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연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한국사]]
[[분류:한국사]]
[[분류:연표]]
[[분류:연표]]
{{연표}}


[[한국사]]에 관련한 연표입니다.
[[한국사]]에 관련한 연표입니다.


==[[선사시대]]==
==[[선사시대]]==
*약 70만 년 ([[구석기 시대]]) 북방대륙에서 한반도로 인류가 이주하여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
*약 70만년 한반도에 [[구석기 시대]]의 인간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됨
*약 1만 년~8천 년 [[중석기 시대]]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
*약 1만년~7천년 한반도에서 [[신석기 시대]]가 열렸던 것으로 보임
*기원전 약 8000년~기원전 약 2000년 [[신석기 시대]]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
*약 6~4천년 전 [[청동기 시대]]로 추정됨
*기원전 2000년~기원전 약 1500년의 것으로 추정되는 제련기술을 도입한 유물이 출토됨에 따라 [[청동기 시대]]에 들었을 것이라 추정.
*기원전 약 700~500(~300)년 경, [[고조선]]에 철기가 전래되어 [[철기시대]]가 열림 (고조선의 철기 전래는 [[기원전 8세기]] 부터 [[기원전 6세기]] 사이로 본다)
 
==기원전==
==기원전==
===[[기원전 24세기]]===
===[[기원전 24세기]]===
*[[단군 신화]]에 따르면 하늘의 자손인 환웅과,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 사이에서 (고)조선인의 시조인 [[단군왕검]]이 태어났다고 전해짐.
*기원전 [[2333년]] 단군왕검이 아사달에 고조선을 건국(정확한 시기는 비정된 것이 아니며, 이 년도는 정사가 아닌 [[동국통감]]의 기록에 따른 것, [[제왕운기]], [[삼국유사]]에 따라 년도가 다름. [http://xakyntos.egloos.com/v/2268208 참조])
*기원전 2333년, 성장한 단군왕검이 [[아사달]](지금의 평양 혹은 황해남도 인근으로 추정)에 조선을 건국.
** 단, 정확한 시기는 비정된 것이 아니며, 기원전 2333년(단기 1년)이라는 것도 정사가 아닌 [[동국통감]]의 기록에 따른 것이다. 다른 기록인 [[제왕운기]], [[삼국유사]] 등에서는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http://xakyntos.egloos.com/v/2268208 참조]


===[[기원전 4세기]]===
===[[기원전 8세기]]===
*기원전 320년:학자들이 보는 고조선의 칭왕 시점
[[고조선]]에 철기가 전래되어 [[철기시대]]가 열림 (고조선의 철기 전래는 [[기원전 8세기]] 부터 [[기원전 6세기]] 사이로 본다)
===[[기원전 3세기]]===


===[[기원전 2세기]]===
===[[기원전 2세기]]===
*기원전 194년 [[위만]]이 [[고조선]]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고 [[위만조선]]을 세운다.
*기원전 194년 [[위만]]이 [[고조선]]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고 [[위만조선]]을 세운다
*기원전 128년 예군[[남려]]가 자신을 따르는 무리를 이끌고 한나라에 투항한다.
*기원전 108년 [[고조선]]의 왕검성이 한나라에 의해 함락되면서 멸망한다. 이후 한은 4개의 군을 설치하였으나 낙랑군을 제외하면 얼마 버티지 못하고 유명무실해 진다.
*기원전 108년 [[고조선]]의 왕검성이 한나라에 의해 함락되면서 멸망한다. 이후 한은 4개의 군을 설치하였으나 낙랑군을 제외하면 얼마 버티지 못하고 유명무실해 진다.


