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전라선
|노선명 = 전라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나라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그림크기 =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그림설명 =
|번호 = 309
|그림alt  =  
|노선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구간 = [[익산역|익산]] ~ [[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small>(180.4 km, 31개)</small>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개통일 = [[1914년]] [[10월 17일]]
|번호     = 309
|폐지일 =  
|구간     = [[익산역|익산]] ~ [[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영업거리 = 180.4 km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전라선철도]]<ref>익산 ~ 신리 구간 [[BTL]] 사업자</ref>
|역수    = 31개
|궤간 = 1,435 mm ([[표준궤]])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선로 = 2 (익산 ~ [[여천역|여천]])<br />1 (여천 ~ 여수엑스포)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전라선철도]]<ref>익산 ~ 신리 구간 [[BTL]]사업자</ref>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개통일  = [[1914년]] [[10월 17일]]
|신호 = [[ATS]]/[[ATP]] (ETCS 1)
|폐지일  =
|최고속도 = 230 km/h (설계)
|경유노선 =
|주석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익산 ~ [[여천역|여천]])<br />1 (여천 ~ 여수엑스포)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S]], [[ATP]](ETCS 1), [[KTCS-2]]
|비고    =  
}}
}}


32번째 줄: 26번째 줄:


== 역사 ==
== 역사 ==
[[1913년#1월|1913년 1월]] "전북철도주식회사"라는 사철이 철도 부설 면허를 받아 [[1914년#5월|1914년 5월]] 이리역-전주역간이 762 mm 특수협궤로 착공하여, [[1914년#10월|1914년 10월]] 완공하였고, 그 후 1달 뒤인 [[1914년#11월|1914년 11월]]부터 여객운송을 시작하였다. 여담으로 이 당시에도 양호한 영업수익을 냈다고 하는데, 이는 당시 조선의 지선 사철 중 제대로 수익을 내는 노선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상당한 성과라 할 수 있다. [[1927년#10월|1927년 10월]] 조선총독부에서 90만원에 매수하여 표준궤 개축과 함께 경전북부선이라고 개칭하였다. 그 후 연장공사가 진행되어 [[1931년#10월|1931년 10월]] 전주–남원, [[1933년#10월|1933년 10월]] 남원–곡성, [[1936년#12월|1936년 12월]] 곡성–순천 구간이 완공되었고, [[1937년#3월|1937년 3월]] 경전선의 전신인 광려선 구간이던 순천–여수간을 매입하여 비로소 전구간이 개통되었고, 또한 이와 동시에 전라선이라는 이름으로 개칭하였다.
일제가 전라선을 부설한 목적은 여객목적보다는 곡창지대인 전라도에서 생산된 곡물을 포함한 주요 자원을 수탈하기 위한 목적이 강했으며, 대표적으로 [[삼례읍|삼례]]에는 일제강점기 호남평야에서 거둬들인 쌀을 저장하던 창고가 남아있다.<ref>[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1225012018 전북 일제 수탈 흔적 등록문화재로], 서울Pn, {{날짜|2013-12-5}}</ref> [[군산항]]이 발달<ref>[[군산시]]에는 일제강점기에 건축된 일본식 건물들이 상당수 남아있다.</ref> 하게 된 이유도 이렇게 수탈된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일본 본국으로 반출하려는 목적이었고, 효율적인 수송을 위해 전라선과 군산을 이어주는 군산선이 별도로 건설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호남선과 전라선, 군산선이 교차하는 지역인 [[익산시|익산]](당시 이리)이 호남지역 철도교통의 요충지로 급부상했다.
