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인용문|협동조합은 더 나은 세상을 만든다.<ref>Cooperative Enterprises Build a Better World.</ref>|[[2012년]] [[UN]] ''세계 협동조합의 해'' 공식 캐치프레이즈<ref>[http://www.un.org/en/events/coopsyear/ UN 홈페이지]</ref>}}
cooperative, 協同組合.
'''협동조합'''(協同組合, {{영어|Cooperative}})이란 공통의 전체 이익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경제체에서의 자발적 조직을 말한다. 주로 경제적으로 약소한 처지에 있는 소비자, 농민, 중소기업자 등이 사업의 개선 및 권익 옹호 등을 위하여 조직한 협력 단체이다. [[FC 바르셀로나]] 같은 대형 축구 구단도 협동조합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약소한 처지'라는 것이 빈곤층 등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자본가에 비해 약소하다'는 개념으로 봐야한다. [[국제협동조합연맹]]에서는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하여 공통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필요와 열망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자율적인 조직"으로 정의내리고 있다.<ref name="coopica_what">[http://ica.coop/en/what-co-operative What is a co-operative?], COOP 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2015.09.12. 확인.</ref><ref>번역 출처: 『지금 여기 협동조합』, p.9, 이현정, 어젠다, 초판1쇄 2013.8.21., {{ISBN|978-89-97712-09-0}}</ref>


== 정의 ==
[http://www.coop.go.kr 협동조합을 소개하는 정부 사이트]
* [http://www.coop.go.kr 협동조합을 소개하는 정부 사이트]
== 개요 ==
<del>[[리브레 위키]]가 되려고 하는 것</del>


협동조합은 본래 [[사회민주주의]]적 개념으로서, 이용자들의 공동소유와 민주적인 운영을 특성으로 한다. 대표적 특징으로 의결권 부분에서는, 주식회사의 1주 1표와는 다르게 '''1인 1표'''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있다.
협동조합이란 공통의 전체 이익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경제체에서의 자발적 조직을 말한다. 경제적으로 약소한 처지에 있는 소비자, 농민, 중소기업자 등이 사업의 개선 및 권익 옹호 등을 위하여 조직한 협력 단체라고 하나, [[FC 바르셀로나]] 같은 축구구단도 협동조합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약소한 처지'라는 것이 빈곤층 등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자본가에 비해 약소하다'는 개념으로 봐야한다.


[[대한민국]]의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389&efYd=20141201#0000 협동조합기본법] 제2조 제1호에 의하면 협동조합은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 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을 말하며, 또한 [[법인]]격을 가진다.
협동조합은 본래 [[사민주의]]적 개념으로서, 이용자들의 공동소유와 민주적인 운영을 특성으로 한다. 대표적 특징으로 의결권 부분에서는, 주식회사의 1주 1표와는 다르게 '''1인 1표'''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있다.
 
[[대한민국|우리나라]]의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389&efYd=20141201#0000 협동조합기본법] 제2조 제1호에 의하면 협동조합은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 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을 말하며, 또한 [[법인]]격을 가진다.


대한민국의 협동조합은 5인 이상의 [[발기인]]이 모여 설립할 수 있다. 원래 3억원 이상의 [[출자금]]과 200인 이상의 발기인이 필요하다는 제약이 있었으나, [[협동조합기본법]]이 [[2012년]] 제정된 이후 출자금 제한이 사라지고 발기인 필요수가 줄어들어 설립이 쉽도록 변경되었다. 협동조합의 조합원들은 조합에 대하여 [[유한책임]]을 진다. 즉, 딱 자신이 출자한 금액까지만 경제적인 책임을 지게 된다.
대한민국의 협동조합은 5인 이상의 [[발기인]]이 모여 설립할 수 있다. 원래 3억원 이상의 [[출자금]]과 200인 이상의 발기인이 필요하다는 제약이 있었으나, [[협동조합기본법]]이 [[2012년]] 제정된 이후 출자금 제한이 사라지고 발기인 필요수가 줄어들어 설립이 쉽도록 변경되었다. 협동조합의 조합원들은 조합에 대하여 [[유한책임]]을 진다. 즉, 딱 자신이 출자한 금액까지만 경제적인 책임을 지게 된다.
13번째 줄: 15번째 줄:
또, 협동조합기본법의 시행 이후 협동조합은 [[금융업]]과 [[보험업]]을 제외하고는 사업범위에 제한이 없다.
또, 협동조합기본법의 시행 이후 협동조합은 [[금융업]]과 [[보험업]]을 제외하고는 사업범위에 제한이 없다.


