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질방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역사 ==
== 역사 ==
1980~90년대에 유행을 끌었던 [[목욕탕]]이 점차 대형화, 고급화되면서 이런 업체들과 새로 찜질방 사업에 뛰어든 업체들을 중심으로 손님을 유치하기 위해 목욕탕 외에도 각종 이벤트를 유치하거나, 할인 혜택을 주는 등 다양한 마케팅을 펼치기 시작하였고, 여기에 주5일제 근무 도입으로<ref>[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0151296 찜질방·사우나 홍보 마케팅 전략 총집합], 오마이스타, 2003.10.31</ref> [[주말]]에 2일동안 쉴 수 있게 되면서 찜질방은 단순한 휴식공간을 넘어 심신을 회복시켜주는 시설로 주목받게 되었다.
1980~90년대에 유행을 끌었던 [[목욕탕]]이 점차 대형화, 고급화되면서 이런 업체들과 새로 찜질방 사업에 뛰어든 업체들을 중심으로 손님을 유치하기 위해 목욕탕 외에도 각종 이벤트를 유치하거나, 할인 혜택을 주는 등 다양한 마케팅을 펼치기 시작하였고, 여기에 주5일제 근무 도입으로<ref>[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0151296 찜질방·사우나 홍보 마케팅 전략 총집합], 오마이스타, 2003.10.31</ref> [[주말]]에 2일동안 쉴 수 있게 되면서 찜질방은 단순한 휴식공간을 넘어 심신을 회복시켜주는 시설로 주목받게 되었다.  
 
그러면서 기존에 있던 목욕탕들이 영업난을 이유로 하나 둘 씩 줄어들고, 남아있는 목욕탕들은 서서히 덩치를 불려나가면서 2002년부터 2012년 사이에 10년 동안 2,400여개의 동네 목욕탕이 문을 닫았다.<ref>[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2/01/19/0706000000AKR20120119194200051.HTML 현기환 '목욕탕 거리제한제' 부활 법안 발의], 연합뉴스, 2012.01.22</ref>  
그러면서 기존에 있던 목욕탕들이 영업난을 이유로 하나 둘 씩 줄어들고, 남아있는 목욕탕들은 서서히 덩치를 불려나가면서 2002년부터 2012년 사이에 10년 동안 2,400여개의 동네 목욕탕이 문을 닫았다.<ref>[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2/01/19/0706000000AKR20120119194200051.HTML 현기환 '목욕탕 거리제한제' 부활 법안 발의], 연합뉴스, 2012.01.22</ref>  


14번째 줄: 13번째 줄:


== 내부시설 ==
== 내부시설 ==
보통 목욕탕과 찜질방 시설이 구분되어 있다. 아무래도 목욕탕은 알몸으로 돌아다니는 시설이다보니 남탕과 여탕으로 분리되어 있고, 알몸으로 찜질방에 가다가는 공연음란죄로 경찰서에 끌려갈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찜질 시설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업체 측에서 제공한 찜질복을 입고 들어가야 한다.
보통 목욕탕과 찜질방 시설이 구분되어 있다. 아무래도 목욕탕은 알몸으로 돌아다니는 시설이다보니 남탕과 여탕으로 분리되어 있고, 알몸으로 찜질방에 가다가는 공연음란죄로 경찰서에 끌려갈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찜질 시설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업체 측에서 제공한 찜질복을 입고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찜질방 옆에 음식점을 마련하여 음식도 팔고 있다. 일반적인 음식점에는 없는 별미 같은 것도 팔긴 하지만, 소수 예외를 제외하고는 퀄리티는 낮은 편이며, [[컵라면]] 같은 인스턴트 음식도 팔지만, 찜질방 바깥에서 파는 것보다 요금이 조금 비싼 편이다. 아무래도 부가수입을 얻기 위해서 그런 것 같다.
그리고 찜질방 옆에 음식점을 마련하여 음식도 팔고 있다. 일반적인 음식점에는 없는 별미 같은 것도 팔긴 하지만, 소수 예외를 제외하고는 퀄리티는 낮은 편이며, [[컵라면]] 같은 인스턴트 음식도 팔지만, 찜질방 바깥에서 파는 것보다 요금이 조금 비싼 편이다. 아무래도 부가수입을 얻기 위해서 그런 것 같다.


그리고 2000년대만 해도 사람들이 찜질방 안에서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PC방]]을 따로 마련했지만, 현재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하는 사람이 줄어들어서, 현재는 찜질방 내 PC방에 있던 컴퓨터를 하나 둘 씩 철거하거나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고 그냥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2000년대만 해도 사람들이 찜질방 안에서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PC방]]을 따로 마련했지만, 현재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하는 사람이 줄어들어서, 현재는 찜질방 내 PC방에 있던 컴퓨터를 하나 둘 씩 철거하거나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고 그냥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 안전사고 ==
== 안전사고 ==
찜질방은 아무래도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경우가 많고, 특히나 목욕탕은 장소 특성상 밖으로 노출되서는 안 되기에 더더욱 그런 면이 강하다. 그러다보니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조기에 진압하지 못 하면 대형 참사로 번질 수 있다. 그래서 정부에서도 찜질방에 대한 안전점검을 책임지고 있는데, [[2016년]] 3~4월 들어 [[국민안전처]]에서 전국 찜질방과 사우나 등 목욕장업의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국 1,776개 업소 중 290곳(16.4%)에서 325건의 안전 불량 사항을 적발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6/05/19/0706000000AKR20160519152200004.HTML 찜질방·대중목욕탕 16%, 화재안전 '불량'], 연합뉴스, 2016.05.20</ref>  
찜질방은 아무래도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경우가 많고, 특히나 목욕탕은 장소 특성상 밖으로 노출되서는 안 되기에 더더욱 그런 면이 강하다. 그러다보니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조기에 진압하지 못 하면 대형 참사로 번질 수 있다. 그래서 정부에서도 찜질방에 대한 안전점검을 책임지고 있는데, [[2016년]] 3~4월 들어 [[국민안전처]]에서 전국 찜질방과 사우나 등 목욕장업의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국 1,776개 업소 중 290곳(16.4%)에서 325건의 안전 불량 사항을 적발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6/05/19/0706000000AKR20160519152200004.HTML 찜질방·대중목욕탕 16%, 화재안전 '불량'], 연합뉴스, 2016.05.20</ref> 실제로 2015년 12월 4일에 용산역 인근 모 찜질방에서 화재가 일어났는데, 다행이도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연기 흡입으로 6명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ref>[http://www.ytn.co.kr/_ln/0103_201512050712151713 <nowiki>[속보]</nowiki> 서울 용산 사우나 불...현재 대피 중], YTN, 2015.12.05</ref>
 
실제로 [[2015년]] [[12월 4일]]에는 [[용산역]] 인근 모 찜질방에서 화재가 발생한 적이 있었다. 다행이도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찜질방에 묵고 있던 6명이 연기 흡입으로 인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ref>[http://www.ytn.co.kr/_ln/0103_201512050712151713 <nowiki>[속보]</nowiki> 서울 용산 사우나 불...현재 대피 중], YTN, 2015.12.05</ref>
 
== 한국 대중문화 아이콘화 ==
== 한국 대중문화 아이콘화 ==
아무래도 서양인의 입장에서 찜질방은 매우 신선한 모습으로 비쳐지는 것 같다.
아무래도 서양인의 입장에서 찜질방은 매우 신선한 모습으로 비쳐지는 것 같다.
33번째 줄: 30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문화]]
[[분류:목욕]]
[[분류:상업 시설]]
[[분류:위생 시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