칩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youtube>4gtGeZ2wOmo</youtube>
<youtube>rub3EtvvbEs</youtube>
'''칩튠(chiptune)'''은 1980~90년대 [[게임기|게임 콘솔]], [[개인용 컴퓨터|컴퓨터]]에 내장된 사운드칩을 사용했거나 그것을 모방한 음원을 사용한 음악 장르를 칭한다.</br>
'''칩튠(chiptune)'''은 1980~90년대 [[게임기|게임 콘솔]], [[개인용 컴퓨터|컴퓨터]]에 내장된 사운드칩을 사용했거나 그것을 모방한 음원을 사용한 음악 장르를 칭한다.</br>
어느 것이 칩튠이고 아니고를 따지는 것은 사람마다 기준이 달라서 확실하게 정의를 내릴 수 없는 [[장르]]이기도 하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파형을 사용하며 80~90년대 게임음악 같은 느낌이 강한 편이다.</br>넓게보면 단순한 파형의 고전 게임음악 같은 느낌이 강한 음악을 말하거나 좁게 보면 80~90년대 쓰였던 사운드칩을 음원으로 사용한 음악을 칭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칩튠이고 아니고를 따지는 것은 사람마다 기준이 달라서 확실하게 정의를 내릴 수 없는 [[장르]]이기도 하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파형을 사용하며 80~90년대 게임음악 같은 느낌이 강한 편이다.</br>넓게보면 단순한 파형의 고전 게임음악 같은 느낌이 강한 음악을 말하거나 좁게 보면 80~90년대 쓰였던 사운드칩을 음원으로 사용한 음악을 칭할 수 있다.
8번째 줄: 5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youtube>q_3d1x2VPxk</youtube>
<youtube>q_3d1x2VPxk</youtube>
</br>The 8-bit guy의 '''구식 기기에서 소리/음악을 재생하는 방법'''</br>
</br>The 8-bit guy의 '''"구식" 기기에서 소리/음악을 재생하는 방법'''</br>
고전 컴퓨터와 게임기부터 모듈 음악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고전 컴퓨터와 게임기부터 모듈 음악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1980~90년대 [[패밀리 컴퓨터]]나 [[코모도어 64]]같은 가정용 게임 콘솔, 컴퓨터의 보급이 칩튠의 시작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다.</br>
1980~90년대 [[패밀리 컴퓨터]]나 [[코모도어 64]]같은 가정용 게임 콘솔, 컴퓨터의 보급이 칩튠의 시작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다.</br>
19번째 줄: 17번째 줄:
하지만 그러한 요소 덕분에 다른 장르에서 볼 수 없는 개성과 하드웨어 성능 한계로인한 '''제한된 환경이 주는 매력'''으로 사람들을 끌어모아 매니아층이 형성되어 게임음악, 컴퓨터음악 장르의 한자리를 차지했다.</br>
하지만 그러한 요소 덕분에 다른 장르에서 볼 수 없는 개성과 하드웨어 성능 한계로인한 '''제한된 환경이 주는 매력'''으로 사람들을 끌어모아 매니아층이 형성되어 게임음악, 컴퓨터음악 장르의 한자리를 차지했다.</br>


1990년대 이후 하드웨어의 성능과 소프트웨어 성능도 올라가면서 적극적인 샘플링, 음성합성이 가능해지는등 오늘날 [[모듈음악]]이라고 불리게될 [[아미가]] 음악의 발전과 함께 컴퓨터음악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그런 기술의 발전 때문에 '''제한된 환경이 주는 매력'''이 많이 사라졌고 특유의 느낌도 많이 옅어지게 되어 칩튠은 게임, 컴퓨터음악 장르에서 독자적인 음악 장르로 분리되었다.</br>
1990년대 이후 하드웨어의 성능이 올라가면서 적극적인 샘플링, 음성합성이 가능해지는등 컴퓨터음악의 기술도 좋아졌다. 그런데 그런 기술의 발전 때문에 '''제한된 환경이 주는 매력'''이 많이 사라졌고 특유의 느낌도 많이 옅어지게 되어 칩튠은 게임, 컴퓨터음악 장르에서 독자적인 음악 장르로 분리되었다.




