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가이누의 피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게임이름 = 토가이누의 피
| 제목            = 토가이누의 {{색|#d12e27|}}
|원어이름 = 咎狗の血
| 원제목          = {{루비|咎狗|とがいぬ}}の{{색|#d12e27|{{루비|血|ち}}}}
|배경색  = #A0D9E2
| 이미지          = [[파일:Togainu no chi pc.jpg|300px]]
|글자색  = #000000
| 배경색          = linear-gradient(50deg, #A0D9E2, #FFFFFF)
|그림    = [[파일:Togainu no chi pc.jpg|300px]]
| 글자색          = #000000;text-shadow: 0 -.5px 0 #FFFFFF, .5px 0 #FFFFFF, 0 .5px #FFFFFF, -.5px 0 #FFFFFF, -.5px -.5px #FFFFFF, .5px -.5px #FFFFFF, .5px .5px #FFFFFF, -.5px .5px #FFFFFF, 0 0 2px #FFFFFF, 0 0 6px #FFFFFF
|그림설명 = Windows 10판 패키지 일러스트
| 테두리색        = #377ba2
|배급사  = [[니트로플러스]]<br />[[호비박스]]
| 설명            = Windows 10판 패키지 일러스트
|개발사  = [[니트로플러스 키랄]]
| 개발사          = [[니트로플러스 키랄]]
|제작    = [[후치이 카부라]] & [[타타나 카나]]
| 발행사          = [[니트로플러스]]<br/>[[호비박스]]
|작가     = [[후치이 카부라]]
| 배급사          =  
|미술     = [[타타나 카나]] (캐릭터 디자인, 일러스트) <br /> [[폴리곤 번장]] (3D 그래픽)
| 기획자          = [[후치이 카부라]] & [[타타나 카나]]
|작곡가   = [[ZIZZ STUDIO]]
| 디자이너        = [[우로부치 겐]]<br/>[[데지타로우]]
|장르    = [[노벨 게임|True Blood ADV]]<br />[[보이즈 러브 게임]]
| 프로그래머      =
|출시일  = [[2005년]] [[2월 25일]] (초회판)<br />[[2007년]] [[3월 25일]] (통상판)<br />[[2007년]] [[4월 7일]] (Vista/7판)<br />[[2016년]] [[9월 30일]] (Windows 10판)<br />[[2020년]] [[2월 28일]] [스팀]
| 작가           = [[후치이 카부라]]
|종료일  =  
| 미술           = [[타타나 카나]]{{-1|{{색|#8b008b|[캐릭터 디자인, 일러스트]}}}} <br/> [[폴리곤 번장]]{{-1|{{색|#8b008b|[3D 그래픽]}}}}
|플랫폼  = [[Windows]]
| 작곡가         = [[ZIZZ STUDIO]]
|모드     = 1인용
| 엔진            = 니트로 엔진
|언어     = [[일본어]], [[영어]] (스팀, 자막 한정)
| 해상도          = 800×600{{-1|{{색|#8b008b|[구판]}}}}<br/> 1280×960{{-1|{{색|#8b008b|[Windows 10판]}}}}
|엔진     = 니트로 엔진
| 버전            = 1.05 v
|시리즈  =  
| 미리 보기 버전  = 없음
|이전작  =  
| 플랫폼          = [[Windows]]
|후속작  =  
| 출시            = [[2005년]] [[2월 25일]] {{-1|{{색|#8b008b|[초회판]}}}}<br />[[2007년]] [[3월 25일]] {{-1|{{색|#8b008b|[통상판]}}}}<br />[[2007년]] [[4월 7일]] {{-1|{{색|#8b008b|[Vista/7판]}}}}<br />[[2016년]] [[9월 30일]] {{-1|{{색|#8b008b|[Windows 10판]}}}}<br />[[2020년]] [[2월 28일]] {{아이콘|스팀}}
|웹사이트 = [http://www.nitrochiral.com/pc/togainu/togainu_top.html 공식 사이트]
| 장르            = [[노벨 게임|True Blood ADV]]<br />[[보이즈 러브 게임]]
|비고    =  
| 모드           = 1인용
| 언어           = [[일본어]], [[영어]] {{-1|{{색|#8b008b|[스팀, 자막 한정]}}}}
| 한글패치    = 있음 (구판 한정)
| 음성          = 풀보이스
| 후커코드  = 없음
| 이용가 등급     = 18세 미만 금지
| 미디어          = [[CD-ROM]] {{-1|{{색|#8b008b|[초회판]}}}}<br />[[DVD-ROM]] / 다운로드  {{-1|{{색|#8b008b|[Windows 10판]}}}}
| 요구사양        = CPU : PentiumII300Mhz 이상 <br/> HDD : 300MB 이상 <br/> DirectX : 9.0c 이상 8 런 타임 <br/> Memory : 64MB 이상
| 운영체제        = '''초회판, 통상판''' <br/> 일본어판 [[Windows 98]]/[[Windows 2000|2000]]/[[Windows XP|XP]] <br/> '''비스타/7판'''<br/>일본어판 [[Windows XP]]/[[Windows Vista|Vista]]/[[Windows 7|7]]<br/> '''윈도우 10판''' <br />일본어판 [[Windows 7]]/[[Windows 8|8]]/[[Windows 10|10]]
| 입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 용량            = 256MB
| 가격            = 8,000엔{{-1|{{색|#8b008b|[초회판]}}}}<br /> 7,875엔{{-1|{{색|#8b008b|[통상판]}}}}<br />4,800엔{{-1|{{색|#8b008b|[Vista/7판]}}}}<br />'''Windows 10판'''<br/>3,700엔{{-1|{{색|#8b008b|[패키지]}}}}<br />3,660엔{{-1|{{색|#8b008b|[다운로드]}}}}
| 관련 사이트    = [http://www.nitrochiral.com/pc/togainu/togainu_top.html 공식 사이트]
| 주석            =
}}
}}
{{인용문|'''------ 例え, それが{{색|#d12e27|血}}の{{루비|運命|さだめ}}でも。'''<br />------ 설령, 그것이 {{색|#d12e27|피}}의 운명이라도.<br />|캐치프레이즈|공식 사이트|center}}
{{인용문|'''------ 例え, それが{{색|#d12e27|血}}の{{루비|運命|さだめ}}でも。'''<br />------ 설령, 그것이 {{색|#d12e27|피}}의 운명이라도.<br />|캐치프레이즈|공식 사이트|center}}


