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젠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트랜스젠더'''란 [[지정된 성]]과 자신의 [[성정체성]](스스로 인지하는 자신의 성별) 또는 [[젠더 표현]]이 다른 경우를 뜻한다. 한국에서는 [[하리수]]로 인해 널리 알려졌다.
{{성소수자}}


한국에서 트랜스젠더라는 말은 보통 [[성전환증]](transexualism)의 뜻으로 사용된다. 원래 transgender라는 말은 [[성정체성]]이나 젠더 표현(특정한 성별다운 옷이나 헤어스타일, 목소리 등)이 성별과 맞지 않는 사람을 가리키기 때문에 [[여장]]남자나 [[남장]]여자도 영어권에서는 트랜스젠더로 분류한다.
Transgender


[[성전환증]]을 가진 사람은 [[성전환 수술]]을 통해 정체성에 맞는 몸을 가지기도 한다. 그 정도까지가 아닌 사람들도 최소한의 의료적 수술 등을 통해 정체성에 맞는 몸을 가지기도 한다.
== 개요 ==
== 성 정체성 장애? ==
굳이 한국말로 바꾸자면 '성전환자'쯤 된다. 자신의 육체적, 유전자적 성별과 스스로 인지하는 자신의 성별이 다른 경우를 뜻한다. 한국에서는 [[하리수]]로 인해 널리 알려졌다.
트랜스젠더에 대해 언급하기 이전에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이것이 [[DSM]]<ref>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미 정신의학회에서 편찬하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의 약어.</ref>에 아직도 수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의학적으로 이들에게 필요하다면 가능한 한 모든 의학적 방법<ref>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의 호르몬 요법과 성형수술, [[성전환 수술]], 성기 재건, 그리고 가장 결정적으로 동반되기 쉬운 [[우울증]]의 치료 등</ref>을 강구하라는 뜻에서 수록되어 있을 뿐, 이것이 고쳐야 할 '''질환'''이라는 의미는 전혀 아니며, 이를 기반으로 이들을 정신병자 취급하라는 의미는 더욱 아니다.


그 증거로, [[2013년]] 개정된 DSM-5에서는 명칭이 [[성 정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에서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으로 바뀌었으며, 원래부터도 "신체에 [[성 정체성]]을 맞추려는 치료"는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다른 질환이나 낮은 지능 등으로 인해 [[심신상실]] 상태로 인정되는 경우나, (개인의 [[양심]]에 의한 주장이 아니라) 상황이나 사회적인 여건, 문화 등의 영향으로 그렇게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이를 성별 불쾌감으로 인정하지도 않는다. 즉 자신의 의지로, 외부의 영향이나 압력없이 [[성 정체성]]을 판단한 경우만 해당하는 것이다. 사실, 성별 불쾌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이런 경우'''인지 "진짜"인지를 판별하기 위해, [[정신과]]에서 1년 간 치료를 실시한 뒤에 그래도 이 "성별 불쾌감"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에만 인정한다.
[[태국]]에서는 역사적인 영향으로 인해 트랜스젠더에 대해 매우 개방적인 문화를 갖고 있다<ref>긴 전쟁으로 인해 아들이 징집당하지 않게 여장을 시켜 키우는 경우가 많았고, 그런 생활 속에서 트랜스젠더임을 깨달아도 크게 이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문화가 자리잡은 것. 마찬가지 이유로 게이에 대해서도 매우 관대하다고 한다.</ref>. 심지어 일본에서는 태국으로 가서 성전환과 성형수술, 요양을 풀코스로 하고 오는 패키지 상품이 있을 정도.


또 다른 정치적인 의미로는, 질환이어야만 [[의료보험]]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르몬 대체 요법]], [[성전환 수술]] 등의 비용에 대해 의료보험의 적용을 위해 일부러 남겨두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확실한 이야기는 아니다.
== 성 동일성 장애? ==
트랜스젠더에 대해 언급하기 이전에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이것이 불행히도 [[DSM]]<ref>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미 정신의학회에서 편찬하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약어.</ref>에 아직도 수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의학적으로 이들에게 필요하다면 가능한 한 모든 의학적 방법<ref><b>법이 허락하는 범위</b> 내에서의 호르몬 요법과 성형수술, 성전환 수술, 성기 재건, 그리고 가장 결정적으로 동반되기 쉬운 <b>우울증상의 치료</b> 등</ref>을 강구하라는 뜻에서 수록되어 있을 뿐, 실제로 이것이 어떻게 교정해야 하는 <B>질환</B>이라는 의미는 전혀 아니며, 이를 기반으로 이들을 정신병자 취급하라는 의미는 더더욱 아님을 먼저 밝혀둔다.


