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헤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테두리색 = #000000
|테두리색 = #000000
|배경색 = #FFCF103E
|배경색 = #FFCF103E
|제목 = <center>[[파일:Cuphead logo.png|150px]]<br />악마와 마주하지 말게나.</center>
|제목 = <center>[[파일:Cuphead logo.png|150px]]<br />악마와 마주하지 말라.</center>
|제목색 =
|제목색 =
|내용 = <center>''"Don't Deal With The Devil."''<ref>Deal 부분을 직역(거래하다)하는 것도 맞는 말이지만, 기본적으로 deal with는 "~를 대하다"라는 의미로 번역한다. 애당초 직역(악마와 거래하지 말게나)으로도 해석 될 수 있게끔 만든 캐치프레이즈이다. 다만 "거래하다"를 강조하는 경우엔 통상 make a deal with, have a deal with, trade with, transaction with 등의 어휘를 쓴다. [https://en.wiktionary.org/wiki/deal_with#English 영영사전 참조].</ref></center>
|내용 = <center>''"Don't Deal With The Devil."''<ref>거래(deal)라고 해도 문맥상 뜻은 통하지만, 원래 deal with라고 하면 "~를 대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거래하다라고 할 때는 make a deal with나 have a deal with라는 말을 쓴다. [https://en.wiktionary.org/wiki/deal_with#English 영영사전 참조].</ref></center>
|내용색 =
|내용색 =
}}
}}
{{게임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게임이름 = 컵헤드
|게임이름 = 컵헤드
|원어이름 = Cuphead
|원어이름 = <small>Cuphead</small>
|배경색  = #FFCF103E
|배경색  = #FFCF103E
|글자색  = #000000
|글자색  = #000000
|그림    = [[파일:Cuphead PC cover art.png]]
|그림    = [[파일:Cuphead PC cover art.png]]
|그림설명 = PC판 박스아트
|그림설명 = PC판 박스아트
|개발사  = 스튜디오 MDHR 엔터테인먼트
|배급사  = 스튜디오 MDHR 엔터테인먼트
|배급사  = 스튜디오 MDHR 엔터테인먼트
|개발사   = 스튜디오 MDHR 엔터테인먼트
|기획자   = 채드 몰든하우어<br />재러드 몰든하우어
|제작    = 채드 몰든하우어<br />재러드 몰든하우어
|작가    = 에반 스콜링크
|작가    = 에반 스콜링크
|미술    = 채드 몰든하우어
|미술    = 채드 몰든하우어
34번째 줄: 34번째 줄:
}}
}}
{{YouTube|KAriv93tzI0|||center}}
{{YouTube|KAriv93tzI0|||center}}
 
<br />
= 소개 =
[[2017년]] [[9월 29일]]에 발매된 [[인디 게임]]으로, 말그대로 머리가 컵으로 된 주인공들이 보스와 싸워서 앞으로 나아가는 내용의 게임이다.
[[2017년]] [[9월 29일]]에 발매된 [[인디 게임]]으로, 말그대로 머리가 컵으로 된 주인공들이 보스와 싸워서 앞으로 나아가는 내용의 게임이다.