33번째 줄: 27번째 줄:
==기원후==
==기원후==
===[[1세기]]===
===[[1세기]]===
*53년 [[고구려]]의 [[태조왕]]즉위
*53년 [[고구려]]의 [[태조왕 즉위]]
*56년 [[고구려]]의 옥저 복속
*56년 [[고구려]]의 옥저 복속


80번째 줄: 74번째 줄:
*675년 신라와 당나라간의 매소성 전투가 벌어진다.
*675년 신라와 당나라간의 매소성 전투가 벌어진다.
*676년
*676년
**신라와 당나라간의 [[기벌포 전투]]가 벌어진다.
**신라와 당나라간의 [[기벌포 전투]]가 벌어진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대동강]]-[[원산만]] 이남에 머무르는 불완전한 통일이라는 의견도 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대동강]]-[[원산만]] 이남에 머무르는 불완전한 통일이라는 의견도 있다.
*681년 [[신라]]에서 김흠돌 모역사건이 발생하다. 진골 귀족 세력이 숙청되고 전제 왕권이 강화되었다.
*681년 [[신라]]에서 김흠돌 모역사건이 발생하다. 진골 귀족 세력이 숙청되고 전제 왕권이 강화되었다.
103번째 줄: 97번째 줄:
*927년 후백제가 신라를 침공한다.
*927년 후백제가 신라를 침공한다.
*935년 [[신라]]의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면서 [[신라]]가 멸망한다.
*935년 [[신라]]의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면서 [[신라]]가 멸망한다.
*936년 [[일리천 전투]]에서 [[고려군]][[후백제군]]승리하면서 후백제를 멸망시킨다. 이로써 후삼국 시대가 끝나고 새로운 통일국가가 한반도에 들어서게 된다. 일반적으로 [[한국사]]에서는 이때부터를 [[중세]]시대의 시작으로 본다.
*936년 [[일리천 전투]]에서 [[고려]]군이 [[후백제]]군에 승리하면서 후백제를 멸망시킨다. 이로써 후삼국 시대가 끝나고 새로운 통일국가가 한반도에 들어서게 된다. 일반적으로 [[한국사]]에서는 이때부터를 [[중세]]시대의 시작으로 본다.
*945년 왕규의 난이 발생.
*945년 왕규의 난이 발생.
*956년 광종이 노비안검법을 실시.
*956년 광종이 노비안검법을 실시.
156번째 줄: 150번째 줄:
*[[1377년]] [[직지심체요절]] 인쇄됨. 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물이다.
*[[1377년]] [[직지심체요절]] 인쇄됨. 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물이다.
*[[1388년]]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서 쿠데타를 일으킨다. 이를 [[위화도 회군]]이라 한다.
*[[1388년]]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서 쿠데타를 일으킨다. 이를 [[위화도 회군]]이라 한다.
*[[1389년]] 박위가 이성계의 명을 받아 대마도([[쓰시마섬]])을 정벌한다.
*[[1389년]] 박위가 이성계의 명을 받아 대마도([[쓰시마 섬]])을 정벌한다.
*[[1392년]]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다. 국호를 조선이라고 변경한 것은 이듬해인 [[1393년]]이다.
*[[1392년]]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다. 국호를 조선이라고 변경한것은 이듬해인 [[1393년]]이다.
*[[1394년]] 조선의 도읍을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했다.
*[[1394년]] 조선의 도읍을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했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이 발생한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이 발생한다.
179번째 줄: 173번째 줄:
*[[1543년]] 주세붕이 백운동 서원을 건립한다. 이는 조선 최초의 서원이다. 이 서원은 [[1550년]]에 소수서원이란 이름을 사액받는다.
