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음악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하우스 음악'''({{영어|house music}})은 1980년 중반부터 시작된 여러 [[일렉트로니카]] 음악 스타일의 총칭이다. 120과 140사이의 [[BPM]]에 4/4박자 포 온더 플로어 리듬이 특징인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주요한 한 장르이기도 하다.<ref name="laist.com" >{{웹 인용|url=https://laist.com/2007/10/04/understanding_h.php|제목=Understanding House Music|last=(C)|날짜=4 October 2007|웹사이트=laist.com|출판사=LAist|확인날짜=2020-1-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1106124433/http://laist.com/2007/10/04/understanding_h.php|보존날짜=2017-12-6|url-status=dead}}</ref>80년대 [[시카고]]의 [[DJ]]들이 더 기계적인 비트 더 깊은 베이스라인을 사용하면서 '''[[디스코]]'''가 시카고 클럽의 [[서브컬처]]에 의해 대체되면서 탄생한 장르다.<ref name="allmusic.com">{{웹 인용|url=http://www.allmusic.com/subgenre/house-ma0000002651|제목=House Music Genre Overview - AllMusic|확인날짜=5 September 2016|보존날짜=6 October 201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006233620/http://www.allmusic.com/subgenre/house-ma0000002651|url-status=live}}</ref> "하우스"의 어원은 디스코 음악과 유로 신스팝 음악을 혼합한 시카고의 DJ, 프랭키 너클즈가 활동하던 창고 클럽에서 따왔다고 한다. 그의 클럽 단골들이 "하우스"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전해진다. 여기서 말하는 "하우스"는 클럽이라는 공간을 지칭한다. 즉 원래의 의미인 집(house)과는 다른 의미로서, 클럽이라는 하우스에서 만들어진 강한 비트의 댄서블(Danceable)한 음악을 가리키는 것이다. 하지만, 프랭키는 그 당시 새로운 음악 형태를 만들지 않았으며, Chip E.의 초기 작품 "It's House"가 새로운 전자 음악의 형태를 정의했고 이를 "하우스 음악"이라 명명했다는 주장도 있다.
하우스 음악({{llang|en|house music}})은 1980년 중반부터 시작된 여러 [[일렉트로니카]] 음악 스타일의 총칭이다. 120과 130사이의 [[BPM]]에 4/4박자 포 온더 플로어 리듬이 특징인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주요한 한 장르이기도 하다.<ref name="laist.com" >{{웹 인용|url=https://laist.com/2007/10/04/understanding_h.php|제목=Understanding House Music|last=(C)|날짜=4 October 2007|웹사이트=laist.com|출판사=LAist|확인날짜=2020-1-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1106124433/http://laist.com/2007/10/04/understanding_h.php|보존날짜=2017-12-6|url-status=dead}}</ref>80년대 [[시카고]]의 [[DJ]]들이 더 기계적인 비트 더 깊은 베이스라인을 사용하면서 '''[[디스코]]'''가 시카고 클럽의 [[서브컬처]]에 의해 대체되면서 탄생한 장르다.<ref name="allmusic.com">{{웹 인용|url=http://www.allmusic.com/subgenre/house-ma0000002651|제목=House Music Genre Overview - AllMusic|확인날짜=5 September 2016|보존날짜=6 October 201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006233620/http://www.allmusic.com/subgenre/house-ma0000002651|url-status=live}}</ref> "하우스"의 어원은 디스코 음악과 유로 신스팝 음악을 혼합한 시카고의 DJ, 프랭키 너클즈가 활동하던 창고 클럽에서 따왔다고 한다. 그의 클럽 단골들이 "하우스"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전해진다. 여기서 말하는 "하우스"는 클럽이라는 공간을 지칭한다. 즉 원래의 의미인 집(house)과는 다른 의미로서, 클럽이라는 하우스에서 만들어진 강한 비트의 댄서블(Danceable)한 음악을 가리키는 것이다. 하지만, 프랭키는 그 당시 새로운 음악 형태를 만들지 않았으며, Chip E.의 초기 작품 "It's House"가 새로운 전자 음악의 형태를 정의했고 이를 "하우스 음악"이라 명명했다는 주장도 있다.


