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2세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3번째 줄: 43번째 줄:
== 종류 ==
== 종류 ==
1세대와 마찬가지로 발주 기업에 따라 외관이 약간 다르다.
1세대와 마찬가지로 발주 기업에 따라 외관이 약간 다르다.
 
*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철도청: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1차분), 한국철도공사 2000, 5000호대
{| class="wikitable"
*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부산교통공단: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
*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철도청 차량과 비슷)
! 발주처 !! 차량 !! 제작 연도
* 서울메트로: 서울교통공사 2000, 3000호대
|-
* 한국철도공사,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2차분), 한국철도공사 3XX000호대
| rowspan="2" |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 공항철도: 공항철도 1000, 2000호대 (한국철도공사 차량과 비슷)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 (1998~1999)|1000호대 1차분]] || 1998~1999
*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
* 신분당선/경기철도: 신분당선 D000호대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2차분 (2007~2008)|1000호대 2차분]] || 2007~2008
* 부산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
* 하남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서울시메트로9호선 차량과 비슷)
| rowspan="2" | 철도청
| [[#한국철도공사 2000호대 4·5차분, 5000호대 4~6차분 (1999, 2002~2004)|2000호대 4차분]] || 1999
|-
| [[#한국철도공사 2000호대 4·5차분, 5000호대 4~6차분 (1999, 2002~2004)|2000호대 5차분<br />5000호대 4~6차분]] || 2002~2004
|-
|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
|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1·2차분 (2003, 2007)|1000호대 1·2차분]] || 2003, 2007
|-
|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 (2004~2005)|1000호대 1차분]] || 2004~2005
|-
|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1차분 (2004~2005)|2000호대 1차분]] || 2004~2005
|-
| 부산교통공단
|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1차분 (2005)|3000호대 1차분]] || 2005
|-
| 서울메트로
|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1·2차분, 3000호대 1차분 (2005, 2007~2010)|2000호대 1·2차분<br />3000호대 1차분]] || 2005, 2007~2010
|-
| 한국철도공사
| [[#한국철도공사 3XX000호대 (2005~2006, 2009~2014, 2016~2017)|311000호대<br />321000호대<br />331000호대<br />351000호대<br />361000호대<br />371000호대<br />381000호대<br />391000호대]] || 2005~2006, 2009~2014, 2016~2017
|-
| 공항철도
| [[#공항철도 1000호대 1·2차분, 2000호대 1~3차분 (2005~2006, 2009~2010, 2017)|1000호대 1·2차분<br />2000호대 1~3차분]] || 2005~2006, 2009~2010, 2017
|-
| 서울시메트로9호선
|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1~3차분 (2008, 2011, 2016)|9000호대 1~3차분]] || 2008, 2011, 2016
|-
| 신분당선 / 경기철도
| [[#신분당선 D000호대 1·2차분 (2010~2011, 2014~2015)|D000호대 1·2차분]] || 2010~2011, 2014~2015
|-
| 부산교통공사
|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1·2차분 (2015~2018)|1000호대 1·2차분]] || 2015~2018
|-
| 하남시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3차분 (2018)|5000호대 3차분]] || 2018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0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100px>
104번째 줄: 65번째 줄:
파일:Korail Class 381000.jpg|한국철도공사 (삼눈이)
파일:Korail Class 381000.jpg|한국철도공사 (삼눈이)
파일:공항철도 - 1.jpg|공항철도
파일:공항철도 - 1.jpg|공항철도
파일:Metro 9 Class 9000 EMU.jpg|서울시메트로9호선
파일:IRTC-Train-1026.JPG|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2차분)
파일:IRTC-Train-1026.JPG|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2차분)
파일:Metro 9 Class 9000 EMU.jpg|서울시메트로9호선
파일:Shinbundang Line D104.jpg|신분당선/경기철도
파일:Shinbundang Line D104.jpg|신분당선/경기철도
파일:Humetro-NEW1000.jpg|부산교통공사
파일:Humetro-NEW1000.jpg|부산교통공사
251번째 줄: 212번째 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1차분 (2005) ===
===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2005) ===
2005년 개통한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4량의 전동차이다. 차체는 알루미늄이 아닌 스테인리스를 사용했다.
2005년 개통한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4량의 전동차이다. 차체는 알루미늄이 아닌 스테인리스를 사용했다.


284번째 줄: 245번째 줄:
해당 차량들은 모두 저항제어 및 쵸퍼제어 차량들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한 차량들이다.
해당 차량들은 모두 저항제어 및 쵸퍼제어 차량들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한 차량들이다.


=== 한국철도공사 3XX000호대 (2005~2006, 2009~2014, 2016~2017) ===
=== 한국철도공사 3XX000호대,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2차분 (2005~2014, 2016~2017) ===
{{본문|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
{{본문|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


철도 동호인들이 흔히 '''뱀눈이'''와 '''삼눈이'''라 부르는 차량이다.
철도 동호인들이 흔히 '''뱀눈이'''와 '''삼눈이'''라 부르는 차량이다. 인천교통공사 소속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과 거의 유사하기에 같이 설명한다.


=== 공항철도 1000호대 1·2차분, 2000호대 1~3차분 (2005~2006, 2009~2010, 2017) ===
=== 공항철도 1000호대 1·2차분, 2000호대 1~3차분 (2005~2006, 2009~2010, 2017) ===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2차분 (2007~2008) ===
===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1~3차분 (2007~2009, 2011, 2016) ===
[[2009년]] [[인천 도시철도 1호선|1호선]] [[국제업무지구역|국제업무지구]] 연장을 위해 도입한 1편성 8량의 전동차이다. 외관은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와 유사하다.
 