*[[1543년]] 주세붕이 백운동 서원을 건립한다. 이는 조선 최초의 서원이다. 이 서원은 [[1550년]]에 소수서원이란 이름을 사액받는다.
*[[1545년]] 문정왕후 윤씨의 집안 싸움이 발단이 되어 을사사화가 일어난다. 이로 인하여 윤임을 필두로 한 대윤파가 숙청을 당하게 된다. 그러나 그걸로 모자랐는지, 이듬해인 [[1546년]]에 윤원로와 윤원형 형제와의 권력 싸움을 행했으며, [[1547년]]에는 조작된 사건을 빌미로 정미사화를 일으켜 대윤파를 또다시 숙청한다.
*[[1545년]] 문정왕후 윤씨의 집안 싸움이 발단이 되어 을사사화가 일어난다. 이로 인하여 윤임을 필두로 한 대윤파가 숙청을 당하게 된다. 그러나 그걸로 모자랐는지, 이듬해인 [[1546년]]에 윤원로와 윤원형 형제와의 권력 싸움을 행했으며, [[1547년]]에는 조작된 사건을 빌미로 정미사화를 일으켜 대윤파를 또다시 숙청한다.
*[[1555년]] 을묘왜변이 발생하다.
*[[1575년]]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갈라진다. 이 때부터 길고 긴 붕당의 역사가 시작된다
*[[1575년]]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갈라진다. 이 때부터 길고 긴 붕당의 역사가 시작된다
*[[1592년]]
*[[1592년]]
307번째 줄: 300번째 줄:
**[[의열단]]의 [[김익상]]이 [[조선 총독부]]를 공격하다.
**[[의열단]]의 [[김익상]]이 [[조선 총독부]]를 공격하다.
**[[방정환]]이 [[천도교 소년회]]를 조직하다.
**[[방정환]]이 [[천도교 소년회]]를 조직하다.
**[[물산장려운동]]이 평양에서 [[조만식 (1882년)|조만식]]에 의해 시작된다.
**[[물산장려운동]]이 평양에서 [[조만식]]에 의해 시작된다.
*[[1922년]]
*[[1922년]]
**[[3부]]가 만주 지역에서 창설된다.
**[[3부]]가 만주 지역에서 창설된다.
382번째 줄: 375번째 줄:
*[[1960년]]
*[[1960년]]
**[[3·15부정선거]]를 원인으로 한 [[4·19혁명]]이 일어나 이승만이 하야했다.
**[[3·15부정선거]]를 원인으로 한 [[4·19혁명]]이 일어나 이승만이 하야했다.
*[[1961년]]
*[[1962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
**5월 16일 [[5•16 군사정변]]
*[[1963년]]
*[[1963년]]
398번째 줄: 391번째 줄:
**[[10월 26일]]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을 쏘았다.
**[[10월 26일]]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을 쏘았다.
**[[12월 12일]] [[전두환]],[[노태우]] 등 하나회가 [[12.12군사 반란]]을 일으켰다.
**[[12월 12일]] [[전두환]],[[노태우]] 등 하나회가 [[12.12군사 반란]]을 일으켰다.
*[[1980년]]
**[[5월 18일]] 신군부의 계엄령으로 모든 학교 휴교, 언론 통제 상황이 벌어지자 광주 시민들이 민주화를 요구하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시작하지만, [[신군부]]는 공수부대를 광주로 투입시켜 광주 시민들을 무차별 학살한다.
*[[1986년]]
*[[1986년]]
**서울에서 [[서울 아시안게임]]이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서울 올림픽]] 이전에 사전 개최능력을 점검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한국은 금메달 90개로 종합 2위를 달성한다.
**서울에서 [[서울 아시안게임]]이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서울 올림픽]] 이전에 사전 개최능력을 점검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한국은 금메달 90개로 종합 2위를 달성한다.
*[[1987년]]
*[[1987년]] : [[6월 민주항쟁]]
