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5번째 줄: 25번째 줄:
[[2016년]] [[7월 25일]] 비공개로 설립되었고, [[9월 19일]] 읽기 전용으로 공개되었다. 운영과 법률 자문을 위한 비용 마련을 위해 [[텀블벅]]으로 자금을 모집하였다.<ref>[https://web.archive.org/web/20210204072903/https://femiwiki.com/w/%ED%8E%98%EB%AF%B8%EC%9C%84%ED%82%A4 페미위키], 페미위키</ref>
[[2016년]] [[7월 25일]] 비공개로 설립되었고, [[9월 19일]] 읽기 전용으로 공개되었다. 운영과 법률 자문을 위한 비용 마련을 위해 [[텀블벅]]으로 자금을 모집하였다.<ref>[https://web.archive.org/web/20210204072903/https://femiwiki.com/w/%ED%8E%98%EB%AF%B8%EC%9C%84%ED%82%A4 페미위키], 페미위키</ref>


[[2017년]] [[3월 25일]]에는 페미위키 측에서 [[한국어 위키백과]]와의 교류와 참여 독려를 위해 [[위키백과:위키백과:위키♥페미니즘 에디터톤|위키♥페미니즘 에디터톤]]이라는 이벤트를 열었다. 이때 일부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페미위키에 기여하기도 했고, 4월에는 하루에 편집횟수가 500여회에 달한 적도 있었다.
[[2017년]] [[3월 25일]]에는 페미위키 측에서 [[한국어 위키백과]]와의 교류와 참여 독려를 위해 [[위키백과:위키백과:위키♥페미니즘 에디터톤|위키♥페미니즘 에디터톤]]이라는 이벤트를 열었다. 이때 많은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페미위키에도 열심히 기여했고, 4월에는 하루에 편집횟수가 500여회에 달한 적도 있었다.