= 상세 =
전체적인 스타일과 애니메이션이 상당히 1930년대스러운데, 제작진들이 밝히길 [https://www.youtube.com/watch?v=0Yi17kLZgT0 플라이셔 스튜디오]<ref>맥스 플라이셔(Max Fleischer)와 데이브 플라이셔(Dave Fleischer)가 세운 스튜디오로, 거기서 제작한 애니메이션들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베티 붑(Betty Boop)이 있다.</ref> 등의 옛날 애니메이션에서 영감을 얻은 스타일이라고 한다.<ref>공식 입장은 이렇지만, 게임 맨 처음에 실사판 책을 펼치면서 이야기가 시작되는 것, 그리고 전체적인 캐릭터와 배경 디자인 등이 초기 디즈니를 많이 닮은 편이다. 리뷰어들도 이 게임을 보고 디즈니를 닮았다는 얘기를 많이 하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디즈니에 대한 언급은 안 하는 편이다.</ref> 그래서인지 약간 [https://www.youtube.com/watch?v=gmnjg4fjy7M 이런] 느낌인데, 대중들한테서 뭔가 새로운 것을 만들면서 옛날 느낌을 낸다는 게 어려운 일인데 상당히 잘했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더욱 놀랄만한 점은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모두 '''종이에다 일일이 한 장 한 장 그려서 만들었다는 것.'''<ref>물론 배경이나 채색은 포토샵을 동원했지만, 스케치 및 선따기 작업은 모두 수작업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XpvF9Z2gG8 참고 영상]</ref>
전체적인 스타일과 애니메이션이 상당히 1930년대스러운데, 제작진들이 밝히길 [https://www.youtube.com/watch?v=0Yi17kLZgT0 플라이셔 스튜디오]<ref>맥스 플라이셔(Max Fleischer)와 데이브 플라이셔(Dave Fleischer)가 세운 스튜디오로, 거기서 제작한 애니메이션들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베티 붑(Betty Boop)이 있다.</ref> 등의 옛날 애니메이션에서 영감을 얻은 스타일이라고 한다.<ref>공식 입장은 이렇지만, 게임 맨 처음에 실사판 책을 펼치면서 이야기가 시작되는 것, 그리고 전체적인 캐릭터와 배경 디자인 등이 초기 디즈니를 많이 닮은 편이다. 리뷰어들도 이 게임을 보고 디즈니를 닮았다는 얘기를 많이 하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디즈니에 대한 언급은 안 하는 편이다.</ref> 그래서인지 약간 [https://www.youtube.com/watch?v=gmnjg4fjy7M 이런] 느낌인데, 대중들한테서 뭔가 새로운 것을 만들면서 옛날 느낌을 낸다는 게 어려운 일인데 상당히 잘했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더욱 놀랄만한 점은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모두 '''종이에다 일일이 한 장 한 장 그려서 만들었다는 것.'''<ref>물론 배경이나 채색은 포토샵을 동원했지만, 스케치 및 선따기 작업은 모두 수작업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XpvF9Z2gG8 참고 영상]</ref>


43번째 줄: 43번째 줄:
주인공은 머리가 컵인 컵헤드(Cuphead)와 머그맨(Mugman)으로, 주전자 영감(Elder Kettle)의 집에서 보살핌을 받고 있었다. 하루는 둘이 밖에서 놀다가 길을 잘못 들어서 악마의 카지노에 들어서는데, 그 곳에서 킹 다이스(King Dice)의 주사위 내기를 하게 된다. 그런데 계속해서 승승장구를 하자 악마가 나타나서 이기면 이 카지노의 모든 돈을 주고, 지면 두 명의 영혼을 가져가겠다는 내기를 한다.
주인공은 머리가 컵인 컵헤드(Cuphead)와 머그맨(Mugman)으로, 주전자 영감(Elder Kettle)의 집에서 보살핌을 받고 있었다. 하루는 둘이 밖에서 놀다가 길을 잘못 들어서 악마의 카지노에 들어서는데, 그 곳에서 킹 다이스(King Dice)의 주사위 내기를 하게 된다. 그런데 계속해서 승승장구를 하자 악마가 나타나서 이기면 이 카지노의 모든 돈을 주고, 지면 두 명의 영혼을 가져가겠다는 내기를 한다.


하지만 [[스네이크 아이즈]]<ref>주사위 눈이 둘다 1이 나오는 것.</ref>가 나오는 바람에 내기에서 지고 영혼을 빼앗기기 직전이었으나, 악마가 다른 제안을 한다. 알고 보니 이런 식으로 내기했다가 도망간 보스들이 있었던 것. 그래서 그 보스들을 쓰러트려서 영혼을 가져다주면 컵 형제들은 봐주겠다고 한 것이다.
