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네스 월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1번째 줄: 61번째 줄:
그 외에도 미국정치학회([[wikipedia: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총무(1966~1967)<ref group="출처" name="whos-84"/> 및 회장(1987~1988)<ref group="출처" name="nyt-obit"/>, 국제학회 뉴잉글랜드 부서(New England Section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의 장(1966-1967)<ref group="출처" name="whos-84"/>,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위키백과: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펠로우,<ref group="출처" name="whos-84"/> 그 외 수많은 학술 저널의 편집자를 역임한 바 있다. <s>역시 잘난 사람들은 바쁘다.</s>
그 외에도 미국정치학회([[wikipedia: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총무(1966~1967)<ref group="출처" name="whos-84"/> 및 회장(1987~1988)<ref group="출처" name="nyt-obit"/>, 국제학회 뉴잉글랜드 부서(New England Section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의 장(1966-1967)<ref group="출처" name="whos-84"/>,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위키백과: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펠로우,<ref group="출처" name="whos-84"/> 그 외 수많은 학술 저널의 편집자를 역임한 바 있다. <s>역시 잘난 사람들은 바쁘다.</s>


==월츠의 국제 정치 이론==
==Levels of analysis==
===분석수준(Levels of analysis)===
Waltz's initial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was his 1959 book, ''[[Man, the State, and War]]'', which was based upon his dissertation,<ref group="출처" name="nyt-obit"/> which classified theories of the causes of war into three categories, or levels of analysis.<ref group="출처" name="cu-award"/> Waltz refers to these levels of analysis as "images," and uses the writings of one or more classic political philosophers to outline the major points of each image. Each image is given two chapters: the first mainly uses the classical philosopher's writings to describe what that image says about the cause of war; the second usually consists of Waltz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at image.
월츠의 첫 학문적 기여는 본인의 박사 논문에 기반해 [[1959]]년 출간한 저서 『인간, 국가, 전쟁』([[wikipedia:Man, the State, and War|Man, the State, and War]])으로,<ref group="출처" name="nyt-obit"/> 이 책에서 월츠는 전쟁의 원인을 세 가지 범주, 곧 세 분석 수준으로 분류했다.<ref group="출처" name="cu-award"/> 월츠는 이 분석 수준을 "이미지"(images)라고 칭하고, 각각의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해 고전 정치철학자들의 저술을 활용하면서 각각의 이미지에 두 장(chapter)씩을 할애했다. 두 장 중 앞의 장은 그 이미지가 전쟁의 원인에 주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뒤의 장은 해당 이미지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분석을 주제로 한다.


첫 번째 이미지에 따르면 전쟁은 특정 정치가나 국가의 수장 같은 정치 지도자([[나폴레옹]] 등)의 성격, 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인간 본성에 의해 일어난다.  이는 주로 고전적 현실주의(Classical Realism)의 주장과 합치한다. 한편 고전적 현실주의는 이 책이 쓰이던 당시 국제정치학의 주류 이론이었는데, 월츠는 그의 다음 저작 『국제정치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에서 이 이론에 보다 정면으로 도전했다.
첫 번째 이미지에 따르면 전쟁은 특정 정치가나 국가의 수장 같은 정치 지도자([[나폴레옹]] 등)의 성격, 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인간 본성에 의해 일어난다.  이는 주로 고전적 현실주의(Classical Realism)의 주장과 합치한다. 한편 고전적 현실주의는 이 책이 쓰이던 당시 국제정치학의 주류 이론이었는데, 월츠는 그의 다음 저작 『국제정치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에서 이 이론에 보다 정면으로 도전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