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무기/에픽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삭제보류|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간주하기 어려운 기여 철회|제가 작성한 문서니 삭제하는 것도 제 자유겠죠?}}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7번째 줄: 6번째 줄:
모든 에픽무기는 타격 성공 시 크로스헤어에 알림이 뜬다.
모든 에픽무기는 타격 성공 시 크로스헤어에 알림이 뜬다.


현 최고 등급 무기인 만큼 신경써서 만든게 보이는데 에픽등급 무기는 특수기능이 2개이상이며 전용 명칭도 있다.(궁니르 - 에너지 포격, 파멸의 투척), (드레드노바 - 노바캐논, 아스트랄 로드), (파천화룡포 - 파천 지뢰, 지뢰 수동 폭파), (보이드 어벤저 - 스캐닝 사격, 공허의 심판), (디바인 블래스터 - 정화의 날개, 정화의 빛), (흑영쌍부 - 콤비네이션 공격, 흑영진극, 흑영와극), (퀀텀 호라이즌 - 퀀텀 디스럽터, 퀀텀 다이브), (산달폰 - 정화의 빛, 심판의 빛, 진노의 일격), (아바레스트 - 코스믹 웨이브, 코스믹 블랙홀, 코스믹 아머), (다이브 리펄서 - 리펄서 리프, 안티 그라비톤, 폴 스트라이크) 그밖에도 처음부터 안정적인 성능을 가진 궁니르와 흑영쌍부를 제외하면 애매한 성능을 보인 나머지 에픽등급 무기들은 모두 상향을 최소 1차례 이상 받았다.
현 최고 등급 무기인 만큼 신경써서 만든게 보이는데 에픽등급 무기는 특수기능이 2개이상이며 전용 명칭도 있다.(궁니르 - 에너지 포격, 파멸의 투척), (드레드노바 - 노바캐논, 아스트랄 로드), (파천화룡포 - 파천 지뢰, 지뢰 수동 폭파), (보이드 어벤저 - 스캐닝 사격, 공허의 심판), (디바인 블래스터 - 정화의 날개, 정화의 빛), (흑영쌍부 - 콤비네이션 공격, 흑영진극, 흑영와극), (퀀텀 호라이즌 - 퀀텀 디스럽터, 퀀텀 다이브), (산달폰 - 정화의 빛, 심판의 빛, 진노의 일격) 그밖에도 처음부터 안정적인 성능을 가진 궁니르와 흑영쌍부를 제외하면 애매한 성능을 보인 나머지 에픽등급 무기들은 모두 상향을 최소 1차례 이상 받았다.


개발자가 추구하는 에픽 무기들의 특징은 올라운더로 궁니르는 근접전과 장거리전 모두 대응이 가능하고 지속 피해와 순간 폭딜 능력 모두 갖추고 있다. 드레드노바는 인플레가 진행된 현시점에서는 소환수가 없으면 성능이 떨어지지만 소환수가 없어도 넉백과 경직 자체는 뛰어난 편이며 소환수가 있으면 순간 폭딜과 지속 딜링 능력을 모두 갖출 수 있고 무적과 전방위 공격을 통한 유틸성도 뛰어나다. 추가로 노바 캐논과 소환수를 통한 원거리 견제도 가능하다. 파천화룡포는 지속 피해와 전염 공격을 통해 다수전에서도 강력하며 강력한 대미지를 가진 파천 지뢰도 있다. 보이드 어벤저는 스캐닝 사격의 자동 조준 공격으로 높은 안정성을 자랑하고 공허의 심판을 통한 적의 한 곳에 모아둘 수 있다. 디바인 블래스터는 기본 사격의 강력한 경직과 정화의 날개를 통한 광범위 공격, 정화의 빛을 통한 강력한 한방기 모두 가졌으며 정화의 날개를 전개할 때 이동 방해 효과 해제, 이동 속도 증가 버프를 통해 유틸 능력도 준수하다. 흑영쌍부는 순간 폭딜, 지속 딜링, 근접전, 장거리전, 유틸 능력 모두를 보유한 모든 방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퀀텀 호라이즌은 기본 사격의 폭발 탄환 효과로 효과적으로 적을 견제할 있고 다방면으로 뛰어난 퀀텀 디스럽터, 사용자의 생존력을 높여주는 퀀텀 다이브를 가졌다. 산달폰은 수호의 빛을 통한 사용자 보호, 심판의 빛을 통한 원거리 공격, 진노의 일격을 통한 강력한 폭딜 능력을 모두 갖췄다. 아바레스트는 퀀텀 호라이즌처럼 폭발 탄환과 빠른 연사력을 통한 견제력과 코스믹 웨이브를 통해 광역 지속 딜링, 코스믹 블랙홀을 통한 순간 폭딜, 코스믹 아머를 통해 생존력을 보조할 수 있다.
개발자가 추구하는 에픽 무기들의 특징은 올라운더다. 실제 인게임에서도 올라운더형 성능을 내는데 궁니르는 근접전과 장거리전 둘 다 대처할 수 있고 근접전의 준수한 지속 피해와 장거리전의 강력한 한 방 피해를 가졌다. 전격 공격은 최대 3체까지 자동으로 조준하는 공격을 가졌고 에너지 포격 공격은 원거리 견제와 넉백 능력을 가졌으며 파멸의 투척은 강력한 대미지와 강제 경직, 강제 넉백을 가졌다. 드레드노바는 기본적으로 뛰어난 경직과 넉백등을 가졌고 소환수를 통해 강력한 순간 폭딜과 뛰어난 지속 딜링을 가졌으며 무적과 전방위 공격을 통해 사용자를 보호하는 능력도 뛰어나고 노바 캐논과 소환수를 통해 원거리 견제도 가능하다. 파천화룡포는 높은 지속 피해와 전염 공격을 통해 일대 다수전에서도 강력하며 파천 지뢰를 통한 강력한 한 방 대미지 및 사용자 보조를 할 수 있다. 보이드 어벤저는 스캐닝 사격의 자동 조준 공격에 의해 높은 안정성을 자랑하고 공허의 심판을 통한 적의 행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디바인 블래스터는 산탄포 공격을 통한 강력한 경직과 정화의 날개를 통한 광범위 공격, 정화의 빛을 통한 강력한 한방기를 가졌고 정화의 날개를 시전할 때 이동 방해 능력 해제와 이동속도 증가 버프를 통해 보조 능력도 준수하다. 흑영쌍부는 만능에 가까운 무기로 드레드노바의 상위호환에 가까운 무기인데 근접전, 장거리전 둘 다 뛰어나고 무적을 좀 더 능동적으로 사용할 있으며 설치기를 통해 광범위로 적의 행동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다른 무기의 보조를 받아야 하는 초월 무기와 달리 단독으로도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며 높은 안정성을 자랑한다.


에픽 무기들은 비에픽시즌때 기존 에픽 무기를 재판매하면서 ex무기를 추가로 판매한다. 보이드 어벤저(20-2) - 다크 스타 - 디바인 블래스터(21-1) - 블레이즈노바 - 흑영쌍부(21-2) - 퀀텀 호라이즌(22-1) - 슈프림 센티널(국내 서버 미판매) - 산달폰(22-2) - 아수라빙룡포(국내 서버 미판매) - 아바레스트(23-1) - 둠 블래스터, ex 에픽 주무기들은 이전에 출시한 에픽 무기들 다음가는 성능을 가지고 있어 무기를 수집하는 유저가 아니면 굳이 살 필요는 없다.(파천화룡포-다크 스타 - (퀀텀 호라이즌 - 아수라빙룡포) - (아바레스트 - 둠 블래스터) ex무기들은 첫 판매를 할 때 다크 스타와 블레이즈노바를 제외하면 업그레이드로 진행되어 기존 에픽 무기가 있다면 업그레이드하는데 필요한 돈만 있으면 바로 획득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하지만 재판매를 할 때는 에픽 조각 상점에서만 재판매를 하기 때문에 획득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대폭 증가한다.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도면은 가격이 152000원으로 기존 무기만 있다면 152000원으로 바로 획득할 수 있지만, 조각 상점에서는 이벤트로 획득할 수 있는 조각인 1260개를 포함할 경우 해독기 100개당 평균적으로 600개의 조각을 획득하므로 ex무기 획득에 필요한 비용이 600000원 이상으로 대폭 증가한다.
에픽 무기들은 비에픽시즌때 기존 에픽 무기를 재판매하면서 ex무기를 추가로 판매한다. 보이드 어벤저(20-2) - 다크 스타 - 디바인 블래스터(21-1) - 블레이즈노바 - 흑영쌍부(21-2) - 퀀텀 호라이즌(22-1) - 슈프림 센티널(국내 서버 미판매) - 산달폰(22-2) - 아수라빙룡포(국내 서버 미판매) - 아바레스트(23-1) - 둠 블래스터, ex 에픽 주무기들은 이전에 출시한 에픽 무기들 다음가는 성능을 가지고 있어 무기를 수집하는 유저가 아니면 굳이 살 필요는 없다.(파천화룡포-다크 스타 - (퀀텀 호라이즌 - 아수라빙룡포) - (아바레스트 - 둠 블래스터) ex무기들은 첫 판매를 할 때 다크 스타와 블레이즈노바를 제외하면 업그레이드로 진행되어 기존 에픽 무기가 있다면 업그레이드하는데 필요한 돈만 있으면 바로 획득할 수 있어 비용이 저렴하지만 재판매를 할 때는 에픽 조각 상점에서만 재판매를 하기 때문에 획득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대폭 증가한다.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도면은 가격이 152000원으로 기존 무기만 있다면 152000원으로 바로 획득할 수 있지만, 조각 상점에서는 이벤트로 획득할 수 있는 조각인 1260개를 포함할 경우 해독기 100개당 평균적으로 600개의 조각을 획득하므로 ex무기 획득에 필요한 비용이 600000원 이상으로 대폭 증가한다.
19번째 줄: 18번째 줄:
오버시어 - 궁니르, 드레드노바, 보이드 어벤저, 다크 스타, 블레이즈노바, 슈프림 센티널
오버시어 - 궁니르, 드레드노바, 보이드 어벤저, 다크 스타, 블레이즈노바, 슈프림 센티널