《'''토가이누의 피'''》({{일본어|{{루비|咎狗|とがいぬ}}の{{루비|血|ち}}|토가이누노치}} / Togainu no chi)는 [[니트로플러스]]의 성인용 [[BL 게임]] 제작 브랜드인 [[니트로플러스 키랄]]의 데뷔작이다. 장르는 True blood 어드벤처로 기재되어있으나 정확한 장르는 [[비주얼 노벨]], [[디스토피아]], [[배틀물|배틀]], [[하드보일드]] 액션물이다.
《'''토가이누의 피'''》({{llang|ja|{{루비|咎狗|とがいぬ}}の{{루비|血|ち}}|토가이누노치}} / Togainu no chi)는 [[니트로플러스]]의 성인용 [[BL 게임]] 제작 브랜드인 [[니트로플러스 키랄]]의 데뷔작이다. 장르는 True blood 어드벤처로 기재되어있으나 정확한 장르는 [[비주얼 노벨]], [[디스토피아]], [[배틀물|배틀]], [[하드보일드]] 액션물이다.


2005년 2월 25일에 첫 초회한정판이 발매되었으며 인기에 힘입어 [[팬디스크]] [[토가이누의 피 데스크탑 악세사리]]가 [[코믹 마켓|코믹 마켓 69]]에 판매, 해가 넘어가면서 통상판, 비스타판, 윈도우 10판, 다운로드판([[DMM]]) 같은 버전업, 이식작이 발매되었고 2008년 5월 29일에 [[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라는 이름으로 [[플레이스테이션 2]]판을 비롯해 PSP등 콘솔 이식판들이 발매되었다.
2005년 2월 25일에 첫 초회한정판이 발매되었으며 인기에 힘입어 [[팬디스크]] [[토가이누의 피 데스크탑 악세사리]]가 [[코믹 마켓|코믹 마켓 69]]에 판매, 해가 넘어가면서 통상판, 비스타판, 윈도우 10판, 다운로드판([[DMM]]) 같은 버전업, 이식작이 발매되었고 2008년 5월 29일에 [[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라는 이름으로 [[플레이스테이션 2]]판을 비롯해 PSP등 콘솔 이식판들이 발매되었다.
42번째 줄: 55번째 줄:
;[[아키라 (토가이누의 피)|아키라]](アキラ)  
;[[아키라 (토가이누의 피)|아키라]](アキラ)  
:{{배지|성우|#A50000|#FFFFFF|0.8}} - [[토리우미 코스케]](사키와레 스푼)<ref>포크 스푼</ref>
:{{배지|성우|#A50000|#FFFFFF|0.8}} - [[토리우미 코스케]](사키와레 스푼)<ref>포크 스푼</ref>
:종전 후에 정책에 따른 가족 의무화 제도에 적응하지 못해 어렸을때 살던 고아원에 뛰쳐나와 혼자 미카사 거리에서 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미카사 거리(통칭 AREA : RAY)의 스트리트 파이트 「Bl@ster」의 개인전 우승자. 그러나 게임과 Bl@ster 참가로 매일 허탈하게 생활하다가 엉뚱한 살인 혐의로 체포되고 무죄 방면으로 죽음의 배틀 게임 「이그라」에 참가해 마약조직 「비스키오」의 왕(일·레)를 쓰러뜨려 조직을 섬멸시키라는 거래를 수수께끼의 남녀로부터 제안받아 토시마로 향하게 된다.
:{{-1|종전 후에 정책에 따른 가족 의무화 제도에 적응하지 못해 어렸을때 살던 고아원에 뛰쳐나와 혼자 미카사 거리에서 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미카사 거리(통칭 AREA : RAY)의 스트리트 파이트 「Bl@ster」의 개인전 우승자. 그러나 게임과 Bl@ster 참가로 매일 허탈하게 생활하다가 엉뚱한 살인 혐의로 체포되고 무죄 방면으로 죽음의 배틀 게임 「이그라」에 참가해 마약조직 「비스키오」의 왕(일·레)를 쓰러뜨려 조직을 섬멸시키라는 거래를 수수께끼의 남녀로부터 제안받아 토시마로 향하게 된다.}}


;[[시키 (토가이누의 피)|시키]](シキ)  
;[[시키 (토가이누의 피)|시키]](シキ)  
:{{배지|성우|#A50000|#FFFFFF|0.8}} - [[미도리카와 히카루]]
:{{배지|성우|#A50000|#FFFFFF|0.8}} - [[미도리카와 히카루]]
:"이그라"의 참가자들중 최강이라 불리며 두려움을 사고 있는 고고한 카리스마의 소유자. 자신의 힘을 기르는데에 집착하는 완벽주의자에 나르시스트로 자신의 길을 가로막는 자는 가차없이 없앤다. 강함을 위해 매일같이 싸우고 실력을 닦고 있으며 쾌락을 위해 살인하는 자들을 혐오하고 있다.
:{{-1|"이그라"의 참가자들중 최강이라 불리며 두려움을 사고 있는 고고한 카리스마의 소유자. 자신의 힘을 기르는데에 집착하는 완벽주의자에 나르시스트로 자신의 길을 가로막는 자는 가차없이 없앤다. 강함을 위해 매일같이 싸우고 실력을 닦고 있으며 쾌락을 위해 살인하는 자들을 혐오하고 있다.}}


