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액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정액권.jpg|thumb]]
定額券, prepaid ticket
定額券, prepaid ticket


5번째 줄: 4번째 줄:


==개요==
==개요==
정액권은 [[도시철도]]에 [[역무 자동화]]가 도입된 이후 등장한 승차권이다. 일정 금액을 미리 내고 구입하면 해당 금액 범위 내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표로, [[교통카드]]로 전철을 이용할 수 있게 되기 전에는 통근·통학 이용객의 필수아이템이었다.
정액권은 [[수도권 전철]]에 자동 개표기가 도입된 이후 등장한 승차권이다. 일정 금액을 미리 내고 구입하면 해당 금액 범위 내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표로, [[교통카드]]로 수도권 전철을 이용할 수 있게 되기 전에는 통근, 통학 이용객의 필수아이템이었다.


교통카드가 보급되면서 사용빈도가 급속히 떨어지다가, 수도권은 [[2004년]] 서울시 버스 체계 개편과 함께 단행된 신교통카드 도입으로 인해 신규 발매가 중단되었으며, [[2009년]]에 9호선 개통과 동시에 RF 승차권으로 전환되면서 사용도 중단되었다. 지방 도시철도들은 RF토큰권을 도입하면서 정액권을 그대로 폐지하였으며, 아직 자성승차권 시스템을 유지하는 [[부산교통공사]]만 주문제 승차권이라는 이름으로 정액권을 유지하고 있다.
교통카드가 보급되면서 사용빈도가 급속히 떨어지다가, [[2004년]] 서울시 버스 체계 개편과 함께 단행된 신 교통카드 도입으로 인해 신규 발매가 중단되었으며, [[2009년]]에 9호선 개통과 동시에 RF 승차권으로 전환되면서 사용도 중단되었다.


이후 수도권과 부산에 한해 [[정기승차권]]이 남으면서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최초 발급 시 카드값을 내고 받는 대신 기한과 횟수가 다 되면 새로 충전을 해서 쓸 수 있는 형식이다. 정액권을 대체한 교통카드는 충전 보너스나 잔액 특례같은 것이 없으므로 여객 혜택면에선 퇴보한 셈.
현재는 [[수도권 전철 정기권|정'''기'''권]]이란 이름으로 있으며, 최초 발급 시 카드값을 내고 받는 대신 기한과 횟수가 다 되어도 새로 충전을 해서 쓸 수 있는 형식이다. 반면 횟수가 남아 있어도 기한(충전일자로부터 1달)이 다 되면 무효가 되는 점과, 정기권으로는 버스 환승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단점.


==사용==
==사용==
정액권은 다회 승차가 가능했기에 종이가 아닌 비닐제의 전용의 용지를 쓴 [[자성승차권]]으로 발매되었다. [[공중전화카드]]처럼 잔액 간이미터가 있어서 [[개집표기]]에서 일정 잔액마다 펀칭기로 압인했으며, 점이 4개 찍히면 모두 사용했다는 의미가 된다.
정액권은 다회 승차가 가능했기에 종이가 아닌 비닐제의 전용의 용지를 쓴 [[자성승차권]]으로 발매되었다. 권종은 5000, 10000, 20000원 등이 있었으며, 1만원권 이상은 10%의 보너스가 들어 있어 추가 사용이 가능했다. 또한, 마지막 1회에 한해서는 잔액에 상관없이 탈 수 있었기 때문에, 일부러 아껴두었다가 장거리를 갈 때 사용하는 꼼수를 쓰는 경우도 많았다.


권종은 5000, 10000, 20000원 등이 있었으며, 1만원권 이상은 10%의 보너스가 들어 있어 추가 사용이 가능했다. 또한, 마지막 1회에 한해서는 잔액에 상관없이 탈 수 있었기 때문에, 일부러 아껴두었다가 장거리를 갈 때 사용하는 꼼수를 쓰는 경우도 많았다.
==기타==
이름 때문에 [[정액]]을 낀 개드립이 횡행하였다. {{ㅊ|[[정액]]!! [[펀치]]!!!}} 특히 영어 번역을 아무 생각 없이 기계적으로 sperm ticket으로 했다가 망신당했다는 사례도 있는 모양.


여러번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해 발급처에서 지갑에 수납하기 좋게 신용카드 크기의 보관홀더를 제작해서 제공했으며, 해당 홀더에 광고도안을 인쇄하여 광고비를 쏠쏠하게 받기도 했다. 홀더 제작사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공중전화카드]]를 함께 보관할 수 있는 홀더도 있었다.
지방 도시철도들은 RF토큰권을 도입하면서 정액권을 그대로 폐지하였으며, 아직 자성승차권 시스템을 유지하는 [[부산교통공사]]는 주문제 승차권이라는 이름으로 정액권을 유지하고 있다. 사용 형태는 수도권의 그것과 비슷한데, 유효기간이 없고 잔액이 있기만 하면 승하차가 가능하다.
 
==기타==
* 이름 때문에 [[정액]]을 낀 개드립이 횡행하였다. {{ㅊ|[[정액]]!! [[펀치]]!!!}} 특히 영어 번역을 아무 생각 없이 기계적으로 sperm ticket으로 했다가 망신당했다는 사례도 있는 모양.
* 수도권 도입 초기에는 서울지하철공사 구간만 역무 자동화가 도입되어 철도청 구간에서는 정액권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이는 5년간 이어졌으며 91년에 철도청도 광역철도에 역무 자동화를 도입하면서 통합 정액권을 발매하기 시작했다<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22800289113004&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2-28&officeId=00028&pageNo=13&printNo=861&publishType=00010 지하철·전철 정액권 연계 오늘부터 통합승차권제 시행], 한겨레, 1991.02.28.</ref>.
{{각주}}
[[분류:승차권]]
[[분류:승차권]]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