협동조합기본법 제14조<ref>① 제4조제1항의 협동조합등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는 「상법」 제1편 총칙, 제2편 상행위, 제3편제3장의2 유한책임회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상인"은 "협동조합등"으로, "사원"은 "조합원등"으로 본다.<br />② 제4조제2항의 사회적협동조합등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는 「민법」 제1편제3장 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사단법인"은 "사회적협동조합등"으로, "사원"은 "조합원등"으로, "허가"는 "인가"로 본다.</ref>에 의하면 이 법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에 관해서, [[민법]]상으로는 [[사단법인]], [[상법]]상으로는 [[유한책임회사]]에 관한 규정이 준용된다.
협동조합기본법 제14조<ref>① 제4조제1항의 협동조합등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는 「상법」 제1편 총칙, 제2편 상행위, 제3편제3장의2 유한책임회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상인"은 "협동조합등"으로, "사원"은 "조합원등"으로 본다.<br/>② 제4조제2항의 사회적협동조합등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는 「민법」 제1편제3장 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사단법인"은 "사회적협동조합등"으로, "사원"은 "조합원등"으로, "허가"는 "인가"로 본다.</ref>에 의하면 이 법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에 관해서, [[민법]]상으로는 [[사단법인]], [[상법]]상으로는 [[유한책임회사]]에 관한 규정이 준용된다.


매년 7월 첫 번째 토요일은 [[협동조합의 날]]이다.
매년 7월 첫 번째 토요일은 [[협동조합의 날]]이다.
==7대 원칙==
[[1995년]] [[국제협동조합연맹]](ICA)에서 100주년 총회에서 발표한 ''협동조합의 7대 원칙''은 다음과 같다.<ref name="coopica_what" /><ref>[http://www.coop.go.kr/COOP/introduce/rule.do 7대 원칙], COOP 협동조합, 2015.09.12. 확인</ref>
# 자발적이고 개방적인 조합원 제도
#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관리
# 조합원의 경제적 참여
# 자율과 독립
# 교육·훈련 및 정보 제공
# 협동조합 간의 협동
#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 다른 법인과의 비교 ==
== 다른 법인과의 비교 ==
52번째 줄: 44번째 줄:
농업협동조합은 1860년대 독일과 덴마크에서 시작되었다. 농민들은 가을에 수확한 농산물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마땅한 판매처를 확보하지 못해 대부분 중간유통상인에게 헐값에 농산물을 판매하고 있었다. 농민들은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직접 자금을 모아 유통회사와 구판장을 만들어 도, 소매 유통을 시작하였으며, 중간유통상인에게 돌아가던 마진이 조합원인 농민에게 돌아갈 수 있었다. 축산, 수산업협동조합도 마찬가지 과정을 거쳐 탄생했다.
농업협동조합은 1860년대 독일과 덴마크에서 시작되었다. 농민들은 가을에 수확한 농산물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마땅한 판매처를 확보하지 못해 대부분 중간유통상인에게 헐값에 농산물을 판매하고 있었다. 농민들은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직접 자금을 모아 유통회사와 구판장을 만들어 도, 소매 유통을 시작하였으며, 중간유통상인에게 돌아가던 마진이 조합원인 농민에게 돌아갈 수 있었다. 축산, 수산업협동조합도 마찬가지 과정을 거쳐 탄생했다.
이후 집을 마련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모여 자금을 모아 땅을 구입하고 집을 짓는 식으로 주택협동조합이 탄생하는 등, [[1800년]]대 중후반에 유럽 전역에서 다양한 협동조합이 만들어졌다.
이후 집을 마련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모여 자금을 모아 땅을 구입하고 집을 짓는 식으로 주택협동조합이 탄생하는 등, [[1800년]]대 중후반에 유럽 전역에서 다양한 협동조합이 만들어졌다.


