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스 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원래는 미국의 목사인 빌리 그레이엄의 주장(Billy Graham rule)에서 시작되었다. '''사적 자리에서 여성과 단독(1:1) 만남을 하지 않는 것이다.'''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던 그레이엄은 "본인의 유혹을 철저히 막고자"실천 했었고, 48대 미국 부통령 마이크 펜스(Mike Pence)가 실천한 것이 조명되면서 펜스 룰로 다시 인용된다.
원래는 미국의 목사인 빌리 그레이엄의 주장(Billy Graham rule)에서 시작되었다. '''사적 자리에서 여성과 단독(1:1) 만남을 하지 않는 것이다.'''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던 그레이엄은 "본인의 유혹을 철저히 막고자"실천 했었고, 48대 미국 부통령 마이크 펜스(Mike Pence)가 실천한 것이 조명되면서 펜스 룰로 다시 인용된다.


한국에서는 [[미투 운동]]과 같은 결에서 이 룰이 부각되었으며 남성들이 무고하게 성범죄자가 되는 것을 막자는 것으로 펜스 룰이 부각되어 사용되게 되었다. 울타리를 뜻하는 Fence와 발음이 비슷하면서 형태도 비슷해 한국에서는 '''펜스 룰'''로 굳어져있다.
한국에서는 [[미투 운동]]과 같은 결에서 나왔으며 남성들이 무고하게 성범죄자가 되는 것을 막자는 것으로 펜스 룰이 나오게 되었다. 울타리를 뜻하는 Fence와 발음이 비슷하면서 형태도 비슷해 한국에서는 '''펜스 룰'''로 굳어져있다.


== 논란 ==
== 논란 ==
옹호측의 경우에는 '''자신을 보호할 최선의 방책'''으로 반대측의 경우에는 '''또 다른 사회적 차별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309000451 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_view=1&includeAllCount=true&mode=LSD&mid=sec&sid1=001&oid=057&aid=0001234211 뉴스2]
옹호측의 경우에는 '''자신을 보호할 최선의 방책'''으로 반대측의 경우에는 '''또 다른 사회적 차별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309000451 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_view=1&includeAllCount=true&mode=LSD&mid=sec&sid1=001&oid=057&aid=0001234211 뉴스2]


=== 찬성 ===
그러나 사실 펜스 룰이 발동된다 하더라도 "성문제"의 근원은 해결되지 않는다. 애당초 이는 지켜지지 않는 자들에 의해 망가질 우려가 높다. 오히려 펜스 룰을 지지하여 사회 풍토를 뒤집을 수 있으므로 '성문제가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양성의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것이지 한 쪽에서 거의 금욕하다 싶이 사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무죄추정의 원칙]] 따위는 없는 상황에 최선의 방어 기제를 실현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무죄추정의 원칙은 '''그 사람이 어떤 문제로 경찰서에 왔더라도 죄가 없다는 것을 전재로 사건을 조사한다'''는 것이다. 즉 얼굴도 모르는 사람이 나를 고소 했다 할지라도 명백한 증거가 나오지 않는 이상 조사를 당하는 '나'는 무죄인 선상에서 풀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거 없다]].
 
[http://newsbrite.net/news/view.php?no=4876 뉴스][http://www.jnilbo.com/read.php3?aid=1516028400540370004 뉴스2] 더군다나 무고함을 증명하려면 합의하에 한 사건을 포함 관계된 것도 없어도 증명하는 것이 굉장히 까다롭다. 이러한 허위고소들로 인해 경찰의 공권이 상실됨은 물론, 제 3자가 갖게 되는 비관적 시각에 대한 문제도 생긴다. 그런 모든 것들을 다 떠나서 '''본인'''이 '사회적 매장'을 손 쉽게 당하기 때문에 남성들의 경계심은 더 증폭될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허위 고소로 인한 무고한 피해자들로부터 결과를 보았 듯 논란이 생긴 뒤에도 그들은 '성범죄자'로 물타기 되어가는 현실이다. 인지도를 떠나서 말이다. 애당초 서에 끌려가서 성범죄자로 낙인이 찍히며, 상대방에게 합의 및 경찰들의 무언의 협박을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나 경험한 사람이라면 펜스 룰을 더욱 지지하려고 할 것이다.
 