불명 - 파천화룡포<ref>초기 유출본에서는 파천화룡포가 고대 중국에서 제작되었다는 언급이 있다.</ref>, 흑영쌍부<ref>디자인적으로는 여포와 적토마가 모티브인 만큼 중국과 연관이 있지만 사이버네틱풍의 파천화룡포와 다르게 흑영쌍부는 판타지풍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ref>, 아수라빙룡포<ref>파천화룡포와 흑영쌍부는 모두 중국과 연관된 디자인이 특징이지만 아수라빙룡포는 이세계 판타지풍의 디자인이 특징으로 디바인 블래스터와 둠 블러스터가 서로 다른 세계에서 제작된 것처럼 파천화룡포와 아수라빙룡포도 별개의 장소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고 모델도 파천화룡포와 흑영쌍부는 지구 출신인 퀸, 칼리토, 메이인 반면 아수라빙룡포는 이세계의 늑대 인간 컨셉인 소냐 라이칸스로프가 광고 모델이다.</ref>
고대 중국 - 파천화룡포, 흑영쌍부, 아수라빙룡포


천계 - 디바인 블래스터, 산달폰
천계 - 디바인 블래스터, 산달폰
25번째 줄: 24번째 줄:
마계 - 둠 블래스터
마계 - 둠 블래스터


이지스 연구소 - 퀀텀 호라이즌, 다이브 리펄서
이지스 연구소 - 퀀텀 호라이즌


크로노스 - 아바레스트
크로노스 - 아바레스트
125번째 줄: 124번째 줄:
  - 파멸의 일격은 발사 후 직접 히트한 대상에게 일반 144, 좀비 6555, 시나리오 26125의 데미지를 입히고 폭발한 뒤 2차 광선 피해를 입힌다.
  - 파멸의 일격은 발사 후 직접 히트한 대상에게 일반 144, 좀비 6555, 시나리오 26125의 데미지를 입히고 폭발한 뒤 2차 광선 피해를 입힌다.


국내 서버에서만 추가되지 않았다가 출시한 지 2년 뒤인 22-07-14 패치로 추가되었다. 가까이 지난  궁니르의 ex버전으로 대미지가 전체적으로 증가했지만 전격 공격의 사정거리가 1.35M 짧은 7.75M로 줄어들었고 에너지 포격 공격과 파멸의 투척 공격에 소모되는 탄환이 6발로 증가했다.
국내 서버에서만 추가되지 않았다가 출시한 지 2년 뒤인 22-07-14 패치로 추가되었다. 가까이 지난  궁니르의 ex버전으로 대미지가 전체적으로 증가했지만 전격 공격의 사정거리가 1.35M 짧은 7.25M로 줄어들었고 에너지 포격 공격과 파멸의 투척 공격에 소모되는 탄환이 6발로 증가했다.


궁니르와 비교하면 전격 공격은 10%, 에너지 포격 공격은 직격타 1.18% / 스플래쉬 10%, 파멸의 투척 직격타 5% / 폭발 0%, / 광선 10% 가량의 대미지가 증가했다.
궁니르와 비교하면 전격 공격은 10%, 에너지 포격 공격은 직격타 1.18% / 스플래쉬 10%, 파멸의 투척 직격타 5% / 폭발 0%, / 광선 10% 가량의 대미지가 증가했다.


에너지 포격 공격의 대미지 상승폭이 가장 크지만 직격타로 맞춰야 체감이 크고 탄소모량이 늘어나 실질적으론 하향이며 파멸의 투척의 경우 공격의 딜레이가 긴 만큼 탄소모량의 차이는 체감이 적지만 대미지 상승폭이 매우 낮다. 전격 공격도 대미지 상승폭에 피해 패널티가 크다. 때문에 초월 무기를 포함해서 가장 상향폭이 낮아 평이 좋지 않은 ex무기이다.
에너지 포격 공격의 대미지 상승폭이 가장 크지만 직격타로 맞춰야 체감이 크고 탄소모량이 늘어나 실질적으론 하향이며 파멸의 투척의 경우 공격의 딜레이가 긴 만큼 탄소모량의 차이는 체감이 적지만 대미지 상승폭이 매우 낮다. 전격 공격도 대미지 상승폭에 피해 패널티가 크다.


해외 서버에서 첫 출시 당시에는 성능이 개발자의 예상보다 낮아서 상향을 받은 무기이기도 하다. 출시 당시에는 전격 공격의 사정거리가 6.6M였고 에너지 포격과 파멸의 투척 공격의 탄소모량이 7발이었다. 이후 한차례 상향을 받아 사정거리가 7.25M로 증가하고 탄소모량이 6발로 줄어들었다. [https://csol.tiancity.com/homepage/article/2020/11/04/59437.html 출처]
해외 서버에서 첫 출시 당시에는 성능이 개발자의 예상보다 낮아서 상향을 받은 무기이기도 하다. 출시 당시에는 전격 공격의 사정거리가 6.6M였고 에너지 포격과 파멸의 투척 공격의 탄소모량이 7발이었다.[https://csol.tiancity.com/homepage/article/2020/11/04/59437.html 출처]


  감염체 일반 좀비 기준 대미지
  감염체 일반 좀비 기준 대미지
264번째 줄: 263번째 줄:
'''극강의 화력과 최강의 비쥬얼'''
'''극강의 화력과 최강의 비쥬얼'''


무기 콘셉트는 화룡으로 전염 피해를 통해 극강의 화력을 자랑한다. 중국풍이 느껴지는 사이버네틱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무기 콘셉트는 화룡으로 전염 피해를 통해 극강의 화력을 자랑한다.


파천화룡포는 3가지 공격이 존재하는데 기본 연쇄 폭발 공격과 파천 지뢰, 파천 지뢰 수동 폭파 3가지가 존재한다. 기본 공격은 적에게 타격시 연쇄적으로 폭발 공격을 가하며 동시에 이 공격은 주변 적에게 전염되어 추가 피해를 준다. 폭발 공격에는 확인사살을 사용하지 않으면 헤드샷 피해를 입힐 수 없지만 첫 사격의 직격타에는 헤드샷 판정이 존재한다. 적의 수가 많아질수록 폭발 횟수가 줄어들지만 아무리 많아도 최소 3회는 폭발한다.
파천화룡포는 3가지 공격이 존재하는데 기본 연쇄 폭발 공격과 파천 지뢰, 파천 지뢰 수동 폭파 3가지가 존재한다. 기본 공격은 적에게 타격시 연쇄적으로 폭발 공격을 가하며 동시에 이 공격은 주변 적에게 전염되어 추가 피해를 준다. 폭발 공격에는 확인사살을 사용하지 않으면 헤드샷 피해를 입힐 수 없지만 첫 사격의 직격타에는 헤드샷 판정이 존재한다. 적의 수가 많아질수록 폭발 횟수가 줄어들지만 아무리 많아도 최소 3회는 폭발한다.


파천 지뢰는 최대 3개까지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지뢰는 적이 오면 자동으로 폭발하여 5.5M 범위 내의 적에게 강력한 피해와 강제 경직을 입힌다. 이 경직은 피해를 입은 대상의 이동 속도가 점점 느려지다가 1초 뒤에는 아에 멈춘다. 경직의 지속 시간은 약 5초이며 이 지뢰를 자신이 밟을 경우 도약이 되지만 기동력이 라이트닝 퓨리의 제트팩보다 약하다. 다만 도약시에도 폭발이 발생하므로 상황에 따라선 도약과 동시에 적에게 지뢰 폭발 대미지를 줄 수 있다. 파천 지뢰가 설치된 상태에서 우클릭 시 설치된 지뢰가 모두 폭발하는데 사거리는 일반 폭발과 동일한 5.5M지만 대미지가 5000 증가한다.
파천 지뢰는 최대 3개까지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지뢰는 적이 오면 자동으로 폭발하여 폭발시 강력한 강제 경직과 함께 범위 공격을 가한다. 이 경직은 피해를 입은 대상의 이동 속도가 점점 느려지다가 1초 뒤에는 아에 멈춘다. 경직의 지속 시간은 약 5초이며 이 지뢰를 자신이 밟을 경우 도약이 되지만 기동력이 라이트닝 퓨리의 제트팩보다 약하다. 다만 도약시에도 폭발이 발생하므로 상황에 따라선 도약과 동시에 적에게 지뢰 폭발 대미지를 줄 수 있다. 파천 지뢰가 설치된 상태에서 우클릭 시 설치된 지뢰가 모두 폭발하는데 수동 폭파시 지뢰의 대미지가 증가한다.


초기에는 지뢰의 대미지가 2166밖에 안되었고 감속 효과도 약했으나 이후 한 차례 상향을 받으면서 대미지가 대폭 상향되고 패스트 드로우가 추가되어 패스트 드로우가 지원되는 최초의 주무기가 되었다. 패스트 드로우는 기본 사격과 재장전시에만 지원된다.
초기에는 지뢰의 대미지가 2166밖에 안되었고 감속 효과도 약했으나 이후 한 차례 상향을 받으면서 대미지가 대폭 상향되었고 패스트 드로우가 지원되는 최초의 주무기가 되었으며 기본 사격과 재장전시에는 패스트 드로우가 지원된다.


