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호남고속도로|철도 노선|유사한 명칭의 고속도로 노선}}
{{다른 뜻|호남고속도로|철도 노선|유사한 명칭의 고속도로 노선}}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호남선
|노선이름 = 호남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ref>대전조차장~논산</ref>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ref>대전조차장~논산</ref>
20번째 줄: 18번째 줄: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선로    = 2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S]], [[ATP]]
|신호    = [[ATS]], [[ATP]]
|차량기지 =
|비고    =  
|비고    =  
}}
}}
61번째 줄: 59번째 줄:
1차 구간 중 제일 먼저 착공된 [[계룡역|두계]]에서 [[개태사역|광석]] 구간의 복선공사는 [[1968년]] 1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1969년]] 6월에 완공을 보게 되었다. 이후 잔여구간의 공사도 착수하여 [[1978년]] [[3월 30일]]에 대전~이리 구간 전부가 개통을 보게 되었다<ref> 철도청(1999). "한국철도100년사.". pp.604</ref>.그러나 개통도 얼마 되지 않은 [[1979년]] [[1월 12일]] [[가수원역|가수원]]~[[흑석리역|흑석리]] 사이의 괴곡터널이 붕괴하여 구 선로를 복원하여 한동안 운행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ref>"대덕서 260m 터널 무너져 호남선 불통." 경향신문, 1979년 1월 12일 보도.</ref>  
1차 구간 중 제일 먼저 착공된 [[계룡역|두계]]에서 [[개태사역|광석]] 구간의 복선공사는 [[1968년]] 1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1969년]] 6월에 완공을 보게 되었다. 이후 잔여구간의 공사도 착수하여 [[1978년]] [[3월 30일]]에 대전~이리 구간 전부가 개통을 보게 되었다<ref> 철도청(1999). "한국철도100년사.". pp.604</ref>.그러나 개통도 얼마 되지 않은 [[1979년]] [[1월 12일]] [[가수원역|가수원]]~[[흑석리역|흑석리]] 사이의 괴곡터널이 붕괴하여 구 선로를 복원하여 한동안 운행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ref>"대덕서 260m 터널 무너져 호남선 불통." 경향신문, 1979년 1월 12일 보도.</ref>  


이후 2단계 구간은 익산에서 [[광주송정역|송정리]]간으로 변경하여 [[1981년]] [[2월 4일]]에 착공하여 [[1988년]] [[9월 6일]]에 완공하였다. 중간에 [[정읍역|정주]]까지 [[1985년]] [[11월 15일]]에, 장성까지는 [[1987년]] [[12월 4일]]에 도중 개통하여 복선 운행을 개시하기도 하였다.<ref>철도청(1999). 상게서. pp. 604.</ref> 이로서 마지막 남은 송정리에서 목포간이 남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이 구간의 복선화는 상당히 지연되었는데, [[1987년]]도 대통령 공약사업이었으나 정작 공사의 착수는 타당성조사 및 각 구간별 실시설계로 인해 [[1995년]] 9월에서야 착공에 이르게 되었으며<ref>철도청(1999). 상게서. pp. 956.</ref>, 최종적으로 전구간의 복선화는 [[2001년]] [[12월 17일]]에 이르러서 완수되었다.  
이후 2단계 구간은 익산에서 [[광주송정역|송정리]]간으로 변경하여 [[1981년]] [[2월 4일]]에 착공하여 [[1988년]] [[9월 6일]]에 완공하였다. 중간에 [[정읍역|정주]]까지 [[1985년]] [[11월 15일]]에, 장성까지는 [[1987년] [[12월 4일]]에 도중 개통하여 복선 운행을 개시하기도 하였다.<ref>철도청(1999). 상게서. pp. 604.</ref> 이로서 마지막 남은 송정리에서 목포간이 남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이 구간의 복선화는 상당히 지연되었는데, [[1987년]]도 대통령 공약사업이었으나 정작 공사의 착수는 타당성조사 및 각 구간별 실시설계로 인해 [[1995년]] 9월에서야 착공에 이르게 되었으며<ref>철도청(1999). 상게서. pp. 956.</ref>, 최종적으로 전구간의 복선화는 [[2001년]] [[12월 17일]]에 이르러서 완수되었다.  


이후 [[KTX]]의 동시개통 운행을 위해서 전철화 공사가 [[2001년]]에 착수되어, [[2004년]] [[3월 23일]]에 완공을 보게 되었다. 이는 대전에서부터 복선화 공사에 착수한지 36년이 걸린 시점이었다. <ref>"호남선 복선전철 36년만에 완공". 충청투데이, 2004년 3월 23일 보도.[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021]</ref>
또한 [[KTX]]의 운행을 위해서 전철화 공사가 [[2001년]]에 착수되어, [[2004년]] [[3월 23일]]에 완공을 보게 되었다. 이는 대전에서부터 복선화 공사에 착수한지 36년이 걸린 시점이었다. <ref>"호남선 복선전철 36년만에 완공". 충청투데이, 2004년 3월 23일 보도.[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021]</ref>




85번째 줄: 83번째 줄:


=== 고속철도 ===
=== 고속철도 ===
[[호남고속선]] 완공 이전 호남선 [[KTX]]는 재래선을 경유하여 운행하였다.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나주~목포 구간을 재래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호남고속선은 대전을 지나가지 않기에 [[서대전역|서대전]]을 경유하는 기존선 열차를 별도로 운행하고 있다. [[김제역]]과 [[장성역]]은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KTX가 정차하지 않았으나, 폐지 4년이 지난 2019년부터 서대전 경유 KTX가 다시 정차하고 있다. 고속선은 [[호남고속선]]을 참조하기 바라며, 기존선 경유 열차는 다음과 같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호남고속선]] 완공 이전 호남선 [[KTX]]는 재래선을 경유하여 운행하였다. 2015년 2월 23일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나주~목포 구간을 재래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2단계 완공 시 광주송정~임성리 구간이 신설되어 재래선 구간은 더욱 줄어들게 된다. 호남고속선이 대전을 지나가지 않기에 [[서대전역|서대전]]을 경유하는 기존선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김제역]]과 [[장성역]]은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KTX가 정차하지 않았으나, 폐지 4년이 지난 2019년 9월 16일부터 서대전 경유 KTX가 다시 정차하고 있다. 고속선은 [[호남고속선]]을 참조하기 바라며, 기존선 경유 열차는 다음과 같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 '''KTX''' (470): (경부고속선 경유 ←) [[서대전역|서대전]] - [[논산역|논산]] - [[익산역|익산]] - [[김제역|김제]] - [[정읍역|정읍]]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나주역|나주]] - [[목포역|목포]] (1일 6왕복<ref>전구간은 2왕복</ref>)
* '''KTX''' (470): (경부고속선 경유 ←) [[서대전역|서대전]] - [[논산역|논산]] - [[익산역|익산]] - [[김제역|김제]] - [[정읍역|정읍]]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나주역|나주]] - [[목포역|목포]] (1일 9왕복<ref>전구간은 2왕복</ref>)


=== ITX ===
=== ITX-새마을 ===
[[ITX]]'''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로 차량은 [[ITX-마음]]과 [[ITX-새마을]]을 사용한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ITX-새마을]]'''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 '''ITX-마음''' (1160): ''[[용산역|용산]]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1일 2왕복)
* '''ITX-새마을''' (1060): ''[[용산역|용산]]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1일 2왕복)
* '''ITX-새마을''' (106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역|평택]]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1일 2왕복)
* '''ITX-새마을''' (107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광주역|광주]] (1일 4왕복)
* '''ITX-새마을''' (107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광주역|광주]] (1일 4왕복)


=== 무궁화호 ===
=== 무궁화호 ===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ITX에 더해 더 많은 역을 정차하며 정차역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현재 운행되는 호남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마찬가지로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운행되는 호남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ITX-새마을의 정차역에 더해 더 많은 역을 정차하나 정차역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마찬가지로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 '''무궁화호''' (140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역|조치원]] -'' 서대전 - [[계룡역|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역|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무안역|무안]] - 목포 (1일 5왕복<ref>전구간은 2왕복</ref>)
* '''무궁화호''' (140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역|평택]] - 천안 - [[조치원역|조치원]] -'' 서대전 - [[계룡역|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1일 7왕복<ref>전구간은 4왕복</ref>)
* '''무궁화호''' (142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 (1일 5왕복<ref>전구간은 2왕복</ref>)
* '''무궁화호''' (142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 (1일 5왕복<ref>전구간은 2왕복</ref>)
* '''무궁화호''' (1950): ([[경전선]] 경유 [[부전역|부전]] 착발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역|함평]] - [[일로역|일로]] - 목포 (1일 1왕복)
* '''무궁화호''' (1950): (경전선 경유 [[부전역|부전]] 착발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역|함평]] - [[일로역|일로]] - 목포 (1일 1왕복)
* '''무궁화호''' (1980): 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1일 1왕복)
* '''무궁화호''' (1980): 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1일 1왕복)


== 역 목록 ==
== 역 목록 ==
* '''K''': 서대전 경유 KTX, '''I''': ITX-마음 및 ITX-새마을, '''무''': 무궁화호
* '''K''': 서대전 경유 KTX, '''''': ITX-새마을, '''무''':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새''': ITX-새마을만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149번째 줄: 146번째 줄:
| [[계룡역|계룡]]
| [[계룡역|계룡]]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194번째 줄: 191번째 줄:
| [[강경역|강경]]
| [[강경역|강경]]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261번째 줄: 258번째 줄:
| [[신태인역|신태인]]
| [[신태인역|신태인]]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342번째 줄: 339번째 줄: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광주|1}} [[광주 도시철도 1호선|1호선]]<br />[[호남고속선]], [[경전선]] (연결)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광주|1}} [[광주 도시철도 1호선|1호선]]<br />[[호남고속선]], [[경전선]] (연결)
358번째 줄: 355번째 줄:
| [[나주역|나주]]
| [[나주역|나주]]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395번째 줄: 392번째 줄:
| [[몽탄역|몽탄]]
| [[몽탄역|몽탄]]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17번째 줄: 414번째 줄:
| [[목포역|목포]]
| [[목포역|목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