;[[케이스케 (토가이누의 피)|케이스케]](ケイスケ)  
;[[케이스케 (토가이누의 피)|케이스케]](ケイスケ)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스기타 토모카즈]](나니무샤)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스기타 토모카즈]](나니무샤)
:아키라의 소꿉친구. 어렸을때부터 아키라와 같이 고아원에서 자랐다. 현재는 작은 공장에 취직해 성실하게 일하고 있다. 무슨 일에 있어도 열심히 하는 노력파지만 요령이 나빠 보답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무엇이든 잘하는 아키라를 동경하고 있다. 토시마에 간 아키라를 돕기 위해 아키라의 뒤를 몰래 따라와 토시마로 향하게되었다.
:{{-1|아키라의 소꿉친구. 어렸을때부터 아키라와 같이 고아원에서 자랐다. 현재는 작은 공장에 취직해 성실하게 일하고 있다. 무슨 일에 있어도 열심히 하는 노력파지만 요령이 나빠 보답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무엇이든 잘하는 아키라를 동경하고 있다. 토시마에 간 아키라를 돕기 위해 아키라의 뒤를 몰래 따라와 토시마로 향하게되었다.}}


;[[린 (토가이누의 피)|린]](リン)  
;[[린 (토가이누의 피)|린]](リン)  
:{{배지|성우|#A50000|#FFFFFF|0.8}} - [[후쿠야마 쥰]](키류인 하야토)
:{{배지|성우|#A50000|#FFFFFF|0.8}} - [[후쿠야마 쥰]](키류인 하야토)
:명량활발, 자유분방한 경박한 소년. 사진을 찍는 것이 취미이다. 상냥한 성격의 아이로 보이지만 심지 굳은 사나이같은 면모도 있다. 그 여자같은 외모에서 상상할 수 없는 과거를 지니고 있다. 토시마에 들어온 아키라에게 토시마의 거리를 안내하게 되었다.
:{{-1|명량활발, 자유분방한 경박한 소년. 사진을 찍는 것이 취미이다. 상냥한 성격의 아이로 보이지만 심지 굳은 사나이같은 면모도 있다. 그 여자같은 외모에서 상상할 수 없는 과거를 지니고 있다. 토시마에 들어온 아키라에게 토시마의 거리를 안내하게 되었다.}}


;[[모토미 (토가이누의 피)|모토미]]({{루비|源泉|もとみ}})  
;[[모토미 (토가이누의 피)|모토미]]({{루비|源泉|もとみ}})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이치죠 카즈야]]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이치죠 카즈야]]
:토시마의 배틀게임 "이그라"의 전반 정보상인. 사물에 대해 여유가 있고 한가할 것 같지만 흠이 없다. 다소 습관이지만 도와주는 것을 좋아하는 좋은 아저씨. 아키라 일행의 일을 생각하고 조언을 준다.
:{{-1|토시마의 배틀게임 "이그라"의 전반 정보상인. 사물에 대해 여유가 있고 한가할 것 같지만 흠이 없다. 다소 습관이지만 도와주는 것을 좋아하는 좋은 아저씨. 아키라 일행의 일을 생각하고 조언을 준다.}}


;[[나노 (토가이누의 피)|나노]](n)(ナノ)  
;[[나노 (토가이누의 피)|나노]](n)(ナノ)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야마자키 타쿠미]](Prof.시류)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야마자키 타쿠미]](Prof.시류)
:갑자기 나타나서 아키라를 인도하는 듯한 말을 남기는 수수께끼의 남자. 일단 토시마와 안어울리는 풍모지만 무엇인가 비밀이 있는 듯 하다. 그는 아키라의 적인지... 아군인지...
:{{-1|갑자기 나타나서 아키라를 인도하는 듯한 말을 남기는 수수께끼의 남자. 일단 토시마와 안어울리는 풍모지만 무엇인가 비밀이 있는 듯 하다. 그는 아키라의 적인지... 아군인지...}}


=== 조연 ===
=== 조연 ===
;[[키리오 (토가이누의 피)|키리오]](キリヲ)  
;[[키리오 (토가이누의 피)|키리오]](キリヲ)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코니시 카츠유키]](후지 바쿠하츠)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코니시 카츠유키]](후지 바쿠하츠)
:이그라의 위반자에게 제재를 가하는 처형인. 항상 지루한 텐션으로 웃고 있다. 이름을 붙인 쇠파이프를 상대로서 데리고 있다.
:{{-1|이그라의 위반자에게 제재를 가하는 처형인. 항상 지루한 텐션으로 웃고 있다. 이름을 붙인 쇠파이프를 상대로서 데리고 있다.}}


;[[군지 (토가이누의 피)|군지]](グンジ)  
;[[군지 (토가이누의 피)|군지]](グンジ)  
:{{배지|성우|#A50000|#FFFFFF|0.8}} - [[타니야마 키쇼]](스기사키 카즈야)
:{{배지|성우|#A50000|#FFFFFF|0.8}} - [[타니야마 키쇼]](스기사키 카즈야)
:이그라의 위반자에게 제재를 가하는 처형인. 기분내키는대로 마음대로 행동한다. 커스텀 메이드의 클로를 장비하고 있다.
:{{-1|이그라의 위반자에게 제재를 가하는 처형인. 기분내키는대로 마음대로 행동한다. 커스텀 메이드의 클로를 장비하고 있다.}}


;[[알비트로]](アルビトロ)  
;[[알비트로]](アルビトロ)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오카노 코스케]](히시 쇼)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오카노 코스케]](히시 쇼)
:마약조직 "비스키오"의 실질적 지휘를 담당하고 있는 인물. 이그라의 심판 역할도 맡고 있다. 은근히 무례한 태도로 항상 가면을 쓴듯한 행동을 취하고 있다. 은근 신경질.
:{{-1|마약조직 "비스키오"의 실질적 지휘를 담당하고 있는 인물. 이그라의 심판 역할도 맡고 있다. 은근히 무례한 태도로 항상 가면을 쓴듯한 행동을 취하고 있다. 은근 신경질.}}


;[[에마 (토가이누의 피)|에마]](エマ)  
;[[에마 (토가이누의 피)|에마]](エマ)  
:{{배지|성우|#A50000|#FFFFFF|0.8}} - [[도도 아사코]](오쿠다 카오리)
:{{배지|성우|#A50000|#FFFFFF|0.8}} - [[도도 아사코]](오쿠다 카오리)
:아키라의 누명을 벗는 대신 살인배틀게임 "이그라"에 참가를 제안했다. 냉정하고 과묵한 외팔의 미녀.
:{{-1|아키라의 누명을 벗는 대신 살인배틀게임 "이그라"에 참가를 제안했다. 냉정하고 과묵한 외팔의 미녀.}}


