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2|대한민국의 철도|도로 한 가운데 그어놓는 선|중앙선 (도로)|대한민국의  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
{{다른 뜻 2|대한민국의 철도|도로 한 가운데 그어놓는 선|중앙선 (도로)|대한민국의  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중앙선
|노선이름 = 중앙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Korail Jungang Line.png
|그림    = [[File:Korail_Jungang_Line.png]]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준고속철도]]([[간선철도|간선]])<ref>청량리~도담</ref>,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ref>도담~경주</ref>, [[광역철도]]<ref>청량리~덕소</ref>
|종류    = [[준고속철도]]([[간선철도|간선]])<ref>청량리~도담</ref>,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ref>도담~경주</ref>, [[광역철도]]<ref>청량리~덕소</ref>
20번째 줄: 18번째 줄: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청량리 ~ [[안동역|안동]], [[영천역|영천]] ~ 모량)<br />1 (나머지 구간)
|선로    = 2 (청량리 ~ [[안동역|안동]], [[영천역|영천]] ~ 모량)<br />1 (나머지 구간)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청량리 ~ 안동, [[북영천역|북영천]] ~ 모량)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청량리 ~ 안동, [[북영천역|북영천]] ~ 모량)
|신호    = [[ATS]], [[ATP]] (청량리 ~ 안동, 영천 ~ 모량)<br />[[ATS]] (나머지 구간)
|신호    = [[ATS]], [[ATP]] (청량리 ~ 안동, 영천 ~ 모량)<br />[[ATS]] (나머지 구간)
|차량기지 =
|비고    =  
|비고    =  
}}
}}
32번째 줄: 30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일제시대 ===
=== 일제시대 ===
중앙선이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1936년에 입안되었던 '조선중앙철도부설계획'에 의거해서였다.<ref>철도청(1999). "한국철도 100년사". pp.108.</ref> 다만, 이전에 당시 [[조선총독부]]가 입안한 철도망 확충의 기본계획이던 조선철도12년계획에서 조사위원회의 검토노선으로 경성~대구간의 철도로 양평, 여주, 충주, 안동을 경유하는 유사 노선을 건의하였으나 불채택된 바가 있었다. 그래서인지 1935년에 측량작업이 개시되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ref>'대망의 중앙선철도 단양영주관통등 결정 철도국실측에 착수'. 조선일보, 1935년 10월 1일 보도.</ref>, 큰 틀에서의 노선축은 정해져 있었고 이후 본격적인 계획수립 이전에 측량 등의 사전작업은 추진된 것으로 생각된다. 5개년 계획으로 수립된 건설 예정선은 당시 동해중부선 [[영천역|영천]]을 기점으로 하여 안동, 영주, 단양, 제천, 원주, 양평을 경유하여 [[청량리역|청량리]]에 이르는 358.6km의 내륙종관 철도였다. 노선은 내륙지역 개발을 의도함과 동시에 내륙에 철도를 설치하여 함포 등 해양으로부터의 공격을 피하고 병참선을 추가 확보하는데 목표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중앙선이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1936년에 입안되었던 '조선중앙철도부설계획'에 의거해서였다.<ref>철도청(1999). "한국철도 100년사". pp.108.</ref> 다만, 이미 1935년에 측량작업이 개시되었다는 보도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는 실제 구상은 좀 더 일찍 마련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ref>'대망의 중앙선철도 단양영주관통등 결정 철도국실측에 착수'. 조선일보, 1935년 10월 1일 보도.</ref> 당시 [[조선총독부]]가 입안한 철도망 확충의 기본계획이던 조선철도12년계획의 계획선 이외의 신규노선으로 착수된 것으로서 5개년 계획으로 착수되어 추진되었다. 계획선은 당시 동해중부선 [[영천역|영천]]을 기점으로 하여 안동, 영주, 단양, 제천, 원주, 양평을 경유하여 [[청량리역|청량리]]에 이르는 358.6km의 내륙종관 철도였다. 노선은 내륙지역 개발을 의도함과 동시에 내륙에 철도를 설치하여 함포 등 해양으로부터의 공격을 피하고 병참선을 추가 확보하는데 목표가 있었다.