하지만 스네이크 아이즈<ref>주사위 눈이 둘다 1이 나오는 것.</ref>가 나오는 바람에 내기에서 지고 영혼을 빼앗기기 직전이었으나, 악마가 다른 제안을 한다. 알고 보니 이런 식으로 내기했다가 도망간 보스들이 있었던 것. 그래서 그 보스들을 쓰러트려서 영혼을 가져다주면 컵 형제들은 봐주겠다고 한 것이다.


= 시스템 =
= 시스템 =
61번째 줄: 61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width: 10%" | '''이동'''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width: 10%" | '''이동'''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위}}ᆞ{{|아래}}ᆞ{{|왼쪽}}ᆞ{{|오른쪽}}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키눌림|위}}ᆞ{{키눌림|아래}}ᆞ{{키눌림|왼쪽}}ᆞ{{키눌림|오른쪽}}
| 기본적인 이동으로, 아래를 누르면 숙인다.
| 기본적인 이동으로, 아래를 누르면 숙인다.
|-
|-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width: 10%" | '''대쉬'''ᆞ'''장착'''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width: 10%" | '''대쉬'''ᆞ'''장착'''
| style="text-align: center" | {{|Shift}}
| style="text-align: center" | {{키눌림|Shift}}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Y}}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Y}}
|  
|  
72번째 줄: 72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점프'''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점프'''
| style="text-align: center;width: 10%" | {{|Z}}
| style="text-align: center;width: 10%" | {{키눌림|Z}}
| style="text-align: center;width: 10%" | {{색 상자||A}}
| style="text-align: center;width: 10%" | {{색 상자||A}}
| 길게 누르면 더 높이 점프하고, {{|아래}}와 같이 누르면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
| 길게 누르면 더 높이 점프하고, {{키눌림|아래}}와 같이 누르면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
|-
|-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패링'''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패링'''
| style="text-align: center" | {{|Z}}+{{키|Z}}
| style="text-align: center" | {{키눌림|Z|Z}}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A}} + {{색 상자||A}}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A}} + {{색 상자||A}}
|  
|  
84번째 줄: 84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일반 공격'''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일반 공격'''
| style="text-align: center" | {{|X}}
| style="text-align: center" | {{키눌림|X}}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X}}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X}}
| 시작할 때는 손가락 끝에서 콩알탄 같은 걸 발사하는데, 꾹 누르면 연사한다. 앞으로 얻을 무기 역시 마찬가지.
| 시작할 때는 손가락 끝에서 콩알탄 같은 걸 발사하는데, 꾹 누르면 연사한다. 앞으로 얻을 무기 역시 마찬가지.
|-
|-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락 인'''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락 인'''
| style="text-align: center" | {{|C}}
| style="text-align: center" | {{키눌림|C}}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RB}}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RB}}
| 누르면 컵헤드가 그 자리에 멈추고, 누르면서 공격하면 8방향으로 공격할 수 있다.
| 누르면 컵헤드가 그 자리에 멈추고, 누르면서 공격하면 8방향으로 공격할 수 있다.
|-
|-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특수 공격'''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특수 공격'''
| style="text-align: center" | {{|V}}
| style="text-align: center" | {{키눌림|V}}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B}}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B}}
| 누르면 더 센 공격을 할 수 있고 슈퍼미터가 1칸 닳는다.
| 누르면 더 센 공격을 할 수 있고 슈퍼미터가 1칸 닳는다.
|-
|-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무기 변경'''
| style="text-align: center;background: #FFCF10;" | '''무기 변경'''
| style="text-align: center" | {{|Tab}}
| style="text-align: center" | {{키눌림|Tab}}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LB}}
| style="text-align: center" | {{색 상자||LB}}
| 공격A와 공격B를 설정할 수 있을 때 설정하면, 바꾸기 버튼으로 공격을 전환할 수 있다.
| 공격A와 공격B를 설정할 수 있을 때 설정하면, 바꾸기 버튼으로 공격을 전환할 수 있다.