**[[6월 10일]] [[4.13 호헌조치]]와 [[이한열]] 연세대생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것이 도화선이 되어 [[6월 민주항쟁]]이 일어난다.
**[[6월 29일]] 직선제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노력 끝에 [[노태우]]가 [[6.29 선언]]을 발표하자 [[6월 민주항쟁]]은 끝이 난다.
*[[1988년]]
*[[1988년]]
**서울에서 [[서울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냉전 상대 진영 국가의 대규모 보이콧으로 반쪽짜리 대회로 끝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과 [[1984년]] [[LA 올림픽과]] 달리 양 진영에서 160개국이 참가함으로써 냉전 종식의 신호탄과 같은 구실을 하였다.
**서울에서 [[서울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냉전 상대 진영 국가의 대규모 보이콧으로 반쪽짜리 대회로 끝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과 [[1984년]] [[LA 올림픽과]] 달리 양 진영에서 160개국이 참가함으로써 냉전 종식의 신호탄과 같은 구실을 하였다.
414번째 줄: 403번째 줄:
*[[1994년]]
*[[1994년]]
**[[7월 8일]] 북한의 {{ㅊ|태조}} 주석인 [[김일성]]이 사망한다.
**[[7월 8일]] 북한의 {{ㅊ|태조}} 주석인 [[김일성]]이 사망한다.
*[[1995년]]
**[[6월 29일]] 대한민국 최악의 인재 사고중 하나인 [[삼풍백화점 붕괴|삼풍백화점이 붕괴했다.]]
*[[1997년]]
**[[12월 3일]] 대한민국이 국가부도 상황에 처해 IMF에 구제금융 요청을 했고, 이로 인해 [[1997년 외환 위기|IMF 경제위기]]가 발생한다.
*[[1999년]]
*[[1999년]]
**[[6월 15일]] 북한의 고속정이 우리 해군의 참수리 고속정을 공격하면서 1차 [[연평해전]]이 발발한다.
**[[6월 15일]] 북한의 고속정이 우리 해군의 참수리 고속정을 공격하면서 1차 [[연평해전]]이 발발한다.
427번째 줄: 412번째 줄:
*[[2002년]]
*[[2002년]]
**[[5월 31일]] [[2002년]] 한일월드컵이 개막된다. 이 대회에서 한국은 4위라는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두게 된다.
**[[5월 31일]] [[2002년]] 한일월드컵이 개막된다. 이 대회에서 한국은 4위라는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두게 된다.
**[[6월 29일]] 2차 [[연평해전]]이 발발한다.
**[[6월 29일]] 2차 [[연평해전]] 발발.
*[[2003년]]
**[[2월 25일]] 대한민국의 16대 대통령인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했다.
*[[2004년]]
**[[3월 12일]]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2006년]]
**[[10월 9일]] 북한의 1차 핵실험이 실시되다.
*[[2008년]]
**[[2월 10일]] [[숭례문 방화 사건]]이 일어나고, 이 일로 인해 [[2013년]]까지 숭례문은 복구 작업에 들어갔다. <ref> [http://news.donga.com/Series/70030000000640/3/all/20080211/8542636/1 숭례문 전소 붕괴… 국보 1호를 잃었다] 동아일보. [[2008년]] [[2월 11일]]</ref>
**[[2월 25일]] 대한민국의 17대 대통령인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했다.
*[[2009년]]
**[[5월 25일]] 북한의 2차 핵실험이 실시되다.
*[[2010년]]
*[[2010년]]
**[[11월 23일]] [[북한]]이 [[연평도]]를 도발성 목적으로 포격하다.
**[[북한]]이 [[연평도]]를 공격하다.  
*[[2011년]]  
*[[2011년]]  
**[[12월 17일]] [[북한]]의 지도자, [[김정일]]이 사망하고 [[김정은]]이 집권하다.
**[[북한]]의 지도자, [[김정일]]이 사망하고 [[김정은]]이 집권하다.
*[[2013년]]
 