;[[그웬 (토가이누의 피)|그웬]](グエン)  
;[[그웬 (토가이누의 피)|그웬]](グエン)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카와무라 타쿠오]](나메가와 카쿠타로)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카와무라 타쿠오]](나메가와 카쿠타로)
:아키라의 누명을 벗는 대신 살인배틀게임 "이그라"에 참가를 제안했다. 항상 진지한 표정을 짓는 올곧은 남자.
:{{-1|아키라의 누명을 벗는 대신 살인배틀게임 "이그라"에 참가를 제안했다. 항상 진지한 표정을 짓는 올곧은 남자.}}


;[[타케루 (토가이누의 피)|타케루]]({{루비|猛|タケル}})  
;[[타케루 (토가이누의 피)|타케루]]({{루비|猛|タケル}})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오기하라 히데키]](코이케 타케조우)
:{{배지|성우|#A50000|#FFFFFF|0.8}} - [[오기하라 히데키]](코이케 타케조우)
:이그라의 참가자. 우승하기 위해 남다른 열정을 기울이고 있는 남자. 그 뒤에는 무슨 사정이 있는 것 같다.
:{{-1|이그라의 참가자. 우승하기 위해 남다른 열정을 기울이고 있는 남자. 그 뒤에는 무슨 사정이 있는 것 같다.}}


=== 단역 ===
=== 단역 ===
95번째 줄: 108번째 줄:
* '''개''' ({{루비|狗|イヌ}}) 성우 - 없음
* '''개''' ({{루비|狗|イヌ}}) 성우 - 없음
: 알비트로가 총애하는 은발의 미소년으로 온몸에는 피어스가 박혀있으며 입마개와 검은색 본디지 복장을 입고 있다. 키리오는 타마, 군지는 포치, 알비트로는 카우로 부르고 있으며 공식 비주얼 팬북에서는 노예로 표기. 알비트로에게 개조되어 눈과 목소리를 잃은 대신 후각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위반된 도그태그를 찾아다니는 역할. 개처럼 네 발로 다니고 있으며 키리오는 '''타마''', 군지는 '''포치'''라고 부르고있다. {{스포일러 가림|과거 부친에게 성학대를 당하고 모친에게 방치당해 버려진 것을 알비트로가 거두어주었다. 개조당할때도 그에 대한 사랑으로 참아내고 현재 인간으로서 의지를 잃어버렸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따르고 있다.||1}} PS2판에서는 심의 문제로 개조설정은 사라지고 타이즈를 입은 평범한 인간이 되었다.
: 알비트로가 총애하는 은발의 미소년으로 온몸에는 피어스가 박혀있으며 입마개와 검은색 본디지 복장을 입고 있다. 키리오는 타마, 군지는 포치, 알비트로는 카우로 부르고 있으며 공식 비주얼 팬북에서는 노예로 표기. 알비트로에게 개조되어 눈과 목소리를 잃은 대신 후각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위반된 도그태그를 찾아다니는 역할. 개처럼 네 발로 다니고 있으며 키리오는 '''타마''', 군지는 '''포치'''라고 부르고있다. {{스포일러 가림|과거 부친에게 성학대를 당하고 모친에게 방치당해 버려진 것을 알비트로가 거두어주었다. 개조당할때도 그에 대한 사랑으로 참아내고 현재 인간으로서 의지를 잃어버렸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따르고 있다.||1}} PS2판에서는 심의 문제로 개조설정은 사라지고 타이즈를 입은 평범한 인간이 되었다.
* '''유카리''' ({{루비|由香里|ユカリ}}) 성우 - [[사사키 노조미]](TV 애니메이션)<!-- 수정바람 : PC, PS2판에는 캐스팅 정보가 안 떠서 불명. -->
* '''유카리''' ({{루비|由香里|ユカリ}}) 성우 - [[사사키 노조미]](TV 애니메이션)<!-- 수정바람 : PC, PS2판에는 캐스팅 정보가 안 떠서 불명. -->
: 타케루의 여동생으로 타케루가 이그라에 참가하게 된 계기가 된 소녀. 가정 문제로 타케루가 이그라에 참가하기 위해 몰래 가출하자 유카리는 타케루에게 부적으로 로자리오를 줬다.
: 타케루의 여동생으로 타케루가 이그라에 참가하게 된 계기가 된 소녀. 가정 문제로 타케루가 이그라에 참가하기 위해 몰래 가출하자 유카리는 타케루에게 부적으로 로자리오를 줬다.
* '''에이스''' (エース) 성우 - [[츠루오카 사토시]]<ref>이외에 엑스트라 역으로 안내인을 맡았다.</ref>
* '''에이스''' (エース) 성우 - [[츠루오카 사토시]]<ref>이외에 엑스트라 역으로 안내인을 맡았다.</ref>
: 금발 모히칸을 한 남성으로 Bl@ster의 관객. 매우 경박한 성격의 소유자로 챔피언인 아키라를 좋아해 항상 따라다니며 친구를 자처하고 있다.
: 금발 모히칸을 한 남성으로 Bl@ster의 관객. 매우 경박한 성격의 소유자로 챔피언인 아키라를 좋아해 항상 따라다니며 친구를 자처하고 있다.
* '''디''' (ディー) 성우 - [[나카무라 유이치]]
* '''디''' (ディー) 성우 - [[나카무라 유이치]]
: 장발의 스모키 화장을 한 음울한 인상의 남성. 에이스와 같은 Bl@ster의 관객으로 성격은 에이스와 반대로 침착한 편. 에이스와 같이 아키라를 따라다니고 있다.
: 장발의 스모키 화장을 한 음울한 인상의 남성. 에이스와 같은 Bl@ster의 관객으로 성격은 에이스와 반대로 침착한 편. 에이스와 같이 아키라를 따라다니고 있다.
131번째 줄: 147번째 줄:
{{본문|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
{{본문|토가이누의 피 True Blood}}
=== 애니메이션 ===
=== 애니메이션 ===
{{본문|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
{{본문|토가이누의 피/애니메이션}}