기본 사격의 대미지는 숙주 일반 좀비 헤드샷 기준 지속적으로 대미지가 올라가는데 직격타는 788의 피해량을 주고 화염 피해로 37 - 158 - 278 - 399 - 520 - 640 - 761 - 881 - 1002 - 1123 - 1243 - 1545 순으로 대미지가 올라간다. 파천 지뢰는 최대 9300의 피해를 입히고 지뢰 수동 폭파시에는 14300의 피해를 입힌다.
기본 사격의 대미지는 숙주 일반 좀비 헤드샷 기준 지속적으로 대미지가 올라가는데 직격타는 788의 피해량을 주고 화염 피해로 37 - 158 - 278 - 399 - 520 - 640 - 761 - 881 - 1002 - 1123 - 1243 - 1545 순으로 대미지가 올라간다. 파천 지뢰는 최대 9300의 피해를 입히고 지뢰 수동 폭파시에는 14300의 피해를 입힌다.
280번째 줄: 279번째 줄:
시나리오 모드에서는 보스 딜링에 특화되어 있는데 지뢰를 연속으로 3발 설치하고 마지막 1발이 터지기 전에 수동 폭파를 하면 강력한 순간 폭딜을 낼 수 있다. 이걸 재구매를 하면서 반복하면 흑영쌍부 매크로를 제외한 가장 높은 DPS를 자랑한다.
시나리오 모드에서는 보스 딜링에 특화되어 있는데 지뢰를 연속으로 3발 설치하고 마지막 1발이 터지기 전에 수동 폭파를 하면 강력한 순간 폭딜을 낼 수 있다. 이걸 재구매를 하면서 반복하면 흑영쌍부 매크로를 제외한 가장 높은 DPS를 자랑한다.


여담으로 출시 전에 유출된 정보로는 무기 컨셉이 달랐는데 초기에는 화룡을 소환해 범위 공격을 가하고 보호막을 소환하여 사용자를 보호한다는 서술이 있었다. 그리고 출시 당시 급조되어 출시된듯한 느낌이 있는데 총기의 모델링이 2개고 지뢰 수동 폭발 기능은 모션만 존재하고 인게임에선 존재하지 않았었다. 파천화룡포의 소개 영상도 다른 에픽 무기와 다르게 간단한 설명이 끝이다. 또한 파천 지뢰 발동시의 애니메이션도 이상한데 프레임 단위로 재생해보면 우클릭을 눌러 지뢰를 생성할 때 특정 부분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는게 아닌 무기와 겹쳐서 생성되며 우클릭을 떼서 지뢰를 설치할 때도 자연스럽게 설치되는 것이 아닌 총기에서 나간 지뢰가 날아가는 동안 진짜 지뢰의 모델링이 중간에 갑자기 등장하면서 생성되며 총기에서 나간 지뢰는 파천화룡포를 향해 회수되면서 사라진다.
여담으로 출시전에 유출된 정보로는 무기컨셉이 달랐다. 출시전에는 화룡을 소환해 범위 공격을 가하고 보호막을 소환하여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었다. 그리고 출시 당시 급조되어 출시된듯한 느낌이 있는데 총기의 모델링이 2개고 지뢰 수동 폭발 기능은 모션만 존재하고 인게임에선 존재하지 않았었다. 또한 파천화룡포의 소개 영상도 다른 에픽 무기와 다르게 간단한 설명이 끝이다.
 
감염체 일반 좀비 기준 대미지
가슴 / 머리
기본 사격 직격타 : 246 / 982
기본 사격 폭발(일반) : 11 - 49 - 87 - 124 - 162 - 200 - 237 - 275 - 313 - 351 - 388 - 482
기본 사격 폭발(머리) : 46 - 197 - 348 - 499 - 650 - 800 - 951 - 1102 - 1253 - 1404 - 1554 - 1931
파천 지뢰 : 9300
파천 지뢰 수동 폭파 : 14300


=== 아수라빙룡포 ===
=== 아수라빙룡포 ===
307번째 줄: 298번째 줄:
  좀비Z 해금 레벨 : 40
  좀비Z 해금 레벨 : 40


  전설속 빙룡의 기운을 담은 특수탄을 사용한다. 타격 시 주변으로 폭발이 전염 되어 강력한 대미지를 주는 미지의 기술로 만들어진 소총이다. 폭발의 힘을 이용하여 적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지뢰를 설치할 있다. 지뢰는 적에 의해 폭파될 수도 있고, 신속한 이동을 위해 직접 폭파시킬 수도 있다.
  전설속 화룡의 기운을 담은 특수탄을 사용한다. 타격 시 주변으로 폭발이 전염 되어 강력한 대미지를 주는 미지의 기술로 만들어진 소총이다. 특수 기능으로 적에게는 높은 화염 대미지를 주고 자신은 빠른 도약으로 할 수 있는 지뢰를 설치 할 수 있다.


  [[파일:Wondercannonex desc.png]]
  [[파일:Wondercannonex desc.png]]
323번째 줄: 314번째 줄:
아수라빙룡포는 파천화룡포와 다르게 총기의 모델링이 1개로 기본 사격시 총기의 모델링이 변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되는 탄환도 완전히 달라서 서로 탄약이 공유되지 않는다.
아수라빙룡포는 파천화룡포와 다르게 총기의 모델링이 1개로 기본 사격시 총기의 모델링이 변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되는 탄환도 완전히 달라서 서로 탄약이 공유되지 않는다.


디자인적으로는 파천화룡포가 적룡포 기본 스킨과 유사한 사이버네틱풍 디자인이라면 아수라빙룡포는 적룡포 6강과 블레이드 프로스트브레이커가 섞인 판타지풍 디자인이다. 또한 기본 적룡포와 적룡포 6강(백룡포)의 브레스 공격이 각각 넉백/경직이 특성인 것처럼 파천화룡포는 넉백이 더 강하고 아수라빙룡포는 경직이 더 강하다. 그리고 중국풍이 드러나는 파천화룡포, 흑영쌍부와 다르게 아수라빙룡포는 판타지풍의 디자인이 특징이다. 광고 모델도 판타지 얼음 컨셉이 특징인 소냐 라이칸스로프가 담당하였다.
여담으로  아수라빙룡포가 출시하면서 현재 중국 컨셉의 에픽 무기는 파천화룡포, 흑영쌍부, 아수라빙룡포 총 3종이 존재하는데 디자인적으로 일관성이 없다. 오버시어 계열 무기는 마법 공학과 액시온, 아이테리스가 연상되는 디자인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천계 컨셉의 무기는 칼라엘이 연상되는 디자인인 반면 중국 컨셉 계열 무기는 디자인이 모두 다 제각각이다. 파천화룡포는 초과학적인 SF 컨셉이 연상되는 반면 흑영쌍부는 무기가 합체하고 그림자 무장을 소환하는등 판타지 컨셉으로 되어있고 아수라빙룡포도 파천화룡포와 비슷하게 SF 느낌일 것 같지만 상세히 살펴보면 SF적인 느낌보다는 판타지 느낌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광고 모델도 파천화룡포는 기계인간 컨셉의 퀸과 다르게 아수라빙룡포는 늑대인간 컨셉의 소냐 라이칸스로프가 광고 모델을 자리잡고 있다. 근하신년 무기까지 포함하면 중국풍 무기는 더 많아지는데 흑룡포와 혈적자는 흑영쌍부와 비슷한 판타지풍 컨셉을 가졌고 적룡포는 파천화룡포처럼 사이버네틱한 디자인을 가졌으며 적룡포 6강은 아수라빙룡포처럼 얼음 속성이라는 점도 동일하다.


== 보이드 어벤저 ==
== 보이드 어벤저 ==
440번째 줄: 431번째 줄:
기본 사격은 평범하게 산탄포 공격으로 매그넘 런처와 유사하며 대미지는 매그넘 런처 높고 집탄율도 더 좋으며 반동 제어등 안정성도 더 좋다. 추가로 파천화룡포처럼 기본 사격과 재장전은 패스트 드로우을 통해 즉시 발동시킬 수 있다.
기본 사격은 평범하게 산탄포 공격으로 매그넘 런처와 유사하며 대미지는 매그넘 런처 높고 집탄율도 더 좋으며 반동 제어등 안정성도 더 좋다. 추가로 파천화룡포처럼 기본 사격과 재장전은 패스트 드로우을 통해 즉시 발동시킬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에너지가 차는데 에너지는 최대 100까지 차오른다. 에너지가 10이상 있는 상태에서 우클릭을 누르면 정화의 날개가 전개되고 이 상태에서는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정화의 날개가 전개되는동안 주변 전방위의 7.5M 범의내의 적에게 경직과 피해를 준다. 정화의 날개가 전개된 상태에서 우클릭을 다시 누르면 정화의 날개가 해제된다. 에너지는 재장전 및 정화의 날개 전개중에는 차오르지 않으며 정화의 날개 전개 시 슬로우 효과를 해제하는 기능이 있다. 무기 설명에는 없지만 정화의 날개 전개시 무게가 가벼워져 100%(280)이 되며 앞방향키로 전진 시 뒤에 부스터 비슷한 이펙트가 생기는데 이펙트에도 공격 판정이 있다. 이 공격의 사거리는 정화의 날개 기본 사정거리보다 긴 약 10M이고 대미지도 2.5배 높다. 다만 반드시 전진하는 상태에서 달리고 있어야 생기기 때문에 산탄포 공격을 포기하고 정화의 날개로만 대미지를 입히는게 아니면 해당 공격으로 원하는 적에게 피해를 주기는 어렵다.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에너지가 차는데 에너지는 최대 100까지 차오른다. 에너지가 10이상 있는 상태에서 우클릭을 누르면 정화의 날개가 전개되고 이 상태에서는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정화의 날개가 전개되는동안 주변 전방위의 7M 범의내의 적에게 경직과 피해를 준다. 정화의 날개가 전개된 상태에서 우클릭을 다시 누르면 정화의 날개가 해제된다. 에너지는 재장전 및 정화의 날개 전개중에는 차오르지 않으며 정화의 날개 전개 시 슬로우 효과를 해제하는 기능이 있다. 무기 설명에는 없지만 정화의 날개 전개시 무게가 가벼워져 100%(280)이 되며 앞방향키로 전진 시 뒤에 부스터 비슷한 이펙트가 생기는데 이펙트에도 공격 판정이 있다. 이 공격의 사거리는 정화의 날개 기본 사정거리보다 긴 약 10M이고 대미지도 2.5배 높다. 다만 반드시 전진하는 상태에서 달리고 있어야 생기기 때문에 산탄포 공격을 포기하고 정화의 날개로만 대미지를 입히는게 아니면 해당 공격으로 원하는 적에게 피해를 주기는 어렵다.


