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리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외환}}
{{화폐 정보
{{화폐 정보
|화폐이름 = 캄보디아 리엘
|현지어 명칭 = រៀល
|원어이름 = រៀល
|다른 언어명 = Cambodian Riel
|그림    = NBKhmerlogo.png
|그림1=
|그림설명 =  
|그림1_설명 =  
|그림2   =  
|그림2 =  
|그림2설명=  
|그림2_설명 =  
|사용국   = {{나라|캄보디아}}
|사용국 = {{국기|캄보디아}}
|비공식   =  
|비공식 사용국 =
|ISO      = KHR<ref>크메르 리엘(Khmer Riel)의 약칭이다.</ref>
|iso 코드 = KHR<ref>크메르 리엘(Khmer Riel)의 약칭이다.</ref>
|기호     = ៛
|기호 = ៛
|보조단위 =
|보조단위_비율_1 = <small>1/10</small>
{{화폐 정보/보조단위
|보조단위_이름_1 = <small></small>
|비율 = 1/10
|보조단위_비율_2 = <small>1/100</small>
|이름 = 칵
|보조단위_이름_2 = <small></small>
}}
|지폐 = ៛100, ៛500, ៛1000, ៛2000, ៛5000, ៛10000, ៛20000, ៛50000<br/><small>(드물게 통용) ៛100000</small>
{{화폐 정보/보조단위
|동전 = (없음)<ref>1994년에 ៛50, ៛100, ៛200, ៛500 네 종류를 발행한 적이 있지만, 보급 실패로 판단한 2011년부로 통용이 중단되었다.</ref>
|비율 = 1/100
|발행 기관 = 캄보디아 국립은행 (ធនាគារជាតិនៃកម្ពុជា)
|이름 = 센
|인쇄처 =  
}}
|조폐국 =  
|지폐     = 100៛, 200៛, 500៛, 1000៛, 2000៛, 5000៛, 10000៛, 20000៛, 50000៛<br /><small>(드물게 통용) 100000៛</small>
|인플레이션 = 6.2% <small> (2011년 추정치)</small>
|동전     = (없음)<ref>1994년에 50៛, 100៛, 200៛, 500៛ 네 종류를 발행한 적이 있지만, 보급 실패로 판단한 2011년부로 통용이 중단되었다.</ref>
|환율 = 0.3원/៛<small> (2019.9.1 기준)</small><br/>= 4,090៛/USD
|중앙은행 = 캄보디아 국립은행 (ធនាគារជាតិនៃកម្ពុជា)
|고정환율 = 4,000리엘/USD <small>(비공식)</small>
|인쇄처   =  
|전신 =  
|조폐국   =  
|후신 =  
|환율     = 0.3원/៛<small> (2021.10. 기준)</small><br />= 4,080៛/USD
|고정환율 = 4,000៛/USD <small>(비공식)</small>
|이전화폐 =
|이후화폐 =  
|비고    =  
}}
}}
Cambodian Riel
== 개요 ==
== 개요 ==
[[캄보디아]]의 통화. 단위명 '리엘'은 삽 호수(톤레삽)에서 많이 잡히는 민물고기의 명칭에서 유래했다.
[[캄보디아]]의 통화. 단위명 '리엘'은 삽 호수(톤레삽)에서 많이 잡히는 민물고기의 명칭에서 유래했다.


=== 환전 및 사용 ===
[[라이베리아 달러]]와 마찬가지로 현실적으로 유명무실한 통화로 유명한데, 이게 다 [[미국 달러]]의 위상 때문이다. 근원이 되는 자본 자체가 항상 모자란 캄보디아로서는 돈을 "찍기만 할 뿐"이라 리엘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폭락하다보니 UN에서 보다못해 슬며시 달러를 같이 써보라며 끼워주었다.  
적어도 2010년대 중반까지는 [[라이베리아 달러]]와 마찬가지로 현실적으로 유명무실한 통화로 유명했는데, 근원이 되는 자본 자체가 항상 모자란 캄보디아로서는 돈을 "찍기만 할 뿐"이라 리엘의 가치가 꾸준하게 폭락하였다. 보다 못한 국제기구가 슬며시 달러를 같이 써보라며 끼워주었던 것이 반작용으로 훅 들어와서, 현지민들에게 자연스레 가치값이 불안한 리엘보다 안정적인 달러를 더 선호하게 되었고, 그 결과 정부의 끊임없는 <s>반강제</s> 홍보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 리엘은 거의 미국 달러의 '''보조단위'''까지 격하된 이미지가 정착돼버리고 말았다.