40번째 줄: 38번째 줄:
; [[세가 제네시스]]<!-- YM2612, YM3438 -->
; [[세가 제네시스]]<!-- YM2612, YM3438 -->


; [[Wikipedia:AY-3-8910|AY-3-8910]]
; AY-3-8910
: AY8910라고 줄여서 부르기도한다. 70~80년대 [[아케이드 게임]], [[개인용 컴퓨터|개인용]] [[컴퓨터]]에 사용되었으며 대표적으로 [[Apple II]]와 [[MSX]]에 사용되었다. AY-3-8930와 YM2149<ref>[[패밀리 컴퓨터#특수 칩|패밀리 컴퓨터 서드파티 특수칩들]]중 [[선소프트]]의 5B칩에서도 사용되었다.</ref>라는 호환제품도 자주 사용된다.
: AY8910라고 줄여서 부르기도한다. 70~80년대 [[아케이드 게임]], [[개인용 컴퓨터|개인용]] [[컴퓨터]]에 사용되었으며 대표적으로 [[Apple II]]의 사운드카드로 활용되었다. AY-3-8930라는 개선판 호환제품도 자주사용된다.


== 제작방법 ==
후술할 LSDj나 nanoloop같은 실기기에 돌아가도록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게임기에 구동시켜 돌리는 방법이 있다. 아니면 아에 사운드칩만 따로 [[신디사이저]]로 개조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br>
하지만 실기기는 희귀하고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당 사운드칩을 [[에뮬레이터|에뮬레이트]]한 소프트웨어<ref>이런경우 만든음악을 롬파일로 추출해 카트리지로 만들어 실기기에 재생해볼수도 있다.</ref>나 [[VST]]를 사용하거나 샘플링한 음원을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br>
[https://www.beepbox.co/ BeepBox]나 [[Pico-8]]같은 판타지콘솔들 처럼 오리지널 사운드 음원을 사용하면서 일부러 성능에 제약을둔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넓은 의미로 현대 규격 [[DAW]]의 기본파형만으로 제작하는 방법<ref>FakeBit라고도 불린다</ref>도 있지만 칩튠으로 취급안하거나 아에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br>




== 제작방법 ==
후술할 LSDj나 nanoloop같은 실기기에 돌아가도록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게임기에 구동시켜 돌리는 방법이 있다. 아니면 아에 사운드칩만 따로 [[신디사이저]]로 개조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ref>RealBit라고 불리기도 한다.</ref></br>
<youtube>ddykDorXd30</youtube></br>
[[슈퍼 패미컴]]을 [[미디]] [[신디사이저]] 만들어주는 [https://www.supermidipak.com/ Super MIDI Pak]라는 카트리지도 대표적인 예시로도 볼 수 있다.<del>슈퍼 패미컴 음악을 칩튠으로 취급안하는 이유.<ref>슈퍼 패미컴의 사운드 칩인 SPC-700의 성능이 당시 최첨단이었던것도 있다.</ref></del></br>


하지만 실기기는 희귀하고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당 사운드칩을 [[에뮬레이터|에뮬레이트]]한 소프트웨어<ref>이런경우 만든음악을 롬파일로 추출해 카트리지로 만들어 실기기에 재생해볼수도 있다.</ref>나 [[VST]]를 사용하거나 샘플링한 음원을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br>
== 제작 소프트웨어 ==
해당 항목은 사운드칩을 에뮬레이트한 음원을 사용하거나 사운드칩을 직접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서술한다.