정화의 날개를 전개한 상태에서 에너지를 15이상 소모하면 정화의 빛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공격은 마우스 우클릭, 혹은 R키를 누르거나 에너지가 0이 되면 자동으로 사용된다. 정화의 빛은 인피니티 레이저 피스트의 특수 공격과 비슷하게 탄착 지점에 범위 피해를 입힌다. 정화의 빛은 관통은 안되며 대미지는 궁니르의 파멸의 투척 직격타보다 10%가량 더 높고 공격 범위도 더 넓다. 매그넘 런처처럼 특수탄이 무기를 들지 않아도 자동으로 차올라 다른 무기로 견제하다가 에너지가 차오르면 주무기로 바꾸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정화의 날개를 전개한 상태에서 에너지를 15이상 소모하면 정화의 빛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공격은 마우스 우클릭, 혹은 R키를 누르거나 에너지가 0이 되면 자동으로 사용된다. 정화의 빛은 인피니티 레이저 피스트의 특수 공격과 비슷하게 탄착 지점에 범위 피해를 입힌다. 정화의 빛은 관통은 안되며 대미지는 궁니르의 파멸의 투척 직격타보다 10%가량 더 높고 공격 범위도 더 넓다. 매그넘 런처처럼 특수탄이 무기를 들지 않아도 자동으로 차올라 다른 무기로 견제하다가 에너지가 차오르면 주무기로 바꾸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479번째 줄: 470번째 줄:
  파멸의 강타는 일반 103 좀비 8172 시나리오 36750의 피해를 입히고 주변에 적에게 폭발 피해를 준다.
  파멸의 강타는 일반 103 좀비 8172 시나리오 36750의 피해를 입히고 주변에 적에게 폭발 피해를 준다.


디바인 블래스터의 ex무기로 천계 컨셉인 디바인 블래스터와 반대로 마계 컨셉의 무기이며 정화의 빛/파멸의 강타가 활성화 될 때 1인칭 이펙트가 디바인 블래스터는 위에서 아래로 나타나는 반면 둠 블래스터는 아래에서 위로 나타난다. 또한 효과음도 베이스는 비슷하지만 성스러운 효과음을 가진 디바인 블래스터와 다르게 둠 블래스터는 쇳소리와 타는듯한 소리가 들린다.
디바인 블래스터의 ex무기로 천계 컨셉인 디바인 블래스터와 반대로 마계 컨셉의 무기이며 특수 기능의 이펙트와 효과음도 변경되었다. 정화의 빛/파멸의 강타가 활성화 될 때 나타나는 1인칭 이펙트도 디바인 블래스터는 위에서 아래로 나타나는 반면 둠 블래스터는 아래에서 위로 나타난다.


판매 방식은 아수라빙룡포와 동일하게 기존 오리지널 무기가 있다면 전용 도면을 구매하여 확정으로 얻을 수 있다. 전체적으로 대미지가 증가하였고 장탄수도 상향을 받은 에픽 무기(퀀텀 호라이즌, 아바레스트)나 ex 초월 무기인 슈프림 센티널처럼 60발로 증가하였으며 기본 사격의 연사력도 1% 증가하다. 재장전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기존 3초에서 2초로 감소되었다.
전체적으로 대미지 증가하였고 장탄수가 상향을 받은 에픽 무기나 슈프림 센티널처럼 60발로 증가하였으며 기본 사격의 연사 속도도 1% 증가하였으며 재장전 시간도 감소되었다.


디바인 블래스터보다 게이지 충전 속도가 10% 증가하였고 디바인 블래스터와 다르게 재장전 중에도 게이지가 차오른다. 정화의 날개 전개까지 선딜레이가 있던 디바인 블래스터와 다르게 둠 블래스터는 날개 활성화 즉시 적에게 피해를 주기때문에 파멸의 강타를 사용해도 즉시 파멸의 날개를 전개하면서 기존 디블의 빈틈이 없어졌다. 파멸의 날개 전개 즉시 게이지가 소모되어 파멸의 강타를 정화의 빛보다 더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파멸의 날개의 공격 범위도 정화의 날개보다 1M 증가하여 8.5M의 사정거리를 가지고 있다. 파멸의 강타의 타격 지점에 발생하는 폭발의 피격 범위도 1M 증가하였다. 다만 전진 시 발생하는 후방의 공격은 디바인 블래스터와 동일한 10M다.
디바인 블래스터보다 게이지 충전 속도가 10% 증가하였고 정화의 날개 전개까지 선딜레이가 있던 디바인 블래스터와 다르게 둠 블래스터는 1인칭 모션만 비슷할뿐 파멸의 날개 활성화 즉시 적에게 피해를 주며 게이지도 즉시 소모되어서 파멸의 강타를 사용해도 사실상 후딜레이가 없어 바로 파멸의 날개를 전개하면서 피해를 줄 수 있다. 전개 즉시 날개가 시전되어서 파멸의 강타를 정화의 빛보다 더 자주 사용할 수 있으며 디바인 블래스터와 다르게 재장전중에도 게이지가 차오른다. 그리고 파멸의 날개의 공격 범위도 정화의 날개보다 1M 넓어졌고 파멸의 강타의 타격 지점에 발생하는 폭발의 피격 범위도 1M 증가하였다. 다만 전진 시 발생하는 후방부의 공격은 디바인 블래스터와 동일한 10M다.


대미지는 디바인 블래스터와 비교하면 좀비 모드에선 기본 사격 5%, 파멸의 날개 10%, 파멸의 날개 후방 5%, 파멸의 강타 13.5% 증가하였고 시나리오에선 기본 사격 18%, 파멸의 날개 5%, 파멸의 날개 후방 15%, 파멸의 강타 40% 증가하였다.
대미지는 디바인 블래스터와 비교하면 좀비 모드에선 기본 사격 5%, 파멸의 날개 10%, 파멸의 날개 후방 5%, 파멸의 강타 13.5% 증가하였고 시나리오에선 기본 사격 18%, 파멸의 날개 5%, 파멸의 날개 후방 15%, 파멸의 강타 40% 증가하였다.


다른 ex무기들과 비교해도 상향폭이 매우 커 라이트닝 퓨리 - 블루스톰 급의 차이를 낸다. 또한 최신 에픽 등급 ex무기여서 획득 방식이 업그레이드 형식이라 디바인 블래스터가 있다면 152000원의 가격으로 확정으로 얻을 수 있어 가격면에서도 저렴하다. 파멸의 날개의 선딜레이도 없어 디블보다 러스티 윙을 견제하기 쉬워졌다. 오리지널 무기인 디바인 블래스터보다 하향된 부분이 없는건 아닌데 디블은 날개를 전개하고 일정 시간 뒤에 게이지가 소모되는데 이동 속도 버프는 게이지가 소모되기 전에 들어오고 슬로우 효과 해제도 게이지가 소모되기 전에 발동된다. 때문에 이동 속도 증가 버프 지속 시간은 디바인 블래스터가 약간 더 길고 둠블과 다르게 게이지를 소모하지 않고 슬로우 효과를 해제할 수 있다.
다른 ex무기들과 비교해도 상향폭이 매우 커 라이트닝 퓨리 - 블루스톰 급의 차이를 낸다. 또한 최신 에픽 등급 ex무기여서 획득 방식이 업그레이드 형식이라 디바인 블래스터가 있다면 152000원의 가격으로 확정으로 얻을 수 있어 가격면에서도 저렴하다. 파멸의 날개의 선딜레이도 없어서 러스티 윙을 견제하기도 쉬워졌다. 그리고 슈프림 센티널처럼 오리지널 무기보다 하향된 부분이 없다.


파천화룡포 - 아수라빙룡포와 마찬가지로 사용되는 탄약이 달라 서로 공유되지 않는다.
파천화룡포 - 아수라빙룡포와 마찬가지로 사용되는 탄약이 달라 서로 공유되지 않는다.