== 관련 상품 ==
== 굿즈 일람 ==
* '''서적'''
* '''서적'''
** 토가이누의 피 공식 비주얼 팬북
** 토가이누의 피 공식 비주얼 팬북
143번째 줄: 159번째 줄:
** [[코토부키야]] 1/10인치 시키 & 아키라
** [[코토부키야]] 1/10인치 시키 & 아키라
** [[코토부키야]] 1/10인치 시키x아키라 엔딩 2 군복 버전.
** [[코토부키야]] 1/10인치 시키x아키라 엔딩 2 군복 버전.
** [[코토부키야]] 1/10인치 시키 & 아키라 [[야마다 우이로]] 디자인 버전.
** [[코토부키야]] 1/10인치 시키 & 아키라 [[야마다 우이로우]] 디자인 버전.
** [[코토부키야]] 토가이누의 피 원코인 피규어 시리즈
** [[코토부키야]] 토가이누의 피 원코인 피규어 시리즈
** [[코토부키야]] 키랄의 숲
** [[코토부키야]] 키랄의 숲
160번째 줄: 176번째 줄:
2000년 초중반 발매된 BL 게임들 중 약 '''4만 장'''이라는 역대로 높은 세일즈를 기록하면서 히트를 쳤고 키랄 팬들을 양성하게 되었으며 여성향, BL계를 통틀어 최초로 [[피규어]]화되기까지 했다. 그리고 PS2판 및 다른 이식판들의 판매량을 합쳐 총 누계 '''20만 장'''을 돌파했다.
2000년 초중반 발매된 BL 게임들 중 약 '''4만 장'''이라는 역대로 높은 세일즈를 기록하면서 히트를 쳤고 키랄 팬들을 양성하게 되었으며 여성향, BL계를 통틀어 최초로 [[피규어]]화되기까지 했다. 그리고 PS2판 및 다른 이식판들의 판매량을 합쳐 총 누계 '''20만 장'''을 돌파했다.


발매된지 거진 10년이 지난 시점에도 2차 창작물과 공식 [[굿즈]]가 계속 나오거나 BL 게임 인기 투표를 하면 항상 순위권에 들고 있다. 국내에서도 입소문을 타면서 당시 BL 팬덤에서는 토가이누를 플레이하는 것이 불문율이었으며 키랄과 후기 작품은 몰라도 토가이누는 지금도 아는 사람들이 많다. 해외에서도 영어 패치가 제작되어서 로마자로 검색하면 관련 자료들이 나올 정도로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후술할 장점으로 BL 게이머들에게 어필하는데 성공했고 덩달아 메르헨이나 순정틱했던 기존 BL물들에 대한 편견을 깨고 남성간의 연애는 묵직하게 묘사되어 무법도시의 배틀물스러운 전개와 하드보일드한 액션 덕에 니트로플러스의 코어 팬덤(주로 남성 게이머)들도 호평을 했다.
발매된지 거진 10년이 지난 시점에도 2차 창작물과 공식 굿즈가 계속 나오거나 BL 게임 인기 투표를 하면 항상 순위권에 들고 있다. 국내에서도 입소문을 타면서 당시 BL 팬덤에서는 토가이누를 플레이하는 것이 불문율이었으며 키랄과 후기 작품은 몰라도 토가이누는 지금도 아는 사람들이 많다. 해외에서도 영어 패치가 제작되어서 로마자로 검색하면 관련 자료들이 나올 정도로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후술할 장점으로 BL 게이머들에게 어필하는데 성공했고 덩달아 메르헨이나 순정틱했던 기존 BL물들에 대한 편견을 깨고 남성간의 연애는 묵직하게 묘사되어 무법도시의 배틀물스러운 전개와 하드보일드한 액션 덕에 니트로플러스의 코어 팬덤(주로 남성 게이머)들도 호평을 했다.


이 영향으로 키랄은 1년만에 신작인 《[[Lamento -BEYOND THE VOID-]]》를 개발 및 발매를 하게 되었다.
이 영향으로 키랄은 1년만에 신작인 《[[Lamento -BEYOND THE VOID-]]》를 개발 및 발매를 하게 되었다.
175번째 줄: 191번째 줄:


=== 일러스트·캐릭터 디자인  ===
=== 일러스트·캐릭터 디자인  ===
당시 [[타타나 카나]]가 신인이었다보니 스탠딩 이미지와 CG내 캐릭터들의 [[작화 붕괴|인상이 다르거나]] 선을 각지게 써서 인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일부 구도에서는 인체가 어긋나는등 불안정한 면모가 있었지만 그걸 감안해도 남성의 인체 묘사와 옷주름, 질감 표현을 비롯해 광원 효과는 매우 뛰어나며 캐릭터 디자인도 아키라와 시키, 군지는 색배색 및 비주얼이 매우 뛰어나 지금도 BL 게임 캐릭터 인기 투표에서 상위권을 놓치지 않고 있다. 2005년에 나온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최근에 나온 게임이라고 착각이 들 정도로 그래픽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세련된 편.
당시 [[타타나 카나]]가 신인이었다보니 스탠딩 이미지와 CG내 캐릭터들의 [[작화 붕괴|인상이 다르거나]] 선을 각지게 써서 인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일부 구도에서는 인체가 어긋나는등 불안정한 면모가 있었지만 그걸 감안해도 남성의 인체 묘사와 옷주름, 질감 표현을 비롯해 광원 효과는 매우 뛰어나며 캐릭터 디자인도 아키라와 시키, 군지는 색배색 및 비주얼이 매우 뛰어나 지금도 BL 게임 캐릭터 인기 투표에서 상위권을 놓치지 않고 있다. 2005년에 나온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최근에 나온 게임이라고 착각이 들 정도로 그래픽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세련된 편.  