== 트랜스젠더의 성적 지향 ==
그 증거로,  2013년 개정된 DSM-5에서는 명칭이 성 동일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에서 성별 불일치(Gender Dysphoria)로 바뀌었으며, 원래부터도 "신체에 성 정체성을 맞추려는 치료"는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다른 질환이나 낮은 지능 등으로 인해 [[심신상실]] 상태로 인정되는 경우나, (개인의 [[양심]]에 의한 주장이 아니라) 상황이나 사회적인 여건, 문화 등의 영향으로 그렇게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이를 성별불일치로 인정하지도 않는다. 즉 스스로의 의지로, 외부의 영향이나 압력없이 성 정체성을 판단한 경우만 해당하는 것. 사실, 성정체감 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이런 경우'''인지 "진짜"인지를 판별하기 위해, 정신과에서 1년간 치료를 실시한 뒤에 그래도 "문제"(적당한 표현으로 수정바람.)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에만 성 정체감 장애라고 부른다.
모든 트랜스젠더들이 출생 당시의 성별과 같은 성별을 좋아하며, 그렇기 때문에 성전환을 하려고 한다는 것은 오해이다. 많은 [[시스젠더]]들이 같은 편견을 가지곤 한다.
또 다른 정치적인 의미로는, 질환이어야만 의료보험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르몬요법, 성전환 수술 등의 비용에 대해 의료보험의 적용을 위해 일부러 남겨두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확실한 이야기는 아니다.


[[성정체성]]과 [[성적 지향]]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트랜스젠더이면서 동시에 [[동성애자]]나 [[양성애자]]인 사람들도 있다. 성적 지향이 성 정체성을 결정짓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거꾸로도 생각해보면 되는데, [[게이]]들이 자신을 여성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남성을 좋아하는 것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라고 이해하면 된다. 즉, '자신을 어떤 성이라고 생각하는가' 와 '어떤 성별에 끌리는가'는 전혀 다른 문제다.
근데 사실, 사회적인 편견적 의미와는 달리 의학적 기준에서는 본인이 처해 있는 신체적/정신적 특수한 상태가 본인 자신에게만 불편감을 주는 경우도 장애라고 부르니 (우울'''장애''', 수면'''장애''', 섭식'''장애''' 등등) 어찌됐든간 의학적 기준에서만 보면 이 사람들도 장애가 있는 사람인 게 - [[장애인]]이란 의미는 아니지만 - 맞기는 맞다 (...)


남성의 몸을 가지고 스스로를 여성이라고 생각하면서 여성과 교제하거나, 여성의 몸을 가지고 스스로를 남성이라고 생각하면서 남성과 교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럴 경우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이성애]]처럼 보이기 쉽다.
== 오해 ==
이들 중에서도 [[게이]]나 [[레즈비언]], 즉 [[동성애자]]나 [[양성애자]]가 있을 수도 있다!
때문에 남성의 몸을 가지고 스스로를 여성이라고 생각하면서 여성과 교제하거나, 여성의 몸을 가지고 스스로를 남성이라고 생각하면서 남성과 교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는 것. 이럴 경우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이성애]]처럼 보이기 쉽다.


실제 트랜스젠더들 중 [[트랜스남성|FTM]]보다 [[트랜스여성|MTF]]의 경우 여성을 좋아하는 경우가 조금 더 많다(미국 통계지만 여성애자 31%, 남성애자 23%, 양성애자 31%, 무성애자 8%, 기타 8% 정도 된다. 즉 [[트랜스레즈비언]]이 하리수 같은 경우보다 오히려 더 많다). [[트랜스남성|FTM]] 트랜스젠더 중에 남자를 좋아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는 편견이 있지만 위키피디아의 'trans man' - Prevalence, identity and relationships 항목에서는 63%의 [[트랜스남성|FTM]]이 논헤테로섹슈얼(비이성애자)이라 하였으며 지난해 트랜스, 논트랜스 남성과 섹스 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쓰여있다. 또한 현재까지도 [[트랜스남성|FTM]] 대부분이 이성애자라는 보편적인 잘못된 인식이 많다고 쓰여있다.
성적 지향이 성 정체성을 결정짓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반례로, 거꾸로 말하자면 게이들이 자신을 여성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남성을 좋아하는 것이 아닌 것도 마찬가지다.


