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kewalk by BandLab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소프트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이름     = Cakewalk by BandLab<ref>인수 이전에는 케이크워크 소나(Cakewalk SONAR)</ref>
| 이름                 = 케이크워크 소나<br />''Cakewalk SONAR''
|원어이름 =
| 로고                 =  
|배경색  =
| 화면                 =  
|글자색  =
| 설명                =  
|로고     =  
| 원작자               =  
|화면     =  
| 개발자              = 케이크워크
|화면설명 =  
| 발표일              =  
|원작자   =  
| 최신 버전            = SONAR 플래티넘
|개발    = 케이크워크
| 최신 버전 출시일    = <br />{{날짜/출력|2015-1-13}}
|종류    = [[DAW]]
| 미리보기 버전        =  
|출시    =  
| 미리보기 버전 출시일 =  
|최신버전 = 2021.01
| 상태                 =  
|최신출시 =
| 프로그래밍 언어     = [[C++]]
|미리보기 =  
| 운영체제             = [[윈도우]]
|미리출시 =  
| 엔진                =
|상태     =  
| 플랫폼               =
|언어     = 다국어
| 크기                =  
|운영체제 = [[윈도우]]
| 언어                = 다국어
|플랫폼   =  
| 종류                = [[DAW]]
|엔진    =  
| 라이선스             = 사유 소프트웨어
|작성언어 = [[C++]]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http://www.cakewalk.com/products/sonar/}}
|라이선스 = 무료 배포<ref>BandLab 인수 이후 무료화</ref>
| 표준                =  
|이전    =
|이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https://www.bandlab.com/products/cakewalk}}
|비고    =  
}}
}}
'''Cakewalk by BandLab'''은 [[싱가포르]] BandLab Technology 사의 무료 [[DAW]] 소프트웨어이다. [[1987년]] 깁슨의 자회사인 Cakewalk 사에서 Cakewalk SONAR라는 이름으로 개발하여, 이후 BandLab에 인수되었다.


== 개요 ==
== 개요 ==
SONAR는 MS-DOS 시절 미디 시퀀서 Cakewalk에서 출발했다. 이후 Windows로 플랫폼을 옮기고 디지털 오디오 편집 기능을 추가해 오늘날의 SONAR가 되었다. SONAR X3까지는 온/오프라인에서 패키지 형식으로만 판매하다가 깁슨에 인수된 이후 패키지로 한 번에 구매하거나 어도비 CC처럼 패키지 방식이 아닌 매달 결제하는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한번 구입하면 마이너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추가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 된다. 세 가지 버전으로 판매가 되는데, PLATINUM - PRODUCER -ARTIST 버전이다. PLATINUM 버전의 경우 자잘한 업데이트가 누적되다 보니 초기 버전보다 많이 좋아졌다.
SONAR는 악기 회사인 깁슨의 자회사 Cakewalk 사에서 개발한 DAW 소프트웨어이다.


SONAR는 MS-DOS 시절 미디 시퀀서 Cakewalk에서 출발했다. 이후 Windows로 플랫폼을 옮기고 디지털 오디오 편집 기능을 추가해 오늘날의 SONAR가 되었다. SONAR X3까지는 온/오프라인에서 패키지 형식으로만 판매하다가 깁슨에 인수된 이후 패키지로 한 번에 구매하거나 어도비 CC처럼 패키지 방식이 아닌 매달 결제하는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한번 구입하면 마이너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추가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 된다. 세 가지 버전으로 판매가 되는데, PLATINUM - PRODUCER -ARTIST 버전이다. PLATINUM 버전의 경우 자잘한 업데이트가 누적되다 보니 초기 버전보다 많이 좋아졌다.
소나의 구입방식은 오프라인 패키지, Cakewalk사에서 직접운영하는 쇼핑몰에서 구입 후 다운로드, [[스팀 (플랫폼)|스팀]]에서 구입할 수 있다. 스팀에서 가장 빈번하게 할인이 이루어지며 타이밍만 잘 맞추면 77만원짜리 PLATINUM버전을 75%할인 가격에 구입할 수도 있다. 포함된 플러그인 값도 안나올정도.
소나의 구입방식은 오프라인 패키지, Cakewalk사에서 직접운영하는 쇼핑몰에서 구입 후 다운로드, [[스팀 (플랫폼)|스팀]]에서 구입할 수 있다. 스팀에서 가장 빈번하게 할인이 이루어지며 타이밍만 잘 맞추면 77만원짜리 PLATINUM버전을 75%할인 가격에 구입할 수도 있다. 포함된 플러그인 값도 안나올정도.