[https://1oogames.itch.io/lovely-composer Lovely Composer]나 [https://studiopixel.sakura.ne.jp/pxtone/index.html pxtone]처럼 칩튠의 느낌을 모방한 오리지널 사운드 음원을 사용하면서 일부러 성능에 제약을둔 소프트웨어도 존재하며 이것을 사용하거나, 넓은 의미로 현대 규격 [[DAW]]의 기본파형만으로 제작하는 방법<ref>RealBit와 구분을 위해 FakeBit라고도 불린다</ref>도 있지만 칩튠으로 취급안하거나 아에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br>




대부분 트래커 형태를 띄고 있다.
왜냐하면 칩튠은 모듈음악과 역사을 같이 하고있기 때문이다.</br>


== 제작 소프트웨어 ==
지원 os로는</br>
지원 os로는</br>
: [[윈도우]] <sup>'''W'''</sup>
: [[윈도우]] <sup>'''W'''</sup>
63번째 줄: 63번째 줄:
: [[안드로이드]] <sup>'''an'''</sup>
: [[안드로이드]] <sup>'''an'''</sup>
: [[IOS]] <sup>'''ios'''</sup>
: [[IOS]] <sup>'''ios'''</sup>
표기하며 유료 소프트웨어일 경우 <sup>'''$'''</sup>로 표기<ref>무, 유료가 존재할경우 표기하지 않는다</ref>, 그 외 지원은 설명에 후술한다.
표기한다. 그 외 지원은 설명에 후술.






=== RealBit 계열 ===
=== [[NES]] ===
해당 항목은 사운드칩을 에뮬레이트한 음원을 사용하거나 사운드칩을 직접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서술한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FamiTracker의 스크린샷</br>모듈음악에서도 볼 수 있는 특유의 TUI같은 모습을 하고있다.
|-
| [[File:Famitracker Screenshoot 1.png|Famitracker_Screenshoot_1]]
|}
대부분 트래커 형태를 띄고 있다.
왜냐하면 초창기 컴퓨터로 음악을 만들때 트래커 형태말곤 다른 방법이 없는 상태로 묘듈음악과 역사를 같이 하며 성장하여 오늘날에서도 [[TUI]]스러운 트래커 형태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이 표준 DAW같은 [[GUI]]보다 칩튠의 제한된 사양과 느낌이 잘 들어맞았기 때문이다.
 
 
 
==== [[NES]] ====
; [https://web.archive.org/web/20230417042441/http://famitracker.com/ (아카이브)FamiTracker] <sup>'''W'''</sup>
; [https://web.archive.org/web/20230417042441/http://famitracker.com/ (아카이브)FamiTracker] <sup>'''W'''</sup>
: 패밀리 컴퓨터 전용 칩튠 트래커이다. 하지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개발이 종료되어서 비공식 개조판을 설치하거나 대체프로그램을 사용해야한다.
: 패밀리 컴퓨터 전용 칩튠 트래커이다. 하지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개발이 종료되어서 비공식 개조판을 설치하거나 대체프로그램을 사용해야한다.
90번째 줄: 76번째 줄:
; [https://github.com/neilbaldwin/Pulsar/ Pulsar]
; [https://github.com/neilbaldwin/Pulsar/ Pulsar]
: 후술할 [[LSDj]]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뮤직 시퀀서로 패밀리 컴퓨터에 돌아가도록 만들어졌다.
: 후술할 [[LSDj]]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뮤직 시퀀서로 패밀리 컴퓨터에 돌아가도록 만들어졌다.
: 그외 NTRQ 같은 개발자가 제작한 [https://neilbaldwin.github.io/nes-audio/index.html 다양한 NES 전용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 ; NTRQ
: 패밀리 컴퓨터에 돌아가도록 만들어진 뮤직 시퀀서. -->




==== [[게임 보이|GAME BOY]] ====
 
=== [[게임 보이|GAME BOY]] ===
; [[LSDj]]
; [[LSDj]]
: 게임보이 실기기에 구동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휴대용 뮤직 시퀀서. 게임보이 실기기나 정확도가 높은 [[에뮬레이터]]를 사용해야한다.
: 게임보이 실기기에 구동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휴대용 뮤직 시퀀서. 게임보이 실기기나 정확도가 높은 [[에뮬레이터]]를 사용해야한다.


; [https://nanoloop.com/ nanoloop] <sup>'''$'''</sup>
; [https://nanoloop.com/ nanoloop]


; [https://github.com/SuperDisk/hUGETracker/ hUGETracker] <sup>'''W''' '''L'''</sup>
; [https://github.com/SuperDisk/hUGETracker/ hUGETracker] <sup>'''W''' '''L'''</sup>
: 게임보이 전용 칩튠 트래커로 [https://openmpt.org/ openMPT]에서 영향받은 ui가 특징이다.
: 게임보이 전용 칩튠 트래커로 [https://openmpt.org/ openMPT]에서 영향받은 ui가 특징이다.