129번째 줄: 129번째 줄:
컵헤드는 스튜디오MDHR의 첫 게임으로, 채드와 자레드 몰든하우어 형제를 중심으로 하는 게임 스튜디오이다. 어린 시절부터 1930년대 애니메이션을 즐겨보던 그들은 이미 [[2000년]]에 컵헤드와 비슷한 스타일의 게임을 만들려고 했으나, 당시에는 툴이 많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금방 포기했었다고 한다.
컵헤드는 스튜디오MDHR의 첫 게임으로, 채드와 자레드 몰든하우어 형제를 중심으로 하는 게임 스튜디오이다. 어린 시절부터 1930년대 애니메이션을 즐겨보던 그들은 이미 [[2000년]]에 컵헤드와 비슷한 스타일의 게임을 만들려고 했으나, 당시에는 툴이 많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금방 포기했었다고 한다.


그러다 [[2010년]]에 "[[슈퍼 미트 보이]]"가 대성공을 하고 인디 게임이란 장르 자체가 엄청난 주목을 받게 되자, 거기에 자극받고 개발을 시작했는데, 위의 인터뷰에 의하면 본격적으로 이걸 해야겠다고 정한 건 [[2013년]] 말에서 [[2014년]] 초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다 [[2010년]]에 "슈퍼 미트 보이"가 대성공을 하고 인디 게임이란 장르 자체가 엄청난 주목을 받게 되자, 거기에 자극받고 개발을 시작했는데, 위의 인터뷰에 의하면 본격적으로 이걸 해야겠다고 정한 건 [[2013년]] 말에서 [[2014년]] 초 정도였다고 한다.


사실 컵헤드라는 캐릭터 자체는 [[1936년]]의 [[일본]] 프로파간다 애니메이션인 [http://youtu.be/icVu-acHlpU?t=5m13s 장난감 상자(オモチャ箱) 시리즈]에서 나왔는데,<ref>정확히는 장난감 상자 시리즈 중 3편인 "그림책 1936년"이란 애니에서 나왔다. 일본에 처들어온 미키 마우스를 모모타로 등의 일본 캐릭터들이 쓰러트린다는 내용. 애니메이션이 나온 지 3년 뒤에 [[2차 대전]]이 발발했기 때문에 [[일본]]과 [[미국]]의 사이가 매우 나쁠 시기였다.</ref> 머리가 컵인 캐릭터가 갑자기 탱크로 변한다는 게 이상하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래서 시험삼아 몇 가지 디자인으로 그려봤는데 그 때부터 거기에 딱 꽂혔다고 한다.
사실 컵헤드라는 캐릭터 자체는 [[1936년]]의 [[일본]] 프로파간다 애니메이션인 [http://youtu.be/icVu-acHlpU?t=5m13s 장난감 상자(オモチャ箱) 시리즈]에서 나왔는데,<ref>정확히는 장난감 상자 시리즈 중 3편인 "그림책 1936년"이란 애니에서 나왔다. 일본에 처들어온 미키 마우스를 모모타로 등의 일본 캐릭터들이 쓰러트린다는 내용. 애니메이션이 나온 지 3년 뒤에 [[2차 대전]]이 발발했기 때문에 [[일본]]과 [[미국]]의 사이가 매우 나쁠 시기였다.</ref> 머리가 컵인 캐릭터가 갑자기 탱크로 변한다는 게 이상하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래서 시험삼아 몇 가지 디자인으로 그려봤는데 그 때부터 거기에 딱 꽂혔다고 한다.