시카고에서 발생한 시카고 하우스, 그리고 흑인 음악을 중심으로 뉴욕에서 발생한 뉴욕 하우스(US 개러지) 이 둘의 하우스 음악의 시초이다. 훗날 뉴욕 하우스에서 UK 개러지가 파생되고 UK 개러지에서 2010년대 초반을 휩쓸었던 덥스텝이 탄생하게 된다. 반면 시카고 하우스는 테크노<ref>한국에서 알려진 테크노와는 크게 다르다.</ref>, 멜버른 바운스, <ref>애시드 하우스의 영향을 받았다.</ref> 사이키델릭 트랜스,<ref>마찬가지로 애시드 하우스의 영향을 받았다.</ref> 딥 하우스 등의 수 많은 장르의 탄생에 기여한다.
시카고에서 발생한 시카고 하우스, 그리고 흑인 음악을 중심으로 뉴욕에서 발생한 뉴욕 하우스(US 개러지) 이 둘의 하우스 음악의 시초이다. 훗날 뉴욕 하우스에서 UK 개러지가 파생되고 UK 개러지에서 2010년대 초반을 휩쓸었던 덥스텝이 탄생하게 된다. 반면 시카고 하우스는 테크노<ref>한국에서 알려진 테크노와는 크게 다르다.</ref>, 멜버른 바운스, <ref>애시드 하우스의 영향을 받았다.</ref> 사이키델릭 트랜스,<ref>마찬가지로 애시드 하우스의 영향을 받았다.</ref> 딥 하우스 등의 수 많은 장르의 탄생에 기여한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 특징 ==
== 특징 ==
전형적으로 하우스 음악은 반복적인 포 온더 플로어 비트와 변칙적인 하이햇, 스네어, 클랩(박수)가 들어가고 120에서 130사이의 bpm, 신시사이저, 딥한 베이스라인이 특징인데 필수는 아니지만 가끔 샘플 보컬이나 노래를 삽입하기도 한다. 하우스의 비트 구조에서는 한 마디에 4번 킥(베이스 드럼)을 찍고 1번째와 3번째 박자에서 베이스 드럼과 스네어가 동시에 나오고 하이햇 같은 피치가 높은 타악기가 2번째와 4번째 박에 나온다. 대부분 드럼 비트는 TR-909, TR-808같은 [[드럼 머신]]으로 만드는데<ref name="snoman">종종 Rick Snoman이나 [https://books.google.co.uk/books?id=GRdmAQAAQBAJ&pg=PT267 ''Dance Music Manual: Tools, Toys, and Techniques'', page 267]{{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426062236/https://books.google.co.uk/books?id=GRdmAQAAQBAJ&pg=PT267 |날짜=2017-04-26 }}CRC Press</ref>나 TR-707으로 만들기도 한다. 클랩, 쉐이커, 스네어 드럼이나 하이햇을 엇박자에 넣어 당김음 효과를 내기도 한다.<ref name="Hydlide">{{웹 인용|url=https://www.reasonexperts.com/basic-elements-house-music.html|제목=Basic Elements: House Music |저자=Hydlide |날짜=12 October 2016|웹사이트=www.reasonexperts.com |출판사=Reason |확인날짜=7 January 2020 |quote=Reasonexperts Propellerhead Reason tutorials made by Hydlide |보존날짜=19 May 202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00519174621/https://www.reasonexperts.com/basic-elements-house-music.html |url-status=live }}</ref> 최초의 하우스 음악인 시카고 하우스는 아래 영상에서 예시로 보여줄 클래브 리듬을 사용하기도 했다.<ref name="Clave">Acland, Charles R. (2007). ''Residual Media'' . Minnesota Press. {{ISBN|9780816644728}}. Quote: "The legacy of musical adventures with Latin dance music can still be heard in, for example, the dominance of salsa clave rhythms in the riffs of house music."</ref>콩가와 봉고(악기)는 아프리카의 느낌을 위해서 사용되고 금속 타악기는 라틴 느낌을 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ref name="Hydlide"/>
전형적으로 하우스 음악은 반복적인 포 온더 플로어 비트와 변칙적인 하이햇, 스네어, 클랩(박수)가 들어가고 120에서 130사이의 bpm, 신시사이저, 딥한 베이스라인이 특징인데 필수는 아니지만 가끔 샘플 보컬이나 노래를 삽입하기도 한다. 하우스의 비트 구조는 1번째와 3번째 박자에서 베이스 드럼과 스네어가 동시에 나오고 피치가 높은 하이햇 같은 타악기가 2번째와 4번째 박에 나온다. 대부분 드럼 비트는 TR-909, TR-808같은 [[드럼 머신]]으로 만드는데<ref name="snoman">종종 Rick Snoman이나 [https://books.google.co.uk/books?id=GRdmAQAAQBAJ&pg=PT267 ''Dance Music Manual: Tools, Toys, and Techniques'', page 267]{{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426062236/https://books.google.co.uk/books?id=GRdmAQAAQBAJ&pg=PT267 |날짜=2017-04-26 }}CRC Press</ref>나 TR-707으로 만들기도 한다. 클랩, 쉐이커, 스네어 드럼이나 하이햇은 엇박자에 넣어 당김음 효과를 내기도 한다.<ref name="Hydlide">{{웹 인용|url=https://www.reasonexperts.com/basic-elements-house-music.html|제목=Basic Elements: House Music |저자=Hydlide |날짜=12 October 2016|웹사이트=www.reasonexperts.com |출판사=Reason |확인날짜=7 January 2020 |quote=Reasonexperts Propellerhead Reason tutorials made by Hydlide |보존날짜=19 May 202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00519174621/https://www.reasonexperts.com/basic-elements-house-music.html |url-status=live }}</ref> 최초의 하우스 음악인 시카고 하우스는 아래 영상에서 예시로 보여줄 클래브 리듬을 사용하기도 했다.<ref name="Clave">Acland, Charles R. (2007). ''Residual Media'' . Minnesota Press. {{ISBN|9780816644728}}. Quote: "The legacy of musical adventures with Latin dance music can still be heard in, for example, the dominance of salsa clave rhythms in the riffs of house music."</ref>콩가와 봉고(악기)는 아프리카의 느낌을 위해서 사용되고 금속 타악기는 라틴 느낌을 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ref name="Hydlide"/>


