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리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청량리
|배경색 = gray
|원어이름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gray
|역명 = <big>청량리역</big><br />Cheongnyangni Station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Cheongnyangni Station.jpg|275px|섬네일|가운데|역사]]
|그림    = Cheongnyangni Station.jpg
|관할 = [[한국철도공사]]<br />[[서울교통공사]]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번호    =  
|노선    = [[경원선]] <small>12.7km</small><br />[[중앙선]] <small>0.0 km</small><br />[[서울 지하철 1호선]] <small>7.8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폐지일  =
|코드    =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청량리역}}<br />淸凉里驛 / Cheongnyangni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옛 [[전농동]] 597-7번지)와 왕산로 지하205(옛 전농동 620-69번지)에 위치한 [[철도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옛 [[전농동]] 597-7번지)와 왕산로 지하205(옛 전농동 620-69번지)에 위치한 [[철도역]].
서울 동북부의 관문이다. 역명과는 달리 [[청량리동]]이 아닌 전농동에 위치해 있다.
서울 동북부의 관문이다. 역명과는 달리 [[청량리동]]이 아닌 전농동에 위치해 있다.  


지하 청량리역에 한해서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병기역명<ref>[[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ref>이 있다. 즉, 1호선 역명의 정식 명칭은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인 셈.
지하 청량리역에 한해서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병기역명<ref>[[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ref>이 있다. 즉, 1호선 역명의 정식 명칭은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인 셈.
33번째 줄: 21번째 줄:
[[1974년]] [[8월 15일]] 이 역 바로 앞에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이 개업했고, [[1978년]]에는 [[경원선]]의 용산-성북 운행계통이 운행을 개시했으나, 이 두 역 사이에는 환승통로가 없었다. 대신, 개통 초창기에는 [[에드몬슨식 승차권]]을 사용했기 때문에, 검표원에게 환승하겠다고 말하면 검표원이 별도의 표시를 하고, 이 표를 가지고 상대 역으로 가서 다시 검표를 받아 환승하면 되었다.<ref>요즘의 소프트 환승과 비슷한 케이스다.</ref> 문제는 AFC가 도입되고 [[1986년]] [[자성승차권]]이 도입되어 사람이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사라지면서 이게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1974년]] [[8월 15일]] 이 역 바로 앞에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이 개업했고, [[1978년]]에는 [[경원선]]의 용산-성북 운행계통이 운행을 개시했으나, 이 두 역 사이에는 환승통로가 없었다. 대신, 개통 초창기에는 [[에드몬슨식 승차권]]을 사용했기 때문에, 검표원에게 환승하겠다고 말하면 검표원이 별도의 표시를 하고, 이 표를 가지고 상대 역으로 가서 다시 검표를 받아 환승하면 되었다.<ref>요즘의 소프트 환승과 비슷한 케이스다.</ref> 문제는 AFC가 도입되고 [[1986년]] [[자성승차권]]이 도입되어 사람이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사라지면서 이게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바로 앞에 [[회기역]]이 있는데 거기서 환승하면 되지만, 당시 1호선 열차 중 상당수가 청량리역 종착이었다.
'''"바로 앞에 [[회기역]]이 있는데 거기서 환승하면 되잖아요?"'''라고 물을 수도 있다. 물론 맞긴 하다...만 문제는 당시 1호선 열차 중 상당수가 '''청량리역 종착이었다는 점'''이다(...) {{ㅊ|이뭐병}}


그러나 [[1999년]]부터 이 역에 민자역사를 건립하기로 하면서 기존 역은 부수고(...) 동시에 환승통로 공사를 시작하면서, [[2010년]] [[8월 20일]] 청량리역 민자역사가 완공됨과 동시에 환승통로가 완공되었다. {{ㅊ|하지만 환승통로가 길다는 점이 함정}}
그러나 [[1999년]]부터 이 역에 민자역사를 건립하기로 하면서 기존 역은 부수고(...) 동시에 환승통로 공사를 시작하면서, [[2010년]] [[8월 20일]] 청량리역 민자역사가 완공됨과 동시에 환승통로가 완공되었다. {{ㅊ|하지만 환승통로가 길다는 점이 함정}}
43번째 줄: 31번째 줄:
[[2018년]] [[12월 31일]]부터 [[분당선]]이 이 역까지 연장 운행되며, 평일에 한해 상·하행 18회 운행한다.<ref>[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0536858 분당선 전철,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31일부터 평일 18회] 연합뉴스</ref>
[[2018년]] [[12월 31일]]부터 [[분당선]]이 이 역까지 연장 운행되며, 평일에 한해 상·하행 18회 운행한다.<ref>[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0536858 분당선 전철,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31일부터 평일 18회] 연합뉴스</ref>