141번째 줄: 141번째 줄:
<br />
<br />
원래는 [[2014년]], [[2015년]] E3에서 공개되었고, [[2014년]]에는 가장 기대되는 게임 5선에 오르기도 했다. 원래 개발을 [[2010년]]부터 해왔기 때문에 [[2016년]]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예고했으나,<ref>그래서 예고편에다 약간의 드립을 쳤다. [[2016년]]이 아니라 '''[[1936년]](+80년) 발매 예정'''이라고.</ref> 모종의 사정으로 [[2017년]] 중반으로 미루었다.
원래는 [[2014년]], [[2015년]] E3에서 공개되었고, [[2014년]]에는 가장 기대되는 게임 5선에 오르기도 했다. 원래 개발을 [[2010년]]부터 해왔기 때문에 [[2016년]]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예고했으나,<ref>그래서 예고편에다 약간의 드립을 쳤다. [[2016년]]이 아니라 '''[[1936년]](+80년) 발매 예정'''이라고.</ref> 모종의 사정으로 [[2017년]] 중반으로 미루었다.
= DLC (The Delicious Last Course) =
{{YouTube|bskUa1jX0Gg|||center|<small></small>}}
신규 플레이어블 캐릭터 새로운 스테이지 및 보스, 무기, 아이템이 등장할 예정이라고 하며, 원래 [[2019년]] 발매 예정이었으나 제작자의 사정으로 인해 여러차례 연기되다가 최종적으로 발매일은 [[2022년]] [[6월 30일]]로 확정되었다.


= 여담 =
= 여담 =
* 게임 스타일과 어울리게 OST도 1930년대스러운 재즈와 래그타임 음악으로 가득하고, 이들이 낸 [https://store.iam8bit.co.uk/collections/vinyl/products/cuphead-4xlp-deluxe-vinyl-soundtrack 사운드트랙] 음반이 상당히 인상적인데, '''4장짜리 LP판이다.''' 물론 디지털 다운로드 역시 가능한데, 러닝타임은 3시간, 가격은 100달러. 앨범 아트는 장고 스노우(Jango Snow)가 그린 거라고 한다.
* 게임 스타일과 어울리게 OST도 1930년대스러운 재즈와 래그타임 음악으로 가득하고, 이들이 낸 [https://store.iam8bit.co.uk/collections/vinyl/products/cuphead-4xlp-deluxe-vinyl-soundtrack 사운드트랙] 음반이 상당히 인상적인데, '''4장짜리 LP판이다.''' 물론 디지털 다운로드 역시 가능한데, 러닝타임은 3시간, 가격은 100달러. 앨범 아트는 장고 스노우(Jango Snow)가 그린 거라고 한다.
 
* 컵헤드를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1870710 '''잔머리''']라 부르는 드립이 흥한 바 있다. 워낙 참신한 드립이라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2037244 각종 짤들]이 생성됐을 정도. "악마와 마주하지 말라"는 캐치카피는 "악마한테 깝치지 마세요"로 바뀌었고, 해당 드립 글에는 컵헤드 남동생 머그맨은 그럼 '''남잔'''<ref>(Mug() + Man(남자)</ref>이냐는 드립은 덤. 현재는 뚝배기 드립과 혼합되어서 컵뚝배기도 떠오르고 있다.
* 컵헤드를 잔머리라 부르는 드립이 흥한 바 있다.<ref>Cup(잔) + Head(머리)</ref> 처음으로 이 드립이 나온곳은 [[디시인사이드]] [[중세게임 마이너 갤러리]]의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1870710 '''이 글''']이다. 워낙 참신한 드립이라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2037244 각종 짤들]이 생성됐을 정도. "악마와 마주하지 말라"는 캐치카피는 "악마한테 깝치지 마세요"로 바뀌었고, 해당 드립 글에는 컵헤드 남동생 머그맨은 그럼 '''남잔'''<ref>Mug() + Man(남자)</ref>이냐는 드립은 덤. 현재는 뚝배기 드립과 혼합되어서 컵뚝배기도 떠오르고 있다.
