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법인 정보
{{철도회사
|법인이름 = 한국철도공사
| 한국어명 = 한국철도공사  
|원어이름 =  
| 일본어명 = 韓國鐵道公社
|로고    = [[파일:Korail logo.svg|150px]]
| 영어명 = Korea Railroad Corporation
|그림    =  
| 배경색 = {{철도 노선색|KR}}
|그림설명 =
| 로고 =  
|법인종류 =  
| 그림설명 =
|주식코드 =  
| 본사 = 철도공동사옥.jpg
|분야    =
| 그림설명2 = 대전역 사옥 (왼쪽)
|창립자  =
| 약칭 = 코레일
|창립일  = 2005년
| 소재지 = 대전광역시
|해산일  =  
| 설립년도 = 2005년
|이전회사 =  
| 해체년도 =
|이후회사 =  
| 권역 = 대한민국
|본사    = 대전광역시
| 연장 = 3,825 km
|지사수  =  
| 웹사이트 = http://korail.com
|인물    =  
|자본금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자산총액 =
|주주    =
|모회사  =
|자회사  =
|종업원  =  
|웹사이트 = http://korail.com
|비고    =
}}
}}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 [[1월 1일]]에 출범한 [[대한민국]]의 [[국유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공기업]]이다. 전신은 [[철도청]]이며, 철도청의 영업부분을 핵심으로 이어받았다. 철도의 건설, 시설 관리, 연구 부분은 [[국가철도공단]]으로 이관되어 있다.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 [[1월 1일]]에 출범한 [[대한민국]]의 [[국유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공기업]]이다. 전신은 [[철도청]]이며, 철도청의 영업부분을 핵심으로 이어받았다. 철도의 건설, 시설 관리, 연구 부분은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이관되어 있다.


== 역사 ==
== 역사 ==
[[철도구조개혁]]을 통해 [[철도청]]을 [[상하분리]] 방식으로 개편하면서 열차 운영을 전문으로 하는 국가 출자 100%의 공기업으로 설립되었다. 당초 주식불하를 통한 [[민영화]]까지 진행하는 걸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해당 건은 무산되었다.


== 조직 ==
== 조직 ==
지역본부는 [[2015년#4월|2015년 4월]] 기준 12개 본부.


{|class=wikitable
=== 본사 ===
! 6실 5본부 5단
[[2015년#4월|2015년 4월]] 기준 6실 5본부 5단
! 지역본부
! 책임운영기관
|-
| style=vertical-align:top; |
* 홍보문화실
* 홍보문화실
* 감사실
* 감사실
* 안전경영본부
* 안전본부
* 여객본부
* 여객본부
* 운전기술단
* 운전기술단
58번째 줄: 40번째 줄:
* 시설기술단
* 시설기술단
* 전기기술단
* 전기기술단
* 프랑스 주재
 
* 중국 주재
=== 지역본부 ===
* 러시아 주재
[[2015년#4월|2015년 4월]] 기준 12개 본부. 여기서 물류 기능을 분리하여 물류본부 산하 6개 사업단으로 재편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본부도 비슷한 구도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 style=vertical-align:top; |
* 강원본부
* 강원본부
* 경북본부
* 경북본부
74번째 줄: 55번째 줄:
* 전북본부
* 전북본부
* 충북본부
* 충북본부
| style=vertical-align:top; |
 
* 정비단(차량기술단 산하)
=== 소속기관 ===
** 대전철도차량정비단
* 대전철도차량정비단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연구원(기술본부 직할)
* 한국철도공사 연구원
* 인재개발원(인재경영실 산하)
* 인재개발원
* IT운영센터(미래전략실 산하)
* 정보기술단
* [[철도 관제|철도교통관제센터]](안전경영본부 산하)
* 철도교통관제센터
* 회계통합센터(재무경영실 산하)
* 회계통합센터
|}
 