'''도시철도 청량리역 연혁'''
== 역 구조 ==
*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개업
=== 한국철도공사 ===
* 2009년 10월 29일: 역명을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로 변경<ref>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ref>
 
== 시설 ==
=== 지상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청량리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원어이름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상단 =  
|글자색   = white
|역명 = KORAIL 청량리역
|그림    = 청량리역.jpg
|그림 = [[파일:청량리역.jpg|thumb|center]]
|그림설명 =  
|역번호 = {{역번호/한국|K117|수도권|경의중앙}} · {{역번호/한국|K209|수도권|분당수인}}
|그림alt  =
|역코드 = '''AFC''' : 1014<br />'''일반철도''' : 090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
|번호    = {{역번호/한국|K117|수도권|경의중앙}} {{역번호/한국|K209|수도권|수인분당}}
|개업일 = [[1911년]] [[10월 15일]]
|노선    = [[경원선]] <small>12.7km</small><br />[[중앙선]] <small>0.0 km</small>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 [[1911년]] [[10월 15일]]
|승강장 = 4면 8선
|폐지일   =  
|운임구역 =  
|코드    = '''AFC''' : 1014<br />'''일반철도''' : 090
|이용객 =  
|승강장   = 4면 8선
|노선 = <nowiki />
|관련역  =  
* [[경원선]] <small>12.7km</small>
|참고    =  
* [[중앙선]] <small>0.0 km</small>
|비고    =  
|하위 틀  =
}}
}}


[[경원선]]의 중간역이자 [[중앙선]]의 시종착역으로, 중앙선의 [[무궁화호]], {{ㅊ|잉마을}} [[ITX-새마을]]이나 [[태백선]] 무궁화호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경춘선]]은 [[2016년]] [[9월 26일]]부터 편도 20회 운행하며, [[ITX-청춘]] 열차가 일부 정차한다.
[[경원선]]의 중간역이자 [[중앙선]]의 시종착역으로, 중앙선의 [[무궁화호]], {{ㅊ|잉마을}} [[ITX-새마을]]이나 [[태백선]] 무궁화호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경춘선]]은 [[2016년]] [[9월 26일]]부터 편도 20회 운행하며, [[ITX-청춘]] 열차가 일부 정차한다.