한편으로, 조선철도주식회사의 사철인 [[경동선]]으로 [[영천역]] 이남 구간이 [[1917년]]에 [[협궤]]로 이미 개통되어 있었다. 중앙선의 부설이 확정된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경동선을 [[표준궤]]로 개궤하여 그 계통을 병합하였다. 착공은 남부와 북부 종단 및 죽령터널 및 치악터널 등 장대터널부에서 이루어졌다. 중일전쟁으로 인한 자재난과 물가압력, 재정난이 있었지만 병참선으로서의 중요도 때문에 비교적 빠르게 건설이 진척되었다. 남부에서는 영천에서 [[우보역|우보]]에 이르는 구간이 [[1938년]] [[12월]]에 개통되어 운수영업을 개시하였으며, 북부에서는 [[1939년]] [[4월 1일]]에는 청량리-[[양평역 (양평)|양평]] 구간이 개통되어 이를 최초 개통일로 취급한다.<ref>'경경선개통축하 양평서 성대 준비'. 조선일보, 1939년 3월 31일.</ref> 이후 [[1942년]] [[2월 8일]]에 단양역 남단에서 남부선과 북부선의 궤도 연결이 완료되어 그해 4월 1일에 전 구간이 개통을 보게 되었다.
한편으로, 조선철도주식회사의 사철인 [[경동선]]으로 [[영천역]] 이남 구간이 [[1917년]]에 [[협궤]]로 이미 개통되어 있었다. 중앙선의 부설이 확정된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경동선을 [[표준궤]]로 개궤하여 그 계통을 병합하였다. 착공은 남부와 북부 종단 및 죽령터널 및 치악터널 등 장대터널부에서 이루어졌다. 중일전쟁으로 인한 자재난과 물가압력, 재정난이 있었지만 병참선으로서의 중요도 때문에 비교적 빠르게 건설이 진척되었다. 남부에서는 영천에서 [[우보역|우보]]에 이르는 구간이 [[1938년]] [[12월]]에 개통되어 운수영업을 개시하였으며, 북부에서는 [[1939년]] [[4월 1일]]에는 청량리-[[양평역 (양평)|양평]] 구간이 개통되어 이를 최초 개통일로 취급한다.<ref>'경경선개통축하 양평서 성대 준비'. 조선일보, 1939년 3월 31일.</ref> 이후 [[1942년]] [[2월 8일]]에 단양역 남단에서 남부선과 북부선의 궤도 연결이 완료되어 그해 4월 1일에 전 구간이 개통을 보게 되었다.
68번째 줄: 66번째 줄:
따라서 2복선전철 계획은 GTX B노선에 흡수되었고, B노선의 사업기간 종료연도인 2030년이 되면 부족한 선로용량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예비타당성조사에 따르면 [[KTX-이음]] 21회를 B노선 용산 착발로 변경하고, 경춘선 전동열차를 [[경원선]] 용산까지 빈 용량인 20회 운행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따라서 2복선전철 계획은 GTX B노선에 흡수되었고, B노선의 사업기간 종료연도인 2030년이 되면 부족한 선로용량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예비타당성조사에 따르면 [[KTX-이음]] 21회를 B노선 용산 착발로 변경하고, 경춘선 전동열차를 [[경원선]] 용산까지 빈 용량인 20회 운행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 연혁 ===
==연혁==
* [[1938년]] [[2월 1일]]: 남부선 영천~[[우보역|우보]]간 40.1km 개통
* [[1938년]] [[2월 1일]]: 남부선 영천~[[우보역|우보]]간 40.1km 개통
* [[1939년]] [[4월 1일]]: 북부선 청량리~양평 간 52.5km 개통
* [[1939년]] [[4월 1일]]: 북부선 청량리~양평 간 52.5km 개통
91번째 줄: 89번째 줄:
* 2018년 11월 22일: 도담~단양 구간 운행선 변경<ref>[https://www.letskorail.com/ebizcom/event/total/EbizcomEventTotallw_cus06101_detail.do?searchKeyword2=1370 무궁화호 운행조정 알림], 코레일 공지사항</ref>
* 2018년 11월 22일: 도담~단양 구간 운행선 변경<ref>[https://www.letskorail.com/ebizcom/event/total/EbizcomEventTotallw_cus06101_detail.do?searchKeyword2=1370 무궁화호 운행조정 알림], 코레일 공지사항</ref>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21에서 312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f>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21에서 312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f>
