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클리셰'''(Cliché)는 상투적이고 틀에 박힌 '''문장 혹은 표현'''을 뜻하는 비평 용어다.
== 개요 ==
 
상투적이고 틀에 박힌 '''문장 혹은 표현'''을 뜻하는 비평 용어이다. 원래는 부정적인 의미는 아니나 진부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부정적인 늬앙스를 띄고 있다.
 
원래 클리셰란 프랑스어 Cliché에서 나온 용어로 서적을 인쇄할 때 사용하던 연판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그야말로 판에 박인 문장들이라는 뜻인데 영어 어휘인 Sterotype와 어원이 같다.


== 개요 ==
원래 클리셰라는 것은 문장이나 문구를 뜻하는 문학비평용어다. 이후 영화계나 다른 예술계에 클리셰라는 개념이 도입되면서 '''진부한 연출'''정도의 개념으로 확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클리셰는 예술 작품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속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ref>그 덕에 과연 클리셰가 어디까지인지 혹은 정의가 무엇인지를 놓고 수 많은 사람들이 갑론을박{{ㅊ|진흙탕 싸움}}을 벌이고 있다.</ref>
클리셰는 [[프랑스어]]에서 나온 용어로 서적을 인쇄할 때 사용하던 연판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그야말로 판에 박인 문장들이라는 뜻인데 영어 어휘인 스테레오타입(Sterotype)과 어원이 같다. 이후 진부하다는 뜻이 추가된다.


또 클리셰는 문장이나 문구를 뜻하는 문학 비평 용어로 쓰이기도 했는데, 이후 영화계나 다른 예술계에 클리셰라는 개념이 도입되면서 '''진부한 연출'''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클리셰는 예술 작품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 속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ref>덕에 과연 클리셰가 어디까지인지 혹은 정의가 무엇인지를 놓고 수많은 사람들이 갑론을박{{ㅊ|진흙탕 싸움}}을 벌이고 있다.</ref>
멀리 갈 것도 없이 우리 일상용어를 보자. "댁내는 무고하신가요?"같은 인사말은 사실 겉치례일 뿐이다. 정말로 집이 평안한가를 물어보는 게 아니다. 그냥 단순한 인사치례로 말을 잇기 위한 초석일 뿐이다. 그럼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서로 인사를 할 때 이런 말을 주고 받는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우리 일상 용어를 보자. "식사하셨어요?" 같은 인사말은 사실 겉치례일 뿐이다. 정말로 그 사람이 식사를 했는지 여부를 물어보는 게 아니다. 그냥 단순한 인사치레로 말을 잇기 위한 초석일 뿐이다. 그럼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서로 인사를 할 때 이런 말을 주고 받는다. 이러한 클리셰는 [[속담]]이나 관용어구와 달리 그 출처가 확실하고 특정 개인이 지어낸 경우가 많다.<ref>어디까지나 속담이나 관용어에 비해.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수두룩하다.</ref>
참고로 클리셰는 속담이나 관용어구와 달리 그 출처가 확실하고 특정 개인이 지어낸 경우가 많다.<ref>어디까지나 속담이나 관용어에 비해.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수두룩하다.</ref>


== 이유 ==
== 이유 ==


=== 언어적 차원 ===
=== 언어적 차원 ===
이런 클리셰가 탄생한 이유는 글이라는 것이 항상 글쓴이(혹은 화자)용건만으로 작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메시지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표현에도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클리셰가 없는 글과 있는 글을 비교해보자.
이런 클리셰가 탄생한 이유는 글이라는 것이 항상 글쓴이(혹은 화자)용건만으로 작성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메세지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표현에도 신경을 써야하기 때문이다. 이해가 안간다면 클리셰가 없는 글과 있는 글을 비교해보자.


{{인용문2| '''클리셰가 없는 경우'''
{{인용문2| '''클리셰가 없는 경우'''
31번째 줄: 34번째 줄:
'''장사 번창하세요.'''}}
'''장사 번창하세요.'''}}


내용은 둘 다 같지만 어떤 것이 더 글 같으냐<ref>'누가 더 메시지를 잘 전달하느냐?'라는 말이다.</ref>고 묻는다면 백이면 백 후자를 지목할 것이다. 이렇듯 언어라는 것은 문장뿐만 아니라 모든 상황의 맥락이 영향을 끼친다. 즉, 언어에서 클리셰는 글이 되기 위한 요소일뿐이다. 자세한 내용은 [[텍스트]]와 [[콘텍스트]] 참조.
내용은 둘다 같지만 어떤 것이 더 글같냐<ref>'누가 더 메세지를 잘 전달하느냐?'라는 말이다.</ref>고 묻는다면 백이면 백 후자를 지목할 것이다. 이렇듯 언어라는 것은 문장 뿐아니라 모든 상황의 맥락이 영향을 끼친다. 즉, 언어에서 클리셰는 글이 되기 위한 요소일뿐이다. 자세한 내용은 [[텍스트]]와 [[콘텍스트]]항목 참조.