{{철도승강장|총너비=33em|구조=
==== 승강장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경원선]] [[왕십리역|왕십리]]
[[파일:청량리역 배선도.png|350px]]
}}
{| class="wikitable"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 '''수인·분당선''' [[왕십리역|왕십리]] · [[선릉역|선릉]] · [[수원역|수원]] 방면
|+ ↑ 역사 방향 (서쪽)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춘}}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 '''경춘선''' [[가평역|가평]] · [[춘천역|춘천]] 방면
! 1
}}
| style="text-align: center;" | 205 [[경원선]] 상행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중앙선]] [[회기역|회기]]
| rowspan="2" | <span style="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수인}};">●</span> [[분당선|수도권 전철 분당선]]
}}
| [[수서역|수서]] · [[죽전역 (용인)|죽전]] · [[수원역|수원]] 방면
{{철도승강장/선로|
|-
}}왼쪽 선로 정보=
! 2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gray
| style="text-align: center;" | 205 경원선 종착
|승강장 번호=3번|승강장 정보=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종착 열차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 rowspan="3" | 3
|승강장 번호=4번|승강장 정보='''ITX-청춘''' [[가평역|가평]] · [[춘천역|춘천]] 방면<br />'''경의·중앙선''' [[덕소역|덕소]] · [[용문역 (양평)|용문]] 방면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212 [[중앙선]] 하행
}}
| [[ITX-청춘]]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중앙선]] [[회기역|회기]] / [[상봉역|상봉]]<sup>[[ITX-청춘]]</sup>→
| [[평내호평역|평내호평]] · [[가평역|가평]] · [[춘천역|춘천]]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원선]] [[왕십리역|왕십리]]
| <span style="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span>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급행''' · 완행
}}
| [[덕소역|덕소]] · [[양평역|양평]] · [[지평역|지평]]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5번|승강장 정보='''ITX-청춘''' [[용산역|용산]] 방면<br />'''경의·중앙선''' [[문산역|문산]] · [[왕십리역|왕십리]] 방면
|-
}}
| <span style="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춘}};">●</span> [[경춘선|수도권 전철 경춘선]]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6번|승강장 정보= '''KTX''' [[강릉역|강릉]] · [[동해역|동해]] 방면<br /> '''ITX-새마을 · 무궁화호 · 누리로''' 당역종착 · [[원주역|원주]] · [[제천역|제천]] 방면
| [[평내호평역|평내호평]] · [[가평역|가평]] · [[춘천역|춘천]]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중앙선]] [[상봉역|상봉]]<sup>KTX</sup> / [[덕소역|덕소]]<sup>일반열차</sup> →
! rowspan="3" | 4
}}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205 경원선 상행
{{철도승강장/선로|
| [[ITX-청춘]]
}}
| [[왕십리역|왕십리]] · [[옥수역|옥수]] · [[용산역|용산]]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small>[[경원선]] 종점 ·</small> [[경부선]] [[서울역|서울]]|오른쪽 선로 정보= [[중앙선]] [[상봉역|상봉]]<sup>KTX</sup> / [[덕소역|덕소]]<sup>일반열차</sup> →
|-
}}
| <span style="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span>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급행''' · 완행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7번<br />8번|승강장 정보= '''KTX''' [[서울역|서울]] 방면<br />'''ITX-새마을 · 무궁화호 · 누리로 · A-train''' 당역종착 · [[원주역|원주]] · [[제천역|제천]] 방면
| [[왕십리역|왕십리]] · [[용산역|용산]] · [[문산역|문산]]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small>[[경원선]] 종점 ·</small> [[경부선]] [[서울역|서울]]|오른쪽 선로 정보= [[중앙선]] [[상봉역|상봉]]<sup>KTX</sup> / [[덕소역|덕소]]<sup>일반열차</sup> →
| <span style="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춘}};"></span> [[경춘선|수도권 전철 경춘선]]
}}
| 종착 열차
}}
|-
 
! rowspan="2" | 5
==== 검수차고 ====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경원선 하행
{{건축물 정보
| [[KTX]]
|건물이름 = 서울 청량리역 검수차고
| [[평창역|평창]] · [[강릉역|강릉]] 방면
|원어이름 =
|-
|그림    =
| [[평화열차]]
|그림설명 =
| [[의정부역|의정부]] · [[연천역|연천]] · [[백마고지역|백마고지]] 방면
|종류    =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
! 6
|소유    =
| style="text-align: center;" | 경원선 상행
|착공일  =
| [[KTX]] · [[평화열차]]
|개장일  =
| [[서울역|서울]] 방면
|철거일  =
|-
|건축    =
! 7 · 8
|설계    =
| style="text-align: center;" | 중앙선 하행
|건설    =
| 일반열차
|양식    =
| [[원주역|원주]] · [[제천역|제천]] · [[안동역|안동]] · [[태백역|태백]] · [[정동진역|정동진]]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높이    =
|}
|층수    = 1층
{{-}}
|총면적  = 263.2 m<sup>2</sup>
|대지면적 =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등록문화재]]
|지정일  = 2006년 9월 19일
|해제일  =
}}
}}


1938년에 건립된 기관차를 수리, 보관하는 창고였다. 원래는 27칸이 반원형 모양을 이룬 건물이었으나 턴테이블과 차고 다수가 철거되어 현재는 차고 3칸만 남았다.
=== 서울 1호선(지하) ===
 
