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칠나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정보
[[분류:나무]][[분류:한국의 자생식물]]
|이름    = 황칠나무
{{한국의 자생식물
|그림     = DfqE0DF.jpg
|제목 = 황칠나무
|그림설명 =  
|그림 = DfqE0DF.jpg
|학명     = Dendropanax trifidus (Thunb.) Makino ex H.Hara
|과명= 두릅나무과
|명명    =  
|학명 = Dendropanax trifidus (Thunb.) Makino ex H.Hara
|생물분류 =  
|영문명 = Korean Dendropanax
|보전상태 =  
|중국명 = 黄漆树
|비고    =  
|분류 = 낙엽수(교목)
|분포 = 한국 남부지방
|주성분 = 세스퀴테페르텐(수액)
}}
}}


== 개요 ==
한국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두릅나무]]과의 나무로 나무의 수액으로 노란 빛의 색을 칠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서 황칠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로 남해안의 해안가와 섬 지역에 자생하며, 다 자랐을 경우의 수고는 15m가량 되는 꽤 큰 나무이다.
한국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두릅나무]]과의 나무로 나무의 수액으로 노란 빛의 색을 칠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서 황칠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로 남해안의 해안가와 섬 지역에 자생하며, 다 자랐을 경우의 수고는 15m가량 되는 꽤 큰 나무이다.


== 용도 ==
== 용도 ==
황칠은 [[옻나무]] 수액을 채취하여 칠하는 옻칠과 같은 전통 공예기술이다.
황칠은 [[옻나무]] 수액을 채취하여 칠하는 옻칠과 같은 전통 공예기술이다.  
<br>[[파일:ZUXQMPT.jpg]]<br>
황칠나무 표피에 상처를 내면 노란 액체(진액)가 나오는데 이것을 모아 칠하는 것을 황칠이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가구의 도료나, 금속·가죽의 도료로 사용되었다


<br />[[파일:ZUXQMPT.jpg|섬네일]]<br />
황칠나무 표피에 상처를 내면 노란 액체(진액)가 나오는데 이것을 모아 칠하는 것을 황칠이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가구의 도료나, 금속·가죽의 도료로 사용되었다
{{-}}
특히 [[백제]]시대에 이렇게 생산된 황칠은 [[수나라]]의 갑옷인 [[명광개]]나 백제의 칠 갑옷을 만드는데 쓰였었다. 황칠은 금속에 끼얹으면 진짜 순금같은 아름다운 황금빛을 띠게 되면서도 원래 금속보다 더욱 견고한 멋진 금속이 되었다. 여러모로 원래 금속의 완벽한 상위호환.
특히 [[백제]]시대에 이렇게 생산된 황칠은 [[수나라]]의 갑옷인 [[명광개]]나 백제의 칠 갑옷을 만드는데 쓰였었다. 황칠은 금속에 끼얹으면 진짜 순금같은 아름다운 황금빛을 띠게 되면서도 원래 금속보다 더욱 견고한 멋진 금속이 되었다. 여러모로 원래 금속의 완벽한 상위호환.
즉 조선시대에 강철에 수은을 끼얹어 아름다운 은빛이 도는 수은갑을 만들었다면 백제시대에는 강철에 황칠을 끼얹어 화려한 금빛이 도는 명광개를 만든 셈.{{ㅊ|[[독일의 과학력은 세계 제일|백제의 갑옷 디자인은 세계 제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일!!]]}}
즉 조선시대에 강철에 수은을 끼얹어 아름다운 은빛이 도는 수은갑을 만들었다면 백제시대에는 강철에 황칠을 끼얹어 화려한 금빛이 도는 명광개를 만든 셈.{{ㅊ|[[독일의 과학력은 세계 제일|백제의 갑옷 디자인은 세계 제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일!!]]}}
{{-}}
[[파일:MdWvD9f.jpg|섬네일]]<br />
[[파일:MdWvD9f.jpg|섬네일]]</br>
중국의 명광개 복원품. 저 황금색을 띠는 부분이 황칠을 끼얹은 철이다.{{ㅊ|당연히 금이 아니다}} {{ㅊ|애초에 강도가 약한 금을 갑옷에 다는게 말이 되냐}}<ref>http://m.blog.daum.net/khs313901/712</ref>{{-}}
중국의 명광개 복원품. 저 황금색을 띠는 부분이 황칠을 끼얹은 철이다.{{ㅊ|당연히 금이 아니다}} {{ㅊ|애초에 강도가 약한 금을 갑옷에 다는게 말이 되냐}}<ref>http://m.blog.daum.net/khs313901/712</ref>


[[파일:MHhuKFo.png|섬네일]]<br />
[[파일:MHhuKFo.png|섬네일]]</br>
또 충남 공주의 공산성에서 황칠을 한 백제의 갑옷으로 추정되는 유물(위)이 출토되었는데 사실 [[당나라]]의 갑옷이라고 한다. 다만 황칠은 백제의 것일 거라고 한다.<ref>http://media.daum.net/culture/view.html?cateid=1026&newsid=20111026031635578&p=seoul</ref>
또 충남 공주의 공산성에서 황칠을 한 백제의 갑옷으로 추정되는 유물(위)이 출토되었는데 사실 [[당나라]]의 갑옷이라고 한다. 다만 황칠은 백제의 것일 거라고 한다.<ref>http://media.daum.net/culture/view.html?cateid=1026&newsid=20111026031635578&p=seoul</ref>
진짜 백제 갑옷은 {{나무위키|한국 갑옷|한국 갑옷}} 항목 참고.
진짜 백제 갑옷은 [[나무위키:한국 갑옷|한국 갑옷]] 항목 참고.