때문에 캄보디아 관련 여행잡지에는 하나같이 "달러 쓰세요"라고 조언하고 있고, 그 말 믿고 가는 외국인 관광객이 대부분이라 캄보디아에선 달러가 무난히 통용되고 있다. 단, 현지 환전을 주 목적으로 하는 다른 동남아 국가와는 달리 캄보디아에선 직접 사용하는 경우도 상정해야 하므로 저액권(주로 $1, $10 등의 계산이 편한 권종)을 충분히 섞어서 가져가야지, 안 그러면 돈 깨기가 난감해진다. 명목상 최고액권인 100,000៛ = $25 이나, 현지인들이 이런 큰 돈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 단, $2 권종은 아예 통용되지 않으니 가져가지 않도록 주의.
그런데 현지민들이 자연스레 불안한 리엘보다 안정적인 달러를 더 선호하게 되었고, 그 결과 정부의 끊임없는 <s>반강제</s> 홍보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 리엘은 거의 미국 달러의 '''보조단위'''까지 격하된 이미지가 정착돼버리고 말았다. 오죽하면 캄보디아 관련 여행잡지에는 하나같이 "달러 쓰세요"라고 조언할 정도.


하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의 염원이 이뤄졌는지 국민들의 리엘 사용량이 대폭 늘어나, 달러-리엘 병용 및 가격표 병기가 이뤄지는 수준까지 격이 올라갔다. 큰 금액이어도 리엘로 지불하는 풍토가 거의 정착됨에 따라 굳이 리엘을 기피할 필요가 없어졌고<ref>하지만 일상생활이 아닌 관광지 같은 경우는 여전히 달러를 원하는 경우도 많은 것도 사실이다.</ref>, 따라서 필요 따라서는 리엘로 환전한 뒤에 사용해도 좋다.
나름 메인 통화인 [[태국 바트]] 또한 국경 위주에서 통용되고 있으며, 가~~끔 단위값이 더 낮은 [[베트남 동]](동일액면대비 약 4~5배가량 낮다.)을 섞어서 주는 사기꾼도 있으니 거스름돈으로 리엘을 받을 땐 주의깊게 볼 것. 한국인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대한민국 원]]도 받아준다 카더라. , 외화로 지불해도 잔돈은 리엘로 준다.


리엘로 환전하여 쓰겠다면 다른 동남아국가와 동일하게 $100권이 가장 환율상으로 유리한 편이다. 그러나 암묵적으로 달러-리엘 환율은 4000៛/USD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교환 시 환율이 4000៛/USD 미만이라면 '''차라리 하지 않는 것이 낫다.''' 또한 한국에서는 캄보디아 리엘을 환전할 수 없고, 비싼 수수료 내고 추심 보내서 받아낼 정도로 가치가 있지도 않으며, 현지에서 리엘의 달러(혹은 기타 통화) 재환전도 쉽지 않으므로, 개인 시간이 거의 주어지지 않는 패키지 여행일 경우엔 $10 정도의 애매하게 큰 액면 달러를 소비과정으로 깨가면서 거스름돈으로 리엘화를 모아다 쓰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 환전 및 사용 ===
앞서 언급한 대로 캄보디아에선 달러가 무난히 통용되고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미국 달러를 챙겨가면 된다. 단, 현지 환전을 주 목적으로 하는 다른 동남아 국가와는 달리 캄보디아에선 직접 사용하는 경우도 상정해야 하므로 저액권(주로 $1, $10 등의 계산이 편한 권종)을 충분히 섞어서 가져가야지, 안 그러면 돈 깨기가 난감해진다. 명목상 최고액권인 ៛100,000 = $25 이나, 현지인들이 이런 큰 돈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 단, $2 권종은 아예 통용되지 않으니 가져가지 않도록 주의.