<!--{{유튜브|uxDIzbeceDY|||thumbleft|이게 바로 라틴 음악에 쓰이는 클래브(Clave) 리듬}}-->
<!--{{유튜브|uxDIzbeceDY|||thumbleft|이게 바로 라틴 음악에 쓰이는 클래브(Clave) 리듬}}-->
{{유튜브|HIyhQGLhw-U|400px|250px|thumbleft|테크 하우스에서 사용된 예 {{ㅊ|뛰뽕삭}}}}
{{유튜브|HIyhQGLhw-U|400px|250px|thumbleft|테크 하우스에서 사용된 예 {{ㅊ|뛰뽕삭}}}}{{유튜브|B9uHG7IHW-M|400px|250px|thumbleft|게토 하우스|\}}{{-}}
{{유튜브|B9uHG7IHW-M|400px|250px|thumbleft|게토 하우스, 여담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PSE_kwssbHo Mr Rush - Happy Land EP B2] 여기서 샘플로 사용되었다. <del>제목이 욕설이다</del>|\}}{{-}}


때로는 드럼 사운드에 디스토션(왜곡) 효과를 걸어 공격적인 사운드가 되기도 한다.<ref name="Hydlide"/> 오래된 장르인 애시드 하우스는 롤랜드 TB-303 베이스 신시사이저로 만들어진 뿅뿅거리는 소리{{ㅊ|삐비빅삑삑}}를 사용하기도 했다. 하우스 음악은 싸고 소비자 친화적인 전자 장비로 만들어진 덕분에 인디 레이블이나 하우스 DJ들이 트랙을 쉽게 만들 수 있었는데<ref name="rietveld">Rietveld, Hillegonda C. (1998). ''This is our House: House Music, Cultural Spaces and Technologies'', Aldershot Ashgate. Reissue: London/New York: Routledge 2018/2020. {{ISBN|036713411X}}. Cited from [https://books.google.de/books?id=1_eCDwAAQBAJ online book preview]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1008194549/https://books.google.de/books?id=1_eCDwAAQBAJ |날짜=2020-10-08 }}, Jan. 20, 2020.</ref> 그들이 사용하던 드럼머신과 장비들이 싼티나는 소리를 낸다는 인식이 있었다.<ref name="Warwick">{{웹 인용 |url=https://www.redbull.com/ca-en/house-music-faq |제목=House music changed clubbing forever. From disco to footwork, via Frankie Knuckles, Mr Fingers and techno, here are the basics you need to know before stepping onto the dancefloor. |last=Warwick |first=Oli |날짜=2 April 2019 |웹사이트=www.redbull.com |출판사=Red Bull |확인날짜=18 January 2020 |보존날짜=8 October 202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01008194552/https://www.redbull.com/ca-en/house-music-faq |url-status=live }}</ref> 하우스 음악 프로듀서들은 또한 전형적으로 스튜디오에서 사용하는 악기가 아닌 샘플링된 악기를 사용했다.<ref>Kernodle, Tammy Lynn; Maxile, Horace Joseph.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Music, Volume 1''. ABC-CLIO, 2011. p. 406</ref>과거 하우스 음악 핵심 요소는 드럼 머신 비트, 샘플, 신스(Synth) 베이스라인 같은 사운드를 레이어링하는 것이지만 전체적인 텍스쳐가 상대적으로 희박하다."<ref name="Kernodle, Tammy Lynn 2011. p. 405">Kernodle, Tammy Lynn; Maxile, Horace Joseph.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Music, Volume 1''. ABC-CLIO, 2011. p. 405</ref> 멜로디같은 피치가 높은 사운드를 강조하는 팝과는 달리 낮은 피치의 베이스를 중요시 하는 특징이 있다.<ref name="Kernodle, Tammy Lynn 2011. p. 405"/>