아직도 이해가 안간다면 클리셰를 다른 용어로 바꿔보자. "그간 잘 지내셨나요?"를 "오랜만에 연락드립니다."라는 문장으로 바꿔도 별 문제가 없다. 이런 이유는 문장(혹은 어휘)의 본래 의미는 사라지고 의례적인 기능만 남기 때문이다.
아직도 이해가 안간다면 클리셰를 다른 용어로 바꿔보자. "그간 잘 지내셨나요?"를 "오랜만에 연락드립니다."라는 문장으로 바꿔도 별 문제가 없다. 이런 이유는 문장(혹은 어휘)의 본래 의미는 사라지고 의례적인 기능만 남기 때문이다.


=== 예술에서 ===
=== 예술에서 ===
[[문학]], [[영화]], [[만화]], [[게임]] 등 온 분야를 봐도 클리셰가 없는 곳은 없다. 이런 클리셰가 생긴 이유는 그 연출이 반향을 일으키고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이후 사람들이 같은 효과를 얻고자 할 때 같은 연출을 따라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예시를 한 번 보자. 소설에서 작중 인물의 투명한 피부를 강조하고 싶을 때(효과) 이런 클리셰를 곧잘 이용한다.
문학, 영화, 만화, 게임 등 온 분야를 봐도 클리셰가 없는 곳은 없다. 이런 클리셰가 생긴 이유는 그 연출이 반향을 일으키고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이후 사람들이 같은 효과를 얻고자 할 때 같은 연출을 따라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예시를 한 번 보자. 소설에서 작중 인물의 투명한 피부를 강조하고 싶을 때(효과) 이런 클리셰를 잘 쓴다.
{{인용문| 파란 정맥이 드러나 보일 정도로 투명한 피부|(연출)}}
{{인용문| 파란 정맥이 드러나 보일 정도로 투명한 피부|(연출)}}


이와 같은 행동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먼저 이미 전에 봤던 작품이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있다. 사람은 창작 활동을 할 때 완전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할 수 없다. 자신이 알고 있는 것에서 만들어낼 수밖에 없다. 이런 연유로 이미 다른 창작물에서 쓰인 연출을 쓰는 경우가 왕왕 존재한다.
이와 같은 행동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먼저 이미 전에 봤던 작품이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있다. 사람은 창작활동을 할 때 완전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할 수 없다. 자신이 알고있는 것에서 만들어낼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이미 다른 창작물에서 쓰인 연출을 쓰게된다.  


혹은 클리셰가 이미 왕도로 자리잡았기 때문에 클리셰를 따르기만 해도 일정 수준의 퀄리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미 사람들은 클리셰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비슷한 연출이 나왔을 때 흡사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 작품의 모든 부분을 새로운 것만으로 채울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일정 부분은 이런 클리셰들을 의도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이는 모든 예술가들이 그랬고 그 위대한 [[셰익스피어]]조차도 클리셰를 사용하는 데에 매우 능했다.
혹은 클리셰가 이미 왕도로 자리잡았기 때문에 클리셰를 따르기만 해도 일정수준의 퀄리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미 사람들은 클리셰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비슷한 연출이 나왔을 때 흡사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 작품의 모든 부분을 새로운 것만으로 채울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일정 부분은 이런 클리셰들을 의도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이는 모든 예술가들이 그랬고 그 위대한 [[셰익스피어]]조차도 클리셰를 사용하는데 매우 능했다.


문제는 어휘력과 상상력이 부족해서 그대로 담습하는 경우이다. "이슬같이 영롱한", "한라에서 백두까지", "두 눈에 빨려들어갈 것만 같았다." 같이 진부하고 상투적인 용어밖에 쓰지 못하는 경우로, 작품도 [[양판소]]에서 찍어낸 듯한 작품들만 나오는 케이스다. 클리셰가 딱히 나쁜 것은 아니지만 많이 쓰이면 작품의 재미와 질을 떨어트린다. "약 좋다고 남용 말라"는 말이 있듯이 클리셰가 아무리 작품의 질을 보장한다고 해서 남용하면 망한다(...) 사실 이 말도 클리셰지만.
문제는 상상력과 어휘력이 부족해서 그대로 담습하는 경우이다. "이슬같이 영롱한", "한라에서 백두까지", "두 눈에 빨려들어갈 같았다."같이 진부하고 상투적인 용어밖에 쓰지 못하는 경우로, 작품도 [[양판소]]에서 찍어낸 듯한 작품들만 나오는 케이스. 클리셰가 딱히 나쁜 것은 아니지만 많이 쓰이면 작품의 재미와 질을 떨어트린다. "약 좋다고 남용말라"는 말이 있듯이 클리셰가 아무리 작품의 질을 보장한다고 해서 남용하면 망한다(...) 사실 이 말도 클리셰지만.


