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 신칸센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JR 홋카이도 노선 목록}}
{{미개통 노선}}
{{철도 노선 정보
{{+1|北海道新幹線 / Hokkaidō Shinkansen}}
|이름    = 홋카이도 신칸센
[[분류:일본의 철도 노선]][[분류:고속철도]][[분류:JR 홋카이도]]
|원어이름 = {{일본어=|北海道新幹線}}
== 개요 ==
|배경색  = {{JR 노선색|H}}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의 [[신아오모리역]][[홋카이도]] [[호쿠토]]시의 [[신하코다테호쿠토역]]을 이을 '''예정'''인 [[JR 홋카이도]][[신칸센]] 노선. [[2016년]] 완공예정이며 장기 계획으로 삿포로까지 끌어올 예정이다.
|글자색  = white
|그림    = Map of Hokkaido Shinkansen.png
|그림크기 =  
|그림설명 = 점선은 계획중인 구간
|그림alt  =
|나라    = {{깃발|일본}} 일본
|종류    = 고속철도
|번호    =
|구간    = [[신아오모리역|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역|신하코다테호쿠토]]<!--[[삿포로역|삿포로]]-->
|영업거리 = 360.3 km
|역수    = 4개
|소유자  = [[JR 홋카이도|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운영자  =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개통일  = 2016년 3월 26일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하코다테 종합차량기지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전 구간 복선
|전기    = [[교류]] 25 kV, 5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C]]
|비고    =
}}
{{youtube|0jn9a34kebc|||center}}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의 [[신아오모리역]]과 [[홋카이도]] [[호쿠토시]]의 [[신하코다테호쿠토역]]을 이을 '''예정'''인 [[JR 홋카이도]]의 [[신칸센]] 노선. [[2016년]] [[3월 26일]] 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이 개업했으며 장기 계획으로 삿포로까지 끌어올 예정이다.
홋카이도로 신칸센을 넣기 위해 [[카이쿄선]]과 그 노선에 속한 [[세이칸 터널]]의 협궤-표준궤 병행 시설의 공사가 진행중이다.


홋카이도 신칸센 계획은 1972년에 최초로 등장했다. 기본 계획에 아오모리~삿포로 구간이 간이 지정된 것이 그 시초이며, 이듬해인 1973년 정비 신칸센으로 승격되면서 홋카이도 중부인 아사히카와까지 계획이 연장되었다. 1단계인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은 2005년 착공하여 2016년에 개통했고, 2단계인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구간은 2012년에 착공했으며 2031년에 개통할 예정이다.{{ㅈ|{{저널 인용 |저자=최경수|날짜= |제목=홋카이도 신칸센 (1) |저널=철도차량기술 |권=2016년 봄호 |호=163 |쪽=129-137 |id= |url= |확인날짜=}}}}
삿포로 구간까지 완공시 도쿄 ~ 삿포로가 '''3시간 57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ref>이것은 E5계의 360㎞/h 증속이 전제되어 있다. 현 상태에서는 5시간이 조금 넘는 수준.</ref> 기존 10시간에서 대폭 줄어든다. 여기에 재래선 공유 구간과 [[세이칸 터널]]의 제한속도를 현재의 140㎞/h에서 200㎞/h 이상으로 증속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아오모리현에서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ref>이는 200㎞/h 이상으로 운행하는 노선을 신칸센으로 분류하는 법 때문인데, 만약 제한속도가 140㎞/h로 유지될 경우 해당 구간이 '재래선'으로 분류되어 아오모리현에서 부담하는 금액이 줄어든다. 현재 아오모리현은 공사비의 약 1/3을 부담하고 있다. 이는 신칸센 기준으로 적용된 것이라 현에서 금액을 줄여주거나 증속을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ref> 그러나 증속이 이루어질 경우 교행하는 화물열차의 컨테이너가 풍압으로 화차에서 떨어지거나 '''파열'''될 위험이 있어 화물용 신칸센 등의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홋카이도로 신칸센을 넣기 위해 [[카이쿄선]]과 그 노선에 속한 [[세이칸 터널]]의 협궤-표준궤 병행 시설의 공사를 하였다. 세이칸 터널이 신칸센 구간이 됨에 따라 법적으로 자정 ~ 오전 5시까지 선로 점검을 위해 열차 운행이 통제되어 [[침대열차]]가 모두 없어졌다. 또한 JR 동일본을 통해 홋카이도발 재래선 열차는 [[신하코다테호쿠토역]]까지 단축되는 것으로 알려졌고, [[에사시선]] 병행구간은 [[제3섹터선]]인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어 [[츠가루 해협선]]이 사실상 폐지되었다. 세이칸 터널을 지나는 여객열차는 오직 신칸센뿐.