39번째 줄: 34번째 줄:


* 64 bit double precision 오디오 엔진 : 모든 버전에서 지원한다. 믹스 버스와 이펙터가 많아질수록 진가를 발휘한다.
* 64 bit double precision 오디오 엔진 : 모든 버전에서 지원한다. 믹스 버스와 이펙터가 많아질수록 진가를 발휘한다.
* 미묘한 기본 트랙 프리셋 : 기본 제공되는 트랙 프리셋이 경쟁사의 DAW보다 적다. 물론 자신이 직접 만들 수 있으나 다른 상업용 DAW와 비교하면 아쉽다. 새로 만들기는 쉬운 편이고, 마이너 업데이트가 진행되면서 이것저것 추가된 게 많아서 큰 문제는 아니다. 특출할 만한 기능은 가상 악기 플러그인의 주요 파라미터를 놉으로 만들어서 미리 지정한 입력장치와 연동시킨 후 트랙 프리셋으로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한번 만들어 놓으면 오토메이션이나 미디데이터의 제어에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나 XBOX 컨트롤러를 미디 입력 장치로 사용 할 수 있어서 트리거나 좌/우 스틱을 잘 사용하면 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 미묘한 기본 트랙 프리셋 : 기본 제공되는 트랙 프리셋이 경쟁사의 DAW보다 적다. 물론 자신이 직접 만들 수 있으나 다른 상업용 DAW와 비교하면 아쉽다. 새로 만들기는 쉬운 편이고, 마이너 업데이트가 진행되면서 이것저것 추가된 게 많아서 큰 문제는 아니다. 특출할 만한 기능은 가상 악기 플러그인의 주요 파라미터를 놉으로 만들어서 미리 지정한 입력장치와 연동시킨 후 트랙 프리셋으로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한번 만들어 놓으면 오토메이션이나 미디데이터의 제어에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나 XBOX 컨트롤러를 미디 입력 장치로 사용 할 수 있어서 트리거나 좌/우 스틱을 잘 사용하면 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 기본 플러그 인과 소프트웨어 : PLATINUM 버전은 쓸만한 가상악기와 믹싱/마스터링 [[VST]]가 다수 포함되어있으나, ARTIST 버전과 PRODUCER 버전은 조금 미묘한 편이다. 다른 [[DAW]]소프트웨어와 달리 포함된 플러그인이 자사의 플러그인 뿐만 아니라. 상용 프로그램이 꽤나 번들로 들어가있다. 이전 모기업이었던 Roland사의 플러그인과, Nomad Factory사의 blue tube 플러그인. Overloud사의 기타앰프와 컨벌루션 리버브,  Xlnaudio사의 Addictive drums 2, AAS사의 피지컬 모델링 악기들, 4front사의  피지컬 모델링 피아노등등이 풀버전/라이트버전으로 포함되어있어서 할인만 잘 받으면 돈 값은 한다.
* 기본 플러그 인과 소프트웨어 : PLATINUM 버전은 쓸만한 가상악기와 믹싱/마스터링 [[VST]]가 다수 포함되어있으나, ARTIST 버전과 PRODUCER 버전은 조금 미묘한 편이다. 다른 [[DAW]]소프트웨어와 달리 포함된 플러그인이 자사의 플러그인 뿐만 아니라. 상용 프로그램이 꽤나 번들로 들어가있다. 이전 모기업이었던 Roland사의 플러그인과, Nomad Factory사의 blue tube 플러그인. Overloud사의 기타앰프와 컨벌루션 리버브,  Xlnaudio사의 Addictive drums 2, AAS사의 피지컬 모델링 악기들, 4front사의  피지컬 모델링 피아노등등이 풀버전/라이트버전으로 포함되어있어서 할인만 잘 받으면 돈 값은 한다.
* 강력한 내장 사운드의 지원 : 그 어떤 경쟁[[DAW]]보다 안정적이고 낮은 레이턴시로 WASAPI를 지원한다. Asio4all을 통하지 않고도 10ms 미만으로 레이턴시를 줄일 수 있다. 출력품질도 매우 훌륭하다. 2016년 11월 부터 WASAPI 공유모드를 정식으로 지원한다. 현재 유일하게 WASAPI공유모드를 지원하는 DAW이다.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로도 3ms~10ms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 강력하고 충실한 미디 편집 : 이벤트 편집을 통한 에디팅부터 [[FL 스튜디오]] 같은 스탭 시퀀서를 이용한 루프 패턴 만들기까지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서 작업이 가능하다.
* 강력한 내장 사운드의 지원 : 그 어떤 경쟁[[DAW]]보다 안정적이고 낮은 레이턴시로 WASAPI를 지원한다. Asio4all을 통하지 않고도 10ms 미만으로 레이턴시를 줄일 수 있다. 출력품질도 매우 훌륭하다. 2016년 11월 부터 WASAPI 공유모드를 정식으로 지원한다. 현재 유일하게 WASAPI공유모드를 지원하는 DAW이다.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로도 3ms~10ms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 강력하고 충실한 미디 편집 : 이벤트 편집을 통한 에디팅부터 [[FL 스튜디오]] 같은 스탭 시퀀서를 이용한 루프 패턴 만들기까지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서 작업이 가능하다.  
 