* 2020년 9월 22일: 무릉~단촌 구간 운행선 변경<ref>[https://www.letskorail.com/ebizcom/event/total/EbizcomEventTotallw_cus06101_detail.do?searchKeyword2=1774 무궁화호 운행조정 알림], 코레일 공지사항</ref>
* 2020년 9월 23일: 무릉~단촌 구간 운행선 변경
* 2020년 11월 12일: 청량리~도담 구간을 노선 이름이 '''중앙선(청량리~도담)'''이고, 노선번호가 203인 [[준고속철도]]로 지정, 기존 중앙선은 노선 이름이 '''중앙선(도담~경주)'''이고 구간이 도담~경주인 노선으로 변경, 그리고 [[동화역|동화]], [[유교신호장|유교]], [[반곡역|반곡]], [[금교신호장|금교]], [[치악역|치악]], [[창교신호장|창교]], [[신림역 (원주)|신림]], [[연교신호장|연교]], [[구학역|구학]], [[단성역|단성]], [[죽령신호장|죽령]], [[희방사역|희방사]], [[안정역|안정]], [[북영주신호소|북영주]](중앙선만), [[문수역|문수]], [[마사역|마사]], [[이하역|이하]], [[서지신호장|서지]], [[무릉역|무릉]], [[운산역|운산]], [[단촌역|단촌]] 폐지 및 [[운학신호장]], [[망호신호장]] 개업 고시<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20-798호</ref>
* 2020년 12월 14일: 단양~영주 구간 운행선 변경
* 2020년 12월 14일: 단양~영주 구간 운행선 변경
* 2020년 12월 17일: 영주~무릉 구간 운행선 변경
* 2020년 12월 17일: 영주~무릉 구간 운행선 변경
* 2021년 1월 5일: 서원주~제천 복선전철 및 도담~단양 복선 개통, 그리고 청량리~안동 [[ITX-새마을]]을 운행 종료하고 같은 구간 [[KTX-이음]] 운행 개시
* 2021년 1월 5일: 서원주~제천 복선전철 및 도담~단양 복선 개통, 그리고 청량리~안동 [[ITX-새마을]]을 운행 종료하고 같은 구간 [[KTX-이음]] 운행 개시
* 2021년 6월 17일: 북영천~영천 간 역간거리를 2.5km에서 2.6km로 변경 (선로 이설 반영)<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60호</ref>
* 2021년 6월 17일: 북영천~영천 간 역간거리를 2.5km에서 2.6km로 변경 (선로 이설 반영)<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60호</ref>
* 2021년 11월 17일: 노선 종점을 [[경주역 (폐역)|경주]]에서 모량으로 변경하고, 총 거리를 348.3 km에서 331.3 km로 변경, 그리고 [[송포신호장|송포]], [[임포역|임포]], [[건천역|건천]], [[율동신호장|율동]], [[경주역 (폐역)|경주]] 폐지 고시<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234호</ref>
* 2021년 11월 17일: 종점을 경주에서 모량으로 변경하고, 총 거리를 348.3 km에서 331.3 km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234호</ref>
* 2021년 12월 28일: 영천~모량 복선전철 개통 및 북영천~영천 전철 개통
* 2021년 12월 28일: 영천~모량 복선전철 개통 및 북영천~영천 전철 개통
* 2022년 6월 30일: 단양~영주 복선 개통
* 2022년 6월 30일: 단양~영주 복선 개통
* 2022년 7월 28일: 영주~안동 복선 개통
* 2022년 7월 28일: 영주~안동 복선 개통
* 2023년 11월 22일: 단촌~의성 구간 운행선 변경<ref>[https://www.letskorail.com/ebizcom/event/total/EbizcomEventTotallw_cus06101_detail.do?searchKeyword2=2481 일반열차 운행조정 알림], 코레일 공지사항</ref>
* 2024년: 안동~영천 복선전철 개통 (예정)
* 2024년: 안동~영천 복선전철 개통 (예정)


