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akuta Doll Play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9번째 줄: 39번째 줄:
{{-}}
{{-}}
== maimai 시리즈 ==
== maimai 시리즈 ==
{{maimai 시리즈의 수록곡
{{maimai 시리즈의 수록곡
| 자켓               = garakuta doll play.png
|자켓= garakuta doll play.png
| 타이틀            = Garakuta Doll Play
|제목= Garakuta Doll Play
| 아티스트           = t+pazolite
|아티스트= t+pazolite
| 카테고리           = maimai
|카테고리= maimai
| BPM               = 256
|BPM= 256
| 수록일             = [[2013년]] [[10월 24일]]
|수록일= 2013-10-24
| 스탠다드 패턴 정보 =  
|수록기종= GreeN
| 디럭스 패턴 정보  =
|Basic레벨= 6
  {{새 maimai 시리즈의 수록곡/스탠다드 패턴
|Advanced레벨= 8
  | Basic레벨   = 6
|Expert레벨= 12
  | Advanced레벨 = 9
|Master레벨= 14
  | Expert레벨   = 13
|Remaster레벨= 14+
  | Master레벨   = 14
|Basic노트= 246
  | Remaster레벨 = 14+
|Advanced노트= 392
  | Basic보면정수    = 6.0
|Expert노트= 740
  | Advanced보면정수 = 9.0
|Master노트= 877
  | Expert보면정수  = 13.1
|Remaster노트= 1010
  | Master보면정수  = 14.2
|변경점=  
  | Remaster보면정수 = 14.8
|레벨변경=
  | Basic노트   = 246
|B변경= 5<sub>(GreeN-GreeN+)</sub>
  | Advanced노트 = 392
|A변경=  
  | Expert노트   = 740
|E변경= 11<sub>(GreeN)</sub>→10<sub>(GreeN+-ORANGE)</sub>→11<sub>(ORANGE +)</sub>→10<sub>(PiNK-MURASAKi)</sub>→11<sub>(MURASAKi+-DX)</sub>
  | Master노트   = 877
|M변경= 12<sub>(GreeN+-PiNK+)</sub>→12+<sub>(MURASAKi+-MiLK)</sub>→13<sub>(MiLK+-DX)</sub>
  | Remaster노트 = 1010
|R변경= 13<sub>(MiLK+-FiNALE)</sub>→13+<sub>(DX)</sub>
  }}
| 삭제 패턴 정보 =  
  {{새 maimai 시리즈의 수록곡/삭제 패턴
  | Easy레벨  = 4
  | Easy노트  = 165
  | 연회장레벨 = {{일본어=|宴}}1
  | 연회장노트 = 877
  | 연회장레벨2 = {{일본어=|宴}}2
  | 연회장노트2 = 933
  | 연회장레벨3 = {{일본어=|宴}}3
  | 연회장노트3 = 999
  | 연회장레벨4 = {{일본어=|宴}}4
  | 연회장노트4 = 1070
  | 연회장레벨5 = {{일본어=|宴}}5
  | 연회장노트5 = 1204
  }}
}}
}}
[[System "Z"]]와 함께 GreeN에 수록된 보스곡. 자켓은 BGA에서 따왔다.<br />
[[System "Z"]]와 함께 GreeN에 수록된 보스곡. 자켓은 BGA에서 따왔다.<br />
첫 수록 당시 maimile 구매곡이었으나 2014년 9월 18일(ORANGE)에서 통상으로 해금되었다. 같은 해에 있던 제1회 [http://www1.otogesai.jp/ 천하제일리겜축제] 의 예선 과제곡으로 선정되어 다양한 기기에 이식되었다.
첫 수록 당시 maimile 구매곡이었으나 2014년 9월 18일(ORANGE)에서 통상으로 해금되었다. 같은 해에 있던 제1회 [http://www1.otogesai.jp/ 천하제일리겜축제]의 예선 과제곡으로 선정되어 다양한 기기에 이식되었다.