세이칸 터널이 신칸센 구간이 됨에 따라 법적으로 자정 ~ 오전 5시까지 선로 점검을 위해 열차 운행이 통제되어 [[침대열차]]가 모두 없어지게 되었다.
 
삿포로 구간까지 완공시 도쿄 ~ 삿포로가 '''3시간 57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ref>이것은 E5계의 360 km/h 증속이 전제되어 있다. 현 상태에서는 5시간이 조금 넘는 수준.</ref> 기존 10시간에서 대폭 줄어든다. 여기에 재래선 공유 구간과 [[세이칸 터널]]의 제한속도를 현재의 140 km/h에서 200 km/h 이상으로 증속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아오모리 현에서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ref>이는 200 km/h 이상으로 운행하는 노선을 신칸센으로 분류하는 법 때문인데, 만약 제한속도가 140 km/h로 유지될 경우 해당 구간이 '재래선'으로 분류되어 아오모리 현에서 부담하는 금액이 줄어든다. 아오모리 현은 공사비의 약 1/3을 부담하고 있다. 이는 신칸센 기준으로 적용된 것이라 현에서 금액을 줄여주거나 증속을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ref> 재래선 공유구간은 JR 화물과의 조율을 통하여 낮 시간에 1왕복이 260 km/h로 통과한다.


하루 운행횟수는 총 13왕복으로, 시간당 1왕복 정도로 채택되었다. 그 중 10회는 도쿄 ~ 신하코다테호쿠토 전구간을 달리고, 3회는 중간역인 센다이, 모리오카, 신아오모리에서 출발한다.<ref>[http://jtinside.tistory.com/7451 홋카이도신칸센: 하루 13왕복 계획, 현재보다 3왕복 증가, 수송밀도는?], CASSIOPEIA, 2015.09.01</ref> [[토호쿠 신칸센]]의 선로 사정을 생각해보면 최대한 우겨넣은 것이다.
하루 운행횟수는 총 13왕복으로, 시간당 1왕복 정도로 채택되었다. 그 중 10회는 도쿄 ~ 신하코다테호쿠토 전구간을 달리고, 3회는 중간역인 센다이, 모리오카, 신아오모리에서 출발한다.<ref>[http://jtinside.tistory.com/7451 홋카이도신칸센: 하루 13왕복 계획, 현재보다 3왕복 증가, 수송밀도는?], CASSIOPEIA, 2015.09.01</ref> [[토호쿠 신칸센]]의 선로 사정을 생각해보면 최대한 우겨넣은 것이다.
개업일을 포함한 14일 간의 예매율이 25%에 불과해, 수익성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 운행 차종 ==
== 운행 차종 ==
45번째 줄: 17번째 줄:
* [[신칸센 H5계 전동차]] - JR 홋카이도 소속 차량.
* [[신칸센 H5계 전동차]] - JR 홋카이도 소속 차량.
== 운행 등급 ==
== 운행 등급 ==
* [[하야부사]] - 도쿄 및 센다이 발 홋카이도 직통 등급
* [[하야부사]] - 전 구간을 운행할 예정
* [[하야테 (열차)|하야테]] - 모리오카 및 신아오모리 발 홋카이도 직통 등급
* [[하야테]] - 구간 운행을 할 예정


{{-}}
== 홋카이도 신칸센 일람 ==
== 역 목록 ==
신하코다테역 이후 구간은 계획된 노선이다. 환승 노선의 재래선역 대다수는 역명이 바뀔 예정이다.