국경 인근에서는 [[태국 바트]]나 [[베트남 동]]도 암묵적으로 통용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바트화는 그렇다 쳐도 베트남 동은 동일액면대비 약 4~5배가량 낮은 특성을 이용해서 환전시 리엘 대신에 섞어주는 사기꾼도 드물게 있으므로, 거스름돈으로 리엘을 받을 땐 뜬금없는 [[호치민]]의 얼굴이 있나 주의깊게 볼 것.<ref>베트남 지폐는 모두 호치민 초상이 있다.</ref> 한국인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대한민국 원]]도 받아준다 카더라.
몰론 리엘화가 전혀 쓰이지 않는 건 아니니 현지에서 예산의 일부 수준은 미리 환전해두면 유용하다. 이때 $100권이 가장 환율적으로 유리한 것은 다른 동남아국가와 동일하지만, 환율이 4000리엘/USD 미만이라면 '''차라리 하지 않는 것이 낫다.''' 도리어 $10 정도의 애매하게 큰 달러를 소비과정으로 깨가면서 거스름돈으로 리엘화를 모아다 쓰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달러와 리엘을 번갈아 쓰다보니 가격표기(읽기법)도 다소 왔다갔다한다. 캄보디아 현지에서 달러는 '돌라(Dolar)'라고 하며, 그 이하 10센트 단위는 '칵(Kak)', 1센트 단위는 '센(Sen)'으로 부른다. 단, 쿼터(25센트)는 1000리엘에 해당하므로 그냥 '1000리엘'이라 부르며, 통상적으로 1000리엘 이하 단위는 돌라나 칵 등으로 계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3달러 50센트라면 "3돌라 5칵" 혹은 "3돌라 2000리엘"이라는 식이다.
단, 한국에서는 캄보디아 리엘을 환전할 수 없고, 비싼 수수료 내고 추심 보내서 받아낼 정도로 가치가 있지도 않으며, 현지에서 리엘의 달러(혹은 기타 통화) 재환전도 수수료를 감안하면 나름 손해니 달러보다도 우선적으로 소모하고 오는 것이 좋다.
 
가급적 '돌라'와 '리엘'을 섞어다 계산하게 되지 않도록 가격표를 꾸리는 편이지만, 그럼에도 거스름돈이 발생한다면 몇 만리엘 수준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는 이상은 대개 '리엘'로 내어주곤 한다. 대형마트 등지에서 가격표기 하는 경우엔 대체로 리엘화와 달러화를 병기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width:47%;" | [[파일:KHR2309.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53%;" | [[파일:LAK617.jpg]]
|-
| style="text-align: center;" | '''캄보디아 지폐'''. 라오스보다는 조금 더 복잡한 모양의 글씨체를 쓴다.
| style="text-align: center;" | '''라오스 지폐'''. 옆에 보이는 건축물은 앙코르 왓이 아닌 "[[왓 탓 루앙]]"이다.
|}
여담으로, 어지간히 익숙하게 봐온 정도가 아닌 이상은 캄보디아 리엘화와 [[라오스 낍]]화를 서로 혼동하기가 쉽다. 이는 대외적 인지도가 낮으면서 같은 조상을 가진 고유 문자를 사용하고<ref>문자 체계상, [[태국어|태국 문자]]와 [[라오어|라오 문자]]가 [[크메르어|크메르 문자]]의 하위로 분류된다.</ref>, 둘 다 달러화 고정환에 가까운 정책을 채택하였으며<ref>단위값은 캄보디아(1/4000)가 라오스(1/10000)보다 2.5배 비싸다.</ref>, 앞면에 수장 얼굴을 그려 넣으며, 구권과는 달리 현행권부터는 로마자 표기마저 빼버렸기 때문에 눈에 띄는 특징을 잡는 것으로는 식별이 쉽지 않게 된 까닭이다.