{{탭
{{탭
|제목1=Re:MASTER
|제목1=Re:MASTER
94번째 줄: 76번째 줄:
|제목3=EXPERT
|제목3=EXPERT
|내용3=
|내용3=
{{youtube|Ugh9HmxmpWE|||center|'''AP 영상'''}}
{{youtube|Ugh9HmxmpWE|||center|'''AP 캡처 영상'''}}
|제목4=ADVANCED
|제목4=ADVANCED
|내용4=
|내용4=
116번째 줄: 98번째 줄:
|제목5=No.5
|제목5=No.5
|내용5=
|내용5=
{{youtube|g79LL_uPMf0|||center|'''AP 영상'''}}
{{youtube|g79LL_uPMf0|||center|'''AP 캡처 영상'''}}
}}
}}
{{숨김 끝}}
{{숨김 끝}}
== [[GROOVE COASTER 시리즈]] ==
== [[GROOVE COASTER 시리즈]] ==
{{그루브 코스터의 수록곡/아케이드
{{그루브 코스터의 수록곡/아케이드
245번째 줄: 226번째 줄:
|제목2=EXPERT
|제목2=EXPERT
|내용2=
|내용2=
{{youtube|_Gs7axPUDLs|||center|'''ALL JUSTICE 영상'''}}
{{youtube|_Gs7axPUDLs|||center|'''ALL JUSTICE 캡처 영상'''}}
}}
}}
{{-}}
{{-}}
283번째 줄: 264번째 줄:
2018년 6월 15일 세가와의 컬래버레이션으로 추가.
2018년 6월 15일 세가와의 컬래버레이션으로 추가.
== Arcaea ==
== Arcaea ==
{{Arcaea/곡 정보
{{Arcaea 곡 정보
|이미지=garakuta doll play.png
|이미지=garakuta doll play.png
|배경 테마=Conflict
|테마(빛/대립)=대립
|작곡=t+pazolite
|작곡=t+pazolite
|BPM =256
|BPM =256
298번째 줄: 279번째 줄:
|FTR 노트 수=1035
|FTR 노트 수=1035
|배경=Garakuta Doll Play
|배경=Garakuta Doll Play
|버전 = 2.1.0
|추가날짜 = 2019-05-23
|일러스트레이션 = -
|PST 노트 디자인 = Arcaea Charting Team【Royal Flush】
|PRS 노트 디자인 = Arcaea Charting Team【Royal Flush】
|FTR 노트 디자인 = Arcaea Charting Team{{일본어=|からの挑戦状}}
}}
}}
{{Arcaea/CHUNITHM}}
{{Arcaea/CHUNITHM}}
315번째 줄: 290번째 줄:
|내용1=
|내용1=
{{youtube|zVcQtC5PXn4|||center|'''이론치 영상'''}}
{{youtube|zVcQtC5PXn4|||center|'''이론치 영상'''}}
전체적으로 8비트 연타 위주의 무난한 10레벨 패턴이나, 최후반부의 가독성이 낮은 동타-단타 혼합 패턴의 난이도가 상당하다. 중반부 플로어+스카이 8비트 패턴은 개인차가 갈린다. 높은 BPM 요소 또한 개인차를 유발하는 요소 중 하나.
전체적으로 8비트 연타 위주의 무난한 10레벨 패턴이나, 최후반부의 가독성이 낮은 동타-단타 혼합 패턴의 난이도가 상당하다.


}}
}}
349번째 줄: 324번째 줄:
}}
}}
{{-}}
{{-}}
== DJMAX RESPECT & V ==
== [[DJMAX RESPEC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olspan="5" style="background:#fdd349; color:#333;" | Garakuta Doll Play
!colspan="5" style="background:#fdd349; color:#333;" | Garakuta Doll Play
388번째 줄: 363번째 줄:


[[분류: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태고의 달인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태고의 달인]]
[[분류:하드코어 테크노]]
[[분류:하드코어 테크노]]
[[분류:DJMAX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DJMAX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유비트 시리즈의 수록곡]]
[[분류:유비트 시리즈의 수록곡]]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