위험이 큰 직접 비행 대신 분해하여 야간열차편으로 원산까지 보내졌고 미군의 정찰위성을 피해 가설된 천막 안에서 다시 재조립되었다.
차출된 미그21은 노출 위험이 큰 직접 비행 대신 분해하여 야간열차편으로 원산까지 보내졌고 미군의 정찰위성을 피해 가설된 천막 안에서 다시 재조립되었다.
71번째 줄: 86번째 줄:
1970년대는 미그21의 성능을 유감없이 발휘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이자 2차 인도-파키스탄 분쟁에서 인도 공군은 미그21을 운용하여 파키스탄 공군이 보유한 F-86세이버를 상대로 제공권을 장악해 파키스탄 지상군의 활동을 크게 위축시켰다.
1970년대는 미그21의 성능을 유감없이 발휘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이자 2차 인도-파키스탄 분쟁에서 인도 공군은 미그21을 운용하여 파키스탄 공군이 보유한 F-86세이버를 상대로 제공권을 장악해 파키스탄 지상군의 활동을 크게 위축시켰다.
F-86에 비해 1세대 이상 발전한 미그21은 성능면에서 세이버를 압도했으며 미그21 파괴 기록은 소련에서 막 인도되어 격납고를 나오는 기체를 F-86이 기총소사로 파괴한 것 외엔 알려지지 않았다.
F-86에 비해 1세대 이상 발전한 미그21은 성능면에서 세이버를 압도했으며 미그21 파괴 기록은 소련에서 막 인도되어 격납고를 나오는 기체를 F-86이 기총소사로 파괴한 것 외엔 알려지지 않았다.
[[파일:MirageIIIShotDownByMiG-21.jpg|썸네일|180픽셀|미그21에게 격추된 미라지3]]


1973년의 제3차 중동전쟁(6일 전쟁)에서는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으로 인해 이집트, 시리아 공군이 보유한 상당수의 미그21이 지상에서 파괴되었다.
1973년의 제3차 중동전쟁(6일 전쟁)에서는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으로 인해 이집트, 시리아 공군이 보유한 상당수의 미그21이 지상에서 파괴되었다.
84번째 줄: 97번째 줄:


그나마 1980년의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라크 미그21이 당대 최강이라는 F-14를 격추하는 기록을 남겼지만 반대로 20기가 F-14를 비롯한 이란 공군기들에 의해 손실되었다.
그나마 1980년의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라크 미그21이 당대 최강이라는 F-14를 격추하는 기록을 남겼지만 반대로 20기가 F-14를 비롯한 이란 공군기들에 의해 손실되었다.
[[파일:Croatian MiG-21 (cropped).jpg|썸네일|240픽셀|크로아티아 공군 미그21]]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미그21을 구 연방 구성국(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들을 공습하는 데 투입했다.
공군을 보유하지 못했던 이들 군대는 공습에 무력했으나 곧 인민군 내 크로아티아 출신 조종사들이 몰고 투항한 3대의 미그21을 확보하였고 이후로도 해외에서 도입 시도를 통해 약 40대의 미그21을 배치하였다.
크로아티아군의 미그21은 세르비아-스릅스카 공화국<ref>유고 연방의 후신인 세르비아의 괴뢰국.</ref>군의 J-22를 격추시키기도 했으며 반대로 유고슬라비아 공군 미그21이 유럽 공동체 감시위원단이 탄 헬기를 R-60 미사일로 격추시키며 전쟁 범죄와 관련있기도 하다.
[[파일:Sheeju mig21.JPG|썸네일|240픽셀|인도 공군 미그21bis]]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에서 인도군 미그21bis가 전날 공습에 대한 보복 폭격을 가하고자 영공을 침입한 파키스탄군 전투기를 요격하기 위해 출격했지만 공중전 끝에 두 대가 격추되었다.
미그21bis는 F-16이 쏜 암람에 맞아 격추되었으며 일각에선 파키스탄의 대외 발표에 따라 JF-17의 전과로 보는 경우가 있지만 사실상 F-16에 의해 격추되었음이 기정사실화 되었다.
===사건,사고===
===사건,사고===
1983년 8월 7일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미그21이 대련에서 서해를 횡단해 우리나라로 망명하는 사건이 있었다.
1983년 8월 7일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미그21이 대련에서 서해를 횡단해 우리나라로 망명하는 사건이 있었다.
==성능==
==성능==
[[파일:Mikoyan MiG-21 Fishbed Schematics.png|150픽셀|center]]
미그21은 우수한 초음속 비행 성능을 발휘했던 기종이다. 57도의 [[삼각익|삼각날개]]와 기수의 쇼크콘, 그리고 동그랗고 길쭉한, 일명 파이프에 가까운 형상처럼 고속 비행에 적합한 소형의 기체는 고출력 엔진과 결합하여 [[F-104 스타파이터|유인 미사일]](?)같은 마하2급의 초음속 성능을 비롯해 뛰어난 상승, 가속력을 보여주었다.
미그21은 우수한 초음속 비행 성능을 발휘했던 기종이다. 57도의 [[삼각익|삼각날개]]와 기수의 쇼크콘, 그리고 동그랗고 길쭉한, 일명 파이프에 가까운 형상처럼 고속 비행에 적합한 소형의 기체는 고출력 엔진과 결합하여 [[F-104 스타파이터|유인 미사일]](?)같은 마하2급의 초음속 성능을 비롯해 뛰어난 상승, 가속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냉전 시기 소련의 전투기 개발 이념이였던 요격 전투기적 특징을 위한 것으로 실전에서도 내침하는 적 항공기를 향해 고속으로 접근하여 습격, 격추 후 이탈하는 일격이탈 방식으로 많은 전과를 올렸다.  
이는 냉전 시기 소련의 전투기 개발 이념이였던 요격 전투기적 특징을 위한 것으로 실전에서도 내침하는 적 항공기를 향해 고속으로 접근하여 습격, 격추 후 이탈하는 일격이탈 방식으로 많은 전과를 올렸다.  