== 운행 ==
== 운행 ==
중앙선은 수도권의 근거리 열차와 연선 주요 도시(서울, 원주, 제천, 영주, 안동, 의성, 영천, 경주, 울산, 부산)간의 장거리 열차로 양분된다. (여기서 경주, 울산, 부산의 실제 노선은 [[동해선]]이다.)
중앙선은 수도권의 근거리 열차와 연선 주요 도시(서울, 원주, 제천, 영주, 안동, 의성, 영천, 경주, 울산, 부산)간의 장거리 열차로 양분된다. (여기서 울산, 부산의 실제 노선은 [[동해선]]이다.)


=== 고속철도 ===
=== 고속철도 ===
고속화 개량이 충분히 이루어진 2021년부터 [[KTX]] 운행을 시작했다. 중앙선은 최대 260 km/h까지 속도를 낼 수 있기에 열차는 [[KTX-이음]]을 사용한다. 주요 정차역은 아래와 같다. 서울역은 중앙선에 속해있지 않다.
고속철도가 아닌 준고속철도이기에 [[KTX-이음]]이 운행한다. 원래 운행하던 [[ITX-새마을]]을 대체하였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다.
* '''KTX-이음''' (700): ''[[서울역|서울]] -'' [[청량리역|청량리]] - [[양평역 (양평)|양평]] - [[원주역|원주]] - [[제천역|제천]] - [[영주역|영주]] - [[안동역|안동]] (1일 8왕복)
* '''KTX-이음''' (700): [[청량리역|청량리]] - [[양평역 (양평)|양평]] - [[원주역|원주]] - [[제천역|제천]] - [[영주역|영주]] - [[안동역|안동]]


[[경강선|강릉선]] KTX-이음 열차도 청량리~서원주 구간을 이용한다. 일부 중앙선 열차는 강릉선 열차와 [[복합열차]]로 운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KTX]] 문서를 참고.
[[경강선|강릉선]] KTX 열차도 청량리 ~ 서원주 구간을 이용한다. 자세한 사항은 [[KTX]] 문서를 참조.


=== ITX ===
=== 무궁화호 · 누리로 ===
[[ITX]]는 '''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로 차량은 [[ITX-마음]]과 [[ITX-새마을]]을 사용한다. 주요 정차역은 KTX-이음과 거의 동일하나 더 많은 역에 정차한다. 단, 마음은 새마을보다 덜 정차한다.
[[무궁화호]]와 [[누리로]]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운행되는 중앙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동해선]] 구간이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 '''ITX-마음''' (1190): 청량리 - 양평 - 원주 - 제천 - 단양 - 영주 - 안동 (1일 1왕복)
* '''무궁화호 · 누리로''' (1600): 청량리 - 양평 - [[용문역|용문]] - 원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신경주 ''- [[태화강역|태화강]] - [[기장역|기장]] - [[신해운대역|신해운대]] - [[부전역|부전]]'' (1일 5왕복<ref>전구간 2왕복</ref>)
* '''ITX-새마을''' (1090): 청량리 - 양평 - 원주 - 제천 - 단양 - 영주 - 안동 (1일 2왕복)


2014년까지는 [[새마을호]]가 운행했으나 ITX-새마을로 대체되었다.
[[태백선]] 및 [[영동선]] 열차도 일부 구간을 운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무궁화호]] 및 [[누리로]] 문서 참고.


태백선 ITX-마음 열차도 청량리~제천 구간을 이용한다. 자세한 사항은 [[ITX]] 문서를 참고.
=== 수도권 전철 ===
 
=== 무궁화호 ===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이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동해선]] 구간이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 '''무궁화호''' (1600): 청량리 - 양평 - [[용문역|용문]] - 원주 - 제천 - [[단양역|단양]] - [[풍기역|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역|의성]] - [[영천역|영천]] - ''[[경주역|경주]] - [[태화강역|태화강]] - [[기장역|기장]] - [[신해운대역|신해운대]] - [[부전역|부전]]'' (1일 3왕복<ref>전구간 2왕복</ref>)
 
[[태백선]] 및 [[영동선]] 열차도 일부 구간을 운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무궁화호]] 문서를 참고.
 