조선시대에는 [[어의]]와 [[어좌]]에까지 쓰였다고 한다.{{ㅊ|그게 금이 아니었다고?}}<ref>물론 금도 당연히 썼을 것이다.</ref>
조선시대에는 [[어의]]와 [[어좌]]에까지 쓰였다고 한다.{{ㅊ|그게 금이 아니었다고?}}<ref>물론 금도 당연히 썼을 것이다.</ref>


이 황칠공예품은 중국에 바쳐야 하는 조공품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 이 황칠나무가 자라는 곳이 있으면 그냥 가서 베어버릴 정도여서 사실상 명맥이 끊어지다 시피하였었다. 애초에 조공품의 할당량이 현실따위는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나서지 않아도 백성들이 알아서 싹뚝싹뚝 해 버렸을 정도. 다만 황칠공예를 최근에 복원하여 명맥을 잇고 있는 이가 있다고 한다.<ref>http://m.blog.naver.com/risjinr/174421283</ref>
이 황칠공예품은 중국에 바쳐야 하는 조공품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 이 황칠나무가 자라는 곳이 있으면 그냥 가서 베어버릴 정도여서 사실상 명맥이 끊어지다 시피하였었다. 애초에 조공품의 할당량이 현실따위는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나서지 않아도 백성들이 알아서 싹뚝싹뚝 해 버렸을 정도. 다만 황칠공예를 최근에 복원하여 명맥을 잇고 있는 이가 있다고 한다.<ref>http://m.blog.naver.com/risjinr/174421283</ref>
{{-}}


== 현대 기술에의 활용? ==
== 현대 기술에의 활용? ==
2001년에는 황칠나무 수액을 가공하여 도색하면 전파를 차단하는 [[스텔스]] 도료를 만들 수 있다는 기사가 주간동아에 실린적이 있었다. 황칠나무의 사용역사와 이를 다시 현대에 맞게 활용하려는 이들에 대해 다룬 기사였으며, 글 말미에는 황칠나무를 연구하고 있다는 이의 말을 인용하여 일본이 일제강점기 때부터 1970년대 까지 우리나라에서 황칠나무 수액을 가져갔으며, 이를 항공기에 발라 스텔스 기술에 활용했으며, 현재의 스텔스기에도 이를 사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실려있다. 그러나 일본이 일제강점기에 스텔스기를 개발하거나 전파흡수물질을 사용했다는 기록도 없고, 또 미국의 스텔스기에 활용되고 있는 소자는 나무 수액등이 아니라 금속이나 탄소등을 가공한 복합소재인 만큼 실제 여부는 미지수.{{ㅊ|그냥 찌라시 기사}}
2001년에는 황칠나무 수액을 가공하여 도색하면 전파를 차단하는 [[스텔스]] 도료를 만들 수 있다는 기사가 주간동아에 실린적이 있다. 황칠나무의 사용역사와 이를 다시 현대에 맞게 활용하려는 이들에 대해 다룬 기사였으며, 글 말미에는 황칠나무를 연구하고 있다는 이의 말을 인용하여 일본이 일제강점기 때부터 1970년대 까지 우리나라에서 황칠나무 수액을 가져갔으며, 이를 항공기에 발라 스텔스 기술에 활용했으며, 현재의 스텔스기에도 이를 사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실려있다. 그러나 일본이 일제강점기에 스텔스기를 개발하거나 전파흡수물질을 사용했다는 기록도 없고, 또 미국의 스텔스기에 활용되고 있는 소자는 나무 수액등이 아니라 금속이나 탄소등을 가공한 복합소재인 만큼 실제 여부는 미지수.{{ㅊ|그냥 찌라시 기사}}


==비슷한 식물==
==비슷한 식물==
42번째 줄: 42번째 줄:


== 그 외의 용도 ==
== 그 외의 용도 ==
[[파일:Jji0nzd.jpg]]<br />
[[파일:Jji0nzd.jpg]]<br>
최근에는 약용으로 쓰이는 모양이다(...) 위의 사진은 현대에 상품화된 황칠. 사실 황칠나무의 잎은 피를 맑게하는 성분이 들어가 있다. 잎을 따서 차를 우려내서 먹거나 닭백숙에 넣어먹는 방법이 있다. 또한 여린 잎으로는 장아찌를 해 먹는 경우도 있다. 주로 [[제주도]] 중산간(웃뜨르)지역에서 이런 방식으로 해 먹었다고 한다. 사실 제주 중산간 지역에서는 딱히 먹을 것이 없어서 그냥 자생하는 황칠잎을 따서 먹은건데 근래에 들어서 황칠의 약효가 밝혀지면서 따로 재배할 정도가 되었다고 한다.
최근에는 약용으로 쓰이는 모양이다(...) 위의 사진은 현대에 상품화된 황칠.
 


{{각주}}
{{각주}}
[[분류:나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