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법인 정보
{{회사 정보
|법인이름 = 화웨이
|이름 = 화웨이<br />華為技術有限公司
|원어이름 = {{중국어=|华为技术有限公司}}
|로고 =  
|로고     =  
|그림 =
|그림     =
|형태 = 다국적 기업
|그림설명 =  
|산업 = [[정보통신]]
|법인종류 = 다국적 기업
|창립 = [[1988년]]
|주식코드 =  
|창립자 = [[런정페이]]
|분야    = [[정보통신]]
|이전 회사 =  
|창립자   = [[런정페이]]
|이후 회사 =  
|창립일  = [[1988년]]
|해체 =  
|해산일  =  
|시장 정보 =  
|이전회사 =  
|국가 = {{국기나라|중화인민공화국}}
|이후회사 =  
|장소 = [[광둥성]] [[선전시]] [[룽강구 (선전시)|룽강구]] 반톈가 화웨이 본사
|본사    =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선전시]] [[룽강구 (선전)|룽강구]] 반톈가 화웨이 본사
|사업 지역 = 전 세계
|지사수  =  
|인물 = 런정페이, 쑨야팡 (회장)<br />멍완저우, 후허우쿤 (부회장)
|인물     = 런정페이, 쑨야팡 (회장)<br />멍완저우, 후허우쿤 (부회장)
|서비스 = 스마트폰 제조
|자본금   =  
|대표 제품 = [[화웨이 P9]]<br />[[화웨이 클라우드]]
|매출액   = 751억달러 (2016년)
|자본금 =  
|영업이익 = 68억 4천 2백만달러 (2016년)
|매출액(수익)= 751억달러 (2016년)
|순이익  = 53억 3천 5백만달러 (2016년)
|순이익 = 53억 3천 5백만달러 (2016년)
|자산총액 = 167억 3천 600만달러 (2016년)
|영업 이익 = 68억 4천 2백만달러 (2016년)
|주주     =  
|총 자산 = 638억 8천만달러 (2016년)
|모회사  =  
|자산 총액 = 167억 3천 600만달러 (2016년)
|자회사   =  
|소유자 = 비공개
|종업원   = 87,502 (2008년)
|주주 =  
|모기업 =  
|자회사 =  
|종업원 = 87,502 (2008년)
|웹사이트 = [http://www.huawei.com/ www.huawei.com]
|웹사이트 = [http://www.huawei.com/ www.huawei.com]
|비고    =  
|원어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


'''화웨이 기술 유한 공사''' {{중국어|华为技术有限公司|Huáwei Jìshù Yǒuxiàn Gōngsī}}는 중국공산당과 관련된 회사로 1988년 중화시전자로 시작하여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가장 큰 네트워크 및 통신 장비 공급업체이다. [[광둥성]] [[선전시]] [[룽강구 (선전)|룽강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ref>"[http://www.huawei.com/about/officeList.do Contact us] {{웨이백|url=http://www.huawei.com/about/officeList.do# |date=20101101204110 }}." ''Huawei''. Retrieved on February 4, 2009.</ref>
'''화웨이 기술 유한 공사''' {{zh|s=华为技术有限公司|p=Huáwei Jìshù Yǒuxiàn Gōngsī}})는 중국공산당과 관련된 회사로 1988년 중화시전자로 시작하여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가장 큰 네트워크 및 통신 장비 공급업체이다. [[광둥성]] [[선전시]] [[룽강구 (선전시)|룽강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ref>"[http://www.huawei.com/about/officeList.do Contact us] {{웨이백|url=http://www.huawei.com/about/officeList.do# |date=20101101204110 }}." ''Huawei''. Retrieved on February 4, 2009.</ref>