그나마 가장 간단한 구분법은 앞면의 국장(國章)을 확인하는 것으로, '''캄보디아는 왕국'''으로서 영국 국장처럼 두 동물이 왕가의 문장(紋章)을 받드는 모양새의 국장을 사용하고, '''라오스는 사회주의''' 국가로서 [[벼]] 두 포기로 둘러싸인 원형 국장을 사용한다.
개인 시간이 거의 주어지지 않는 패키지 여행일 경우에는 $1권종이 매우 많이 필요한 편이니 참고.


== 2기 리엘 ==
== 2기 리엘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2기 리엘화 - 3회차 디자인 앞면 패턴
! colspan="5"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3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3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315.jpg]]
|-
| style="text-align: center;" | 노로떰 싸이하누 (선대 국왕) 모델<br />(노로돔 시하누크)
| style="text-align: center;" | 노로떰 싸이하무니 (후대 국왕) 모델<br />(노로돔 시하모니)
| style="text-align: center;" | 싸이하누 국왕 부부 모델
|}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Khmer Riel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4%;"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4%;"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1회차 디자인 (1993 ~ 20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1회차 디자인 (1993 ~ 200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2회차 디자인 (2001 ~ 2007)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2회차 디자인 (2001 ~ 2007)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3회차 디자인 (2008 ~ 현재)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3회차 디자인 (2008 ~ 현재)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4회차 디자인 (~ 현재)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2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201.jpg]][[파일:Cambodia 2002 50r reverse.jpg]]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번떼이쓰레이 사원 / 댐
| style="text-align: center;" | 번떼이쓰레이 사원 / 댐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2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2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302.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독립기념탑 (對 프랑스) / 학교
| style="text-align: center;" | 독립기념탑 (對 프랑스) / 학교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0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2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2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304s.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앙코르와트<br />껌뽕짬(메콩강 유역)에 있는 다리
| style="text-align: center;" | 앙코르와트<br/>껌뽕짬(메콩강 유역)에 있는 다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2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306.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2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306s.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관자재보살석상<br />껌뽕사옴 항구
| style="text-align: center;" | 관자재보살석상<br/>껌뽕사옴 항구
| style="text-align: center;" | 왕궁 알현실
| style="text-align: center;" | (2012년) 노로떰 싸이하누 왕 서거 기념(...) - 백조 모양의 선형(船形) 차량으로 싸이하누 국왕의 시신을 운구하는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왕궁 알현실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2,00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2,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2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2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3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쁘레아비히어 사원<br />앙코르 와트 앞마당의 논(...)
| style="text-align: center;" | 쁘레아비히어 사원<br/>앙코르 와트 앞마당의 논(...)
| style="text-align: center;" | 독립 60주년 - 1953년 12월 노로떰 싸이하누가 인민군을 이끌고 강을 건너는 모습의 사진 & 독립기념탑 (from 프랑스)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00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212.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21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308Ns.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노로담 싸이하누 국왕 & 나가(Naga)<ref>뱀을 닮은 신화속 동물</ref> 두상<br />껌퐁크테이 다리 (씨엠렙주)
| style="text-align: center;" | 노로담 싸이하누 국왕 & 나가(Naga)<ref>뱀을 닮은 신화속 동물</ref> 두상<br/>껌퐁크테이 다리 (씨엠렙 주)
| style="text-align: center;" | 캄퐁 끄데이 다리
| style="text-align: center;" | 캄퐁 끄데이 다리
| style="text-align: center;" |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0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214.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214.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왕궁
| style="text-align: center;" | 왕궁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20,00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5,000<br/>៛20,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312s.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0,00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0,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216.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314.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216.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KHR2314.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앙코르와트
| style="text-align: center;" | 앙코르와트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3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싸이하무니 왕 환갑기념 - 노로떰 국왕 일가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싸이하누 국왕 부부 모델<br/>싸이하무니 왕 환갑기념 - 노로떰 국왕 일가
| style="text-align: center;" |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 2기 리엘화 기념권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Cambodia 2nd Riel 4th Series 2008~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sup>노로떰 싸이하누</sup>국왕 서거<ref>백조 모양의 선형(船形) 차량으로 싸이하누 국왕의 시신을 운구하는 모습</ref>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3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2,000៛ 독립 60주년<ref>1953년 12월 노로떰 싸이하누가 인민군을 이끌고 강을 건너는 모습의 사진 & 독립기념탑 (from 프랑스)</ref>
| style="text-align: center;" | [[File:KHR23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15,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30,000៛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KHR2306.jpg]]
| style="text-align: center;" | 노로떰 싸이하누 (선대 국왕) 모델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KHR2308.jpg]]
(노로돔 시하누크)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KHR2322s.jpg]]
| style="text-align: center;" | 노로떰 싸이하무니 (후대 국왕) 모델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KHR2324s.jpg]]
(노로돔 시하모니)
| style="text-align: center;" |  
|}
|}
* 소액지폐는 대개 달러화의 보조 단위로 사용하는 일이 많은데, 2000៛=하프(50센트), 1000៛=쿼터(25센트), 200៛=니켈(5센트) 정도의 개념으로 보면 된다.
* 2022년 11월 14일에 발행된 200៛ 권종의 여백 부분에 그려진 삼두코끼리<ref>아이라바타(산스크리트어 ऐरावत) 혹은 에라완(태국어 เอราวัณ)이라고 부른다. 인도 신화 속 최고신 중 하나인 [[인드라]]는 불교로 전파되면서 제석천으로 불리는데, 그 제석천의 애상(愛象)인 코끼리를 가리킨다.</ref>가 라오스에서 논란거리로 제기되었다. '삼두코끼리' 그 자체는 태국/라오스/캄보디아 어느 한 쪽의 문화라고 단정할 수 있는게 아니지만, 들어간 무늬 자체가 라오스 왕국 시절(1952~1975)의 국기 속 문양을 그냥 떼어다 붙였나 싶을 정도로 판박인 탓에 논란이 붉어졌다.
=== 동전 ===
=== 동전 ===
1979년 5센짜리 동전이 최초로 등장했지만 익년부터 폐기되어 1994년까지 방치되었다. 그 이후 50៛, 100៛, 200៛, 500៛짜리 동전이 잠깐 등장하긴 했는데 이 역시 통용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아 버려졌고, 2013년 현재 캄보디아에는 동전이 없는 것으로 취급되는 중이다.
1979년 5센짜리 동전이 최초로 등장했지만 익년부터 폐기되어 1994년까지 방치되었다. 그 이후 ៛50, ៛100, ៛200, ៛500짜리 동전이 잠깐 등장하긴 했는데 이 역시 통용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아 버려졌고, 2013년 현재 캄보디아에는 동전이 없는 것으로 취급되는 중이다.