여담으로 마계의 무기라는점과 디바인 블래스터와 칼라엘과 연관이 있는만큼 둠 블래스터는 칼라엘과 같이 출시된 메데이아와 관련된 무기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마계의 무기라는점과 디바인 블래스터와 칼라엘과 연관이 있는만큼 둠 블래스터는 칼라엘과 같이 출시된 메데이아와 관련된 무기로 추정된다. 위 중국 컨셉 무기와 마찬가지로 디자인에서 일관성이 없는데 메데이아의 페어링 무기인 블레이드 룬브레이커/프로스트브레이커는 판타지풍의 디자인을 가졌고 메데이아가 제작한 병기인 마창 스칼렛 로즈는 사이버네틱한 디자인을 가졌는데 둠 브레이커는 룬브레이커와 비슷한 판타지풍 디자인을 가졌다. 추가로 이전에 출시한 에픽 무기인 파천화룡포 - 아수라빙룡포처럼 원본과 ex무기가 사이버네틱 - 판타지풍 디자인을 가졌다는점도 동일하다.


== 흑영쌍부 ==
== 흑영쌍부 ==
518번째 줄: 509번째 줄:
콤비네이션 공격은 시전 시 도끼 두 자루를 합체하고 이후 도끼를 내려찍어 듀베건의 광풍 효과를 불러내면서 전방위에 대미지를 입히고 2초간 무적상태가 된다. 콤비네이션 공격은 대미지와 강제 넉백이 동시에 발생하는데 대미지는 내려찍는 동작에만 입히지만 넉백은 내려찍고 이펙트가 사라질때까지 유지된다.
콤비네이션 공격은 시전 시 도끼 두 자루를 합체하고 이후 도끼를 내려찍어 듀베건의 광풍 효과를 불러내면서 전방위에 대미지를 입히고 2초간 무적상태가 된다. 콤비네이션 공격은 대미지와 강제 넉백이 동시에 발생하는데 대미지는 내려찍는 동작에만 입히지만 넉백은 내려찍고 이펙트가 사라질때까지 유지된다.


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면 매 초 마다 3.3의 게이지가 차오르며 최대 100의 게이지를 채울 수 있다. 게이지가 50이상 있으면 흑영쌍부의 외형이 황금빛으로 변하고 이 상태에서 R키를 누르고 적을 조준하면 흑경진극을 사용할 수 있다. 흑영진극은 조준한 적에게 흑영무장을 소환하여 적을 내려찍으면서 12495의 대미지를 주고 2초간 강제 경직과 스킬 봉인 효과를 입힌다. 마우스 좌클릭을 누른 상태로 R키를 누르면 조준하고 있는 위치에 휠윈드를 시전하는 흑영무장을 소환한다. 흑영와극은 5초간 유지되며 647의 대미지를 총 17회 입히고 흑영와극에 피해를 입은 대상은 5초간 강제 경직에 걸린다. 소환수의 사정거리 제한은 35M이며 두 공격 모두 시전 즉시 사용자에게 2초간 무적 효과를 준다. 소환수 사용 이후 약간의 딜레이가 있는데 흑영진극 사용 후 2초간 흑영진극/와극을 재사용 할 없으며 흑영와극 사용 이후 6초간 흑영와극을 재사용 할 수 없다. 다만 흑영와극 사용 후 2초 뒤 흑영진극은 사용할 수 있으며 콤비네이션 공격은 딜레이 제한이 없다.
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면 게이지가 차오르며 최대 100의 게이지를 채울 수 있다. 게이지가 50이상 있으면 흑영쌍부의 외형이 붉게 변하고 이 상태에서 R키를 누르고 적을 조준하면 흑경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조준한 적에게 흑영무장을 소환하여 적을 내려찍으면서 12495의 대미지를 주고 2초간 강제 경직과 스킬 봉인 효과를 입힌다. 마우스 좌클릭을 누른 상태로 R키를 누르면 조준하고 있는 위치에 휠윈드를 시전하는 흑영무장을 소환한다. 흑영와극은 5초간 유지되며 647의 대미지를 총 17회 입히고 흑영와극에 피해를 입은 대상은 5초간 강제 경직에 걸린다. 소환수의 사정거리 제한은 35M이며 두 공격 모두 시전 즉시 사용자에게 2초간 무적 효과를 준다. 소환수의 게이지 충전 속도는 드레드노바보다 느리나 게이지 소모량이 50이여서 실제로는 블레이즈노바의 소환수보다 자주 시전할 있다.


출시 당시에는 일주일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역대급 사기 무기라 평가 받았는데 출시 당시의 헬하운드보다 더한 평가를 받았다. 횡베기 공격을 고속 베기로 딜레이를 캔슬할 수 있는데 횡베기를 시전하면서 우클릭을 연타하면 횡베기의 공격 딜레이가 즉시 캔슬되며 후딜레이도 고속베기로 즉시 보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경직과 압도적인 DPS때문에 좀비들은 접근도 못하고 순삭당하며 어떻게 접근했다 치더라도 흑영무장을 소환해 무적 버프를 받고 안전하게 적의 공격 범위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 때문에 흑영쌍부는 아무런 조건도 없이 상시로 폭딜과 무적 효과를 낼 수 있었지만 패치로 고속 베기로 횡베기의 딜레이를 초기화시키는것을 막고 고속 베기의 대미지를 소폭 상향하였다. 그럼에도 블레이즈노바와는 비교도 안될 수준의 성능차를 낸다. 또한 특수 기능이 다른 에픽 무기는 2개인 반면 흑영쌍부는 3개나 된다.
출시 당시에는 일주일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역대급 사기 무기라 평가 받았는데 출시 당시의 헬하운드보다 더한 평가를 받았다. 횡베기 공격을 고속 베기로 딜레이를 캔슬할 수 있는데 횡베기를 시전하면서 우클릭을 연타하면 횡베기의 공격 딜레이가 즉시 캔슬되며 후딜레이도 고속베기로 즉시 보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경직과 압도적인 DPS때문에 좀비들은 접근도 못하고 순삭당하며 어떻게 접근했다 치더라도 흑영무장을 소환해 무적 버프를 받고 안전하게 적의 공격 범위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 때문에 흑영쌍부는 아무런 조건도 없이 상시로 폭딜과 무적 효과를 낼 수 있었지만 패치로 고속 베기로 횡베기의 딜레이를 초기화시키는것을 막고 고속 베기의 대미지를 소폭 상향하였다. 그럼에도 블레이즈노바와는 비교도 안될 수준의 성능차를 낸다. 또한 특수 기능이 다른 에픽 무기는 2개인 반면 흑영쌍부는 3개나 된다.
532번째 줄: 523번째 줄:
디바인 블래스터때 출시때까지는 썬더 포스와 헬하운드등을 제외하면 양측 진영의 밸런스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이후로 블루스톰, 데바스테이터등이 출시되면서 인간 진영의 승률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흑영쌍부가 출시되면서 인간측이 매우 유리해지기 시작했다. 이후로 퀀텀 호라이즌이 출시되면서 좀비 진영의 승산이 없다시피할 정도로 밸런스가 붕괴되었다.
디바인 블래스터때 출시때까지는 썬더 포스와 헬하운드등을 제외하면 양측 진영의 밸런스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이후로 블루스톰, 데바스테이터등이 출시되면서 인간 진영의 승률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흑영쌍부가 출시되면서 인간측이 매우 유리해지기 시작했다. 이후로 퀀텀 호라이즌이 출시되면서 좀비 진영의 승산이 없다시피할 정도로 밸런스가 붕괴되었다.


  감염체 일반 좀비 기준 대미지
  숙주 일반 좀비 기준 대미지
  가슴 / 머리
   
  횡베기 : 2040 / 8160
  횡베기 헤드샷 : 6528
  고속베기 : 356 / 1427
  고속베기 헤드샷 : 1142
  콤비네이션 공격 : 3697 / 14790
  콤비네이션 공격 헤드샷 : 11832
  흑영진극 : 12495
  흑영진극 : 12495
  흑영와극 : 646 x 17 = 10982
  흑영와극 : 646 x 17 = 10982
=== 백영쌍부 ===
[[파일:6940049224801245512.png]]
일반모드 SSS | 좀비모드 SSS | 시나리오모드 SSS
좀비Z 해금 레벨 : 40
전장을 호령하던 무장의 힘과 의지가 서려있는 강력한 쌍도끼이다. 쌍도끼를 합체하여 공격하는 콤비네이션 공격과 무장을 소환하는 특수기인 백영진극과 백영와극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
▶ 특수 기능
※ 콤비네이션 공격 :
<고속 베기 1회> <횡베기 2회> 커맨드 입력 시 발동
※ 특수 기능 <백영진극>:
백영쌍부가 빛나는 상태가 됐을 때 <재장전>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크로스 헤어를 적에게 가져가면 발동
※ 특수 기능 <백영와극>:
백영쌍부가 빛나는 상태가 됐을 때 <마우스 왼쪽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크로스 헤어가 조준하고 있는 위치에 발동
※ 일부 기능은 비 좀비 계열 모드에서 작동하지 않습니다.
흑영쌍부의 ex무기로 기존의 흑영쌍부가 적토마가 연상된다면 백영쌍부는 백호가 연상되는 디자인을 가졌으며 소환수는 먹물이 흐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슈프림 센티널과 마찬가지로 기존보다 하향된 부분은 없으며 초당 게이지 충전 속도가 3.3에서 4로 증가하였고 게이지 최대 보유량이 120으로 증가하였으며 모든 공격의 대미지가 소폭 증가하였다.


== 퀀텀 호라이즌 ==
== 퀀텀 호라이즌 ==
  [[파일:6940049224801239287.png]]
  [[파일:6940049224801239287.png]]
  일반모드 S | 좀비모드 SSS | 시나리오모드 SSS
  일반모드 S | 좀비모드 SSS | 시나리오모드 SSS
  대미지 : 26 / 5
  데미지 : 26 / 5
  좀비 대미지 : 413 / 825
  좀비 데미지 : 413 / 825
  시나리오 대미지 : 1500 / 2625
  시나리오 데미지 : 1500 / 2625
  명중률 : 90%
  명중률 : 90%
  반동 : 94%
  반동 : 94%
587번째 줄: 557번째 줄:
  - 좀비시나리오 발동 조건: 게임 중 60초 소지 + 적 20회 타격
  - 좀비시나리오 발동 조건: 게임 중 60초 소지 + 적 20회 타격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미지의 초기술 발현'''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미지의 초기술 발현!'''