; [https://shadowsora211.itch.io/soraboy soraboy vst]




 
=== [[코모도어 64|C64]] ===
==== [[코모도어 64|C64]] ====
; [https://cadaver.github.io/ GoatTracker] <sup>'''W''' '''L'''</sup>
; [https://csdb.dk/release/?id=165302 SID-Wizard]
 
; [https://sourceforge.net/projects/goattracker2/ GoatTracker] <sup>'''W''' '''L'''</sup>


; [https://2bt.github.io/fakesid/manual/ Fake SID] <sup>'''an'''</sup>
; [https://2bt.github.io/fakesid/manual/ Fake SID] <sup>'''an'''</sup>
117번째 줄: 101번째 줄:




==== 다기종 ====
=== 다기종 ===
; [https://www.deflemask.com/ deflemask] <sup>'''$''' '''W''' '''M''' '''L''' '''an''' '''ios'''</sup>
; [https://www.deflemask.com/ deflemask] <sup>'''W''' '''M''' '''L''' '''an''' '''ios'''</sup>
: [[세가 제네시스]] 전용...이었던 트래커로 [[세가 제네시스]], [[세가 마스터 시스템]], [[게임 보이]], [[코모도어 64]], [[NeoGeo]], [[NES]], [[PC Engine]] 사운드을 지원한다.
: [[세가 제네시스]] 전용...이었던 트래커로 [[세가 제네시스]], [[세가 마스터 시스템]], [[게임 보이]], [[코모도어 64]], [[NeoGeo]], [[NES]], [[PC Engine]] 사운드을 지원한다.


; [https://github.com/tildearrow/furnace/ furnace] <sup>'''W''' '''M''' '''L'''</sup>
; [https://github.com/tildearrow/furnace/ furnace] <sup>'''W''' '''M''' '''L'''</sup>
: deflemask 세이브파일과 호환되는 트래커로 엄청 많은 지원 사운드 칩의 갯수와 괴물같은 자유도가 특징이다.<ref>세가 제네시스 사운드칩과 게임보이의 사운드칩을 같이 사용한다던가...</ref>
: deflemask 세이브파일과 호환되는 트래커로 괴물같은 지원 사운드 칩의 갯수와 자유도가 특징이다.
 
 
 
=== FakeBit 계열 ===
해당 항목은 사운드칩을 에뮬레이트한 음원을 사용하거나 사운드칩을 직접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아닌 칩튠의 느낌을 모방한 오리지널 사운드 음원을 사용하거나 성능에 제약을 둔 소프트웨어를 서술한다. 다만, 표준 [[DAW]]는 서술하지 않는다.<ref>포함 시키면 사실상 거의 대부분의 음악 소프트웨어를 서술해야한다.</ref>
 
 
 
; [https://1oogames.itch.io/lovely-composer Lovely Composer] <sup>'''$''' '''W''' '''M'''<ref>beta</ref> '''L'''</sup>
 
; [https://kometbomb.github.io/klystrack/ Klystrack Tracker] <sup>'''W''' '''M''' '''L'''</sup>
 
; [https://paranoidcactus.itch.io/oxidetracker Oxide Tracker] <sup>'''W''' '''M''' '''L'''</sup>
 
; RetroMusicEditer <sup>'''W'''</sup>
 
; <del>[[마리오 페인트]]</del>
: <del>[https://youtu.be/k15lNSrGjwg?si=8s8zZ6tif-_O9Rux ...]</del>
 
== 아티스트 ==
* [https://ymck.net/ YMCK]
* EX-LYD
* Fearofdark
 
 
 
== 갤러리 ==
<gallery>
Furnace_Screenshot3.png|[https://github.com/tildearrow/furnace/ furnace]의 스크린샷
DefleMask_Screenshot1.png|[https://deflemask.net/ deflemask]의 스크린샷
</gallery>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