정신적으로 이성을 좋아하는 트랜스젠더는 비교적 어렸을 때부터 성 정체성을 깨닫는 경우가 많은 반면, 정신적으로 동성을 좋아하는 트랜스젠더는 사춘기나 청년기에 성 정체성을 깨닫거나 그 정도 나이가 들어서야 사회적인 성별을 바꾸려고하는 경향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다른 사람이 보기에 이성애자처럼 보이기 때문에 차이점이 비교적 덜 부각되고, 사회적 충돌도 비교적 덜 겪기 때문에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해 고민할 계기를 비교적 늦게 갖게 되는 것이다.
, '자신을 어떤 성이라고 생각하는가' 와 '어떤 성별에 끌리는가' 는 전혀 관계없는 문제라는 것.


=== 용어의 문제 ===
== FTM(Female To Male)<ref>참고로 이 용어(FTM, MTF)는 여타 동성애자들의 용어와 다르게 거의 전 세계 공통이다.</ref> ==
과거 의학계에서는 트랜스젠더의 동성애/이성애를 출생 당시의 성별([[지정된 성]])을 기준으로 구분했으나, 이는 트랜스젠더 스스로가 자신을 규정하는 정신적 성별을 무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트랜스젠더들은 이를 싫어한다.
Y [[염색체]]가 없지만 스스로를 남성으로 인지하는 경우. 외부에는 (그리고 어쩌면 '''그 스스로에게도''') 드센 애나 레즈비언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갑자기 용어를 정 반대로 바꾸면 혼란이 생기는지라, 여전히 의학 논문에서 homosexual transsexual이라는 말은 남성을 좋아하는 [[트랜스여성|MTF]]나 여성을 좋아하는 [[트랜스남성|FTM]]을 가리키는 말로 많이 사용된다.
여성기를 남성기로 만드는 것은 남성기를 여성기로 만드는 것보다 어렵고, 생각보다 여성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도 어렵고 해서 외부성기를 만드는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다고 한다.


반면 [[트랜스레즈비언]](translesbian)은 여성을 좋아하는 [[트랜스여성|MTF]], [[트랜스게이]](transgay)는 남성을 좋아하는 [[트랜스남성|FTM]]을 말한다. 이 표현들은 트랜스젠더들이 스스로를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낸 말이기 때문에 트랜스젠더 자신의 정신적 성별을 기준으로 한다.
FTM 남성이 임신을 해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최근에는 의학계에서도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을 구별해서 혼동 없이 지칭하기 위해 androphilic(남자를 좋아하는) / gynephilic(여자를 좋아하는) - transman / transwoman 등의 표현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여담이지만 FTM 분들 중에는 [[타가메 겐고로]] 만화에 나올법한 몸매를 가지신 분들도 상당하다...


경우, (기존 의학 용어에서 homosexual transsexual로 불리던 사람들 중에서) 정신적으로 여성이면서 남성을 사랑하는 트랜스젠더는 androphilic transwoman, 정신적으로 남성이면서 여성을 사랑하는 트랜스젠더는 gynephilic transman이 된다.
== MTF(Male To Female) ==
Y[[염색체]]가 있지만 스스로를 여성으로 인지하는 경우. 외부에는 [[여장남자]], 게이, 성 도착자 등으로 오해받는다.


== 치료 ==
단순히 여장 만으로 만족하거나 흥분을 느끼는 [[드랙퀸]]과는 다름을 알아두자. 이들은 정말로 스스로를 여성으로 생각하며, 여자이기 때문에 여자 옷을 입을 뿐이다. 물론 여성의 의상이나 소품을 착용하면서 스스로의 성 정체성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기는 한다.
{{참고|성전환 치료}}
 
{{각주}}
외부성기를 만드는 경우가 FTM보다는 흔하지만 역시 그렇게 많지는 않으며, [[유방]] 성형 만을 받은 상태일 때가 많다. 이런 경우를 일본어로 뉴하프(New half)라고 부르기도 한다.
{{트랜스젠더}}
 
{{성소수자}}
여성호르몬 중 특히 [[에스트로겐]][[혈관]]을 약화시키므로 호르몬 요법 자체가 심혈관계에 부담을 가져오게 된다.
[[분류:성소수자]]
 
[[분류:트랜스젠더| ]]
== 각주 ==
<references/>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