한국의 협동조합은 독립운동과 함께 신용협동조합인 강계공익조합과 소비자협동조합인 목포소비조합 등이 탄생했으며, 경제적 자립을 모색하는 독립운동의 한 분야가 되기도 했다. 정부주도의 협동조합은 1961년에 농협법, 수협법, 중소기업협동조합법이 만들어지면서부터였다. 정부주도로 이루어졌던 생산자협동조합과는 달리 신용협동조합은 민간에서 확산되었으며 [[1980년]]대에 경영부실의 위기가 발생하고 [[IMF]] 등의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위축되기도 하였으나 다른 협동조합과 연계하면서 다시 활성화되고있다.
한국의 협동조합은 독립운동과 함께 신용협동조합인 강계공익조합과 소비자협동조합인 목포소비조합 등이 탄생했으며, 경제적 자립을 모색하는 독립운동의 한 분야가 되기도 했다. 정부주도의 협동조합은 1961년에 농협법, 수협법, 중소기업협동조합법이 만들어지면서부터였다. 정부주도로 이루어졌던 생산자협동조합과는 달리 신용협동조합은 민간에서 확산되었으며 [[1980년]]대에 경영부실의 위기가 발생하고 [[IMF]] 등의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위축되기도 하였으나 다른 협동조합과 연계하면서 다시 활성화되고있다.


[[2012년]] [[12월 1일]]에는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면서 협동조합 설립의 기준이 완화되었다.<ref>[http://www.coop.go.kr/COOP/edu/getListVideoEdu.do;jsessionid=Ip6c9DOdpGqbAos+4ePO7yRa.coop11 사이버교육 동영상], COOP 협동조합</ref>
[[2012년]]에는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면서 협동조합 설립의 기준이 완화되었다.<ref>http://www.coop.go.kr/COOP/edu/getListVideoEdu.do;jsessionid=Ip6c9DOdpGqbAos+4ePO7yRa.coop11</ref>


== 설립절차 ==
== 설립절차 ==
63번째 줄: 56번째 줄:


=== 정관 작성 ===
=== 정관 작성 ===
{{참고|협동조합/정관}}
{{참조|협동조합/정관}}
위 링크에 따라서 정관을 작성한다.
위 링크에 따라서 정관을 작성한다.
=== 설립동의자 모집 ===
=== 설립동의자 모집 ===
80번째 줄: 73번째 줄:
# 설립동의자명부
# 설립동의자명부
# 합병 또는 분할을 의결한 총회 의사록 (합병 또는 분할의 경우에만 해당)
# 합병 또는 분할을 의결한 총회 의사록 (합병 또는 분할의 경우에만 해당)
# 주 사업 내용이 설립인가 내용을 충족하는지 증명할 수 있는 서류 (사회적협동조합만 해당)
=== 사무인수인계 ===
=== 사무인수인계 ===
발기인이 이사장에게 사무를 인수인계하는 절차이다.
발기인이 이사장에게 사무를 인수인계하는 절차이다.
88번째 줄: 79번째 줄:
=== 설립등기 ===
=== 설립등기 ===
관할 등기소에 설립등기를 한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협동조합 설립절차가 모두 끝나고 법인격이 부여된다.
관할 등기소에 설립등기를 한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협동조합 설립절차가 모두 끝나고 법인격이 부여된다.
==해산절차==
협동조합의 해산과 청산에 관하여는 민법을 준용한다. (협동조합 기본법 제60조)
협동조합이 해산하는 사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협동조합 기본법 제57조 참고)
*정관으로 정한 해산사유의 발생
*총회의 의결 : 총 조합원(연합회의 경우 회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자 2/3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
*합병·분할 또는 파산
이외에도 마지막 등기 이후 5년이 경과하고도 신고하지 않을 경우의 법원의 직권으로 해산하는 경우도 있다
===해산신고===
해산을 결의한 총회의사록이나, 정관으로 정한 해산사유의 발생을 증명하는 서류 첨부관할 구역의 담당 부서(주로 시청이나 구청의 사회적경제과)에 가서 해산신고를 하면 1주일 내로 ‘해산신고확인증'을 발급해 준다.
===해산 및 청산인 취임등기===
위 ‘해산신고확인증'과 공증된 총회의사록, 그 밖의 필요한 서류를 가지고 등기소에 가서 등기를 하면 (문제가 없다면) 몇 일안에 처리가 완료된다. 청산인은 기본적으로 이사장이 되지만, 총회에서 다른 사람을 청산인으로 선임할 수 있다.<ref>협동조합 기본법 제58조 ①협동조합이 해산하면 파산으로 인한 경우 외에는 이사장이 청산인이 된다. 다만, 총회에서 다른 사람을 청산인으로 선임하였을 경우에는 그에 따른다.</ref>
해산등기가 완료되면 법인등기부등본에는 '해산'이라고 표시되나, 완전히 끝난것이 아니고 아래의 청산종결등기 까지 끝나야한다.
===채권자 이의 공고===
{{인용문2|'''민법 제88조'''(채권신고의 공고) ①청산인은 취임한 날로부터 2월내에 3회 이상의 공고로 채권자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내에 그 채권을 신고할 것을 최고하여야 한다. 그 기간은 2월 이상이어야 한다.}}
{{인용문2|'''상법 제535조'''(회사채권자에의 최고) ①청산인은 취임한 날로부터 2월내에 회사채권자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내에 그 채권을 신고할 것과 그 기간내에 신고하지 아니하면 청산에서 제외될 뜻을 2회 이상 공고로써 최고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 기간은 2월 이상이어야 한다.}}
협동조합은 채권자보호절차에 따라 채권자 이의신청 공고를 진행하여야 한다. 협동조합에 채무 사항이 하나도 없더라도 채권자 이의 공고는 반드시 진행해야 한다. 공고 방법은 상법에 따른다.
===재산처분 총회의결===
잔여재산을 어떻게 처분할것인지 총회에서 의결한다.
===청산사무의 수행 및 종결===
총회에서 의결한 사안대로 청산 사무를 수행한다.
===결산보고서 총회의결===
의결한 사안대로 청산사무를 수행했다는 것을 확인하고 총회에서 의결한다.
===청산종결등기===
위에서 의결한 사항을 등기소에 등기하고 통과되면 청산 절차가 종결된다. 부동산이나 기타 사항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완전히 종결된 것은 아니다.
===기타===
협동조합은 법인이므로, 등기를 할 때 신청서류에 첨부되는 총회 등의 의사록은 [[공증]]을 받아한다. (공증인법 제66조의2)
==폐업절차==
협동조합은 법인사업자이므로, 법인 폐업의 절차를 따른다. 관할지역 세무서에가서 해산신고서를 필요한 서류와 제출하고, 이후에 내야할 세금을 해당 기간에 납부한다. 해산한 법인의 경우는 폐업사유는 해산(합병)에 해당된다