=== 해외주재 ===
* 프랑스 주재


=== 계열사 ===
=== 계열사 ===
* [[코레일관광개발]]
* [[코레일 관광개발]]
*: [[열차 승무원]]의 용역파견([[카페열차]] 등의 차내 판매 포함)과 여행업을 담당하는 회사. 여행업의 경우 여행상품 개발 및 폐철도를 이용한 관광지 운영(레일바이크, 바다열차 등)을 하고 있다.
* [[코레일 네트웍스]]
* [[코레일네트웍스]]
* [[코레일 로지스]]
*: 계열사 IT시스템 관리, 역무원의 용역파견(주차장 관리, KTX특송, 철도고객센터 운영 포함),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광명 버스 8507]] 운행, [[레일플러스]] 및 레일포인트 운영을 담당하는 회사.
* [[코레일 유통]]
* [[코레일로지스]]
* [[코레일 테크]]
*: 물류업을 총괄하는 회사로 철도 화물 접수, 야드 운영, 포워더 등을 담당하는 회사. KTX특송은 [[철도 소화물]]에서 파생된 거라 역무를 담당하는 코레일네트웍스에서 받는다.
* [[코레일유통]]
*: [[홍익회]]의 수익사업을 이관 받은 자회사로 [[홍익회]]가 설립한 후 코레일이 매입하는 형태로 이관됐다. 역내 상업시설, 광고시설을 담당한다. "스토리웨이"의 운영사가 이곳.
* [[코레일테크]]
*: 차량정비, 환경정화(청소), 엔지니어링, 경비업을 담당하는 회사. 전기·궤도·차량 3개 시설관리 자회사를 통합하여 설립했으며, 이후 환경정화 및 경비업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된다.
* [[주식회사 SR]]
*: [[수도권고속철도]] 운영사. 당초 국철의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회사로 설립될 예정이었으나 [[민영화]] 논란이 불거지면서 코레일이 제1주주로 들어가는 형태로 무마되었다.


== 사업분야 ==
== 사업분야 ==
* 철도 운행
* 철도 운행
* 역사 관리 : 주요 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코레일테크]]에 이관하고 있다.
* 역사 관리 : 주요 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에 이관하고 있다.
* [[보선|선로 보수]] : [[국가철도공단]]의 업무이지만, 기존선의 유지보수는 철도청을 승계한 코레일 쪽에서 하고 있으며 선로사용료를 유지보수비용과 상계하고 있다. 토목직으로 들어가면 이걸 하는 데 4년제 나와서 기사따고 곡괭이질하고 있으면 현타오기 십상이다.(...)
* 선로 보수 :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업무이지만, 코레일 쪽에서도 작업을 하여 선로 사용료를 경감받고 있다.
* [[철도 관제]] : [[국토교통부]]의 위임을 받아서 고속선을 포함한 국철 구간의 관제를 하고 있다. [[수도권고속철도]]의 출범으로 제3의 기관으로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 [[철도 관제]] : [[국토교통부]]의 위임을 받아서 고속선을 포함한 국철 구간의 관제를 하고 있다. [[수도권고속철도]]의 출범으로 제3의 기관으로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 운행 열차 ==
== 운영현황 ==
; 여객열차
* [[KTX]]
* [[ITX|ITX-새마을]]
* [[ITX|ITX-마음]]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 광역전철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경강선]]
* [[경의·중앙선]]
* [[경춘선]], [[ITX-청춘]]
* [[동해선]]
* [[서해선]]
* [[수인·분당선]]
 
; 관광열차
* [[교육전용열차]]
* [[남도해양열차]]
* [[동해산타열차]]
* [[레일크루즈 해랑]]
* [[백두대간협곡열차]]
* [[서해금빛열차]]
* [[에코레일열차]]
* [[정선아리랑열차]]
* [[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
* [[팔도장터관광열차]]
 
== 운영 노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 문서에서 일반철도 노선<ref>수서평택고속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선과 그 지선, 진접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은 제외</ref>의 역사 및 선로를 관리한다.
 
== 보유 차량 ==
편의상 한국철도공사가 출범한 2005년에 전량 퇴역한 2100호대 디젤기관차와 운행을 종료한 901호 증기기관차는 제외했다.
 