 
* 딘 타카하시라는 25년차 저널리스트가 이 게임을 플레이하고 [[다크 소울]]만큼 어렵다는 평을 내리면서 [https://www.youtube.com/watch?v=848Y1Uu5Htk 영상]을 올렸는데, 보는 사람마저 답답하게 만드는 플레이로 욕을 엄청 먹었다. 물론 저널리스트가 게임을 엄청 잘해야 한다는 것도 아니지만, 그래도 최소한 보통은 가야 하는데 너무 지나치게 못했던 것. 그러자 그 저널리스트는 발끈해서 [[트위터]]로 "[http://kstatic.inven.co.kr/upload/2017/09/06/bbs/i16497808089.png 답답하면 님들이 해보라]"는 어처구니없는 답변을 내놓아 욕을 몇 배로 더 먹었고 결국 사죄문 쓰고 [https://www.youtube.com/watch?v=_rs0yiByy-o 재도전]했다. 확실히 이전보다는 훨씬 나아진 플레이를 보여주었고 이 논란은 이렇게 마무리되었으나, 결국 컵헤드에게는 이 사건 이후로 제대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 딘 타카하시라는 25년차 저널리스트가 이 게임을 플레이하고 [[다크 소울]]만큼 어렵다는 평을 내리면서 [https://www.youtube.com/watch?v=848Y1Uu5Htk 영상]을 올렸는데, 보는 사람마저 답답하게 만드는 플레이로 욕을 엄청 먹었다. 물론 저널리스트가 게임을 엄청 잘해야 한다는 것도 아니지만, 그래도 최소한 보통은 가야 하는데 너무 지나치게 못했던 것. 그러자 그 저널리스트는 발끈해서 [[트위터]]로 "[http://kstatic.inven.co.kr/upload/2017/09/06/bbs/i16497808089.png 답답하면 님들이 해보라]"는 어처구니없는 답변을 내놓아 욕을 몇 배로 더 먹었고 결국 사죄문 쓰고 [https://www.youtube.com/watch?v=_rs0yiByy-o 재도전]했다. 확실히 이전보다는 훨씬 나아진 플레이를 보여주었고 이 논란은 이렇게 마무리되었으나, 결국 컵헤드에게는 이 사건 이후로 제대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 게임 내에서 더 옛날 느낌을 주기 위해 필터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물론 시작할 때부터 주지 않는다. 흑백 필터와 2-Strips 필터가 존재하는데, 각자 얻는 방법이 다르다.
* 게임 내에서 더 옛날 느낌을 주기 위해 필터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물론 시작할 때부터 주지 않는다. 흑백 필터와 2-Strips 필터가 존재하는데, 각자 얻는 방법이 다르다.
*: 흑백 필터: 처음에 월드 3으로 진입하면 항구에 거북이가 있다. 걔한테 말을 건 다음, 본 게임에 있는 모든 런앤건 스테이지에서 P 랭크를 받고 나서 다시 거북이한테 말을 걸면 언락된다. 이걸 쓰면 확실히 옛날 느낌이 더 나지만, 문제는 다 흑백으로 보이기 때문에 패링하기가 힘들다는 것.
** 흑백 필터: 처음에 월드 3으로 진입하면 항구에 거북이가 있다. 걔한테 말을 건 다음, 본 게임에 있는 모든 런앤건 스테이지에서 P 랭크를 받고 나서 다시 거북이한테 말을 걸면 언락된다. 이걸 쓰면 확실히 옛날 느낌이 더 나지만, 문제는 다 흑백으로 보이기 때문에 패링하기가 힘들다는 것.
*: 2-Strips 필터: 테크니컬러 필터라고도 하며, 이 필터를 쓰면 제한된 색깔들만 볼 수 있어 [https://s3.amazonaws.com/indieobscura-www/assets/editorial/2017/10/Cuphead-2-strip-filter-mode.jpg 이렇게] 보인다. 이 필터를 쓰려면 월드 3으로 진입해서 [https://s3.amazonaws.com/indieobscura-www/assets/editorial/2017/10/Cuphead-2-strip-filter-mode.jpg 이 이미지]에 있는 포크 캐릭터한테 말을 건 다음, 17개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A 랭크 이상을 받고 나서 다시 말을 걸면 된다.