17년 8월말 들어 [[워마드]] 등 [[TERF]] 문제로 논란이 일자 입장 표명을 하기도 하였다.<ref>참조 : [[페미위키:페미위키:위키 내 특정 문서에서의 혐오 발언 게재 논란에 대한 페미위키 운영진의 입장표명|페미위키:위키 내 특정 문서에서의 혐오 발언 게재 논란에 대한 페미위키 운영진의 입장표명]]</ref>
17년 8월말 들어 [[워마드]] 등 [[TERF]] 문제로 논란이 일자 입장 표명을 하기도 하였다.<ref>참조 : [[페미위키:페미위키:위키 내 특정 문서에서의 혐오 발언 게재 논란에 대한 페미위키 운영진의 입장표명|페미위키:위키 내 특정 문서에서의 혐오 발언 게재 논란에 대한 페미위키 운영진의 입장표명]]</ref>
57번째 줄: 57번째 줄:
* [[구글]] [[애드센스]]와 같은 [[광고]]가 아닌 후원 및 [[크라우드 펀딩]] 자금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펀딩이 요구된다. 다만 차후 노선을 변경해 광고를 추가할 여지는 있다.
* [[구글]] [[애드센스]]와 같은 [[광고]]가 아닌 후원 및 [[크라우드 펀딩]] 자금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펀딩이 요구된다. 다만 차후 노선을 변경해 광고를 추가할 여지는 있다.
* 페미위키의 [[페미위키:페미위키]] 문서에서는 위키 자체에 대한 비판은 일절 적어놓지 않는다. [[리브레 위키]]는 [[리브레 위키/문제점]]문서, [[위키백과]]는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비판]] 문서, [[모두까기]]로 유명한 [[디시위키]]도 [[디시위키:디시위키/문제점]] 문서로 [[자아비판]]을 하는 모습과는 상반된다. 페미위키에 대한 비판을 하면 무조건 [[여성혐오]]로 몰리거나 조용히 [[차단]]당하기도 한다.(...)
* 페미위키의 [[페미위키:페미위키]] 문서에서는 위키 자체에 대한 비판은 일절 적어놓지 않는다. [[리브레 위키]]는 [[리브레 위키/문제점]]문서, [[위키백과]]는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비판]] 문서, [[모두까기]]로 유명한 [[디시위키]]도 [[디시위키:디시위키/문제점]] 문서로 [[자아비판]]을 하는 모습과는 상반된다. 페미위키에 대한 비판을 하면 무조건 [[여성혐오]]로 몰리거나 조용히 [[차단]]당하기도 한다.(...)
* 기존에도 [[위키백과:위키백과의 젠더 편향]] 문서와 같이 여성의 폭넓은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문제의식은 있었다. 한편 페미위키의 콘텐츠 라이선스는 [[CC BY-SA]] 4.0으로, 한 기여자가 동시에 기여하지 않을 경우 해당 시점에서 위키백과에서 페미위키로 콘텐츠를 가져갈 수는 있지만 반대로 가져갈 수는 없다. 이는 이용자만 분산시킨 채 이미 존재하는 위키 공동체상의 젠더 편향 문제에 대한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는 보기 힘들며, 다방면에서 활용되는 위키백과를 비롯한 인터넷 전반에 걸친 문제 해결보다 독자적인 사이트로서의 일방적인 발전과 형성을 추구하는 방향에 가깝다. 이마저도 소개에서는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위키, 여성주의 정보집합체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히지만 그에 비한 활동 규모는 작은 수준이다. 이는 페미위키와 페미위키보다 하루 먼저 만들어진 [[아름드리 위키]]와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다. 한 아름드리 위키 관계자에 따르면 페미위키 관계자가 아름드리 위키와 상호 협력을 주고받기 원했으며 자신이 페미위키의 제작에 조언을 주었으나, 페미위키가 더 높은 CCL 버전을 채택하며 일방적인 포크만 가능하게 되었다고 말한다.<ref>{{웹 인용 |url=https://twitter.com/yeokbo/status/780134131212484609 |제목=그러고보니 현 페미위키 관계자는 아름드리 위키와 상호 협력을 주고 받길 원했던 것 같았는데, CCL을 결국 다르게 설정하면서 '아→페 문서이전'은 가능해도 '페→아 문서이전'은 불가능하게 됐다. |저자=역보 |날짜=2016.9.26. |웹사이트=트위터 |확인날짜= }}</ref><ref>{{웹 인용 |url=https://twitter.com/yeokbo/status/1173176666488594433 |제목=그쪽에서 위키 만든다고 했을 때 '여기도 있는데 굳이 또?' 싶다가도 '여러 개 있지 말라는 법은 없으니까' 해서 조언을 했는데(조언 창구가 '그분'이긴 했다), CCL을 서로 다르게 해버린 순간 교류가 불가능해진 것을. (그쪽 CCL 버전이 높아서 우리는 그쪽 글을 못 쓴다. 반대는 가능. 일방통행.) |저자=역보 |날짜=2019.9.15. |웹사이트=트위터 |확인날짜= }}</ref><ref group="주">페미위키 측은 이전부터 내부적으로 설정되었으며 조율이 가능한 부분이라는 입장이지만, 해당 아름드리 위키 관계자는 이미 기여자들이 해당 CCL에 동의했으며 기술적인 방법도 없다는 [https://twitter.com/yeokbo/status/780401357903634436 입장]이다.</ref> 한편 페미위키의 설립 이후 페미위키와 [[아름드리 위키]] 간에는 급작스러운 통합 시도 사건이 벌어진다. 해당 관계자는 페미위키가 아름드리위키를 '꿀꺽'하기 원한 것이 아니었겠느냐는 의견을 보였다.<ref>{{웹 인용 |url=https://twitter.com/yeokbo/status/864944972146987008 |제목=여하간 페미위키에서 (지금 기준으로도) 유일한 '입장문'을 내어 아름드리 위키와 저를 비난한 것을 보면, 페미위키는 정말로 아름드리 위키를 '꿀꺽' 하길 원했던 모양입니다. 저는 그걸 방해한 놈이구요. |저자=역보 |날짜=2017.5.18. |웹사이트=트위터 |확인날짜= }}</ref>
* 기존에도 [[위키백과:위키백과의 젠더 편향]] 문서와 같이 여성의 폭넓은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문제의식은 공유되고 있었다. 한편 페미위키의 콘텐츠 라이선스는 [[CC BY-SA]] 4.0으로, 한 기여자가 동시에 기여하지 않을 경우 해당 시점에서는 위키백과에서 페미위키로 콘텐츠를 가져갈 수는 있지만 반대로 가져갈 수는 없다. 이는 이용자만 분산시킨 채 기존 위키백과 공동체상의 젠더 편향 문제에 대한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는 보기 힘들며, 다방면에서 활용되는 위키백과를 비롯한 인터넷 전반에 걸친 문제 해결보다 독자적인 사이트로서의 발전과 형성을 추구하는 방향에 가깝다. 이마저도 소개에서는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위키, 여성주의 정보집합체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히지만 그에 비한 활동 규모는 작은 수준이다.  


==== 페미니즘 관련 ====
==== 페미니즘 관련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