=== 광역전철 ===
{{참고|경의·중앙선}}
{{참고|경의·중앙선}}


140번째 줄: 127번째 줄:
== 역 목록 ==
== 역 목록 ==
=== 청량리 ~ 지평 ===
=== 청량리 ~ 지평 ===
* '''K''': KTX-이음, '''I''': ITX-마음 및 ITX-새마을, '''무''': 무궁화호, '''급''': [[경의·중앙선]] 급행열차
* '''K''': KTX-이음, '''무''': 무궁화호 또는 누리로, '''급''': [[경의·중앙선]] 급행열차
* [[경의·중앙선]] 일반열차는 해당 구간의 모든 역에 정차 (지평은 일부 열차만 정차)
* [[경의·중앙선]] 일반열차 모든 역에 정차 (지평은 일부 열차만 정차)
* [[경춘선]] 일부 일반열차는 청량리~망우 구간의 모든 역에 정차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일부 일반열차 청량리 ~ 망우 구간 모든 역에 정차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새''': ITX-새마을만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번호
! 번호
! km
! km
! 정거장
! 정거장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KTX}}; color: white;" | K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KTX}};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color: white;" | I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급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급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colspan="10" | [[경원선]] 직결운행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11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117
160번째 줄: 148번째 줄:
| [[청량리역|청량리]]
| [[청량리역|청량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171번째 줄: 158번째 줄:
| [[회기역|회기]]
| [[회기역|회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180번째 줄: 166번째 줄:
| [[중랑역|중랑]]
| [[중랑역|중랑]]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190번째 줄: 175번째 줄:
| [[상봉역|상봉]]
| [[상봉역|상봉]]
| rowspan="2" style="background: #c7c0df;" | ▲
| rowspan="2"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198번째 줄: 182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4.6
| style="text-align: right;" | 4.6
| [[망우역|망우]]
| [[망우역|망우]]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07번째 줄: 190번째 줄:
| [[양원역 (서울)|양원]]
| [[양원역 (서울)|양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16번째 줄: 199번째 줄:
| [[구리역|구리]]
| [[구리역|구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27번째 줄: 209번째 줄:
| [[도농역|도농]]
| [[도농역|도농]]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37번째 줄: 218번째 줄:
| [[양정역 (남양주)|양정]]
| [[양정역 (남양주)|양정]]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46번째 줄: 226번째 줄:
| [[덕소역|덕소]]
| [[덕소역|덕소]]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55번째 줄: 234번째 줄:
| [[도심역|도심]]
| [[도심역|도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64번째 줄: 242번째 줄:
| [[팔당역|팔당]]
| [[팔당역|팔당]]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73번째 줄: 250번째 줄:
| [[운길산역|운길산]]
| [[운길산역|운길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82번째 줄: 258번째 줄:
| [[양수역|양수]]
| [[양수역|양수]]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292번째 줄: 267번째 줄:
| [[신원역|신원]]
| [[신원역|신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301번째 줄: 275번째 줄:
| [[국수역|국수]]
| [[국수역|국수]]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310번째 줄: 283번째 줄:
| [[아신역|아신]]
| [[아신역|아신]]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319번째 줄: 291번째 줄:
| [[오빈역|오빈]]
| [[오빈역|오빈]]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328번째 줄: 299번째 줄:
| [[양평역 (양평)|양평]]
| [[양평역 (양평)|양평]]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337번째 줄: 307번째 줄:
| [[원덕역|원덕]]
| [[원덕역|원덕]]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346번째 줄: 315번째 줄:
| [[용문역 (양평)|용문]]
| [[용문역 (양평)|용문]]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355번째 줄: 323번째 줄:
| [[지평역|지평]]
| [[지평역|지평]]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새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a7cbbd;" | ▲
| style="background: #a7cbbd;" | ▲
362번째 줄: 329번째 줄:
|}
|}