때로는 드럼 사운드에 디스토션(왜곡) 효과를 걸어 공격적인 사운드가 되기도 한다.<ref name="Hydlide"/> 오래된 장르인 애시드 하우스는 롤랜드 TB-303 베이스 신시사이저로 만들어진 뿅뿅거리는 소리{{ㅊ|삐비빅삑삑}}를 사용하기도 했다. 하우스 음악은 싸고 소비자 친화적인 전자 장비로 만들어진 덕분에 인디 레이블이나 하우스 DJ들이 트랙을 쉽게 만들 수 있었는데<ref name="rietveld">Rietveld, Hillegonda C. (1998). ''This is our House: House Music, Cultural Spaces and Technologies'', Aldershot Ashgate. Reissue: London/New York: Routledge 2018/2020. {{ISBN|036713411X}}. Cited from [https://books.google.de/books?id=1_eCDwAAQBAJ online book preview]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1008194549/https://books.google.de/books?id=1_eCDwAAQBAJ |날짜=2020-10-08 }}, Jan. 20, 2020.</ref> 그들이 사용하던 드럼머신과 장비들이 싼티나는 소리를 낸다는 인식이 있었다.<ref name="Warwick">{{웹 인용 |url=https://www.redbull.com/ca-en/house-music-faq |제목=House music changed clubbing forever. From disco to footwork, via Frankie Knuckles, Mr Fingers and techno, here are the basics you need to know before stepping onto the dancefloor. |last=Warwick |first=Oli |날짜=2 April 2019 |웹사이트=www.redbull.com |출판사=Red Bull |확인날짜=18 January 2020 |보존날짜=8 October 202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01008194552/https://www.redbull.com/ca-en/house-music-faq |url-status=live }}</ref> 하우스 음악 프로듀서들은 또한 전형적으로 스튜디오에서 사용하는 악기가 아닌 샘플링된 악기를 사용했다.<ref>Kernodle, Tammy Lynn; Maxile, Horace Joseph.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Music, Volume 1''. ABC-CLIO, 2011. p. 406</ref>과거 하우스 음악 핵심 요소는 드럼 머신 비트, 샘플, 신스(Synth) 베이스라인 같은 사운드를 레이어링하는 것이지만 전체적인 텍스쳐가 상대적으로 희박하다."<ref name="Kernodle, Tammy Lynn 2011. p. 405">Kernodle, Tammy Lynn; Maxile, Horace Joseph.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Music, Volume 1''. ABC-CLIO, 2011. p. 405</ref> 멜로디같은 피치가 높은 사운드를 강조하는 팝과는 달리 낮은 피치의 베이스를 중요시 하는 특징이 있다.<ref name="Kernodle, Tammy Lynn 2011. p. 405"/>
23번째 줄: 22번째 줄:


