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4 저격소총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무기 정보
K14 저격소총은 볼트 액션식 7.62 x 51mm NATO 소총으로 대한민국 국군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저격소총을 공급하고자 개발되었다.
|무기이름 = K14 저격소총
|원어이름 =
|그림    = [[파일:S&T Motiv K14.JPG|border|260px]]
|그림설명 = IDEX 2015에 전시된 K14 저격소총
|종류    = [[저격소총]]
|제조    = [[S&T 모티브]]
|설계    = [[S&T 모티브]]
|운용    = [[대한민국]]
|생산연도 = [[2012년]]~현재
|사용연도 = [[2012년]]~현재
|생산량  =
|유효거리 = 800m
|최대거리 =
|탄약    = [[7.62x51mm NATO]]
|발사속도 =
|포구속도 =
|총기장전 = [[볼트 액션]]
|길이    = 1,150 mm
|총포신  = 610 mm
|폭      =
|높이    =
|무게    = 5.5 kg
|비고    =
}}
 
'''K14 저격소총'''(S&T Motiv K14)은 [[볼트 액션]]방식 [[저격소총]]으로 [[대한민국 국군]]의 특수부대 등에 외국산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준수한 성능의 저격소총을 공급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개발==
{{youtube|gPYHF2N-hME|||가운데|K14를 사용하는 제3기갑여단 저격반}}
1980년대 전후로 국군은 국산화에 성공한 제식화기인 [[K1A 기관단총]] 및 [[K2 소총]]를 보급한 반면 유독 저격소총 분야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여 주 소요처인 특수부대 등지에서는 고가의 외국산 저격소총을 구매하여 사용해왔다.
 
K14 저격소총은 이러한 외화낭비를 줄이고, 보급과 정비에 용이한 국산 저격소총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개발사가 자체적으로 [[2007년]]부터 예비타당성 등 선행조사를 착수하면서 내부적으로 윤곽을 잡아가다가 [[2011년]] [[3월]]부로 본격적인 설계에 착수하여 시제 모델인 XK14를 거쳐 2년만인 [[2013년]] [[12월 24일]]에 초도 양산물량을 [[육군특수전사령부]] 및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 납품하면서 본격적인 제식화기로서 보급이 시작되었다. 개발 초기에는 해병대에서 사용중 연식이 오래되어 도태되던 시그 자우어(SIG Sauer) 사의 [[SSG3000]] 볼트액션 저격소총을 분해하면서 어느 정도 역설계를 통해 볼트액션 저격소총의 구조를 파악하고 K14 개발에 참고하였다.
 
==특징==
미군이 사용하는 볼트액션 저격소총인 [[M24 SWS]], [[M40]]과 작동기능이 유사한 [[볼트 액션]]을 채용하였고, 국산 제식화기 최초로 RAS 레일 시스템을 총열덮개를 비롯한 총몸에 전반적으로 적용하여 광학장비나 악세사리 부착에 용이한 외형을 갖추고 있다. K14 본체와 망원조준경, 야간조준경 등을 포함한 패키지 형태로 보급하며, K14 1정 패키지의 가격은 약 1,300만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K14의 명중률은 제작사의 발표에 따르면 스펙상 명시된 유효사거리 800m 거리에서 1[[MOA]] 수준으로 탄착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사수의 숙련도에 따라서는 1 km 거리에서도 동일한 수준의 탄착군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저격소총으로서 기본기는 갖춰진 물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프리플로팅 방식의 총열을 적용하였고, 보급 초기에는 높은 명중률을 위하여 [[.308 윈체스터]] 규격의 전용탄을 해외에서 수입하여 보급했으나, 이후 국내 방산업체인 [[풍산]]에 의해 국산화되어 보급문제를 해소하였다.
 
망원조준경으로는 초도 보급 물품으로 독일 [[Schmidt & Bender]] 사의 3~12배율 조준경을 패키지에 포함시켜 보급하였고, 이후 외국산 제품의 공통적인 문제점인 수리 및 부속품 보급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국내 업체인 포커스 옵텍 사가 동일한 규격의 망원조준경을 생산<ref>http://www.focusoptech.com/ko/sub02/list.php?ca_id=1010</ref>하여 대체하고 있다. <ref>[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181204/10/BBSMSTR_000000100007/view.do K14 저격소총], 국방일보, [[2018년]] [[12월 14일]]</ref>
 
==사용==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특전여단 및 육,해,공군 [[군사경찰]] 특임대,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등 저격소총 소요가 발생하는 부대에 폭넓게 보급되었다. [[제707특수임무단]]이나 [[해군특수전전단]]의 특임대 등 대테러 부대에서는 임무 성격상 다양한 저격소총이 필요하기 때문에 K14 외에도 [[M82]], [[AWM]], [[H&K HK417|G28]] 등 외국산 모델도 소량 구매하여 사용중이다.
 
==운용 국가==
* {{나라|대한민국}}: 제식저격소총
* {{나라|이라크}}: 특수부대에서 소량 도입.
* {{나라|요르단}}
 
{{각주}}
{{대한민국 육군 장비}}
[[분류:저격소총]]
[[분류:대한민국 국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