== 껌뿌찌어 (캄푸치아) 리엘 ==
== 껌뿌찌어 (캄푸치아) 리엘 ==
1975년 붉은 크마에에 민주 껌뿌찌어 공산당이 들어서면서 완벽한 사회주의 공산사회를 만들기 위해 '''화폐 자체를 폐지'''시켰다. 하지만 만일에 대비해 미리 일부를 찍어놓기는 해놓았고, 이것이 이후 1979년 베트남발 혁명으로 붉은 크마에가 종료, 베트남식 사회주의 경제로 전환된지 2년만인 1980년 4월 1일부터 몰래 숨겨두었던 이 통화가 봇물터지듯 터져나와 베트남 동화와 함께 쓰여졌다. (다만 표기상으론 1975년(1차), 1979년(2차)으로 되어있다.) 당시 환율은 4៛/US$, 1៛ = 3[[베트남 동|₫]]. 이전 화폐와의 교환비는 산정 자체가 불가능한 고로 무시되었고, 쌀 1kg을 1리엘로 환산하여 배급되었다. (아예 근본부터가 다른 통화라 생각하면 된다.) 시기가 시기였는지 다소 사회주의적 요소나 전쟁적인 요소가 많다.
1975년 붉은 크마에에 민주 껌뿌찌어 공산당이 들어서면서 완벽한 사회주의 공산사회를 만들기 위해 '''화폐 자체를 폐지'''시켰다. 하지만 만일에 대비해 미리 일부를 찍어놓기는 해놓았고, 이것이 이후 1979년 베트남발 혁명으로 붉은 크마에가 종료, 베트남식 사회주의 경제로 전환된지 2년만인 1980년 4월 1일부터 몰래 숨겨두었던 이 통화가 봇물터지듯 터져나와 [[베트남 동]]과 함께 쓰여졌다. (다만 표기상으론 1975년(1차), 1979년(2차)으로 되어있다.) 당시 환율은 4리엘/USD, 1리엘 = 3 VND. 이전 화폐와의 교환비는 산정 자체가 불가능한 고로 무시되었고, 쌀 1kg을 1리엘로 환산하여 배급되었다. (아예 근본부터가 다른 통화라 생각하면 된다.) 시기가 시기였는지 다소 사회주의적 요소나 전쟁적인 요소가 많다.