== 하위장르 ==
== 하위장르 ==
<small>하우스의 하위장르가 매우 많기 때문에 동영상 링크도 많아져서 각 문서 링크를 나열하는 방식으로 편집할 예정입니다.<br />
<small>하우스의 하위장르가 매우 많기 때문에 동영상 링크도 많아져서 각 문서 링크를 나열하는 방식으로 편집할 예정입니다.<br/>
문단이 너무 짧을 경우 이 문서에 그냥 서술합니다.</small>
문단이 너무 짧을 경우 이 문서에 그냥 서술합니다.</small>
{{트리|
* 개러지 하우스
** [[UK개러지]]<ref>자식관계는 아닌 파생장르</ref>
* 시카고 하우스
** 애시드
** 게토
** 힙
** 디트로이트 하우스<ref>디트로이트에서는 하우스가 아니라 '테크노'라는 표현을 더 좋아했다.</ref>
*** 디트로이트 [[테크노]]
}}


=== 개러지 하우스/뉴욕 하우스 ===
=== 개러지 하우스/뉴욕 하우스 ===
Garage house, New York house, US garage.
80년대 후반 미국 뉴욕에서 발생한 하우스 음악. 시카고 하우스 다음으로 발생했다. 뉴욕 하우스는 흑인 음악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다른 하우스 장르와는 다르게 하이햇에 엇박자를 넣는 스타일이 특징이다. 결과적으로는 UK 개러지와 덥스텝의 조상. 딥 하우스 탄생에도 영향을 끼친다. 하우스와 디스코의 연결고리가 되는 장르로 디스코와 상당히 유사하다.
 
80년대 후반 미국 뉴욕에서 발생한 하우스 음악. 뉴욕의 나이트클럽  Paradise Garage에서 선호되는 감성적인 스타일의 음악에서 시작되었다. 시카고 하우스가 [[펑크]]의 큰 영향을 받은 반면 뉴욕 하우스는 소울 음악, 디스코의 영향을 받았다. 영국으로 건너가 큰 유행을 타면서 [[UK 개러지]]와 [[덥스텝]]이 탄생되었다. 딥 하우스 탄생에도 영향을 끼친다. 하우스와 디스코의 연결고리가 되는 장르이다.
 
{{유튜브|1Gobukd4y5s|250px|250px|thumbleft|Phase II - Reachin'(Brotherhood Mix)|*}}
{{유튜브|i8Ddaqh2B9I|250px|250px|thumbleft|Peter Black - How Far I Go|*}}
{{유튜브|iitJCe2-IFY|250px|250px|thumbleft|Aly-Us ‎– Follow Me (Club Mix)|*}}{{-}}


* [https://www.youtube.com/watch?v=uG668MGnV28 Yolanda Reynolds - Children Of The World (For The Children Mix)]
{{유튜브|Wg_63AFViJQ|250px|250px|thumbleft|Billie - Nobody's Business (Original Mix)|*}}{{유튜브|i8Ddaqh2B9I|250px|250px|thumbleft|Peter Black - How Far I Go|*}}{{유튜브|iitJCe2-IFY|250px|250px|thumbleft|Aly-Us ‎– Follow Me (Club Mix)|*}}{{-}}
* [https://www.youtube.com/watch?v=Wg_63AFViJQ Billie - Nobody's Business (Original Mix)]
* [https://youtu.be/_KztNIg4cvE Crystal Waters – Gypsy Woman (She's Homeless)]