무기의 컨셉은 양자역학의 개념을 이용하여 인과율 역전과 같은 SF 판타지 요소들이 접목된 근미래 병기이다. 추상적인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플라스마 볼을 통해 움직이는 에너지 볼의 모양과 회전 가속 장치, 웜홀 같은 요소를 조합하여 신기술의 에너지 코어 느낌을 표현하였다.
무기의 컨셉은 양자역학의 개념을 이용하여 인과율 역전과 같은 SF 판타지 오소들이 접목된 근미래 병기이다. 추상적인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플라스마 볼을 통해 움직이는 에너지 볼의 모양과 회전 가속 장치, 웜홀 같은 요소를 조합하여 신기술의 에너지 코어 느낌을 표현하였다.


기본 사격은 레바테인과 비슷하게 탄착 지점에 폭발 피해를 주며 직격타 한정으로 헤드샷 판정도 존재하며 특수 기능은 양자 폭발로 다수의 적을 타격하는 퀀텀 디스럽터와 위기에 순간 사용자를 피신시키는 퀀텀 다이브가 있다.
기본 사격은 레바테인과 비슷하게 탄착 지점에 폭발 피해를 주며 직격타 한정으로 헤드샷 판정도 존재하며 특수 기능은 양자 폭발로 다수의 적을 타격하는 퀀텀 디스럽터와 위기에 순간 사용자를 피신시키는 퀀텀 다이브가 있다.


첫번째 특수 기능인 퀀텀 디스럽터는 매그넘 런처처럼 일정 시간마다 특수탄이 1개씩 충전되고 최대 6개까지 충전할 수 있으며 매그넘 런처와 다르게 특수탄을 소모하면 일정 시간 뒤에 생성되는게 아닌 특수탄을 소모하면서도 충전이 된다. 퀀텀 디스럽터는 18M 전방 범위의 최대 10명의 적에게 양자 폭발 레이저 공격을 가한다. 이 공격은 자동 조준이며 보이드와 다르게 여러명 타격 시 탄환이 분산되는게 아닌 대미지가 분산되지만 대신 강제 넉백은 동일하게 들어간다. 특수탄이 없는 상태에서 보급 상자를 먹어도 특수탄은 충전되지 않지만 대신 무기를 버렸다가 새로 살 경우 특수탄은 충전되어있다. 다만 이럴 경우 퀀텀 다이브를 다시 충전해야 한다.
첫번째 특수 기능인 퀀텀 디스럽터는 매그넘 런처처럼 일정 시간마다 특수탄이 1개씩 충전되고 최대 6개까지 충전할 수 있으며 매그넘 런처와 다르게 특수탄을 소모하면 일정 시간 뒤에 생성되는게 아닌 특수탄을 소모하면서도 충전이 된다. 퀀텀 디스럽터는 18M 전방 범위의 최대 10명의 적에게 레이저 공격을 가한다. 이 공격은 자동 조준이며 보이드와 다르게 여러명 타격 시 탄환이 분산되는게 아닌 대미지가 분산되지만 대신 강제 넉백은 동일하게 들어간다. 특수탄이 없는 상태에서 보급 상자를 먹어도 특수탄은 충전되지 않지만 대신 무기를 버렸다가 새로 살 경우 특수탄은 충전되어있다. 다만 이럴 경우 퀀텀 다이브를 다시 충전해야 한다.


두번째 특수 기능은 퀀텀 다이브로 조건 달성 시 총기의 이펙트가 변하며 화면 외각쪽에 이펙트가 추가되고 이 상태에서 죽음에 이르는 공격을 받을 경우 공격을 무효화하고 랜덤한 장소로 순간 이동하며 2초간 무적 상태가 된다. 순간 이동 장소는 랜덤이지만 완전히 무작위로 이동하는건 아니고 리스폰 장소 중 한 곳으로 이동한다. 퀀텀 다이브는 활성화 될 경우 무기를 바꿔도 작동을 하며 무기를 버린 경우가 아니면 무조건 발동한다. 죽음에 이르는 공격의 판정은 비무적 상태일 때 감염을 받거나 체력이 적은 상태에서 좀폭이나 베놈가드의 자폭등을 통해 1방에 죽을 수 있는 상황일 때 발동한다. 영웅일때는 처음에는 발동하지 않았다가 마지막 1방을 더 맞을 경우 죽을 때 다이브가 발동한다.
두번째 특수 기능은 퀀텀 다이브로 조건 달성 시 총기의 이펙트가 변하며 화면 외각쪽에 이펙트가 추가되고 이 상태에서 죽음에 이르는 공격을 받을 경우 공격을 무효화하고 랜덤한 장소로 순간 이동하며 2초간 무적 상태가 된다. 순간 이동 장소는 랜덤이지만 완전히 무작위로 이동하는건 아니고 리스폰 장소 중 한 곳으로 이동한다. 퀀텀 다이브는 활성화 될 경우 무기를 바꿔도 작동을 하며 무기를 버린 경우가 아니면 무조건 발동한다. 죽음에 이르는 공격의 판정은 비무적 상태일 때 감염을 받거나 체력이 적은 상태에서 좀폭이나 베놈가드의 자폭등을 통해 1방에 죽을 수 있는 상황일 때 발동한다. 영웅일때는 처음에는 발동하지 않았다가 마지막 1방을 더 맞을 경우 죽을 때 다이브가 발동한다.
초창기에는 디바인 블래스터보다 못하다는 평가가 많았서 한 차례 상향을 받았다. 상향 전에는 기본 사격이 연사력이 지금보다 낮았으며 무기를 바꾸면 한 번에 최대 1발까지만 차징되어서 여러 무기를 조합해 사용하기가 힘들었고 장탄수도 50발이었다. 이후 기본 사격은 연사력과 경직이 상향되어 저지력이 증가했고 디스럽터는 최대 타격 인원수가 12명에서 10명으로 줄어든 대신 분산시 주는 최소 대미지가 증가하여 러스티 윙을 카운터 치기 좋아졌다. 또한 디블은 근접전에 특화되어 있는 반면 퀀텀은 원거리 전에서도 강력해 안정성면에서도 더 높고 무엇보다 퀀텀 다이브가 있어 생존성 면에서도 격을 달리한다. 디바인 블래스터는 정화의 날개를 통해 다수전에 특화되어있는 반면 퀀텀 호라이즌은 디블보단 다수전에 약하지만 디스럽터를 통해 좀비의 접근을 막고 다이브를 통해 압도적인 생존력을 자랑한다.


무기 조합이 좋은 근접 무기로는 패스트 드로우나 무적이 있는 홀리소드, 삐에로 블레싱 소드, 흑영쌍부와 좋으며 보조 무기로는 보이드 어벤저, 블루스톰, 레바테인이 있다. 보이드와 시너지가 약간 안좋은데 퀀텀 호라이즌도 자동 조준이 있어 보이드의 스캐닝 사격을 통한 생존성과 공허의 심판의 적을 묶어두고 폭딜을 넣는 컨셉도 디스럽터가 자동 조준에 강제 넉백이라 딜을 넣는데 크게 보완되지는 않고 묶어두는것도 자체 생존성이 뛰어나서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블루스톰은 전방위 공격과 제트팩이 있는데 디스럽터가 쿨타임일때 블루스톰으로 보완할 수 있으며 디스럽터 공격도 사정거리가 길어서 제트팩으로 거리를 벌려놓는것도 좋다. 레바테인도 블루스톰처럼 생존성을 보완해 줄 수 있지만 영역의 게이지를 채울려면 레바테인을 들고 있어야 되어서 영역을 한 번 사용하고 디스럽터도 모두 사용하면 다른 사람의 보조를 받거나 근접 무기등을 통해 견제를 해야 한다. 그밖에도 디바인 블래스터처럼 게이지가 없을 때 보완해주는 무기로 듀베건, 트윈 호크등이 있다.
무기 조합이 좋은 근접 무기로는 패스트 드로우나 무적이 있는 홀리소드, 삐에로 블레싱 소드, 흑영쌍부와 좋으며 보조 무기로는 보이드 어벤저, 블루스톰, 레바테인이 있다. 보이드와 시너지가 약간 안좋은데 퀀텀 호라이즌도 자동 조준이 있어 보이드의 스캐닝 사격을 통한 생존성과 공허의 심판의 적을 묶어두고 폭딜을 넣는 컨셉도 디스럽터가 자동 조준에 강제 넉백이라 딜을 넣는데 크게 보완되지는 않고 묶어두는것도 자체 생존성이 뛰어나서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블루스톰은 전방위 공격과 제트팩이 있는데 디스럽터가 쿨타임일때 블루스톰으로 보완할 수 있으며 디스럽터 공격도 사정거리가 길어서 제트팩으로 거리를 벌려놓는것도 좋다. 레바테인도 블루스톰처럼 생존성을 보완해 줄 수 있지만 영역의 게이지를 채울려면 레바테인을 들고 있어야 되어서 영역을 한 번 사용하고 디스럽터도 모두 사용하면 다른 사람의 보조를 받거나 근접 무기등을 통해 견제를 해야 한다. 그밖에도 디바인 블래스터처럼 게이지가 없을 때 보완해주는 무기로 듀베건, 트윈 호크등이 있다.