=== 1호선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원어이름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상단 =  
|글자색   = white
|역명 = <div style="line-height: 120%;">서울교통공사 청량리역<br /><small>(서울시립대입구)</small></div>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역번호 = {{역번호/한국|124|수도권|1}}
|그림alt  =  
|역코드 = '''AFC''': 0158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지하205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지하205
|번호    = {{역번호/한국|124|수도권|1}}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small>7.8 km</small>
|폐지일 =
|관할    =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승강장 = 1면 2선
|폐지일   =  
|운임구역 =  
|코드    = '''AFC''': 0158
|이용객 =  
|승강장   = 1면 2선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small>7.8 km</small>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일단 명목상 지하 청량리역은 종로선의 시종착역이며, 이에 따라 인상선이 존재하지만 선로가 회기역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순수한 시종착역은 아니다. 다만 [[신창역]]에서 출발한 1호선 열차는 거의 대부분 이곳에서 시종착한다.{{ㅈ|병점에서 올라온 열차는 광운대역까지 운행}} <ref>[[동두천역]]이나 [[소요산역]]에서 내려오는 차들은 거의 [[인천역|인천]]행이다.</ref> 청량리역 종착 열차의 회차는 회기역 방면에 있는 Y자형 유치선을 주로 이용하지만, 열차가 많이 늦어져서 시간표가 꼬일 경우(...) 제기역 방면에 있는 X자형 건넘선을 이용해 하행선으로 진입해서 종착한 후 바로 출발한다.
일단 명목상 지하 청량리역은 종로선의 시종착역이며, 이에 따라 인상선이 존재하지만 선로가 회기역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순수한 시종착역은 아니다. 다만 [[신창역]]에서 출발한 1호선 열차는 거의 대부분 이곳에서 시종착한다.{{ㅈ|병점에서 올라온 열차는 광운대역까지 운행}} <ref>[[동두천역]]이나 [[소요산역]]에서 내려오는 차들은 거의 [[인천역|인천]]행이다.</ref> 청량리역 종착 열차의 회차는 회기역 방면에 있는 Y자형 유치선을 주로 이용하지만, 열차가 많이 늦어져서 시간표가 꼬일 경우(......) 제기역 방면에 있는 X자형 건넘선을 이용해 하행선으로 진입해서 종착한 후 바로 출발한다.


지상 코레일 구간과 지하 서울교통공사 구간의 전류가 다르기 때문에 (지상:교류, 지하:직류), 이 역과 회기역 사이에는 [[절연구간]]이 존재한다.
지상 코레일 구간과 지하 서울교통공사 구간의 전류가 다르기 때문에 (지상:교류, 지하:직류), 이 역과 회기역 사이에는 [[절연구간]]이 존재한다.


{{철도승강장|구조=
<div>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원선]] [[회기역|회기]] →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font-size: 85%; line-height: 120%;"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right;" | [[경원선]] [[회기역|회기]] 방면
|승강장 정보='''1호선''' [[동두천역|동두천]] · [[창동역|창동]] · [[도봉산역|도봉산]] · [[소요산역|소요산]] 방면 |승강장 번호=상행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광운대역|<span style="color: white;">광운대</span>]] · [[의정부역|<span style="color: white;">의정부</span>]] · [[소요산역|<span style="color: white;">소요산</span>]] 방면 | '''상행 승강장'''<br />'''하행 승강장''' | [[서울역|<span style="color: white;">서울역</span>]] · [[인천역|<span style="color: white;">인천</span>]] · [[신창역|<span style="color: white;">신창</span>]]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1호선''' [[서울역]] · [[신도림역|신도림]] · [[인천역|인천]] · [[신창역|신창]] 방면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left;" | ← [[서울 지하철 1호선]] [[제기동역|제기동]]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1호선]] [[제기동역|제기동]]
|}
}}
</div>
}}
{{-}}