9편성(72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126호: 2007년 로템 제작
* 127~134호: 2008년 현대로템 제작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방향
| colspan="8" | <div style="float: left;">← 하행</div><div style="float: right;">상행 →</div>
|- style="text-align: center;"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7호차
| 8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11__<br />'''Tc'''
| 12__<br />'''M''''
| 13__<br />'''M'''
| 14__<br />'''T'''
| 15__<br />'''T'''
| 16__<br />'''M''''
| 17__<br />'''M'''
| 10__<br />'''Tc'''
|-
|}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1~3차분 (2008, 2011, 2016)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파일:Seoulmetro 9000 car.jpg
</gallery>
 
2009년 개통한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6량의 전동차이다. 생산시기에 따라 2008년에 제작한 1차분, 2011년에 제작한 2차분, 2016년에 제작한 3차분으로 나뉜다. 3차분은 서울교통공사가 소유하지만 운행은 서울시메트로9호선에 위탁한다.
 
1차분은 타오름 방지장치가 달려 있지 않다.
 
3차분의 마지막 차량인 945호를 제외하면 도입할 당시에 4량 편성이었다. 하지만 9호선의 혼잡도가 매우 높았기에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객차를 추가하여 6량으로 늘렸다.
 
45편성(27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901~924호: 2009년 현대로템 제작 (4량)
* 925~936호: 2011년 현대로템 제작 (4량)
* 937~944호: 2016년 현대로템 제작 (4량)
* 945호: 2016년 현대로템 제작 (6량)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방향
| colspan="6" | <div style="float: left;">← 하행</div><div style="float: right;">상행 →</div>
|- style="text-align: center;"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90__<br />'''Tc'''
| 91__<br />'''M''''
| 92__<br />'''M'''
| 93__<br />'''T'''
| 94__<br />'''M''''
| 95__<br />'''Tc'''
|- style="text-align: center;"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rowspan="2" colspan="2" |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90__<br />'''Tc'''
| 91__<br />'''M''''
| 94__<br />'''M''''
| 95__<br />'''Tc'''
|-
|}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신분당선 D000호대 1·2차분 (2010~2011, 2014~2015) ===
=== 신분당선 D000호대 1·2차분 (2010~2011, 2014~2015) ===
[[2011년]]에 개통한 [[신분당선]]을 운행하는 1편성 6량의 전동차이다. 생산시기에 따라 2010~2011년에 제작한 1차분, 2014~2015년에 제작한 2차분으로 나뉘며, 소유 기업은 1차분이 신분당선이고 2차분은 경기철도다.


20편성(12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1·2차분 (2015~2018) ===
* D01~D10호: 2010년 현대로템 제작 (신분당선 소속)
* D11~D12호: 2011년 현대로템 제작 (신분당선 소속)
* D13~D14호: 2014년 현대로템 제작 (경기철도 소속)
* D15~D20호: 2014년 현대로템 제작 (경기철도 소속)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방향
| colspan="6" | <div style="float: left;">← 상행</div><div style="float: right;">하행 →</div>
|- style="text-align: center;"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D1__<br />'''Tc'''
| D2__<br />'''M''''
| D3__<br />'''M''''
| D4__<br />'''T'''
| D7__<br />'''M''''
| D0__<br />'''Tc'''
|-
|}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1·2차분 (2015~2017) ===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8량의 전동차이다. 생산시기에 따라 2015~2016년에 제작한 1차분, 2017년에 제작한 2차분으로 나뉘며, 1차분은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연장을 위해, 2차분은 [[부산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쵸퍼제어 전동차]]를 일부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2차분은 다른 열차와 달리 농형 유도전동기가 아닌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를 사용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11편성(88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146~147호: 2015년 현대로템 제작
* 148~151호: 2016년 현대로템 제작
* 101~105호: 2017년 현대로템 제작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방향
| colspan="8" | <div style="float: left;">← 상행</div><div style="float: right;">하행 →</div>
|- style="text-align: center;"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7호차
| 8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10__<br />'''Tc'''
| 11__<br />'''M''''
| 12__<br />'''M'''
| 13__<br />'''T'''
| 14__<br />'''T'''
| 17__<br />'''M''''
| 18__<br />'''M'''
| 19__<br />'''Tc'''
|-
|}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3차분 (2018) ===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3차분 (2018) ===
[[2020년]] 개통한 [[하남선]]을 위해 도입한 1편성 8량의 전동차이다. 하남시에서 열차를 소유하지만 운영은 서울교통공사에 위탁했다. 외형은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와 거의 동일하다.
4편성(32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577~580호: 2018년 현대로템 제작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 방향
| colspan="8" | <div style="float: left;">← 상행</div><div style="float: right;">하행 →</div>
|- style="text-align: center;"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7호차
| 8호차
|- style="text-align: center;"
! 차량
| 51__<br />'''Tc'''
| 52__<br />'''M''''
| 53__<br />'''M'''
| 54__<br />'''T'''
| 55__<br />'''T'''
| 56__<br />'''M''''
| 57__<br />'''M'''
| 50__<br />'''Tc'''
|-
|}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