무기 자체의 성능에 대해선 혹평이 많은데 썬더포스나 페일노트처럼 소수전에서 극강의 성능을 내어서 좀비의 감염 억제력이 높아 좀비들이 증식하기도 전에 죽기만 한다. 때문에 퀀텀을 가진 사람이 아니면 좀비킬 자체가 안되고 좀비 입장에서는 퀀텀 디스럽터의 빈틈이 생겨도 다이브를 통해 죽지 않아 잡기도 힘들다. 또한 대부분의 유저들은 여기서 블루스톰, 흑영쌍부, 헬하운드등을 통해 기동력과, 도주로 차단등 좀비 입장에선 아무것도 못하게 한다. 여기서 상향을 할 때 살상력을 극대화하는게 아니고 모든 방면에서 상향을 하였다. 설문조사에서 퀀텀 호라이즌의 장점을 소개할 때 현재의 상향은 유저가 원하던 방향으로 상향한게 아닌 개발자가 추구하던 방향으로 상향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한차례 더 상향을 받으면서 디스럽터의 넉백을 소폭 줄이는대신 강제 경직이 추가되면서 감염 억제력이 더 올라갔다. 이 경직도 1발당 경직인 만큼 실전에선 7~8발을 연사할 수 있으니 실제로는 5초 이상의 경직을 가지게 된다.
무기 자체의 성능에 대해선 혹평이 많은데 썬더포스나 페일노트처럼 소수전에서 극강의 성능을 내어서 좀비의 감염 억제력이 높아 좀비들이 증식하기도 전에 죽기만 한다. 때문에 퀀텀을 가진 사람이 아니면 좀비킬 자체가 안되고 좀비 입장에서는 퀀텀 디스럽터의 빈틈이 생겨도 다이브를 통해 도주하는 지라 잡기도 힘들다. 또한 대부분의 유저들은 여기서 블루스톰, 흑영쌍부, 헬하운드등을 통해 기동력과, 도주로 차단등 좀비 입장에선 아무것도 못하게 한다. 여기서 상향을 할 때 살상력을 극대화하는게 아니고 모든 방면에서 상향을 하였다. 설문조사에서 퀀텀 호라이즌의 장점을 소개할 때 현재의 상향은 유저가 원하던데로 상향한게 아닌 개발자가 추구하던 방향으로 상향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한차례 더 상향을 받으면서 디스럽터의 넉백을 소폭 줄이는대신 1초간 강제 경직 효과를 주는 기능이 추가되면서 감염 억제력이 더 올라갔다. 퀀텀의 경직이 약한게 몇 안되는 약점으로 메타트론이나 좀비 카르마등으로 약점을 노릴 수 있었다. 이 경직도 1발당 경직인 만큼 실전에선 7~8발을 연사할 수 있으니 실제로는 5초 이상의 경직을 가지게 된다.
 
출시 초기에는 디바인 블래스터보다 못하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살상력이 낮아서 상향을 받았다. 상향 전에는 기본 사격이 연사력이 81%였으며 무기를 바꾸면 특수탄이 한 번에 최대 1발까지만 차징되어서 여러 무기를 조합해 사용하기가 힘들었고 장탄수도 50발이었다. 대미지도 좀비 461, 시나리오 1500이었고 넉백 수치는 20% / 80%, 경직 수치는 38% 였다. 디스럽터는 최대 타격 인원수가 12명에서 10명으로 줄어든 대신 분산시 주는 최소 대미지가 증가하여 원활하게 러스티 윙을 막아낼 수 있게되었다. 시나리오 모드에서 퀀텀 다이브의 발동 조건도 기존에는 180초를 보유해야했으나 현재는 60초로 감소되었으며 두 차례의 걸쳐 상향을 받으면서 현재와 같은 성능이 되었다.


현시점에서 몇 안되는 약점은 퀀텀 호라이즌으로 후방을 보완할 수는 없으며 퀀텀 디스럽터 공격이 선딜레이가 있다는 점인데 10M 거리 내에서 러스티 윙으로 꽂아 넣으면 그나마 잡을 수 있다. 물론 이것도 퀀텀 다이브나 흑영쌍부등의 보완할 수 있어서 제대로 된 약점은 아니다.
현시점에서 몇 안되는 약점은 퀀텀 호라이즌으로 후방을 보완할 수는 없으며 퀀텀 디스럽터 공격이 선딜레이가 있다는 점인데 10M 거리 내에서 러스티 윙으로 꽂아 넣으면 그나마 잡을 수 있다. 물론 이것도 퀀텀 다이브나 흑영쌍부등의 보완할 수 있어서 제대로 된 약점은 아니다.
687번째 줄: 657번째 줄:
무기의 컨셉은 오버 테크놀러지로 리트슈카가 이지스 연구소에서 탈취한 코스믹 스톤을 크로노스에서 응용하여 만들어낸 비밀병기다.
무기의 컨셉은 오버 테크놀러지로 리트슈카가 이지스 연구소에서 탈취한 코스믹 스톤을 크로노스에서 응용하여 만들어낸 비밀병기다.


기본 사격시 평범하게 사격을 하지만 6발을 사격할 때 마다 탄착 지점에 폭발을 일으키며 3M 범위내의 적에게 1125의 피해를 입힌다. 이 폭발 공격은 확인 사살이 적용된다. 장탄수가 100발로 역대 에픽 무기중 가장 많으며 연사 속도도 가장 빠르다. 특수 기능은 폭발 탄환, 코스믹 웨이브, 코스믹 웨이브 - 폭발, 코스믹 블랙홀, 코스믹 아머등 역대 에픽 무기중 특수 기능이 가장 많다.
기본 사격시 평범하게 사격을 하지만 6발을 사격할 때 마다 탄착 지점에 폭발을 일으키며 3M 범위내의 적에게 1125의 피해를 입힌다. 이 폭발 공격은 확인 사살이 적용된다. 장탄수가 100발로 역대 에픽 무기중 가장 많으며 연사 속도도 가장 빠르다. 특수 기능은 기본 사격 - 폭발, 코스믹 웨이브, 코스믹 웨이브 - 폭발, 코스믹 블랙홀, 코스믹 아머등 역대 에픽 무기중 특수 기능이 가장 많다.


첫번째 특수 기능인 코스믹 웨이브는 라이트닝 퓨리처럼 전방 11.5M, 전방위 6M 범위내의 적에게 피해를 입히며 전방과 전방위 공격의 대미지가 다른 라이트닝 퓨리와 다르게 트윈 호크처럼 두 공격의 피해량이 동일하다. 게이지를 10이상 소모할 경우 탄착 지점에 폭발을 발생시키며 폭발이 발생한 7.5M 범위 내의 좀비를 밀어내면서 2250의 피해를 입힌다. 이 두 공격은 확인 사살을 적용시킬 수 있고 파란 탄창을 소모하며 파란 탄창은 최대 50까지 충전할 수 있다.
첫번째 특수 기능인 코스믹 웨이브는 라이트닝 퓨리처럼 전방 11.5M, 전방위 6 범위내의 적에게 피해를 입히며 전방과 전방위 공격의 대미지가 다른 라이트닝 퓨리와 다르게 트윈 호크처럼 두 공격의 피해량이 동일하다. 게이지를 10이상 소모할 경우 탄착 지점에 폭발을 발생시키며 폭발이 발생한 7.5M 범위 내의 좀비를 밀어내면서 피해를 입힌다. 이 두 공격은 확인 사살을 적용시킬 수 있고 파란 탄창을 소모하며 파란 탄창은 최대 50까지 충전할 수 있다.


두번째 특수 기능인 코스믹 블랙홀은 총기의 에임 근처에 전용 UI가 표시되는데 이 코스믹 블랙홀은 13초마다 1개씩 충전되며 최대 3개까지 보유할 수 있다. 코스믹 블랙홀을 사용하면 스택을 1개 소모하여 공격을 발생시키며 이 공격은 근처 좀비를 끌어당기면서 7960의 피해를 주고 199의 지속 피해를 입힌다. 이 공격은 확인 사살이 적용되지 않는다.
두번째 특수 기능인 코스믹 블랙홀은 총기의 에임 근처에 전용 UI가 표시되는데 이 코스믹 블랙홀은 13초마다 1개씩 충전되며 최대 3개까지 보유할 수 있다. 코스믹 블랙홀을 사용하면 스택을 1개 소모하여 공격을 발생시키며 이 공격은 근처 좀비를 끌어당기면서 7960의 피해를 주고 199의 지속 피해를 입힌다. 이 공격은 확인 사살이 적용되지 않는다.
695번째 줄: 665번째 줄:
세번째 특수 기능인 코스믹 아머는 퀀텀 호라이즌의 퀀텀 다이브와 비슷한데 차이점은 발동 시 순간 이동이 아닌 주변의 적에게 피해를 주는 코스믹 웨이브-폭발이 발생하면서 이동 방해 효과를 해제한다. 이 공격으로 발생되는 코스믹 블랙홀-폭발은 대미지가 3750으로 더 높다.
세번째 특수 기능인 코스믹 아머는 퀀텀 호라이즌의 퀀텀 다이브와 비슷한데 차이점은 발동 시 순간 이동이 아닌 주변의 적에게 피해를 주는 코스믹 웨이브-폭발이 발생하면서 이동 방해 효과를 해제한다. 이 공격으로 발생되는 코스믹 블랙홀-폭발은 대미지가 3750으로 더 높다.