=== 석불 ~ 모량 ===
=== 지평 ~ 모량 ===
* '''K''': KTX-이음, '''I''': ITX-마음 및 ITX-새마을, '''무''': 무궁화호
* '''''': KTX-이음, '''무''': 무궁화호 또는 누리로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새''': ITX-새마을만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정거장
! 정거장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KTX}}; color: white;" | K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KTX}}; color: white;" | K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color: white;" | I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style="text-align: right;" | 62.1
| [[지평역|지평]]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6" | {{세로|[[경기도]]}}
| rowspan="6" | [[양평군]]
|-
|-
| style="text-align: right;" | 65.0
| style="text-align: right;" | 65.0
| [[석불역|석불]]
| [[석불역|석불]]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새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세로|[[경기도]]}}
| rowspan="5" | [[양평군]]
|-  
|-  
| style="text-align: right;" | 68.5
| style="text-align: right;" | 68.5
| [[일신역|일신]]
| [[일신역|일신]]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새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394번째 줄: 364번째 줄:
| [[매곡역|매곡]]
| [[매곡역|매곡]]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새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01번째 줄: 370번째 줄:
| [[양동역|양동]]
| [[양동역|양동]]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08번째 줄: 376번째 줄:
| [[삼산역|삼산]]
| [[삼산역|삼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새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15번째 줄: 382번째 줄:
| [[서원주역|서원주]]
| [[서원주역|서원주]]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세로|[[강원특별자치도]]}}
| rowspan="2" | {{세로|[[강원도]]}}
| rowspan="2" | [[원주시]]
| rowspan="2" | [[원주시]]
|-
|-
424번째 줄: 390번째 줄:
| [[원주역|원주]]
| [[원주역|원주]]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31번째 줄: 396번째 줄:
| [[운학신호장|운학]]
| [[운학신호장|운학]]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40번째 줄: 404번째 줄:
| [[봉양역|봉양]]
| [[봉양역|봉양]]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새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충북선]] (연결)
| style="text-align: left;" | [[충북선]] (연결)
|-
|-
447번째 줄: 410번째 줄:
| [[제천조차장역|제천조차장]]
| [[제천조차장역|제천조차장]]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제천조차장선]] (연결)
| style="text-align: left;" | [[제천조차장선]] (연결)
454번째 줄: 416번째 줄:
| [[제천역|제천]]
| [[제천역|제천]]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태백선]], 제천조차장선 (연결)
| style="text-align: left;" | [[태백선]], 제천조차장선 (연결)
461번째 줄: 422번째 줄:
| [[고명역|고명]]
| [[고명역|고명]]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68번째 줄: 428번째 줄:
| [[삼곡역|삼곡]]
| [[삼곡역|삼곡]]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76번째 줄: 435번째 줄:
| [[도담역|도담]]
| [[도담역|도담]]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83번째 줄: 441번째 줄:
| [[단양역|단양]]
| [[단양역|단양]]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490번째 줄: 447번째 줄:
| [[풍기역|풍기]]
| [[풍기역|풍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9" | {{세로|[[경상북도]]}}
| rowspan="19" | {{세로|[[경상북도]]}}
| rowspan="2" | [[영주시]]
| rowspan="2" | [[영주시]]
|-
|-
499번째 줄: 455번째 줄:
| [[영주역|영주]]
| [[영주역|영주]]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경북선]], [[영동선]] (연결)
| style="text-align: left;" | [[경북선]], [[영동선]] (연결)
506번째 줄: 461번째 줄:
| [[옹천신호장|옹천]]
| [[옹천신호장|옹천]]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514번째 줄: 468번째 줄:
| [[안동역|안동]]
| [[안동역|안동]]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520번째 줄: 473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232.2
| style="text-align: right;" | 232.2
| [[망호신호장|망호]]
| [[망호신호장|망호]]
| rowspan="15" style="background: #eee;" | {{세로|미운행}}
| rowspan="15" style="background: #eee;" | {{세로|미운행}}
| rowspan="15" style="background: #eee;" | {{세로|미운행}}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543번째 줄: 495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257.1
| style="text-align: right;" | 257.1
| [[탑리역|탑리]]
| [[탑리역|탑리]]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
550번째 줄: 502번째 줄: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3" | {{세로|[[대구광역시]]}}
| rowspan="3" | [[군위군]]
| rowspan="3" | [[군위군]]
|-
|-
| style="text-align: right;" | 273.7
| style="text-align: right;" | 273.7
| [[화본역|화본]]
| [[화본역|화본]]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
567번째 줄: 518번째 줄: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7" | {{세로|[[경상북도]]}}
| rowspan="5" | [[영천시]]
| rowspan="5" | [[영천시]]
|-
|-
| style="text-align: right;" | 288.9
| style="text-align: right;" | 288.9
| [[신녕역|신녕]]
| [[신녕역|신녕]]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
592번째 줄: 542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321.0
| style="text-align: right;" | 321.0
| [[아화역|아화]]
| [[아화역|아화]]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경주시]]
| rowspan="2" | [[경주시]]
606번째 줄: 556번째 줄:
{{세로목록|열너비=20em|목록=
{{세로목록|열너비=20em|목록=
*[[동교신호장]]
*[[동교신호장]]
*[[능내신호장]]
*[[능내역]]
*[[간현역]]
*[[간현역]]
*[[동화역]]
*[[동화역]]
*[[연교신호장]]
*[[유교신호장]]
*[[유교신호장]]
*[[반곡역]]
*[[반곡역]]
615번째 줄: 566번째 줄:
*[[창교신호장]]
*[[창교신호장]]
*[[신림역 (원주)|신림역]]
*[[신림역 (원주)|신림역]]
*[[연교신호장]]
*[[구학역]]
*[[구학역]]
*[[단성역]]
*[[단성역]]
643번째 줄: 593번째 줄:
*[[건천역]]
*[[건천역]]
*[[율동신호장]]
*[[율동신호장]]
*[[경주역 (폐역)|경주역]]
*[[서경주신호소]]
*[[경주역]]
}}
}}