=== 환승 정보 ===
=== 환승 정보 ===
204번째 줄: 169번째 줄: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소요산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소요산 방면
| -
| -
| '''모든 문'''
| ''섬식''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1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1
| style="text-align: center;" | 10-4
| style="text-align: center;" | 10-4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인천·신창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인천·신창 방면
| '''모든 문'''
| ''섬식''
| -
|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10-4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10-4
238번째 줄: 203번째 줄: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 역 주변에는 청량리 미주아파트,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한화역사쇼핑몰([[롯데백화점|롯데백화점 청량리점]], [[롯데마트|롯데마트 청량리점]], [[롯데시네마|롯데시네마 청량리]]) 등이 있다. 1970년대까지 서울의 [[부도심]]으로 서울 동부의 관문이었기 때문에 [[시장]]이 여러 곳 있으며, [[청량리종합시장]], [[청량리재래시장]], [[청량리청과물시장]], [[청량리수산시장]], [[동부청과시장]] 등은 걸어서 갈 수 있다.
* 역 주변에는 청량리 미주아파트,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한화역사쇼핑몰([[롯데백화점|롯데백화점 청량리점]], [[롯데마트|롯데마트 청량리점]], [[롯데시네마|롯데시네마 청량리]]) 등이 있다. 1970년대까지 서울의 [[부도심]]으로 서울 동부의 관문이었기 때문에 [[시장]]이 여러 곳 있으며, 청량리종합시장, 청량리재래시장, 청량리청과물시장, 청량리수산시장, 동부청과시장 등은 걸어서 갈 수 있다.  
* 주변에 전농답십리뉴타운과 청량리부도심촉진권역사업 등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창가인 청량리 588이 철거되고 있다. [[2017년]] 6월 현재 모두 철수한 듯 보이며 사창가 일대는 빈 곳이 되었다. 불 나는 자리로 유명한 구 [[대왕코너]] 자리는 [[맘모스백화점]], [[롯데백화점]], [[롯데영플라자]] 등으로 쓰이다 결국 지역 재개발에 맞추어 [[2017년]] 초에 철거되었다.<ref>이 자리는 [[1960년]] [[대왕코너]]로 개업하여 [[1972년]], [[1974년]], [[1975년]], [[1996년]] 모두 네 차례 전소한 이력이 있다. </ref>


또한 구 [[롯데시네마]] 청량리점내에 [[크리오네]] [[오락실]] 청량리점이 있었으나 [[롯데시네마]]가 청량리 [[민자역사]]로 이사가면서 덩달아 문닫았다.
* 주변에 전농답십리뉴타운과 청량리부도심촉진권역사업 등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창가인 청량리 588이 철거되고 있다. 2017년 6월 현재 모두 철수한 듯 보이며 사창가 일대는 빈 곳이 되었다. 불 나는 자리로 유명한 대왕코너 자리는 맘모스백화점, 롯데백화점, 롯데영플라자 등으로 쓰이다 결국 지역 재개발에 맞추어 2017년 초에 철거되었다.<ref>이 자리는 1960년 대왕코너로 개업하여 1972년, 1974년, 1975년, 1996년 모두 네 차례 전소한 이력이 있다. </ref>
또한 새로생긴 [[롯데시네마]] 청량리점에 [[아이존 게임플렉스]] 청량리점 [[오락실]]이 들어섰으나,관리를 하다가 안하다가 하다가 누적된 적자로 인하여 폐업후 해당자리에 [[게임존]] [[오락실]] 청량리점이 새로 오픈하였으나 [[코로나19]] 바이러스로 확산으로 인한 [[유동인구]] 감소로 인한 적자누적으로 폐업하게 되었다.
 
== 미래 ==
국토교통부의 계획에 의하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강릉행 고속열차의 시종착 기능을 담당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일부 언론의 [[설레발]]로 인접한 [[상봉역]]이 시종착역으로 확정된다는 [[오보]]가 나면서 강릉시의 거센 반발이 불거졌는데, 국토부의 정식 답변은 청량리역 시종착이 원안이며, 현실적으로 선로용량 한계에 직면한 [[중앙선]] 계통의 열차운행 문제로 인하여 일부 편성을 상봉역에 [[타절]]하는 계획인 것. 강릉시가 상봉역 시종착에 불편한 심기를 내비치는 것은 무엇보다도 [[상봉역]]이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의중앙선 및 서울지하철 7호선과 환승되는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서울 도심 접근성이 매우 열악<ref>경춘선은 소수 편성만이 청량리에 종착하며 그마저도 배차간격이 절망적이다. 경의중앙선은 도심인 [[용산역]]에 접근가능하나 선로용량상 배차간격 문제로 실효성이 떨어진다. 7호선은 선형상 도심으로 접근하지 않는다.</ref>하다는 이유가 크게 작용한다. 반면 청량리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환승이 가능하여 도심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 결국 확정된 고속철의 운행계통은 [[서울역]] 착발열차가 주를 이루며 일부 청량리역 착발, 일부 [[상봉역]] 착발 체계로 돌아가게 되었다. {{ㅊ|경원선 용산-상봉 구간 용량만 터져나가게 되었다}}
 