토가이누 발매 전 당시 BL물들의 그림은 《[[돈이 없어]]》류의 남성의 인체를 제대로 묘사를 못해 평면적이거나 매우 부자연스러운걸 넘어서서 순정만화마냥 가녀리고 여성스러운 전통 쇼타 미소년(은어로 꽃수)내지는 이에 대한 반향으로 골격 및 근육이 지나치게 과장되었거나 등신이 너무 큰 떡대 캐릭터(은어로 떡대수)들이 태반을 차지했었다. 그러나 토가이누는 인체비례가 자연스럽고 입체적이며 극단적으로 여성적이거나 과장된 캐릭터가 없다. 쇼타 미소년 캐릭터인 린도 골격은 굵고 마른 근육이 붙어있는 몸을 가지고 있고 성격도 남성적이며 주인공인 아키라 또한 수 캐릭터인데도 불구하고 남성적이고  청년 캐릭터의 모습을 하고 있었는데 발매 당시에 아키라가 공 캐릭터인줄 알았다는 여담도 있었다. 게다가 아키라의 바리에이션중 하나인 {{스포일러 가림|시키 루트 엔딩 3의 아키라(요부 아키라)도 제일 중성적인 외모를 지녔고 가녀리지만 [[오토코노코]]마냥 여성적인게 아닌 기본 체형과 골격은 남자임을 알 수 있을 정도로 굵은 편이다.||5}}실제 토가이누의 피가 발매된 이후 BL물의 남성 캐릭터들은 인체가 제대로 묘사되었거나 미청년, 적당히 남성적이고 늠름한 캐릭터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BL계의 주류를 차지한 가녀린 미소년 캐릭터는 남성향으로 밀려나 비주류가 되었다.
토가이누 발매 전 당시 BL물들의 그림은 《[[돈이 없어]]》류의 남성의 인체를 제대로 묘사를 못해 평면적이거나 매우 부자연스러운걸 넘어서서 순정만화마냥 가녀리고 여성스러운 전통 쇼타 미소년(은어로 꽃수)내지는 이에 대한 반향으로 골격 및 근육이 지나치게 과장되었거나 등신이 너무 큰 떡대 캐릭터(은어로 떡대수)들이 태반을 차지했었다. 그러나 토가이누는 인체비례가 자연스럽고 입체적이며 극단적으로 여성적이거나 과장된 캐릭터가 없다. 쇼타 미소년 캐릭터인 린도 골격은 굵고 마른 근육이 붙어있는 몸을 가지고 있고 성격도 남성적이며 주인공인 아키라 또한 수 캐릭터인데도 불구하고 남성적이고  청년 캐릭터의 모습을 하고 있었는데 발매 당시에 아키라가 공 캐릭터인줄 알았다는 여담도 있었다. 게다가 아키라의 바리에이션중 하나인 {{스포일러 가림|시키 루트 엔딩 3의 아키라(요부 아키라)도 제일 중성적인 외모를 지녔고 가녀리지만 [[오토코노코]]마냥 여성적인게 아닌 기본 체형과 골격은 남자임을 알 수 있을 정도로 굵은 편이다.||5}}실제 토가이누의 피가 발매된 이후 BL물의 남성 캐릭터들은 인체가 제대로 묘사되었거나 미청년, 적당히 남성적이고 늠름한 캐릭터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BL계의 주류를 차지한 가녀린 미소년 캐릭터는 남성향으로 밀려나 비주류가 되었다.
190번째 줄: 206번째 줄:
* '''우로부치 겐 집필 루머'''
* '''우로부치 겐 집필 루머'''
: 우로부치 겐이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로 2011년도에 인지도가 급상승하면서 과거 시나리오, 감독을 맡은 게임들이 재발굴되기 시작했었는데 《토가이누의 피》를 유명하게 만든 케이스케의 [[드라이버|문제의 이벤트]]와 [[고어|특정 베드 엔딩]]도 우로부치 겐이 입김을 불었다느니, 더 나아가 《토가이누의 피》를 우로부치 겐이 집필했다느니 하는 잘못된 정보가 떠돌아다닌 적이 있었다. 《토가이누의 피》는 제작 당시 우로부치가 봐주면서 초안보다 더 어두워졌다는 건 사실이지만 해당 이벤트와 엔딩은 후치이 카부라의 아이디어에서 나온 것이며 문제의 이벤트도 초안에는 [[스패너]]였다가 너무 심했다고 생각해서 수정된 것이 [[드라이버]]였다.<ref>출처: 토가이누의 피 공식 비주얼 팬북 제작진 인터뷰</ref> 제작 비화에도 나왔다시피 《토가이누의 피》는 우로부치의 물건이 아니다. 이는 우로부치 겐이 《토가이누의 피》 시나리오를 검토하면서 어두워졌다는 부분을 라이트 팬덤이 이상하게 해석해서 생긴 오해인데 "처음에 밝은 물건이었는데 우로부치가 자기 스타일로 뜯어고쳤다"가 아니라 "후치이가 만든 기획 초본도 어두웠으나 뭔가 부족했기에 우로부치가 감수하는 과정에서 비주얼적으로 그로테스크한 묘사와 더 어두운 요소가 첨가되었다."고 해석하는 것이 옳다.
: 우로부치 겐이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로 2011년도에 인지도가 급상승하면서 과거 시나리오, 감독을 맡은 게임들이 재발굴되기 시작했었는데 《토가이누의 피》를 유명하게 만든 케이스케의 [[드라이버|문제의 이벤트]]와 [[고어|특정 베드 엔딩]]도 우로부치 겐이 입김을 불었다느니, 더 나아가 《토가이누의 피》를 우로부치 겐이 집필했다느니 하는 잘못된 정보가 떠돌아다닌 적이 있었다. 《토가이누의 피》는 제작 당시 우로부치가 봐주면서 초안보다 더 어두워졌다는 건 사실이지만 해당 이벤트와 엔딩은 후치이 카부라의 아이디어에서 나온 것이며 문제의 이벤트도 초안에는 [[스패너]]였다가 너무 심했다고 생각해서 수정된 것이 [[드라이버]]였다.<ref>출처: 토가이누의 피 공식 비주얼 팬북 제작진 인터뷰</ref> 제작 비화에도 나왔다시피 《토가이누의 피》는 우로부치의 물건이 아니다. 이는 우로부치 겐이 《토가이누의 피》 시나리오를 검토하면서 어두워졌다는 부분을 라이트 팬덤이 이상하게 해석해서 생긴 오해인데 "처음에 밝은 물건이었는데 우로부치가 자기 스타일로 뜯어고쳤다"가 아니라 "후치이가 만든 기획 초본도 어두웠으나 뭔가 부족했기에 우로부치가 감수하는 과정에서 비주얼적으로 그로테스크한 묘사와 더 어두운 요소가 첨가되었다."고 해석하는 것이 옳다.
* '''월야환담 표절 루머'''
* '''월야환담 표절 루머'''
: 과거 《토가이누의 피》가 국내에 알려졌을때 아키라의 외모와 성격이 판타지 소설 [[월야환담 시리즈]]의 [[한세건]]과 비슷한 면이 많아 화자되기도 했으나 소수 무개념 월야환담 팬덤이 유사점만 가지고 《토가이누의 피》는 월야환담을 표절했다는 루머를 퍼뜨린 적이 있었다. 그러나 별 근거가 없었기 때문에 바로 묻혔는데 월야환담은 '''일본에서는 인지도가 있기는커녕 정식 발매조차 되지 않은 소설'''이며, 본문에 항상 언급된 것처럼 《토가이누의 피》는 둘이 학창 시절에 만든 물건이다. 또한 아키라와 한세건은 일부 특징만 비슷하지 자세하게 보면 매우 다른 성격을 지닌 인물로, 아키라는 죽음을 동경할 정도로 매우 순수한 것도 모자라 휘둘리는 미숙한 경향이 강하고 한세건은 어반 판타지물의 다크 히어로상에 가까우며 머리색도 아키라는 청록색 톤의 회색머리고 한세건은 채도높은 녹색 계통으로 초록색 계통이라는 것만 빼면 표절급으로 똑같지도 않다. 그렇게 따지면 다크·어반 판타지 계통 작품들은 모두 표절이 되는 셈. 토가이누는 니트로플러스와 우로부치의 데뷔작인 《[[Phantom -PHANTOM OF INFERNO-]]》와 차기작 《[[흡혈섬귀 베도고니아]]》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다고 봐야 할 정도로 일부 캐릭터와 몇몇 설정 등 해당 작품과 유사점이 있는 편이다. 그리고 《흡혈섬귀 베도고니아》는 후치이 카부라가 처음으로 플레이한 니트로플러스 게임으로 토가이누 개발에 영향을 끼친 게임이었다.