== 예시 ==
== 예시 ==
<!-- 예시를 작성할 때는 분류를 나눠서 작성해주세요. -->
예시를 작성할 때는 분류를 나눠서 작성해주세요.
 
=== 스토리  ===
=== 스토리  ===
*기
*기
55번째 줄: 59번째 줄:
** [[전학생]]
** [[전학생]]
** [[Boy meets Girl]]
** [[Boy meets Girl]]
***{{ㅊ|학교에 지각해서 [[식빵]]을 입에 물고 뛰다가 서로 부딪히기}}
** 맹세 및 약속
*
*** 언젠가 나는 ~가 될 거야!
**** [[몽키 D. 루피|나는 해적왕이 될 거야!]]
*** (떡상예정)<ref>주로 [[인터넷 방송]]을 세계관에 도입한 작품에서 쓰인다.</ref>


*승
** 뻔한 라이벌의 등장
** 흑막이 드러남.
** 나의 위치를 확인함.
*전
*전
** 알고 보니 라이벌이 현계 탑급이라 처절하게 발림.
 
** 약한 적들을 다 잡고 보니 흑막과 대적 가능해짐.
*결
*결
**[[신 인류의 탄생]]
**[[우리의 싸움은 이제부터야!]]
**[["다녀왔어" "어서 와"]]
**[[데우스 엑스 마키나]]
**그 녀석은 흑막중 최약체. 미래 암시.
**라이벌에게 복수를 다짐하며 결말.


=== 장르 ===
=== 장르 ===
*[[양판소|판타지]]
*판타지
** [[양판소/장르]]
** [[엑스칼리버]]{{ㅊ|돌에 박힌 검}}
** [[엑스칼리버]]{{ㅊ|돌에 박힌 검}}
** [[용사]]와 [[마왕]]
*** [[용사물]]
*** [[마왕물]]
*호러
** [[호러물/클리셰]]


*SF
*SF
93번째 줄: 76번째 줄:
*추리
*추리
** [[김전일의 법칙]]
** [[김전일의 법칙]]
=== 캐릭터 ===


*특촬물
** [[5인의 법칙]]
=== 캐릭터 ===
* [[:분류:2D 캐릭터 속성|2D 캐릭터]]
* [[:분류:2D 캐릭터 속성|2D 캐릭터]]


* [[최종 보스]]
* [[최종 보스]]
* 자뻑, 자기애, 나르시스트
* 전성기
* 젊은 시절, 회춘
* 동안
* 노안


* 반전
* 반전
** [[사실 착한 녀석이었어]] / 사실 불쌍한 녀석이었어
** [[사실 착한 녀석이었어]]
** [[출생의 비밀]]
** [[출생의 비밀]]
** [[캬루]]


=== 연출 ===
=== 연출 ===
* 격투(배틀)
* 격투(배틀)
** [[슬로우 모션]]
** [[슬로우 모션]]
** [[여긴 내게 맡겨!]]
** [[여긴 내게 맡겨!]]
** [[사망 플래그]]
** [[생존 플래그]]
** 사악한 웃음
** 안돼!!! 하고 비명 지르기


* 로맨스
=== 대사(문구) ===
** [[첫눈에 반하다]]
* [[카사블랑카|당신의 OO에 건배]]


* [[기억상실증]]
=== 그외 ===


* [[내가 고자라니!]]
[[추가바람]]


* [[삼연벙]]<ref>세 번이나 개그스럽게 당하거나 배신당했을 때에 한국 네티즌들이 자주 쓰는 드립 중 하나. 개그 캐릭터한테서 간혹 나온다. 주연 혹은 비중 높은 조연이 세 번 이상 배신당하는 줄거리는 드물다.</ref>
== 관련문서 ==


* 시간 제한
=== 설정 ===
*배경
** [[천재들의 학교]]
=== 대사(문구) ===
* [[카사블랑카|당신의 OO에 건배]]
* [[기분 탓인가?]]
* [[촉탁살인|죽여...줘...]]
* 느려!
* 목적을 잊지 마라.
* 그때의 나
== 관련 문서 ==
* [[텍스트]]
* [[텍스트]]
* [[콘텍스트]]
* [[콘텍스트]]
* [[암묵의 룰]]
* [[암묵의 룰]]
[[추가바람]]


{{각주}}
{{각주}}
[[분류:클리셰| ]]
 
[[분류: 클리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