신하코다테역 이후 구간은 계획된 노선이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거리<br/>(㎞)|| 역명 || 환승 노선 ||소재지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border-top: 3px solid {{JR 노선색|H|SKS}};"
|-
! km
|colspan=3|↑ [[JR 히가시니혼]] [[도호쿠 신칸센]]
! 정거장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
! colspan="8" |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신칸센]]<br />[[도쿄역|도쿄]] · [[모리오카역|모리오카]] 방면 직결
|| 0.0|| [[신아오모리역|신아오모리]]<br/>新青森 ||[[JR 히가시니혼]] [[도호쿠 신칸센]], [[오우 본선]] ||rowspan=2 backgroud-color=c0c0c0|아오모리현
|-
|-
| style="text-align: right;" | 0.0
|| 38.5|| [[오쿠츠가루이마베츠역|오쿠츠가루이마베츠]]<br/>奥津軽いまべつ ||[[JR 히가시니혼]] [[츠가루선]] (츠가루후타마타역)<br/>[[JR 홋카이도]] [[카이쿄선]] (츠가루이마베츠역)
| [[신아오모리역|신아오모리]]<br />新青森
| style="text-align: left;" | [[JR 히가시니혼]] [[오우 본선]]
|
|
|-
|-
| style="text-align: right;" | 28.9
|colspan=3|↕ [[JR 홋카이도]] [[세이칸 터널]](카이쿄선)
| [[신나카오구니 신호장]]<br />新中小国信号場
| style="text-align: left;" |
|
|
|-
|-
| style="text-align: right;" | 38.5
|| 113.3|| [[키코나이역|키코나이]]<br/>木古内 ||[[JR 홋카이도]] [[에사시선]], [[카이쿄선]] ||rowspan=8|홋카이도
| [[오쿠츠가루이마베츠역|오쿠츠가루이마베츠]]<br />奥津軽いまべつ
| style="text-align: left;" | [[JR 히가시니혼]] [[츠가루선]]([[츠가루후타마타역]])
|  
|
|-
|-
| style="text-align: right;" | 58.0
|| 148.9|| [[신하코다테호쿠토역|신하코다테호쿠토]]<br/>新函館北斗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 (오시마오노역)
| [[탓피정점]]<br />竜飛定点
| style="text-align: left;" |
|
|
|-
|-
| style="text-align: right;" | 81.0
|| <del>203.0</del>|| <del>신야쿠모<br/>新八雲</del> ||
| [[요시오카정점]]<br />吉岡定点
| style="text-align: left;" |
|  
|
|-
|-
| style="text-align: right;" | 101.5
|| <del>236.1</del>|| 오샤만베<br/>長万部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 [[무로란 본선]]
| [[유노사토시리우치 신호장]]<br />湯の里知内信号場
| style="text-align: left;" |
|
|
|-
|-
| style="text-align: right;" | 113.3
|| <del>290.2</del>|| 쿳찬<br/>倶知安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
| [[키코나이역|키코나이]]<br />木古内
| style="text-align: left;" |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
|
|
|-
|-
| style="text-align: right;" | 148.8
|| <del>328.2</del>|| <del>신오타루<br/>新小樽</del> ||
| [[신하코다테호쿠토역|신하코다테호쿠토]]<br />新函館北斗
| style="text-align: left;" |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
|  
|
|-
|-
| colspan="8" | 이하 미개업 구간
|| <del>360.2</del>|| [[삿포로역|삿포로]]<br/>札幌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 [[치토세선]], [[삿쇼선]]<br/>[[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 (삿포로시 교통국)|난보쿠선]](N06), [[토호선]](H07)
|- style="opacity:0.6;"
| style="text-align: right;" | 202.9
| [[신야쿠모역|신야쿠모]] (가칭)<br />新八雲
|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opacity:0.6;"
| style="text-align: right;" | 235.9
| [[오샤만베역|오샤만베]]<br />長万部
| style="text-align: left;" | [[JR 홋카이도]] [[무로란 본선]], [[하코다테 본선]]
|
|
|- style="opacity:0.6;"
| style="text-align: right;" | 290.3
| [[쿳찬역|쿳찬]]<br />倶知安
| style="text-align: left;" |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
|
|
|- style="opacity:0.6;"
| style="text-align: right;" | 328.3
| [[신오타루역|신오타루]]<br />新小樽
| style="text-align: left;" | <br />(가칭)
|
|
|- style="opacity:0.6;"
| style="text-align: right;" | 360.3
| [[삿포로역|삿포로]]<br />札幌
| style="text-align: left;" |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 [[치토세선]], [[삿쇼선]]<br />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 (삿포로시 교통국)|난보쿠선]], [[토호선]]
|
|
|}
|}
{{각주}}
{{각주}}
[[분류:일본의 철도 노선]]
[[분류:홋카이도 신칸센|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