: 과거 《토가이누의 피》가 국내에 알려졌을때 아키라의 외모와 성격이 판타지 소설 [[월야환담 시리즈]]의 [[한세건]]과 비슷한 면이 많아 화자되기도 했으나 소수 무개념 월야환담 팬덤이 유사점만 가지고 《토가이누의 피》는 월야환담을 표절했다는 루머를 퍼뜨린 적이 있었다. 그러나 별 근거가 없었기 때문에 바로 묻혔는데 월야환담은 '''일본에서는 인지도가 있기는커녕 정식 발매조차 되지 않은 소설'''이며, 본문에 항상 언급된 것처럼 《토가이누의 피》는 둘이 학창 시절에 만든 물건이다. 또한 아키라와 한세건은 일부 특징만 비슷하지 자세하게 보면 매우 다른 성격을 지닌 인물로, 아키라는 죽음을 동경할 정도로 매우 순수한 것도 모자라 휘둘리는 미숙한 경향이 강하고 한세건은 어반 판타지물의 다크 히어로상에 가까우며 머리색도 아키라는 청록색 톤의 회색머리고 한세건은 채도높은 녹색 계통으로 초록색 계통이라는 것만 빼면 표절급으로 똑같지도 않다. 그렇게 따지면 다크·어반 판타지 계통 작품들은 모두 표절이 되는 셈. 토가이누는 니트로플러스와 우로부치의 데뷔작인 《[[Phantom -PHANTOM OF INFERNO-]]》와 차기작 《[[흡혈섬귀 베도고니아]]》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다고 봐야 할 정도로 일부 캐릭터와 몇몇 설정 등 해당 작품과 유사점이 있는 편이다. 그리고 《흡혈섬귀 베도고니아》는 후치이 카부라가 처음으로 플레이한 니트로플러스 게임으로 토가이누 개발에 영향을 끼친 게임이었다.
* '''시키아키 엔딩 2 나치, 극우 미화, 옹호 루머'''
* '''시키아키 엔딩 2 나치, 극우 미화, 옹호 루머'''
:시키아키 엔딩 2는 《토가이누의 피》가 발매된 2000년 초반과 2009년엔 문제가 없었으나 2010년 초중반부터 일본의 우경화 논란으로 극우 미디어물에 대한 경계가 심해지자 국내에서 한때 극우·나치 미화라는 오해가 퍼진 적이 있었고 현재진행형으로 일부 계층에게 오해받고 있다. 먼저 토가이누는 작풍부터 인권유린 약육강식 사상을 내세우는 CFC를 비판하는 뉘앙스를 담고 있으며 모든 캐릭터들의 해피 엔딩에서 CFC는 궤멸하고 일흥련이 승리해 일본을 재건하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반면 시키 엔딩 2는 이 CFC가 해왔던 약육강식, 인권유린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도 모자라 군국주의를 내세워 나라를 지옥으로 만들고 세계를 정복해 과거 저지른 만행을 반복하려고 하고 있는데 오히려 힘만 추구해 타락해 파멸로 향하는 시키와 그릇된 사랑에 빠져 자신이 경멸한 권력을 이용해 타인을 짓밟는 인간이 되어버린 아키라를 나치 이미지를 차용해서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되려 약육강식 사상과 극우주의를 안좋게 묘사하고 있다. <br /> 이외 나치 묘사에 대한 루머를 해명하자면 나치 묘사에 민감한 서구권에서조차 하켄크로이츠나 철십자, SS부대 마크를 고증 목적이 아닌 대놓고 묘사하거나 나치의 만행을 옹호·미화할 목적으로 삼았을 경우에만 문제를 삼지 문양을 검열하거나 제복의 실루엣만 따오고 변형을 하거나 정치색이 없는 악역 캐릭터나 나쁜 캐릭터, 어떻게든 부정적으로 묘사했으면 용인한다. 아니 애초에 서브컬처에 흔히 나오는 악의 조직, 군사 집단은 동서양 안가리고 나치 및 제3제국을 모티브로 삼은 것들이 많다. 흔히 서양에서 동양에서 창작된 나치 관련 창작물에서 문제삼는 건 나치를 선역으로 등장시켰거나 시대적 배경 고증 목적이 아닌데 문양들을 막 넣은 경우이다. 실제 시키 엔딩 2도 문양 및 나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묘사는 없는데다가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있기에 서구권의 토가이누/키랄 팬덤도 한정된 공간에서 코스프레 및 팬아트와 팬픽션 등 2차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br />물론 개인의 취향에 따라 해당 엔딩이 마음에 안드는 건 자유이고 시키가 공식적으로 해피 엔딩이 없는 캐릭터에 비주얼 팬북에 플레이어의 판단에 따라 어떤 게 해피 엔딩인지는 상상의 여지로 남겼으나 엔딩 2는 엄연히 배드 엔딩이다.
:시키아키 엔딩 2는 《토가이누의 피》가 발매된 2000년 초반과 2009년엔 문제가 없었으나 2010년 초중반부터 일본의 우경화 논란으로 극우 미디어물에 대한 경계가 심해지자 국내에서 한때 극우·나치 미화라는 오해가 퍼진 적이 있었고 현재진행형으로 일부 계층에게 오해받고 있다. 먼저 토가이누는 작풍부터 인권유린 약육강식 사상을 내세우는 CFC를 비판하는 뉘앙스를 담고 있으며 모든 캐릭터들의 해피 엔딩에서 CFC는 궤멸하고 일흥련이 승리해 일본을 재건하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반면 시키 엔딩 2는 이 CFC가 해왔던 약육강식, 인권유린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도 모자라 군국주의를 내세워 나라를 지옥으로 만들고 세계를 정복해 과거 저지른 만행을 반복하려고 하고 있는데 오히려 힘만 추구해 타락해 파멸로 향하는 시키와 그릇된 사랑에 빠져 자신이 경멸한 권력을 이용해 타인을 짓밟는 인간이 되어버린 아키라를 나치 이미지를 차용해서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되려 약육강식 사상과 극우주의를 안좋게 묘사하고 있다. <br/> 이외 나치 묘사에 대한 루머를 해명하자면 나치 묘사에 민감한 서구권에서조차 하켄크로이츠나 철십자, SS부대 마크를 고증 목적이 아닌 대놓고 묘사하거나 나치의 만행을 옹호·미화할 목적으로 삼았을 경우에만 문제를 삼지 문양을 검열하거나 제복의 실루엣만 따오고 변형을 하거나 정치색이 없는 악역 캐릭터나 나쁜 캐릭터, 어떻게든 부정적으로 묘사했으면 용인한다. 아니 애초에 서브컬처에 흔히 나오는 악의 조직, 군사 집단은 동서양 안가리고 나치 및 제3제국을 모티브로 삼은 것들이 많다. 흔히 서양에서 동양에서 창작된 나치 관련 창작물에서 문제삼는 건 나치를 선역으로 등장시켰거나 시대적 배경 고증 목적이 아닌데 문양들을 막 넣은 경우이다. 실제 시키 엔딩 2도 문양 및 나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묘사는 없는데다가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있기에 서구권의 토가이누/키랄 팬덤도 한정된 공간에서 코스프레 및 팬아트와 팬픽션 등 2차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br />물론 개인의 취향에 따라 해당 엔딩이 마음에 안드는 건 자유이고 시키가 공식적으로 해피 엔딩이 없는 캐릭터에 비주얼 팬북에 플레이어의 판단에 따라 어떤 게 해피 엔딩인지는 상상의 여지로 남겼으나 엔딩 2는 엄연히 배드 엔딩이다.