또한 [[서울 경전철 면목선]]이 이 역에서 종착할 예정이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5 [[경원선]]|노선거리=12.7 km
|노선명=경원선|노선거리=12.7 km
|전방면=[[용산역|용산]] 방면|전역=[[왕십리역|왕십리]]|전거리=2.4 km
|전방면=[[용산역|용산]] 방면|전역=[[왕십리역|왕십리]]|전거리=2.4 km
|당역='''청량리'''
|당역='''청량리'''
|후방면=[[백마고지역|백마고지]] 방면|후역=[[회기역|회기]]|후거리=1.4 km}}
|후방면=[[백마고지역|백마고지]] 방면|후역=[[회기역|회기]]|후거리=1.4 km}}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203 [[중앙선(청량리~도담)]]|노선거리=0.0 km
|노선명=중앙선|노선거리=0.0 km
|전방면=|전역=
|전방면=|전역=
|당역='''청량리'''
|당역='''청량리'''
|후방면=[[경주역 (폐역)|경주]] 방면|후역=[[회기역|회기]]|후거리=1.4 km}}
|후방면=[[경주역|경주]] 방면|후역=[[회기역|회기]]|후거리=1.4 km}}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글자색=white
|노선명=[[서울 지하철 1호선]]|노선거리=7.8 km
|노선명=서울 지하철 1호선|노선거리=7.8 km
|전방면=[[서울역]] 방면|전역=[[제기동역|제기동]]|전거리=1.0 km
|전방면=[[서울역]] 방면|전역=[[제기동역|제기동]]|전거리=1.0 km
|당역='''청량리'''
|당역='''청량리'''
266번째 줄: 234번째 줄:
=== 수도권 전철 ===
=== 수도권 전철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
{{경유 계통|전방면=|전역=
{{경유 계통|전방면=|전역=
|당역={{역번호/한국|124|수도권|1}} '''청량리'''|등급={{색|red|천안·신창급행}}
|당역={{역번호/한국|124|수도권|1}} '''청량리'''|등급=천안·신창급행
|후합치기=2|후방면=[[신창역|{{색|red|신창}}]] 방면<br />[[인천역|인천]] · [[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125|수도권|1}} [[제기동역|제기동]]|후거리=1.0 km}}
|후합치기=2|후방면=[[신창역|{{색|red|신창}}]] 방면<br>[[인천역|인천]] · [[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125|수도권|1}} [[제기동역|제기동]]|후거리=1.0 km}}
{{경유 계통/후생략|전방면=[[소요산역|소요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123|수도권|1}} [[회기역|회기]]|전거리=1.4 km
{{경유 계통/후생략|전방면=[[소요산역|소요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123|수도권|1}} [[회기역|회기]]|전거리=1.4 km
|당역표시=1|당역={{역번호/한국|124|수도권|1}} '''청량리'''|등급=완행}}
|당역표시=1|당역={{역번호/한국|124|수도권|1}} '''청량리'''|등급=완행}}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글자색=white|계통=[[경의·중앙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116|수도권|경의중앙|ls=-0.05}} [[왕십리역|왕십리]]|전거리=2.4 km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116|수도권|경의중앙|ls=-0.05}} [[왕십리역|왕십리]]|전거리=2.4 km
|당역={{역번호/한국|K117|수도권|경의중앙|ls=-0.05}} '''청량리'''|등급={{색|red|급행}} · 완행
|당역={{역번호/한국|K117|수도권|경의중앙|ls=-0.05}} '''청량리'''|등급={{색|red|급행}} · 완행
|후방면=[[용문역 (양평)|{{색|red|용문}}]] · [[지평역|지평]]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18|수도권|경의중앙|ls=-0.05}} [[회기역|회기]]|후거리=1.4 km}}
|후방면=[[용문역 (양평)|{{색|red|용문}}]] · [[지평역|지평]]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18|수도권|경의중앙|ls=-0.05}} [[회기역|회기]]|후거리=1.4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춘}}|글자색=white|계통=[[경춘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춘}}|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유 계통|전방면=|전역 =  
{{경유 계통|전방면=|전역 =  
|당역={{역번호/한국|K117|수도권|경춘|ls=-0.05}} '''청량리'''|등급=급행 · 완행
|당역={{역번호/한국|K117|수도권|경춘|ls=-0.05}} '''청량리'''|등급=급행 · 완행
|후방면=[[춘천역|춘천]]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18|수도권|경춘|ls=-0.05}} [[회기역|회기]]|후거리=1.4 km}}
|후방면=[[춘천역|춘천]]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18|수도권|경춘|ls=-0.05}} [[회기역|회기]]|후거리=1.4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글자색=white|계통=[[수인·분당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수인}}|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분당선}}
{{경유 계통|전방면=|전역 =  
{{경유 계통|전방면=|전역 =  
|당역={{역번호/한국|K209|수도권|수인분당|ls=-0.05}} '''청량리'''
|당역={{역번호/한국|K209|수도권|분당수인|ls=-0.05}} '''청량리'''
|후방면=[[인천역|인천]] 방면|후역={{역번호/한국|K210|수도권|수인분당|ls=-0.05}} [[왕십리역|왕십리]]|후거리=2.4 km}}
|후방면=[[수원역|수원]] 방면|후역={{역번호/한국|K210|수도권|분당수인|ls=-0.05}} [[왕십리역|왕십리]]|후거리=2.4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GTXC}}|글자색=white|계통=GTX C선|계통2=GTX C선 (미개통)|style=opacity: 0.6; font-style: italic}}
{{경유 계통|전방면=[[덕정역|덕정]] 방면|전역= {{역번호/한국||수도권|GTXC}} [[광운대역|광운대]]|전거리= km
|당역={{역번호/한국||수도권|GTXC}}'''청량리'''|등급=(미개통)
|후방면=[[수원역|수원]] 방면|후역={{역번호/한국||수도권|GTXC}} [[삼성역|삼성]]|후거리= km}}
{{경유 계통/닫기}}
{{경유 계통/닫기}}