다만 그렇게 속도에 치중한 결과, 인식과는 달리 그렇게 뛰어난 기동성을 자랑하던 기종은 아니었다. 빠르게 치고 올라가야 하는  미그21의 비행 특성은 전투기와의 격투전과는 거리가 있었고 오히려 이전 세대의 미그기들(미그17,19)보다도 기동성 면에선 떨어지는 편이었으나 대신 가벼운 기체와 R-11 계열의 고출력 엔진이 뿜어내는 강한 추력으로 높은 추중비라는 이점을 얻은 미그21은 우수한 운동성을 발휘할수 있었고 덕택에 격투전에서도 어느 정도 강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다만 그렇게 속도에 치중한 결과, 인식과는 달리 그렇게 뛰어난 기동성을 자랑하던 기종은 아니었다. 빠르게 치고 올라가야 하는  미그21의 비행 특성은 전투기와의 격투전과는 거리가 있었고 오히려 이전 세대의 미그기들(미그17,19)보다도 기동성 면에선 떨어지는 편이었으나 대신 가벼운 기체와 R-11 계열의 고출력 엔진이 뿜어내는 강한 추력으로 높은 추중비라는 이점을 얻은 미그21은 우수한 운동성을 발휘할수 있었고 덕택에 격투전에서도 어느정도 강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런 컨셉은 적 전투기와의 공중전보단 고고도의 폭격기를 구축하는 요격기의 임무에 충실했던 모습으로 무장에도 반영되어 동구권 기종 중 처음으로 미사일만을 주력 무장으로 사용한 기종이기도 했으며  4발의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빔펠 K-13/후기형: 몰니야 R-60 추가)로 폭격기를 구축하는 컨셉에 집중한 결과였다.
이런 컨셉은 적 전투기와의 공중전보단 고고도의 폭격기를 구축하는 요격기의 임무에 충실했던 모습으로 무장에도 반영되어 동구권 기종 중 처음으로 미사일만을 주력 무장으로 사용한 기종이기도 했으며  4발의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빔펠 K-13/후기형: 몰니야 R-60 추가)로 폭격기를 구축하는 컨셉에 집중한 결과였다.
145번째 줄: 145번째 줄:
*'''MiG-21-2000''': 이스라엘 IAI에서 수출용으로 제시한 현대화 미그21.  
*'''MiG-21-2000''': 이스라엘 IAI에서 수출용으로 제시한 현대화 미그21.  
*'''L-17D''': 크로아티아 사항.
*'''L-17D''': 크로아티아 사항.
*'''J-7''': 중국에서 미그21을 생산하려 했으나 소련의 지원 단절로 중국 자체적으로 개발한 파생형이다. 외형은 원형과 유사하나 개량형의 경우 이중 델타익으로 외형적 차이가 있으며 파키스탄 등 친중 국가들에 팔리거나 공여되어 운용되고 있다.
*'''J-7''': 중국에서 복제한 미그21이며 파키스탄 등 친중 국가들에 팔렸다.
==사용 국가==
==사용 국가==
===과거 운용국===
===과거 운용국===
{{나라|소련}}
{{국기|소련}}


{{나라|중국}}
{{국기|중국}}


{{나라|체코}}
{{국기|체코}}


{{나라|핀란드}}
{{국기|핀란드}}


{{나라|세르비아}}
{{국기|세르비아}}


{{나라|폴란드}}
{{국기|폴란드}}
===현 운용국===
===현 운용국===
{{나라|인도}}
{{국기|인도}}


{{나라|파키스탄}}
{{국기|파키스탄}}


{{나라|이란}}
{{국기|이란}}


{{나라|북한}}
{{국기|북한}}


:[[북한]]에서도 주력 전투기의 위치에 있으며, 소련 도입기와 중국에서 제작된 파생형인 J-7을 운용중에 있지만 낡고 유지보수도 낙후된 상태다.
[[북한]]에서도 주력 전투기의 위치에 있으며, 소련 도입기와 중국에서 제작된 J-7을 운용중에 있지만
낡고 성능도 낙후된 상태다.


{{각주}}
{{각주}}
[[분류:전투기]]
[[분류:전투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