== 영상 ==
== 영상 ==
208번째 줄: 226번째 줄:
* 《토가이누의 피》 초회한정판에 수록된 쇼트 설정집에는 타카하시라는 등장 예정이었다가 잘린 캐릭터가 있었다. 후치이/타타나의 언급에 의하면 알비트로를 능가하는 귀축변태였다고 한다.
* 《토가이누의 피》 초회한정판에 수록된 쇼트 설정집에는 타카하시라는 등장 예정이었다가 잘린 캐릭터가 있었다. 후치이/타타나의 언급에 의하면 알비트로를 능가하는 귀축변태였다고 한다.
* [[만화]] 《[[안녕 절망선생]]》에서 설정상 [[부녀자]]인 [[후지요시 하루미]]가 군지×아키라를 언급하는 대사가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 번역자가 《토가이누의 피》가 어떤 매체인지 몰랐는지 각주 설명란에 '''만화'''라고 잘못 기재했었다.
* [[만화]] 《[[안녕 절망선생]]》에서 설정상 [[부녀자]]인 [[후지요시 하루미]]가 군지×아키라를 언급하는 대사가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 번역자가 《토가이누의 피》가 어떤 매체인지 몰랐는지 각주 설명란에 '''만화'''라고 잘못 기재했었다.
* [[라이트 노벨]] 《[[널 오타쿠로 만들어줄 테니까, 날 리얼충으로 만들어줘!]]》 제5권에서 《토가이누의 뼈》라는 이름으로 작내 히로인이 플레이하는 BL 게임으로 패러디되었다.
* [[라이트 노벨]] 《[[널 오타쿠로 만들어줄 테니까, 날 리얼충으로 만들어줘!]]》 5권에서 《토가이누의 뼈》라는 이름으로 작내 히로인이 플레이하는 BL 게임으로 패러디되었다.
* [[히로유키 (만화가)|히로유키]]의 4컷 만화인 《[[동인 워크]]》의 애니메이션판의 제2화에서 토가이누의 게임 패키지 일러스트가 작내 게임 매장에 전시된 타이틀로 나왔다.
* [[히로유키]]의 4컷 만화인 《[[동인 워크]]》의 애니메이션판의 2화에서 토가이누의 게임 패키지 일러스트가 작내 게임 매장에 전시된 타이틀로 나왔다.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