662번째 줄: 613번째 줄:
=== 영천삼각선 ===
=== 영천삼각선 ===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영천삼각선
|노선이름 = 영천삼각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1204
|번호    = 31204
|구간    = [[북영천역|북영천]] ~ 대구선 분기점
|구간    = [[북영천역|북영천]] ~ 대구선 분기점
|영업거리 = 1.4 km
|역수    = 1개
|역수    = 1개
|소유자  =  
|소유자  =  
681번째 줄: 629번째 줄: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영업거리 = 1.4 km
|궤간    =  
|궤간    =  
|선로    = 2
|선로    = 2
|전기    =  
|전기    =  
|신호    =  
|신호    =  
|차량기지 =
|비고    = 나머지 정보는 중앙선과 동일
|비고    = 나머지 정보는 중앙선과 동일
}}
}}
693번째 줄: 642번째 줄:
[[동대구역]] - [[정동진역]] [[무궁화호]] 열차가 대구선의 [[하양역]]에 정차한 뒤, 영천삼각선을 통하여 [[북영천역]]으로 간다.
[[동대구역]] - [[정동진역]] [[무궁화호]] 열차가 대구선의 [[하양역]]에 정차한 뒤, 영천삼각선을 통하여 [[북영천역]]으로 간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712번째 줄: 661번째 줄:
=== 경주삼각선 ===
=== 경주삼각선 ===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경주삼각선
|노선이름 = 경주삼각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1206
|번호    = 31206
|구간    = 중앙선 분기점 ~ 동해선 분기점
|구간    = 중앙선 분기점 ~ 동해선 분기점
|영업거리 = 1.3 km
|역수    =  
|역수    =  
|소유자  =  
|소유자  =  
731번째 줄: 677번째 줄: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영업거리 = 1.3 km
|궤간    =  
|궤간    =  
|선로    = 1
|선로    = 1
|전기    =  
|전기    =  
|신호    =  
|신호    =  
|차량기지 =
|비고    = 나머지 정보는 중앙선과 동일
|비고    = 나머지 정보는 중앙선과 동일
}}
}}
741번째 줄: 688번째 줄:
'''경주삼각선'''은 중앙선과 [[동해선]]을 이어주는 [[삼각선]]이다. 원래 경주삼각선이었던 [[금장삼각선]]과는 별개인 노선이다.
'''경주삼각선'''은 중앙선과 [[동해선]]을 이어주는 [[삼각선]]이다. 원래 경주삼각선이었던 [[금장삼각선]]과는 별개인 노선이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762번째 줄: 709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중앙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