1988년 런정페이(Ren Zhengfei)가 설립한 연구개발, 생산 그리고 통신 장비 마케팅에 특화된 첨단기술의 개인 기업이고, 통신 사업자를 위한 맞춤형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ref>[http://www.time.com/time/subscriber/2005/time100/builders/100zhengfei.html Ren Zhengfei - Modeled After Mao]. Time Magazine. 2005.</ref> 화웨이는 상위 50위의 통신 운영사들 중 35개 회사에 납품하고 매년 매출의 10%를 R&D에 투자한다.<ref>[http://www.nzherald.co.nz/category/story.cfm?c_id=93&objectid=10428813 China's technological challenger] {{웨이백|url=http://www.nzherald.co.nz/category/story.cfm?c_id=93&objectid=10428813 |date=20070929124752 }}. The New Zealand Herald. March 15, 2007.</ref> 중국 선전, [[상하이시|상하이]], [[베이징시|베이징]], [[난징시|난징]], [[시안시|시안]], [[청두시|청두]] 그리고 [[우한시|우한]]에 위치한 R&D센터와 더불어 스웨덴 [[스톡홀름]], 미국 [[댈러스]]와 [[실리콘 밸리]], 인도 [[방갈로르|방갈루루]], 아일랜드 오팔리 Ferbane, 러시아 [[모스크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그리고 [[네덜란드]] Wijchen에도 [[R&D]] 센터를 가지고 있다.
1988년 런정페이(Ren Zhengfei)가 설립한 연구개발, 생산 그리고 통신 장비 마케팅에 특화된 첨단기술의 개인 기업이고, 통신 사업자를 위한 맞춤형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ref>[http://www.time.com/time/subscriber/2005/time100/builders/100zhengfei.html Ren Zhengfei - Modeled After Mao]. Time Magazine. 2005.</ref> 화웨이는 상위 50위의 통신 운영사들 중 35개 회사에 납품하고 매년 매출의 10%를 R&D에 투자한다.<ref>[http://www.nzherald.co.nz/category/story.cfm?c_id=93&objectid=10428813 China's technological challenger] {{웨이백|url=http://www.nzherald.co.nz/category/story.cfm?c_id=93&objectid=10428813 |date=20070929124752 }}. The New Zealand Herald. March 15, 2007.</ref> 중국 선전, [[상하이시|상하이]], [[베이징시|베이징]], [[난징시|난징]], [[시안시|시안]], [[청두시|청두]] 그리고 [[우한시|우한]]에 위치한 R&D센터와 더불어 스웨덴 [[스톡홀름]], 미국 [[댈러스]]와 [[실리콘 밸리]], 인도 [[방갈로르|방갈루루]], 아일랜드 오팔리 Ferbane, 러시아 [[모스크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그리고 [[네덜란드]] Wijchen에도 [[R&D]] 센터를 가지고 있다.


2015년부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애플]] 다음으로 3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ref>[http://www.idc.com/prodserv/smartphone-market-share.jsp IDC: Smartphone Market Share 2016, 2015]</ref>
2015년부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애플 (기업)|애플]] 다음으로 3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ref>[http://www.idc.com/prodserv/smartphone-market-share.jsp IDC: Smartphone Market Share 2016, 2015]</ref>


한국 시장에는 [[2014년]] 10월 2일, [[화웨이 아너 6]]를 통신사 [[LG유플러스]] 전용폰 화웨이 X3라는 제품명으로 처음 진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3255424|제목=화웨이, 스마트폰 ‘X3’로 한국 시장 본격 진출|확인날짜=2017-01-13}}</ref> 그 이후로 [[LG유플러스]]를 통해 [[화웨이 Y6]], [[넥서스 6P]]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공략을 시작했다. 그 후로도 H폰, Be Y폰과 Be Y패드 등을 내며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한국 시장에는 [[2014년]] 10월 2일, [[화웨이 아너 6]]를 통신사 [[LG유플러스]] 전용폰 화웨이 X3라는 제품명으로 처음 진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3255424|제목=화웨이, 스마트폰 ‘X3’로 한국 시장 본격 진출|확인날짜=2017-01-13}}</ref> 그 이후로 [[LG유플러스]]를 통해 [[화웨이 Y6]], [[넥서스 6P]]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공략을 시작했다. 그 후로도 H폰, Be Y폰과 Be Y패드 등을 내며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41번째 줄: 44번째 줄:
[[2018년]] [[12월 1일]]에는 멍완저우 부회장이 [[캐나다]]에서 [[미국]]의 요청에 의해 [[이란]]에 대한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으며 이에 중국이 반발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8947500 캐나다, 美요청에 화웨이 CFO 체포…이란 제재위반 혐의]2018년 12월 6일, 연합뉴스</ref>
[[2018년]] [[12월 1일]]에는 멍완저우 부회장이 [[캐나다]]에서 [[미국]]의 요청에 의해 [[이란]]에 대한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으며 이에 중국이 반발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8947500 캐나다, 美요청에 화웨이 CFO 체포…이란 제재위반 혐의]2018년 12월 6일, 연합뉴스</ref>


[[2020년]] 3월에 [http://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3290 검색 엔진을 개발]하는 중라는 뉴스가 나왔다. 테스트는 아랍에미레이트에서 시행하고 있다. 서비스 명은 화웨이 서치다.
[[2020년]] 3월에 [http://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3290 검색 엔진을 개발]하는 중라는 뉴스가 나왔따. 테스트는 아랍에미레이트에서 시행하고 있다. 서비스 명은 화웨이 서치다.


[http://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3290 유럽 스마트폰 판매량]이 70% 하락했다. 유럽 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하락의 기미가 보이고 있다. [https://beginstart.tistory.com/3 부진의 원인]으로는 [[구글]]의 모바일 서비스(GMS) 공급 중단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자체적인 화웨이 모바일 서비스를 발표하고 구축에 들어간 상황이다.
[http://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3290 유럽 스마트폰 판매량]이 70% 하락했다. 유럽 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하락의 기미가 보이고 있다. [https://beginstart.tistory.com/3 부진의 원인]으로는 [[구글]]의 모바일 서비스(GMS) 공급 중단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자체적인 화웨이 모바일 서비스를 발표하고 구축에 들어간 상황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