* 매우 강력한 멀티스레딩 지원(플래티넘 버전 한정) : 기존 소나의 멀티스레딩 성능도 좋았지만,  플래티넘 버전 한정으로 더 좋아졌다. 모든 스레드에 균등하게 부하를 가해서 특정 코어에 부하가 쏠리면 10ms 이하의 낮은 레이턴시에서 심심찮게 일어나던 드롭아웃 현상이 사라졌다. 4코어 이상부터 효과가 있으며, 스레드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 큰 효과를 가진다. 플러그인을 적게 쓰든 많이 쓰든 모든 스레드에 균등한 분배가 이루어진다.
* 매우 강력한 멀티스레딩 지원(플래티넘 버전 한정) : 기존 소나의 멀티스레딩 성능도 좋았지만,  플래티넘 버전 한정으로 더 좋아졌다. 모든 스레드에 균등하게 부하를 가해서 특정 코어에 부하가 쏠리면 10ms 이하의 낮은 레이턴시에서 심심찮게 일어나던 드롭아웃 현상이 사라졌다. 4코어 이상부터 효과가 있으며, 스레드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 큰 효과를 가진다. 플러그인을 적게 쓰든 많이 쓰든 모든 스레드에 균등한 분배가 이루어진다.
* 저렴한 가격 : 자사의 쇼핑몰에서 저렴한 소프트웨어를 구입후 등록을 하면 SONAR를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또 [[스팀 (플랫폼)|스팀]]에 입점했기 때문에 할인 시기만 잘 맞춘다면 경쟁 [[DAW]]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 2016년 6월 2일부로 PLATINUM버전 한정으로 '''평생 업데이트'''가 지원되었었다. 소나도 [[FL 스튜디오]]처럼 버전이 계속 올라가도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2016년 12월 까지 Pay One-time 가격으로 평생 업데이트 버전을 구입할 수 있었으나, 2017년 부터 평생 업데이트 에디션이 판매중단되었다.
* 그간 소나는 오직 [[Windows]]기반 [[DAW]]라는 유일무이한 계보를 가지고 있었으나, 2016년 6월 11일 [[macOS]] 알파버전을 발표했다. 정식버전은 아니지만, 반응이 매우 좋았던 모양. 그러나 2017년 4월 19일 공식적으로 개발 포기를 선언했다. [http://www.cakewalk.com/Products/SONAR-Mac-Prototype] 이 링크를 통해 알파버전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최근 windows용 소나의 개발방향과 매칭되지 않는게 가장 큰 이유인듯 하다.