=== 고속열차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이름 !! 호대 !! 도입량 !! 도입연도 !! 비고
|-
| [[KTX (차량)|KTX]]
| 100,000 || 46편성 || 1997~2004 ||
|-
| [[KTX-산천]]
| 110,000 || 24편성 || 2008~2011 ||
|-
| [[SRT]]
| 120,000 || 22편성 || 2013~2014 || SR에 임대
|-
| [[KTX-산천]]
| 140,000 || 15편성 || 2016~2017 || KTX_산천으로도 표기됨
|-
| [[KTX-이음]]
| 150,000 || 19편성 || 2019~2021 ||
|-
|}


=== 간선열차 ===
=== 노선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이름 !! 호대 !! 도입량 !! 도입연도 !! 비고
|- style="background: #eee;"
| [[DHC]]
| - || 62편성 || 1987~1994 || 모두 퇴역
|- style="background: #eee;"
| NDC
| 9,000 || 22편성 || 1984~1989 || 모두 퇴역
|- style="background: #eee;"
| [[CDC]]
| 9,000 || 15편성 || 1996~1999 || 모두 퇴역
|- style="background: #eee;"
| [[RDC]]
| 9,000 || 50편성 || 2008~2010 || 모두 퇴역
|-
| [[누리로]]
| 200,000 || 8편성 || 2009 ||
|-
| [[ITX-새마을]]
| 210,000 || 23편성 || 2013~2014 ||
|-
| [[ITX-마음]]
| 220,000 || 27편성 || 2022~2024 ||
|-
|}


=== 통근형 전동차 ===
* [[수서평택고속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아닌 [[주식회사 SR|SR]]이 운영한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화순선]][[서천화력선]][[사설철도]] 철도공사의 영업거리표에서 제외된다.
! 호대 !! 도입량 !! 도입연도 !! 비고
|- style="background: #eee;"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 || 94편성 || 1974~1997 || 모두 퇴역
|-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3,000]] || 27편성 || 1995~2024 || [[서울교통공사]] 차량과 번호를 공유
|-
| 311,000 || 253편성 || 1996~2024 || 319000호대 포함<br />일부 퇴역
|-
| 321,000 || 21편성 || 2006~2009 ||
|-
| 331,000 || 27편성 || 2009~2014 ||
|-
| 341,000 || 55편성 || 1993~2024 ||
|-
| 351,000 || 79편성 || 1993~2024 ||
|-
| 361,000 || 14편성 || 2010 ||
|-
| 368,000 || 8편성 || 2011 || [[ITX-청춘]]
|-
| 371,000 || 12편성 || 2016 ||
|-
| 381,000 || 17편성 || 2016~2018 ||
|-
| 391,000 || 17편성 || 2017~2022 ||
|-
|}


=== 디젤기관차 ===
=== 차량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 호대 !! 도입량 !! 도입연도 !! 비고
|-
|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기관차|4,400]] || 59량 || 2001~2004 ||
|- style="background: #eee;"
|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관차|7,000]] || 15량 || 1986~1987 || 모두 퇴역
|- style="background: #eee;"
| 7,100 || 90량 || 1975~1985 || 모두 퇴역
|- style="background: #eee;"
| 7,200 || 40량 || 1971~1980 || 모두 퇴역
|-
| 7,300 || 83량 || 1989~1996 || 일부 퇴역
|-
| 7,400 || 84량 || 1997~2000 || 일부 퇴역
|-
| 7,500 || 76량 || 1971~1996 || 일부 퇴역
|-
|}


=== 전기기관차 ===
=== 코레일 멤버쉽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 호대 !! 도입량 !! 도입연도 !! 비고
|-
| 8,000 || 94량 || 1972~1990 || 일부 퇴역
|-
| 8,100 || 2량 || 1998 ||
|-
| 8,200 || 83량 || 2003~2008 ||
|-
| 8,500 || 87량 || 2012~2014 ||
|-
|}


== 사건사고 ==
== 사건사고 ==


== 관련 문서 ==
== 같이 보기 ==
* [[한국철도공사/직제]]
* [[한국철도공사/역명코드]]
* [[서울교통공사]]
* [[서울교통공사]]
* [[국가철도공단]]
* [[한국철도시설공단]]


{{각주}}
{{한국철도공사}}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분류:공기업]]
[[분류:2005년 설립]]
[[분류:2005년 설립]]
[[분류:한국철도공사|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