** 2-Strips 필터: 테크니컬러 필터라고도 하며, 이 필터를 쓰면 제한된 색깔들만 볼 수 있어 [https://s3.amazonaws.com/indieobscura-www/assets/editorial/2017/10/Cuphead-2-strip-filter-mode.jpg 이렇게] 보인다. 이 필터를 쓰려면 월드 3으로 진입해서 [https://s3.amazonaws.com/indieobscura-www/assets/editorial/2017/10/Cuphead-2-strip-filter-mode.jpg 이 이미지]에 있는 포크 캐릭터한테 말을 건 다음, 17개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A 랭크 이상을 받고 나서 다시 말을 걸면 된다.
 
* 각 스테이지 시작 전 (Ready가 뜰 때) 아나운서의 대사는 아래와 같다. 대략 격투기 시합 풍의 인트로이다.
* 각 스테이지 시작 전 (Ready가 뜰 때) 아나운서의 대사는 아래와 같다. 대략 격투기 시합 풍의 인트로이다.
*: Good day for a swell battle! (즐겁게 싸움하기 좋은 날이지요!)
** Good day for a swell battle! (즐겁게 싸움하기 좋은 날이지요!)
*: This match will get red hot! (이번 판은 격렬할 것 같습니다!)
** This match will get red hot! (이번 판은 격렬할 것 같습니다!)
*: Here's a real high-class bout! (여기 정말 좋은 시합 나옵니다!)
** Here's a real high-class bout! (여기 정말 좋은 시합 나옵니다!)
*: A great slam and then some! (굉장한 날라차기 및 여러가지!)
** A great slam and then some! (굉장한 날라차기 및 여러가지!)
*: A brawl is surely brewing! (여기 진짜로 한 판 뜰 것 같습니다!)
** A brawl is surely brewing! (여기 진짜로 한 판 뜰 것 같습니다!)
*: 그 뒤 화면에 "WALLOP! (날려버려!)"가 뜰 때는 "시작!"같은 뜻의 And begin!, Now go!, Here it goes!, You're up!, It's on! 중 하나를 외친다.
** 그 뒤 화면에 "WALLOP! (날려버려!)"가 뜰 때는 "시작!"같은 뜻의 And begin!, Now go!, Here it goes!, You're up!, It's on! 중 하나를 외친다.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 {{언어링크|en}} [http://www.cupheadgame.com/ 컵헤드 공식 홈페이지]
* {{언어링크|en}} [http://www.cupheadgame.com/ 컵헤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xbox.com/en-us/games/cuphead XBOX One]
** [https://www.xbox.com/en-us/games/cuphead XBOX One]
*: [https://www.microsoft.com/en-ca/store/p/cuphead/9njrx71m5x9p 윈도우 10]
** [https://www.microsoft.com/en-ca/store/p/cuphead/9njrx71m5x9p 윈도우 10]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68910/Cuphead/ 스팀]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68910/Cuphead/ 스팀]
*: [https://www.gog.com/game/cuphead GOG.com]
** [https://www.gog.com/game/cuphead GOG.com]
*: [https://www.nintendo.com/games/detail/cuphead-switch/ 닌텐도 스위치]
** [https://www.nintendo.com/games/detail/cuphead-switch/ 닌텐도 스위치]
* {{언어링크|en}} {{트위터|StudioMDHR|스튜디오MDHR}} (@StudioMDHR)
* {{언어링크|en}} {{트위터|StudioMDHR|스튜디오MDHR}} (@StudioMDHR)
* {{언어링크|en}} {{페이스북|studiomdhr|스튜디오MDHR}}
* {{언어링크|en}} {{페이스북|studiomdhr|스튜디오MDHR}}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