=== 시카고 하우스 ===
=== 시카고 하우스 ===
Chicago house
{{유튜브|PEBBSTZlNPc}}


==== 애시드 하우스 ====
==== 애시드 하우스 ====
Acid house
애시드 하우스는 특유의 애시드(Acid) 사운드를 넣는 하우스 음악이다. Acid는 [[LSD]]를 다르게 일컷는 말이다. 이 애시드 사운드는 롤랜드사(社)의 TB-303 베이스 신시사이저를 만지다가 실수를 하면서 난 약빤듯한 뿅뿅거리는 소리에서 유래한다. 애시드 하우스의 독특한 전자음은 애시드 트랜스, 애시드 코어, 멜버른 바운스 등의 장르들이 탄생하는데에 영향을 끼친다. 음악의 분위기는 모조리 무기질이다.
애시드 하우스는 특유의 애시드(Acid) 사운드를 넣는 하우스 음악이다. Acid는 [[LSD]]를 다르게 일컫는 말이다. 이 애시드 사운드는 롤랜드의 TB-303 베이스 신시사이저를 만지다가 실수를 하면서 난 약빤듯한 뿅뿅거리는 소리에서 유래한다. 애시드 하우스의 독특한 전자음은 애시드 트랜스, 애시드 코어, 멜버른 바운스 등의 장르들이 탄생하는데에 영향을 끼친다. 음악의 분위기는 모조리 무기질이다.


{{유튜브|_Fv2lwEQw80|250px|250px|thumbleft|SPANKY - ACID BASS<br />애시드 하우스|\}}{{유튜브|MGcEmhPtu_A|250px|250px|thumbleft|Steve Poindexter - Born To Freak|\}}{{유튜브|ecaje3WR_7M|250px|250px|thumbleft|Melodie - Acid Sunday<br />애시드 테크노|\}}{{-}}
{{유튜브|_Fv2lwEQw80|250px|250px|thumbleft|SPANKY - ACID BASS<br/>애시드 하우스|\}}{{유튜브|PwjEI4DaR7Q|250px|250px|thumbleft|Mark Blair - This Is Acid, Man<br/>애시드 트랜스|\}}{{유튜브|ecaje3WR_7M|250px|250px|thumbleft|Melodie - Acid Sunday<br/>애시드 테크노|\}}{{-}}


==== 힙 하우스와 게토 하우스 ====
==== 힙 하우스와 게토 하우스 ====
Hip house, Ghetto house
{{유튜브|x9o8KIluwf4|250px|250px|thumbleft|Paul Johnson - Come & Get It<br />게토 하우스|\}}{{유튜브|c6jFu245EuU|250px|250px|thumbleft|DJ Fast Eddie - Hip House<br />힙 하우스|\}}{{유튜브|KmP5-I1DL9w|250px|250px|thumbleft|2 In A Room ‎– Wiggle It (1990)<br />힙 하우스|\}}{{-}}
{{유튜브|x9o8KIluwf4|250px|250px|thumbleft|Paul Johnson - Come & Get It<br />게토 하우스|\}}{{유튜브|c6jFu245EuU|250px|250px|thumbleft|DJ Fast Eddie - Hip House<br />힙 하우스|\}}{{유튜브|KmP5-I1DL9w|250px|250px|thumbleft|2 In A Room ‎– Wiggle It (1990)<br />힙 하우스|\}}{{-}}
===== 시카고 쥬크 =====
Chicago Juke


게토 하우스를 150BPM까지 올려서 작곡하면 시카고 쥬크가 된다.
=== 디트로이트 하우스 ===
{{유튜브|dLz-MSxxGvw|250px|250px|thumbleft|DJ Deeon ‎– Let Me Bang|\}}{{-}}
디트로이트 하우스는 테크노의 원류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장르. 결과적으로 테크노에서 트랜스, 드럼 앤 베이스, [[해피 하드코어]] 등 수 많은 장르가 탄생하게 된다.
 
=== 디트로이트 하우스/테크노 ===
Detroit house
 
디트로이트 하우스는 테크노의 원류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장르. 결과적으로 테크노에서 트랜스, 드럼 앤 베이스, [[해피 하드코어]] 등 수 많은 장르가 탄생하게 된다. 디트로이트 하우스에서 디트로이트 테크노가 나오고 이 장르가 테크노의 뿌리가 된다. 디트로이트 하우스는 원래 시카고 하우스와 비슷한 음악이었는데 아래같이 어두운 분위기로 변하면서 <del>흑화</del> 테크노로 변하게 된다. 아래 곡은 테크노와 하우스의 연결고리 정도이다.
 