그렇게 운행하던 도중 전주시 시가지의 확장으로 도시 발전에 장애물로 여겨져 [[1981년#5월|1981년 5월]] 동산-신리 구간이 시 외곽으로 이설되었다. 원래의 전라선 구간은 대부분 철거되어 시내도로로 활용되었으나 동산-북전주 구간은 전주공업단지의 화물 운송용으로 남게 되었고, 이때부터 북전주선으로 변경, 전라선의 지선이 되었다.
이후 여객, 화물열차가 포화상태에 이르자 전라선 복선전철화 및 직선화 공사를 착공했다. 복선전철 착공의 목적은 선로용량 증대와 고속화를 꾀하는 공사. 복선전철화 과정에서 1단계와 2단계로 나누었는데, 1단계는 신리 - 임실, 금지 - 압록, 구례구 - 동순천 구간으로 {{날짜/출력|1989-11-18}}에 착공하여 {{날짜/출력|1999-5-18}}에 완공되었고, 2단계는 임실 - 금지, 압록 - 구례구, 동순천 - 여수 구간이 해당되며, {{날짜/출력|1998-6-12}}에 착공하여 압록-구례구 구간은 {{날짜/출력|2001-12-27}}에 단선으로 우선 개통한 후 {{날짜/출력|2002-10-15}}에 복선으로 개통하였다. 그 후 임실 - 금지간은 {{날짜/출력|2004-8-31}}에 추가로 개통하였다. 동순천 - 순천 구간은 [[2010년#10월|2010년 10월]]에 개통하였고, {{날짜/출력|2011-4-5}}, 순천 - 여수 구간이 완공되었다. 그 해 [[10월 5일]]에 전 구간 전철화와 동산-신리 복선화를 마무리하여 우선개통하고, [[11월]] 말 경 마지막 구간인 익산 - 동산 구간을 마지막으로 전라선 전 구간이 이설 및 전철화되었다.
전철화가 완료되자 [[2011년]] [[10월 5일]]부터 전라선에 KTX를 투입하였다. [[호남선]]에 [[KTX]]가 [[2004년]] [[4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것을 생각하면 개통시기 자체는 상당히 늦은감이 있었다. 전라선 계통은 선로 개량이 끝나서 KTX 운행에는 큰 무리가 없으나 신호 체계를 준고속선용으로 개량하지 않아 개업하자마자 230 km/h대 준고속주행은 불가능했던 상황. 이에 전라남도에서는 복선전철화 사업에서 남은 예산을 고속철도용 신호로 개량을 요청하였고, {{날짜/출력|2011-8-22}}에 기획재정부와 국토해양부의 승인이 떨어졌다. 이후 준고속화 사업이 진행되어 [[2012년#5월|2012년 5월]]에 완료되었다. 그러나 본래 전라선이 150 km/h급 노선을 염두에 두고 고속화 사업이 진행된 탓에 실제로 230 km/h대로 주행이 가능한 구간은 순천역~여수엑스포역 사이에 한정된다. 그래도 나머지 구간 역시 추가적인 개량을 통해 200 km/h대, 못해도 일부 급커브 구간을 제외하면 180 km/h대까지의 주행은 가능한 상황이며. 이를 통해 {{날짜/출력|2015-4-1}}까지 운행시간이 3시간 30분대로 당초보다 약 10분 가량 단축되기는 했다. [[2015년]] 현재까지도 기존선을 공유하는 KTX 영업구간 중에서 전라선 구간이 가장 빠른 속력을 낼 수 있다.
이후 [[호남고속선]]이 완공되고, {{날짜/출력|2015-4-2}}에 호남고속선 경유 운행계통으로 모든 전라선 KTX가 정리되면서 익산역부터 호남고속선에 접속한다. 고속선 구간을 활용할 수 있어서 공개된 시간표와 실제 예매를 따르면 대체로 이전보다 30~50분 정도의 소요시간 단축 효과가 나타났다.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가 209에서 309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가 209에서 309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2022년 4월 19일부터 KTX 2편성에 한해 [[KTCS-2]] 사용을 시작했다.<ref>[http://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86649 ‘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 전라선 구간 사용 개시], 국토교통부 보도자료</ref>