== 협동조합의 기관 및 운영 ==
== 협동조합의 기관 및 운영 ==
협동조합은 [[총회]], [[대의원총회]], [[이사회]]의 세 가지 기구로 운영된다.
협동조합은 [[총회]], [[대의원총회]], [[이사회]]의 3가지 기구로 운영된다.


대의원총회는 조합원 200인 이상인 조합에서 총회를 대신하는 기구로서, 설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구이다.
대의원총회는 조합원 200인 이상인 조합에서 총회를 대신하는 기구로서, 설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구이다.
131번째 줄: 89번째 줄:
이사회는 <s>당연히</s> 이사로 구성되는 의결기구이다. 이사의 수는 이사장을 포함하여 3인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조합원 수가 10인 미만인 협동조합에서는 이사회를 두지 않을 수 있다. 이사회는 정관과 규약의 범위 안에서 규정을 제정할 권한을 가진다.
이사회는 <s>당연히</s> 이사로 구성되는 의결기구이다. 이사의 수는 이사장을 포함하여 3인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조합원 수가 10인 미만인 협동조합에서는 이사회를 두지 않을 수 있다. 이사회는 정관과 규약의 범위 안에서 규정을 제정할 권한을 가진다.


협동조합은 반드시 조합원에 대한 교육 및 상담, 협동조합 간 협력, 지역사회 기여 등 세 가지 사업을 필수적으로 시행하고 이를 정관에 포함하여야 한다.
협동조합은 반드시 조합원에 대한 교육 및 상담, 협동조합 간 협력, 지역사회 기여 등 3가지 사업을 필수적으로 시행하고 이를 정관에 포함하여야 한다.
 
== 협동조합 목록 ==
{{참고|분류:협동조합}}
* 협동조합연합회
** [[iCOOP생협사업연합회]]
** [[한국대학생활협동조합연합회]]
 
* 미디어·언론
** [[국민TV 미디어협동조합]]
** [[프레시안]]


* 교통
== 주요 협동조합 ==
** [[쿱택시]] (한국택시협동조합)
* [[국민TV 미디어협동조합]]


* 외식업
== 리브레 협동조합 프로젝트 ==
** [[쿱스치킨]]
{{참조|리브레 위키:리브레 협동조합 프로젝트}}
[[2015년]] [[7월 4일]]부터 협동조합 리브레 위키를 설립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다.


==외부 링크==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22380 협동조합 기본법]
{{각주}}
{{각주}}
[[분류:협동조합|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