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요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 프랑스 요리의 특징 ==
== 프랑스 요리의 특징 ==
=== 상차림 ===
=== 상차림 ===
프랑스 요리의 상차림은 크게 3단계로 나뉜다. 전채(Entrée, 엉트헤<ref>영어의 애피타이저(Appetizer)에 대응하는 단어는 아페팃(Appetite)과 오르되브르(Hors d'Oeuvre)이나, 오르되브르는 대개 만찬 자리에서 앙트레보다 한 단계 더 앞에 놓이는 것을 가리킨다. (앙트레는 영어로 Enter에 해당한다.)</ref>)-요리(Plat, 쁠라)-후식(Dessert, 데세흣). 식후 프로마주([[치즈|Fromage]])를 메인과 후식 사이에 끼워넣어 4단계 코스를 정석으로 보기도 하며, 앙트레 다음 단계로 수프나 샐러드를 끼워서 4~5단계 코스를 정석으로 보기도 하지만 기본은 위 3단계이다. 3단계라고 해서 반드시 요리 3접시나 3품을 먹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한 접시에 그냥 잘 담아다 먹어도 되고, 여의치 않으면 전채나 후식을 제외하고 먹기도 한다. (식당에서는 주로 le Plat du jours (르 쁠라 드 쥬흐) 같은 명칭을 붙여 취급한다.) [[빵]]은 주식 취급이므로 식사의 처음부터 끝까지 심심하면 뜯어먹는 정도면 되며, 빵 대신 [[감자튀김]]<ref>슈스트링 말고도 [[크로켓]]도 이때 먹는 것이다.</ref>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흔하다. 대중적인 식당에 가서 한 접시 요리를 시키면 잔뜩 쌓아주는 감자튀김을 볼 수 있기도 한다.
프랑스 요리의 상차림은 크게 3단계로 나뉘어진다. 전채(Entrée, 엉트헤<ref>영어의 애피타이저(Appetizer)에 대응하는 단어는 아페팃(Appetite)과 오르되브르(Hors d'Oeuvre)이나, 오르되브르는 대개 만찬 자리에서 앙트레보다 한 단계 더 앞에 놓이는 것을 가리킨다. (앙트레는 영어로 Enter에 해당한다.)</ref>)-요리(Plat, 쁠라)-후식(Dessert, 데세흣). 식후 프로마주([[치즈|Fromage]])를 메인과 후식 사이에 끼워넣어 4단계 코스를 정석으로 보기도 하며, 앙트레 다음 단계로 수프나 샐러드를 끼워서 4~5단계 코스를 정석으로 보기도 하지만 기본은 위 3단계이다. 3단계라고 해서 반드시 요리 3접시나 3품을 먹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한 접시에 그냥 잘 담아다 먹어도 되고, 여의치 않으면 전채나 후식을 제외하고 먹기도 한다. (식당에서는 주로 le Plat du jours (르 쁠라 드 쥬흐) 같은 명칭을 붙여 취급한다.) [[빵]]은 주식 취급이므로 식사의 처음부터 끝까지 심심하면 뜯어먹는 정도면 되며, 빵 대신 [[감자튀김]]<ref>슈스트링 말고도 [[크로켓]]도 이때 먹는 것이다.</ref>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흔하다. 대중적인 식당에 가서 한 접시 요리를 시키면 잔뜩 쌓아주는 감자튀김을 볼 수 있기도 한다.


흔히 알려져 있는 요리들이 순차적으로 나오는 코스 요리(일명, '풀코스')는 정찬이나 잔치에서나 볼 수 있는 희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그만큼 즐길만한 시간과 물질적 여유가 없고, 프랑스인이라고 해서 모두가 그만한 요리기술을 갖고있는 것도 아니다. <s>제발 프랑스인이면 풀코스 정도는 먹어줍시다.</s><ref>프랑스인의 점심시간은 대개 90분 가량인데, 정찬 다 차려먹느라 그만큼 시간을 소비하는게 아니라 그냥 순전히 느긋한 것이다.</ref> 심지어 전통적으로 프랑스 요리는 본디 [[중국 요리]]처럼 하나 하나를 정말 거대하게 만들어서 한 상에 푸짐하게 차려먹는 요리였는데, 점차 미적인 감각을 살린 것이 인기를 끌어 쉽게 식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자 [[러시아 요리]]에서 한 수 배워와 지금의 서양 코스요리의 정석이 자리잡게 된 것이다. 코스 요리 또한 규모나 수준에 따라 단계가 가감되는데 최소 5~7단계 정도부터 최대 21단계(!) 정도까지 늘어난다. 그 일반적인 흐름을 나열하면 대략 아래와 같다.
흔히 알려져 있는 요리들이 순차적으로 나오는 코스 요리(일명, '풀코스')는 정찬이나 잔치에서나 볼 수 있는 희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그만큼 즐길만한 시간과 물질적 여유가 없고, 프랑스인이라고 해서 모두가 그만한 요리기술을 갖고있는 것도 아니다. <s>제발 프랑스인이면 풀코스 정도는 먹어줍시다.</s><ref>프랑스인의 점심시간은 대개 90분 가량인데, 정찬 다 차려먹느라 그만큼 시간을 소비하는게 아니라 그냥 순전히 느긋한 것이다.</ref> 심지어 전통적으로 프랑스 요리는 본디 [[중국 요리]]처럼 하나 하나를 정말 거대하게 만들어서 한 상에 푸짐하게 차려먹는 요리였는데, 점차 미적인 감각을 살린 것이 인기를 끌어 쉽게 식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자 [[러시아 요리]]에서 한 수 배워와 지금의 서양 코스요리의 정석이 자리잡게 된 것이다. 코스 요리 또한 규모나 수준에 따라 단계가 가감되는데 최소 5~7단계 정도부터 최대 21단계(!) 정도까지 늘어난다. 그 일반적인 흐름을 나열하면 대략 아래와 같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