{{유튜브|ZZpC30e4ehg}}
{{유튜브|rFQZndywOR4}}
 
==== 테크노 ====
Techno
 
대한민국에서의 흔한 인식과는 많이 다르다...
 
{{유튜브|rXVcI1RDMuk|||thumbleft|캡션=A*S*Y*S & Dominik Schwarz - Dark Light|6=y}}
{{유튜브|Mi2WUUWY_eU|||thumbleft|캡션=Alan Fitzpatrick - Truant (Original Mix)|6=y}}
{{유튜브|xoLUnqFEx_c|||thumbleft|캡션=Daniel Stefanik-Rush (Original mix)|6=y}}{{-}}
 
이 장르는 나중에 [[하드코어 테크노]]로 분기된다. 테크노에 디스토션을 가하고 속도를 올리면 하드코어 테크노가 된다.


=== 프렌치 하우스 ===
=== 프렌치 하우스 ===
French house


=== 이탈로 하우스 ===
=== 이탈로 하우스 ===
Italo house


=== 딥 하우스 ===
=== 딥 하우스 ===
Deep house
{{유튜브|AEhYBSzADnw|250px|250px|thumbleft|The D.A.T. Project - C'mon Sweat (1992)|*}}
{{유튜브|KRH05Nq_JI0|250px|250px|thumbleft|Hardrive – Deep Inside (1993)|*}}
{{유튜브|I1TM76HuLPI|250px|250px|thumbleft|Kerri Chandler – Moving In (1998)|*}}{{-}}
뉴욕 하우스(US 개러지)와 초기 시카고 하우스에서 영향을 받은 장르이다.
==== 퓨처 하우스/퓨처 바운스 ====
{{본문|퓨처 하우스}}


=== 테크 하우스 ===
=== 테크 하우스 ===
{{유튜브|qWBEN5aftY8||||초창기 스타일과는 다르다.}}
테크노에 영향을 받은 하우스 음악을 가리킨다. 멜로디보다는 리듬감에 집중하였으며 조용한 분위기와 그루브가 특징이다.


=== UK 하드 하우스 ===
=== UK 하드 하우스 ===
==== 하드 베이스 ====
러시아어로 하드바스(Хардбасс)라고 한다.


=== 일렉트로 하우스 ===
=== 일렉트로 하우스 ===
일렉트로 클래시, 테크 하우스, 신스팝 등의 결합으로 탄생한 하우스.
과거 2010년 ~ 2013년 사이 한국의 EDM씬에서 유행한 멜버른 바운스, 빅룸이 일렉트로 하우스.
과거 2010년 ~ 2013년 사이 한국의 EDM씬에서 유행한 멜버른 바운스, 빅룸이 일렉트로 하우스.
아래에 수 많은 하위 장르가 있는데 컴플렉스트로<ref>전형적인 리듬게임 음악 같다.</ref>, 피젯 하우스, 더치 하우스, 멜버른 바운스, 정글 테러, 빅룸<ref>어디선가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ref>이 있다.
* 정글테러
정글 테러는 2010년대에 개발되었다. 하우스와 그라임, 드럼 앤 베이스 리듬의 혼돈적인 혼합으로 묘사되곤 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billboard.com/articles/news/magazine-feature/7400364/weird-dance-music-genres|제목=Jungle Terror? Dark Disco? The Weird World of Dance Subgenres|웹사이트=Billboard|access-date=2020-02-25}}</ref> 정글의 분위기를 위해 아프리카 타악기나 보컬 컷뿐만 아니라 동물의 울음소리도 사용한다. 2013년 ~ 2016년까지 EDM에서 인기 있는 스타일을 만든 네덜란드의 DJ이자 프로듀서인 [[위웩]](Wiwek)은 이 장르의 개척자로 불리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theverge.com/2016/3/17/11254422/wiwek-producer-interview-sxsw|title=A conversation with Wiwek, the Dutch producer who invented 'jungle terror'|last=Plaugic|first=Lizzie|date=2016-03-17|website=The Verge|language=en|access-date=2020-02-25}}</ref>반면, [[스크릴렉스]], [[Diplo]], [[KURA]] 같은 음악가들도 이 장르에 기여하고 있다.
* 빅룸(Big Room)
빅룸은 장르가 아니고 하나의 스타일이고 빅룸은 하우스 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도 포함한다. 여기서는 빅룸 스타일의 하우스를 말한다. [[잔향|리버브]] 효과를 많이 사용하여 실제 페스티벌이나 클럽에 있는 것처럼 공간감을 느끼게 하는 스타일. 때문에 빅룸 Big Room이라는 이름이 붙었다.{{유튜브|0EWbonj7f18|||center|DVBBS & Borgeous - TSUNAMI (Original Mix)|*}}{{유튜브|rWVL4Aimpno|||center|Canabalt - Run|*}}


