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드 치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그러나 지금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프라이드 치킨의 정확한 기원(起源)을 명확하게 짚자면, [[미국 요리]] 중에서도 남부 미국 요리라고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노예제가 합법이었던 시절의 옛 미국에서 아프리카 및 카리브(경유) 출신의 흑인 노예들이 상대적으로 구하기 쉬운 닭의 부속들을 [[라드]]<ref>지금은 고급 식용유지만, 당시에는 가장 값싸게 구할 수 있었던 기름이었다. 후술할 서아프리카식 닭튀김은 전통적으로 즐겨먹던 [[야자유]]를 사용한다.</ref>에 넣어 오랜시간 튀겨다 먹던 딥 프라이드 치킨(deep fried chicken)을 '프라이드 치킨'의 조상격으로 보고 있다. 이 레시피의 원본은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닭을 튀기는 방식에 기원하는데, 아무런 옷도 입히지 않고 단순히 생닭을 토막내어 강렬하게 간을 한 뒤 튀기는 방식이었고, 그 결과물인 치킨의 맛 자체가 상당히 건조하고 뻣뻣한 식감인지라 지금의 촉촉하고 은은함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때문에 이것이 유일한 원조라고 단정하기는 무리가 있다. <s>실은 [[카라아게]]의 기원이라 카더라</s>  
그러나 지금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프라이드 치킨의 정확한 기원(起源)을 명확하게 짚자면, [[미국 요리]] 중에서도 남부 미국 요리라고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노예제가 합법이었던 시절의 옛 미국에서 아프리카 및 카리브(경유) 출신의 흑인 노예들이 상대적으로 구하기 쉬운 닭의 부속들을 [[라드]]<ref>지금은 고급 식용유지만, 당시에는 가장 값싸게 구할 수 있었던 기름이었다. 후술할 서아프리카식 닭튀김은 전통적으로 즐겨먹던 [[야자유]]를 사용한다.</ref>에 넣어 오랜시간 튀겨다 먹던 딥 프라이드 치킨(deep fried chicken)을 '프라이드 치킨'의 조상격으로 보고 있다. 이 레시피의 원본은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닭을 튀기는 방식에 기원하는데, 아무런 옷도 입히지 않고 단순히 생닭을 토막내어 강렬하게 간을 한 뒤 튀기는 방식이었고, 그 결과물인 치킨의 맛 자체가 상당히 건조하고 뻣뻣한 식감인지라 지금의 촉촉하고 은은함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때문에 이것이 유일한 원조라고 단정하기는 무리가 있다. <s>실은 [[카라아게]]의 기원이라 카더라</s>  


한편 유럽 지역에서 즐겨먹는 닭튀김법에는 간단한 허브를 섞은 밀반죽(batter)을 묻혀 튀겨먹는 것이 있었다. 백인계 미국인들의 고향 중 하나이던 [[스코틀랜드]] 지방에서 특히 즐겨먹던 것인데, 이것은 위 아프리카식과는 정반대로 매우 두터운 반죽으로 튀겨서 만들지만<ref>[[피시 앤 칩스]]의 그 반죽과 흡사하다.</ref> [[마리네이드]] 기법 말고는 별도로 간하지 않은 채로 튀겨서 만들었다. 그래서 촉촉하기는 하지만 맹맹하여 식초나 다른 양념이라도 곁들이지 않으면 별 맛이 나지 않던 음식이었다.
한편 유럽 지역에서 즐겨먹는 닭튀김법에는 간단한 허브를 섞은 밀반죽(batter)을 묻혀 튀겨먹는 것이 있었다. 백인계 미국인들의 고향 중 하나이던 [[스코틀랜드]] 지방에서 특히 즐겨먹던 것인데, 이것은 위 아프리카식과는 정반대로 매우 두터운 반죽으로 튀겨서 만들지만<ref>[[피시 앤 칩스]]의 그 반죽과 흡사하다.</ref> [[마리네이드]] 기법 말고는 별도로 간하지 않은 채로 튀겨서 만들었다. 그래서 촉촉하기는 하지만 맹맹하여 식초나 다른 양념이라도 곁들이지 않으면 별 맛이 나지 않던 음식이었다.  


이 두 요리의 마리아주는 대략 18세기 후반~19세기 경에 들어서 이루어졌는데, 가장 신빙성 있는 설로는 스코틀랜드인 지주(地主)가문의 가정부로 일하던 아프리카 출신 흑인 [[메이드]]가 고향식으로 밑준비한 닭을 스코틀랜드 방식으로 튀겨내어서 만들어내게 되었다는 설이다. 현재까지 존재하는 최고(最古)의 문서화 레시피는 [[1836년]] [[메리 랜돌프]]가 쓴 ''The Virginia Housewife''에서 소개한 '(미국) 남부식 프라이드 치킨'이다.[https://archive.org/details/virginiahousewif00randrich 아카이브] [http://www.gutenberg.org/files/12519/12519-h/12519-h.htm#FRIED_CHICKENS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이 두 요리의 마리아주는 대략 18세기 후반~19세기 경에 들어서 이루어졌는데, 가장 신빙성 있는 설로는 스코틀랜드인 지주(地主)가문의 가정부로 일하던 아프리카 출신 흑인 [[메이드]]가 고향식으로 밑준비한 닭을 스코틀랜드 방식으로 튀겨내어서 만들어내게 되었다는 설이다. 현재까지 존재하는 최고(最古)의 문서화 레시피는 [[1836년]] [[메리 랜돌프]]가 쓴 ''The Virginia Housewife''에서 소개한 '(미국) 남부식 프라이드 치킨'이다.[https://archive.org/details/virginiahousewif00randrich 아카이브] [http://www.gutenberg.org/files/12519/12519-h/12519-h.htm#FRIED_CHICKENS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16번째 줄: 16번째 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 치킨로드, 앤드루 롤러 지음, {{ISBN|9791186293348}}
* 치킨로드, 앤드루 롤러 지음, {{ISBN|9791186293348}}  
* 대한민국 치킨전, 정은정 지음, {{ISBN|9788998439118}}
* 대한민국 치킨전, 정은정 지음, {{ISBN|9788998439118}}


==여담==
==여담==
* 외래어 표기규칙상 '''프라이드 치킨'''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21&aid=0001215322 정확한 표현]이다. 영문 [[F]]에 대응되는 표준어는 [[ㅍ]]이기 때문. 다만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단어는 '''후'''라이드 치킨<ref>참고로 f나 fu를 후로 바꾸는 것은 일본식 외래어에서 나타나는 현상.</ref>이고, 실제 치킨집 메뉴판에도 후라이드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한 표현인듯. 비슷한 예시로 짜장면과 자장면의 표준어 논란을 거친 끝에 둘 다 표준어로 인정한 사례를 들어 대중적으로 인정받는 후라이드 치킨이 표준어로 인정받을 가능성도 남아있다.
* 외래어 표기규칙상 '''프라이드 치킨'''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21&aid=0001215322 정확한 표현]이다. 영문 [[F]]에 대응되는 표준어는 [[ㅍ]]이기 때문. 다만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단어는 '''후'''라이드 치킨이고, 실제 치킨집 메뉴판에도 후라이드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한 표현인듯. 비슷한 예시로 짜장면과 자장면의 표준어 논란을 거친 끝에 둘 다 표준어로 인정한 사례를 들어 대중적으로 인정받는 후라이드 치킨이 표준어로 인정받을 가능성도 남아있다.


{{각주}}
{{각주}}
[[분류:치킨]]
[[분류:치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