== 단종 및 재개발, 무료 배포 ==
* 저렴한 가격 : 자사의 쇼핑몰에서 저렴한 소프트웨어를 구입후 등록을 하면 SONAR를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수있다. 또 [[스팀 (플랫폼)|스팀]]에 입점했기 때문에 할인 시기만 잘 맞춘다면 경쟁 [[DAW]]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2017년 11월 깁슨이 케이크워크 소나의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그러나 2018년 4월 4일, 다시 돌아왔다.
* 2016년 6월 2일부로 PLATINUM버전 한정으로 '''평생 업데이트'''가 지원 되었었다. 소나도 [[FL 스튜디오]]처럼 버전이 계속 올라가도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2016년 12월 까지 Pay One-time 가격으로 평생 업데이트 버전을 구입할 수 있었으나, 2017년 부터 평생 업데이트 에디션이 판매중단되었다.
* 그간 소나는 오직 [[Windows]]기반 [[DAW]]라는 유일무이한 계보를 가지고 있었으나, 2016년 6월 11일 OS X 알파버전을 발표했다. 정식버전은 아니지만, 반응이 매우 좋았던 모양. 그러나 2017년 4월 19일 공식적으로 개발 포기를 선언했다. [http://www.cakewalk.com/Products/SONAR-Mac-Prototype] 이 링크를 통해 알파버전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최근 windows용 소나의 개발방향과 매칭되지 않는게 가장 큰 이유인듯 하다.
 
== 단종 ==
2017년 11월 깁슨이 캐이크워크 소나의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뮤직 비즈니스 기업 밴드랩 테크놀로지가 Cakewalk Inc의 자산을 깁슨에게서 모두 인수하였다. 그리고 '[https://www.bandlab.com/products/cakewalk Cakewalk by BandLab]'이라는 이름으로 '''케이크워크 소나 홈 스튜디오를 무료로 배포하기 시작하였다.''' 게다가 프로그램의 코어는 플래티넘 에디션과 동일하다. 기능 제한이 있는 [[쉐어웨어]] 따위가 아니다. 일부 프리미엄 [[플러그인]]만 빠졌을 뿐 이외에는 모든 기능을 쓸 수 있다. 밴드랩 어시스턴트라는 전용 매니저를 통하여 정식 라이트 판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기존 소나에서 쓰던 모든 플러그인은 새로운 케이크워크에서도 쓸 수 있다.
== 무료 배포 ==
뮤직 비즈니스 기업 밴드랩 테크놀로지가 Cakewalk Inc의 자산을 깁스에게서 모두 인수하였다. 그리고 '''케이크워크 소나 홈 스튜디오를 무료로 배포하기 시작하였다.''' 기능 제한이 있는 [[쉐어웨어]] 따위가 아니다. 일부 프리미엄 [[플러그인]]만 빠졌을 뿐 모든 기능을 쓸 수 있다. 밴드랩 어시스턴트라는 전용 매니저를 통하여 정식 라이트 판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기존 소나에서 쓰던 모든 플러그인은 새로운 케이크워크에서도 쓸 수 있다.


== 한국에서의 인지도 ==
== 한국에서의 인지도 ==
90년대에는 그야말로 넘사벽. 미디 시퀀서라고 하면 케이크 워크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선 Cubase가 VST를 무기로 슬슬 점유율을 올리더니 2016년 현재는 쓰는 사람만 쓰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후발주자이자 기능상 하위에 위치한 [[FL 스튜디오]]보다 인지도는 더 떨어질 정도.
90년대에는 그야말로 넘사벽. 미디 시퀀서라고 하면 케이크 워크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선 Cubase가 VST를 무기로 슬슬 점유율을 올리더니 2016년 현재는 쓰는 사람만 쓰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후발주자이자 기능상 하위에 위치한 [[FL 스튜디오]]보다 인지도는 더 떨어질 정도.  
 
그래도 2018년 밴드랩에 인수된 뒤 무료로 공개되며 무료 [[DAW]]로서는 어느 정도 입지가 생겼다.


== 바깥 링크 ==
== 바깥 링크 ==
63번째 줄: 64번째 줄:
* <small>'''(영어)'''</small> [https://www.youtube.com/user/CakewalkSoftware 공식 유튜브 채널]
* <small>'''(영어)'''</small> [https://www.youtube.com/user/CakewalkSoftware 공식 유튜브 채널]


{{각주}}
[[분류: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분류: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분류:1987년 소프트웨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