===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
===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
Progressive house, Prog. house
고전적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는 시간도 7분이 넘는 곡이 상당한데 [[프로그레시브 트랜스]]의 영향을 받았다. 고전적 프로그레시브와 EDM 식으로 나뉜다.
{{유튜브|cOD-R4hRUuM|||thumbleft|캡션 = deadmau5 - 4ware 고전 프로그레시브 하우스|6=y}}
{{유튜브|jbZU6QyZ8Nc|||thumbleft|캡션 = C418 - Beton 고전 프로그레시브 하우스|6=y}}
{{유튜브|V-mP3VU0DCg|||thumbleft|캡션 = NIVIRO - Flares EDM식 프로그레시브 하우스|6=y}}{{-}}
=== 베이스 하우스 ===
Bass house
예시는 [[:분류:베이스 하우스]]에도 있습니다.
긁는 듯한 베이스 음을 중심으로 하는 하우스 음악. Jauz가 이 장르로 흥행을 한적이 있다. 베이스 하우스는 현재 UK 베이스와 매우 닮아가고 있는데 그 둘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이기도 하다.
{{유튜브|hkYq02183fc|||thumbleft|캡션 = Jauz - Feel The Volume 초창기 베이스 하우스|6=y}}
{{유튜브|hynIDw5PITk|||thumbleft|캡션 = JOYRYDE - FLO|6=y}}
{{유튜브|JUGB41DlmCg|||thumbleft|캡션 = Bossfight - Grit|6=y}}{{-}}


== 외부링크 ==
== 외부링크 ==
* {{언어링크|en}}[https://www.spin.com/2014/04/burning-down-the-house-chicago-club-80s/ Barry Walters: Burning Down the House]. SPIN magazine, November 1986.
* {{언어링크|영어}}[https://www.spin.com/2014/04/burning-down-the-house-chicago-club-80s/ Barry Walters: Burning Down the House]. SPIN magazine, November 1986.
* {{언어링크|en}}[http://music.hyperreal.org/library/history_of_house.html Phil Cheeseman: The History of House]. DJ Magazine (December 28, 2003)
* {{언어링크|영어}}[http://music.hyperreal.org/library/history_of_house.html Phil Cheeseman: The History of House]. DJ Magazine (December 28, 2003)
* {{언어링크|en}}[https://web.archive.org/web/20080321215250/http://www.timlawrence.info/linernotes/2005/acidhousesj.php Tim Lawrence: Acid ⎯ Can You Jack?] – Liner notes on the early history of house (2005)
* {{언어링크|영어}}[https://web.archive.org/web/20080321215250/http://www.timlawrence.info/linernotes/2005/acidhousesj.php Tim Lawrence: Acid ⎯ Can You Jack?] – Liner notes on the early history of house (2005)


{{각주}}
{{각주}}


{{퍼온문서|문서 =하우스 음악|판=28440712|일부=일부}}{{번역된 문서|en|House music||}}
{{퍼온문서|문서 =하우스 음악|판=28440712|일부=일부}}{{번역된 문서|en|House music||}}
[[분류:하우스 음악|  ]]
[[분류:일렉트로니카]][[분류:하우스 음악|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