심지어는 이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12251&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뉴스1]까지도 판을 치고 있다. 언론 통계 조작은 물론이고, 남성이 당하는 무고한 성범죄 피해는 다루지도 않는다. 더군다나 남성이 피해 받은 성희롱 및 성폭행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운동 전반은 오로지 '''여성'''만 구제 받고 지켜야 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곧 여혐이 아닌 남성들에게도 반감을 살 여지가 충분히 있는 것이며, 만약, 무고가 전체 통계의 0.5%라면 평상시 뉴스에 무고죄 관련에서 수면 위로 떠오를 수도 없었을 것이다. [http://www.sj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225 뉴스2]
 
=== 반대 ===
사실 펜스 룰이 발동된다 하더라도 "성문제"의 근원은 해결되지 않는다. 애당초 이는 지켜지지 않는 자들에 의해 망가질 우려가 높다. 오히려 펜스 룰을 지지하여 사회 풍토를 뒤집을 수 있으므로 '성문제가 왜 일어나는지'에 대한 양성의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것이지 한 쪽에서 거의 금욕하다 싶이 사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또한 펜스룰로 인해 여성은 또 다른 차별점으로 피해를 받을 것이며 이는 또 다른 차별을 야기하는 것이다. 즉, 펜스 룰로 인해 마치 '여성은 남성의 인생을 망칠 수 있는 폭군'으로 규정 짓고 남녀에 대한 유리천장이 더욱 단단해져 사회 문제가 커질 수 있다.
또한 펜스룰로 인해 여성은 또 다른 차별점으로 피해를 받을 것이며 이는 또 다른 차별을 야기하는 것이다. 즉, 펜스 룰로 인해 마치 '여성은 남성의 인생을 망칠 수 있는 폭군'으로 규정 짓고 남녀에 대한 유리천장이 더욱 단단해져 사회 문제가 커질 수 있다.
26번째 줄: 16번째 줄:
== 정치권 ==
== 정치권 ==
* [[표창원]]은 펜스 룰에 대해서 '''고용'''에 대해서는 성차별이 나와서는 안 된다고 발언하였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80309.99099003457 뉴스] 단, 트위터의 내용 구성에 함정이 있던 모양인지 비판하는 트윗이 달렸다. 표창원의 주장은 '남자를 잠재적 성범죄자'로 보는게 아니라 '공공기관을 포함한 모든 고용의 자리에서 성차별이 나와서는 안 된다'는 것을 경계하기 위한 발언이다.
* [[표창원]]은 펜스 룰에 대해서 '''고용'''에 대해서는 성차별이 나와서는 안 된다고 발언하였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80309.99099003457 뉴스] 단, 트위터의 내용 구성에 함정이 있던 모양인지 비판하는 트윗이 달렸다. 표창원의 주장은 '남자를 잠재적 성범죄자'로 보는게 아니라 '공공기관을 포함한 모든 고용의 자리에서 성차별이 나와서는 안 된다'는 것을 경계하기 위한 발언이다.
* 이철우(자유한국당)는 펜스 룰로 인해 남녀 대화가 차단당해서는 안 된다고 강연하였다. [http://news1.kr/articles/?3255606 뉴스]
* 이철우(자유한국당)는 펜스 룰로 인해 남녀 대화가 차단당해서는 안 된다고 강연하였다. [http://news1.kr/articles/?3255606 뉴스]


31번째 줄: 22번째 줄:


==여담==
==여담==
2018년에 갑자기 이런 내용이 튀어나온 것 같지만 사실 이런 방법론이나 교육은 공직사회나 교육계에서 꾸준히 있어왔던 이야기이다. 펜스 룰에 해당하는 행동지침과 비슷한 것들도 이미 수년도 더 전에 [[성희롱]]이나 [[성폭력]] 예방 교육자료로 발간되어 나돌았던 것들이고{{Ref|예시로 2000년대 초반 해군 간부 교육자료의 경우 여군과 단 둘이 한 격실에 있게 될 경우에는 격실 문을 개방하라는 지침이 있었다}} 공직사회와 대학교 교직원은 1년에 1회 이상 무조건 이 교육을 받아야 하는 집단이다. 애초에 이런 것이 있었음에도 지키지 않다가 자기 방어로 이걸 하겠다고 선언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촌극이라 할 수 있다.<ref>[https://m.huffingtonpost.kr/2015/08/11/story_n_7970710.html#cb 여담이지만 교육부 자료에서는 성폭력의 원인은 ‘데이트 비용’ 때문이라고 해서 문제가 된 적이 있다]</ref>
2018년에 갑자기 이런 내용이 튀어나온 것 같지만 사실 이런 방법론이나 교육은 공직사회나 교육계에서 꾸준히 있어왔던 이야기이다. 펜스 룰에 해당하는 행동지침과 비슷한 것들도 이미 수년도 더 전에 [[성희롱]]이나 [[성폭력]] 예방 교육자료로 발간되어 나돌았던 것들이고 공직사회와 대학교 교직원은 1년에 1회 이상 무조건 이 교육을 받아야 하는 집단이다. 애초에 이런 것이 있었음에도 지키지 않다가 자기 방어로 이걸 하겠다고 선언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촌극이라 할 수 있다.<ref>[https://m.huffingtonpost.kr/2015/08/11/story_n_7970710.html#cb 여담이지만 교육부 자료에서는 성폭력의 원인은 ‘데이트 비용’ 때문이라고 해서 문제가 된 적이 있다]</ref>


{{주석}}
{{주석}}
[[분류:사회 문제]]
[[분류:사회 문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