=== 여객열차 ===
=== 경유 열차 ===
{{경유 열차 목록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닫기=닫음}}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한국고속철도{{!}}KTX]]|2}}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KTX/강릉선|표시=표시}}
|열차종류 = [[KTX]]
{{경유 열차 목록/한국/KTX/영동선|표시=표시}}
|세로수  = 3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ITX-새마을]]|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한국/ITX-새마을/중앙선|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KTX 중앙선}}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3}}
  {{경유 열차 목록/KTX 강릉선}}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청량리-부전|표시=표시|덕소=1|계통칸=2|운행편수=상행 5편<br />하행 7편<br />(일부는 구간운행)}}
  {{경유 열차 목록/KTX 강릉선 동해}}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청량리-안동|덕소=1|운행편수=1일 3왕복}}
}}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청량리-동해|표시=표시|계통칸=2}}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누리로]]|1}}
|열차종류 = [[ITX-청춘]]
{{경유 열차 목록/한국/누리로/태백선}}
|세로수  = 1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ITX-청춘]]|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한국/ITX-청춘/경춘선|표시=표시|왕십리=1|상봉=1}}
  {{경유 열차 목록/ITX-청춘}}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DMZ-Train]]|1}}
}}
{{경유 열차 목록/한국/DMZ-Train 경원선|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A-Train]]|1|가로묶기=1}}
|열차종류 = [[ITX|ITX-마음]]
{{경유 열차 목록/한국/A-Train|표시=표시|운행편수=1일 1왕복}}
|세로수  = 2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마음 태백선}}
  {{경유 열차 목록/ITX-마음 중앙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ITX-새마을]]
|세로수  = 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중앙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무궁화호]]
|세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중앙선}}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태백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정선아리랑열차]]
|세로수  = 1
|가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정선아리랑열차}}
}}
}}


{{각주}}
{{각주}}


[[분류:경원선]][[분류:중앙선]][[분류:서울 도시철도 1호선]]
[[분류:경원선]][[분류:중앙선]][[분류:서울 지하철 1호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분류:수도권 전철 경춘선]]
{{리브레 맵스 마커|37.58040732237701|127.04830179172745|12|청량리역}}
[[분류:서울 동대문구의 철도역]]
[[분류:청량리관리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3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