**[[2월 12일]] 북한의 3차 핵실험이 실시되다.
 
**[[2월 25일]] 대한민국의 18대 대통령인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했다.
*[[2014년]]
**[[4월 16일]] 국내 최악의 해상사고인 [[세월호 침몰 사고]]가 일어났다.
*[[2016년]]
**[[1월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이 실시되다.
**[[9월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이 실시되다.
**[[10월 24일]] [[JTBC 뉴스룸]]에서 태블릿 PC를 기반으로 최순실이 국정에 개입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수면으로 올라왔다. <ref>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340632 <단독> 최순실 PC 파일 입수…대통령 연설 전 연설문 받았다] JTBC, [[2016년]] [[10월 24일]]</ref>
**[[10월 28일]] 시민들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분노하며 이날을 기점으로 [[3월 11일]]까지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대규모 시위]]가 일어난다. <ref>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16454.html 촛불, 광화문 광장에 다시 모이다], 한겨레, [[2016년]] [[10월 28일]] </ref>
**[[12월 3일]] [[박근혜 대통령 퇴진운동]]의 영향으로 탄핵소추안이 검토되기 시작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03/0200000000AKR20161203006600001.HTML?input=1195m '야3당+무소속' 의원 171명, 朴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연합뉴스, [[2016년]] [[12월 3일]]</ref> 또한 이날 일어난 시위에서 역대 최다 인원인 232만명이 모여 헌정 사상 최대 인원을 기록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03/0200000000AKR20161203006600001.HTML?input=1195m 헌정사상 최대 인파… '촛불 232만개' 청와대 포위], 중앙일보, [[2016년]] [[12월 3일]]</ref>
**[[12월 9일]] [[국회의사당]]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었다.<ref>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10/2016121000102.html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조선일보, [[2016년]] [[12월 9일]]</ref>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박근혜]]가 파면되다.<ref>[http://www.huffingtonpost.kr/2017/03/10/story_n_15257070.html 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박근혜 탄핵심판에서 '파면'을 결정하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7년]] [[3월 10일]]</ref>
**[[3월 22일]] [[2014년]] [[4월 16일]]에 침몰한 세월호를 인양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87669.html 3년 만에 떠오른 세월호, “이렇게 꺼낼 수 있는데…”] 한겨레, [[2017년]] [[3월 22일]]</ref>
**[[5월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19대 대통령 선거]]가 조기에 치뤄졌다.
**[[5월 10일]] 대한민국의 19대 대통령인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했다.
**[[8월 8일]] [[MBC 블랙리스트]]에 대한 사실이 수면위로 올라와 KBS와 MBC 총파업의 원인이 된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805960.html#csidx914cf9d2677684b888ccd4a594df5bd '기자 등급 분류·요주의 인물…MBC판 ‘블랙리스트’ 있었다], 한겨레, [[2017년]] [[8월 8일]]</ref>
**[[9월 3일]] 북한의 6차 핵실험.
**[[9월 4일]] KBS, MBC의 정상화, 그리고 대한민국 언론의 총체적 개혁을 목표로 KBS와 MBC가 5년만에 단체 총파업에 들어갔다. <ref>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8730 “언론적폐 청산” 4일 0시 KBS·MBC 총파업 돌입] 미디어오늘, [[2017년]] [[9월 3일]]</ref>
**[[11월 13일]] 방문진이 MBC 사장 김장겸이 [[MBC 블랙리스트]]에 간섭했다는 것을 인정하며 김장겸을 MBC 사장에서 해임시켰다.<ref>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13/0200000000AKR20171113100600033.HTML 방문진, 김장겸 MBC 사장 해임안 의결] 연합뉴스, [[2017년]] [[11월 13일]]</ref> 그리고 MBC 노동조합은 파업 중단시기에 대한 논의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ref> [http://www.huffingtonpost.kr/2017/11/13/story_n_18539306.html MBC 노동조합이 파업 중단 시점에 대한 논의에 들어갔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7년]] [[11월 13일]]</ref>
**[[11월 13일]] 이날 JSA에서는 북한군 병사가 [[2017년 공동경비구역 북한군 귀순 사건|귀순 의사로 판문점을 넘어오는 사건]]이 있었다.<ref>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14/0200000000AKR20171114061051014.HTML?input=1195m 귀순 북한군, 군용 지프로 MDL까지 접근…北추격조 40여발 총격(종합)] 연합뉴스, [[2017년]] [[11월 13일]]</ref>
**[[12월 21일]] 충청북도 제천시에 위치한 스포츠 센터에서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대형 화재사건]]이 일어났다.
*[[2018년]]
**[[1월 5일]] 첫 고위급 남북회담이 성사되면서 23개월 만에 판문점에 있는 남북 연락채널이 복구되었다.<ref> [https://www.dailian.co.kr/news/view/684950/?sc=naver 문재인정부 첫 고위급 남북회담 성사…냉탕·온탕 남북관계 70년] 데일리안, [[2018년]] [[1월 5일]]</ref>
**[[1월 24일]] KBS 사장 고대영이 해임되면서 KBS의 파업도 소강 상태로 접어들었다.<ref> [http://www.huffingtonpost.kr/2018/01/24/story_n_19068150.html "PD가 돌아왔어요"..박명수도 감격한 KBS 파업 끝 정상화<종합>]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8년]] [[1월 24일]]</ref>
**[[1월 26일]]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한 병원에서 [[밀양 세종병원 화재|대형 화재]]가 발생했다.<ref> [http://www.ytn.co.kr/_ln/0115_201801261013313976_001 <속보> 밀양 세종병원 화재...16명 사망·50여명 부상] YTN, [[2018년]] [[1월 26일]]</ref>


----
----
{{주석}}
{{주석}}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