=== 붉은 크마에 (크메르 루주) 스타일 [[대체통화]] ===
=== 붉은 크마에 (크메르 루주) 스타일 [[대체통화]] ===
204번째 줄: 194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
| style="text-align: center;" | ៛5
| style="text-align: center;" | 아이들
| style="text-align: center;" | 아이들
| style="text-align: center;" | 물소 수레에 타고있는 사람들
| style="text-align: center;" | 물소 수레에 타고있는 사람들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
| style="text-align: center;" | ៛10
| style="text-align: center;" | 흔한 밭을 낀 마을
| style="text-align: center;" | 흔한 밭을 낀 마을
| style="text-align: center;" | 흔한 바닷가 마을
| style="text-align: center;" | 흔한 바닷가 마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
| style="text-align: center;" | ៛20
| style="text-align: center;" | 흔한 번화가(?) 마을
| style="text-align: center;" | 흔한 번화가(?) 마을
| style="text-align: center;" | 마을 사람들
| style="text-align: center;" | 마을 사람들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
| style="text-align: center;" | ៛50
| style="text-align: center;" | 모내기
| style="text-align: center;" | 모내기
| style="text-align: center;" | 쟁기질
| style="text-align: center;" | 쟁기질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쌀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쌀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엉꼬 왓]] (앙코르와트)
| style="text-align: center;" | [[엉꼬 왓]] (앙코르와트)
232번째 줄: 222번째 줄:
=== 오리지널 (가제) ===
=== 오리지널 (가제) ===
* 표2개  
* 표2개  
* 50៛ 신형부터 500៛까지는 1991년 발행으로 되어있다.
* 50리엘 신형부터 500리엘까지는 1991년 발행으로 되어있다.


== 1기 리엘 ==
== 1기 리엘 ==
245번째 줄: 235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직물 짜는 여인
| style="text-align: center;" | 직물 짜는 여인
| style="text-align: center;" | 앙코르와트
| style="text-align: center;" | 앙코르와트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물지게를 이고있는 소녀(?)
| style="text-align: center;" | 물지게를 이고있는 소녀(?)
& 나가(Naga) 상
& 나가(Naga) 상
256번째 줄: 246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공부하는 아이들
| style="text-align: center;" | 공부하는 아이들
| style="text-align: center;" | 관자재보살의 큰 얼굴
| style="text-align: center;" | 관자재보살의 큰 얼굴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 style="text-align: center;" | 크롬 응오이
| style="text-align: center;" | 크롬 응오이
(Krom Ngoy, 캄보디아의 유명한 시인)
(Krom Ngoy, 캄보디아의 유명한 시인)
267번째 줄: 257번째 줄:
(프놈펜 소재)
(프놈펜 소재)
|}
|}
* 이 중에서 당시에 실제로 유통된 것은 500៛화 뿐이었다. 다만 지금은 이미 많이 뿌려져있어 어렵지 않게 구경할 수 있다.
* 이 중에서 당시에 실제로 유통된 것은 500리엘화 뿐이었다. 다만 지금은 이미 많이 뿌려져있어 어렵지 않게 구경할 수 있다.


==== 전기 ====
==== 전기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