원하는 타이밍에 발동할 수 있는 특수 기능이 2개나 되는데 사용되는 재화도 서로 달라서 여러 상황에서 다방면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생존성 면에서는 퀀텀 호라이즌보다 아래로 평가받지만 살상 능력면에선 퀀텀 호라이즌 이상으로 평가받는다. 시나리오에서도 빠른 연사력과 코스믹 블랙홀을 통해 높은 보스 딜링 무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코스믹 웨이브를 통해 부하 좀비 사냥에도 수월하다.
원하는 타이밍에 발동할 수 있는 특수 기능이 2개나 되는데 사용되는 재화도 서로 달라서 여러 상황에서 다방면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생존성 면에서는 퀀텀 호라이즌보다 아래로 평가받지만 살상 능력면에선 퀀텀 호라이즌 이상으로 평가받는다.
 
이 무기도 상향을 받았는데 정식 출시전 테스트 과정에선 장탄수가 50에서 60으로 증가했고 코스믹 웨이브의 장탄수도 40에서 50으로 증가했다. 기본 사격의 연사 속도가 지금보다 느린 대신 폭발 주기는 5회 사격 시마다 발동했었다. 정식 출시 후에는 1차례 상향을 받을때 기본 사격의 폭발 주기가 7발에서 6발로 변경되었고 코스믹 웨이브의 전방위 공격 범위가 5.5M에서 6M로 증가했으며 코스믹 웨이브의 초당 충전 속도가 2.5에서 3으로 증가하였고 코즈믹 아머 발동 시 슬로우 효과가 해제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후 두번째로 상향 받으면서 기본 사격 - 폭발 공격의 범위가 2.5M에서 3M로 증가했으며 기본 사격이 인간을 관통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코스믹 웨이브의 대미지도 375에서 405로 증가했으며 코스믹 블랙홀의 충전 시간이 기존 15초에서 13초로 줄어들었다.
 
== 다이브 리펄서 ==
[[파일:6940049224801244952.png]]
일반모드 S | 좀비모드 SSS | 시나리오모드 S
데미지 : 14
좀비 데미지 : 176
시나리오 데미지 : 248
명중률 : 100%
반동 : 94%
연사 : 85%
무게 : 93%
좀비 넉백 : 9%
좀비 경직 : 76%
가격 : 2300$
장탄수 : 50 / 400
탄약 : 반중력 에너지
좀비Z 해금 레벨 : 40
 
반중력 기술이 적용된 오버테크놀로지 무기. 반중력탄을 발사하여 피격 위치에 범위 피해를 입히고 플레이어 주변으로 파동을 발하여 사용자를 보호한다. 자동으로 충전되는 반중력 에너지를 사용하여 공중으로 도약 및 활공을 할 수 있으며 활공 도중 빠르게 수직 강하도 가능하다.
 
[[파일:Leapstrikegun.png]]
▶ 특수 기능
※ 특수 기능을 통해 공중에 있는 동안 반중력탄의 공격력이 증가
※ 시나리오 모드에서 예비탄창 무제한 적용
※ 특수 기능
<리펄서 리프> : 우클릭으로 발동. 게이지 100%를 소모하여 적용중인 이동 방해 효과를 해제한 뒤, 주변의 적에게 피해를 주며 좀비들을 밀쳐낸 뒤, 에임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가속
<안티 그라비톤> : 리펄서 리프가 종료될때 무기를 사용중이라면 반중력장을 이용하여 공중에 일정 시간 부양
<폴 스트라이크> : 안티 그라비톤 도중 우클릭으로 직접 사용 또는 안티 그라비톤이 종료될 때 무기를 사용중이면 자동 발동. 짧은 시간동안 빠르게 수직으로 낙하하여 근처의 적들은 밀쳐내고 넓은 범위의 적들에게는 경직을 입히며 피해를 입힌 뒤, 일시적 무적 효과를 획득한다.
※ 리펄서 리프 및 폴 스트라이크에 적중당한 적 수에 따라 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다.
※ 에너지 충전 및 기능별 효과는 모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중력의 힘으로 전장을 지배하라'''
 
무기의 컨셉은 중력의 흐름을 무기에 형상화한 SF 스타일의 무기이다. 이전 에픽 보조무기인 보이드 어벤저가 좀비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이 특징이라면 다이브 리펄서는 사용자의 생존을 보조하는 이동기와 다른 무기와의 연계를 보조 기능에 고려한 것이 특징이다. 퓨리 계열 무기가 체이서의 가속 스킬을 가져왔다면 다이브 리펄서는 러스티 윙의 활강 스킬을 가져왔다 볼 수 있다.
 
기본 사격 시 전방으로 플라즈마 건의 공격과 유사한 구체를 발사한다. 이 공격은 착탄 지점에서 2.5M 범위 내의 적에게 176의 피해를 입히며 동시에 사격할 때 마다 전방위 10.5M 범위 내의 적에게 251의 피해를 주는 파동 공격이 추가로 발생한다. 구체는 확인 사살이 적용되지만 파동 공격은 확인 사살이 적용되지 않는다. 무기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초당 9의 게이지가 차오르며 무기를 버리면 게이지는 초기화된다.
 
첫번째 특수 기능인 리펄서 리프는 게이지가 100%인 상태에서 우클릭을 누르면 근처의 적을 밀쳐내면서 720의 피해를 입히고 퓨리처럼 전방으로 가속한다. 드로우 직후 약간의 선딜레이가 있는 기본 사격과 다르게 리펄서 리프는 드로우 직후에도 즉시 발동 시킬 수 있으며 가속되는 거리가 라이트닝 퓨리의 2배에 가까울 정도로 길고 무기를 바꾸면 가속력도 유지된다. 사용 시 이동 방해 효과가 해제되며 가속되는 중 다이브 리펄서를 계속 드로우 하고 있을 경우 안티 그라비톤이 작동한다.
 
두번째 특수 기능인 안티 그라비톤은 좀비 모드 기준으로 4.5초간 부양한다. 공중 부양 상태에서는 기본 사격의 대미지가 2배로 증가하며 에임 보정 효과가 있어 체공 사격 시 명중률이 떨어지는 효과도 없다. 지속 시간이 다 된 상태에서 다이브 리펄서를 들고 있지 않을 경우 부양 상태가 해제되어 지상으로 천천히 착지하지만 다이브 리펄서를 들고 있을 경우 폴 스트라이크로 연계된다. 지속 시간이 경과하지 않아도 부양한 상태에서 우클릭을 누르면 곧바로 폴 스트라이크가 발동한다.
 
세번째 특수 기능인 폴 스트라이크는 지상으로 내리 꽂으면서 10M 범위 내의 적에게 4640의 피해를 주면서 밀쳐내며 동시에 사용자는 2초간 무적 상태가 된다. 폴 스트라이크 적중 시 타격 인원수에 비례해서 게이지가 10씩 충전되며 한 번에 충전 시킬 수 있는 게이지는 최대 80이다. 리펄서 리프와 폴 스트라이크 공격은 확인 사살이 적용된다.
 
가속을 한다는 점에서 운용 방식은 퓨리 계열 무기와 비슷할 듯 하지만 가속과 활강 기능은 지속 시간이 짧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까다롭다. 상향의 방향성과 파일명인 leapstirke라는 명칭을 보면 비행 관련 효과는 보조 기능이고 폴 스트라이크가 메인 특수 기능으로 보인다. 운용 방식도 비행 관련 효과로 생존력을 보조하고 폴 스트라이크로 피해를 입힌 뒤 주무기로 추가 피해를 입히는 것이 주된 운용 방식이다.


출시 초기엔 안티 그라비톤이 유지되는 동안 에임 보정이 없어 다른 무기 사용 시 명중률 저하가 있었으며 폴 스트라이크의 대미지도 일반 : 2560, 머리 : 10240의 피해를 입혔다. 두번째 상향으로 드로우 직후 기본 사격까지의 딜레이가 감소하였고 예비 탄약이 300에서 400으로 증가하였으며 폴 스트라이크의 무적 판정도 지면 도달 시에서 강하 시작 시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리펄서 리프 사용 시 이동 방해 효과를 해제하는 효과도 추가되었다.
시나리오에선 뛰어나긴 하지만 퀀텀 호라이즌급 성능은 아닌데 코스믹 웨이브의 DPS가 낮고 게이지와 관련된 효과도 산달폰과 다르게 좀비 모드와 동일하며 코스믹 아머도 안전 지대로 피신시키는 퀀텀 다이브보다 효율이 떨어진다.


광고 모델이 이지스 연구소 소속의 미라주라는 점과 퀀텀 호라이즌과 비슷한 분위기를 가졌다는 점에서 무기 또한 이지스 연구소에서 만들어졌음을 유추할 있다.
무기도 상향을 받았는데 정식 출시전 테스트 과정에서 2차례 상향을 받아 장탄수가 50에서 60 -> 100순으로 증가했고 기본 사격의 연사력도 상향되었으며 코스믹 웨이브의 장탄수도 40발에서 50발로 증가하였다. 기본 사격의 폭발 주기는 5발 사격시마다 발동했었다. 정식 출시 후에는 1차례 상향을 받을때 기본 사격의 폭발 주기가 7발에서 6발로 변경되었고 코스믹 웨이브의 전방위 공격 범위가 5.5M에서 6M로 증가했으며 코스믹 웨이브의 초당 충전 속도가 2.5에서 3으로 증가하였다. 이후 두번째로 상향 받으면서 기본 사격 - 폭발 공격의 범위가 2.5M에서 3M로 증가했으며 기본 사격이 인간을 관통할 있도록 변경되었다. 코스믹 웨이브의 대미지도 375에서 405로 증가했으며 코스믹 블랙홀의 충전 시간이 13초로 줄어들었고 코스믹 아머 발동 시 슬로우 효과가 해제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각주}}
{{각주}}
[[분류: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분류: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분류: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무기]]
[[분류: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무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