== 문제점 ==
== 문제점 ==
43번째 줄: 47번째 줄:


=== SRT 개통 이후 ===
=== SRT 개통 이후 ===
국토교통부의 민영화 정책으로 인해 [[수서평택고속선]]을 [[주식회사 SR]]이 운영하기로 결정되었고, SRT라는 별도의 고속열차를 도입하게 되면서 또다른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SRT는 고속선 면허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라선 투입이 제한되었다는 점. 정치권 등에서 개입해서 일단 SRT 투입의 약속을 받아내기는 했지만, 아직 확정 발표는 없는 상태다.
국토교통부의 민영화 정책으로 인해 [[수서평택고속선]]을 [[주식회사 SR]]이 운영하기로 결정되었고, SRT라는 별도의 고속열차를 도입하게 되면서 또다른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SRT는 고속선 면허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라선 투입이 제한되었다는 점. 정치권 등에서 개입해서 일단 SRT 투입의 약속을 받아내기는 했지만, 아직 확정 발표는 없는 상태다.  


SRT 개통으로 인한 시각표 개정 과정에서 KTX의 증차는 이뤄졌으나, 증편된 열차중 일부가 기존 호남선을 운행하는 서대전역 경유 2왕복이 전라선 계통에 편성되었다. 해당 운행계통은 시각표 개정 이전 서대전 경유 익산 종착 650번대 KTX 계통이 열차번호가 780번대로 변경되면서 증차되었고, 이중 2왕복의 종착역을 익산에서 여수엑스포로 연장한 형태이다. 따라서 증편된 2왕복은 [[호남고속선]] 개통 이전 운행계통을 완벽하게 복원한 임시방편에 불과하며, 운행시간 역시 호남고속선 경유편성에 비해 40–50분 가량 늘어나기에 실질적인 증편효과는 미미하다. 당장 이런 [[조삼모사]]식 증차에 연선 지자체의 여론은 매우 싸늘하다.<ref>[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8733 KTX 전라선 증편 이름뿐이다], 전북도민일보, [[2016년]] [[11월 2일]]</ref><ref>SRT 시각표 개정 이전부터 [[호남고속선]] 완공 이후 존재했었던 서대전 경유 익산 종착도 전라선 연선 지자체의 반응은 매우 험악했는데, 그이유는 코레일측이 서대전 경유 편성을 모두 전라선 계통으로 몰빵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개통을 앞두고 총선이 임박하면서 해당 지역구의 정치인들이 연대투쟁하는 진통을 겪은 끝에 전라선은 호남고속선 경유로 정리가 되었던 것. 그러나 SRT 개통이라는 명목으로 증차를 하는 시늉을 하면서 실질적으로는 운행시간이 늘어나버린 서대전 경유를 2왕복 집어넣으니 당연히 전라선 연선 여론은 싸늘할 수밖에 없다.</ref> 특히 논산역~서대전역 사이의 굴곡진 선형으로 인한 표정속도 감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구간에 대한 대대적인 선형개량 및 고속화가 병행되어야 하는데, 그간 [[호남고속선]] 건설로 인한 중복투자 문제 등으로 지지부진하였으나 2016년 발표된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가수원 ~ 논산 구간에 대한 선형개량 및 고속화 작업이 포함<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617_0014158744 호남선 가수원~논산구간 제3차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 뉴시스, [[2016년]] [[6월 17일]]</ref>되어 해당 계통 열차 운행시간이 감소할 전망이다.
SRT 개통으로 인한 시각표 개정 과정에서 KTX의 증차는 이뤄졌으나, 증편된 열차중 일부가 기존 호남선을 운행하는 서대전역 경유 2왕복이 전라선 계통에 편성되었다. 해당 운행계통은 시각표 개정 이전 서대전 경유 익산 종착 650번대 KTX 계통이 열차번호가 780번대로 변경되면서 증차되었고, 이중 2왕복의 종착역을 익산에서 여수엑스포로 연장한 형태이다. 따라서 증편된 2왕복은 [[호남고속선]] 개통 이전 운행계통을 완벽하게 복원한 임시방편에 불과하며, 운행시간 역시 호남고속선 경유편성에 비해 40–50분 가량 늘어나기에 실질적인 증편효과는 미미하다. 당장 이런 [[조삼모사]]식 증차에 연선 지자체의 여론은 매우 싸늘하다.<ref>[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8733 KTX 전라선 증편 이름뿐이다], 전북도민일보, {{날짜|2016-11-2}}</ref><ref>SRT 시각표 개정 이전부터 [[호남고속선]] 완공 이후 존재했었던 서대전 경유 익산 종착도 전라선 연선 지자체의 반응은 매우 험악했는데, 그이유는 코레일측이 서대전 경유 편성을 모두 전라선 계통으로 몰빵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개통을 앞두고 총선이 임박하면서 해당 지역구의 정치인들이 연대투쟁하는 진통을 겪은 끝에 전라선은 호남고속선 경유로 정리가 되었던 것. 그러나 SRT 개통이라는 명목으로 증차를 하는 시늉을 하면서 실질적으로는 운행시간이 늘어나버린 서대전 경유를 2왕복 집어넣으니 당연히 전라선 연선 여론은 싸늘할 수밖에 없다.</ref> 특히 논산역~서대전역 사이의 굴곡진 선형으로 인한 표정속도 감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구간에 대한 대대적인 선형개량 및 고속화가 병행되어야 하는데, 그간 [[호남고속선]] 건설로 인한 중복투자 문제 등으로 지지부진하였으나 2016년 발표된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가수원 ~ 논산 구간에 대한 선형개량 및 고속화 작업이 포함<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617_0014158744 호남선 가수원~논산구간 제3차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 뉴시스, {{날짜|2016-6-17}}</ref>되어 해당 계통 열차 운행시간이 감소할 전망이다.


== 운행 ==
== 운행 ==
51번째 줄: 55번째 줄:


=== 고속철도 ===
=== 고속철도 ===
전라선 고속화 사업 이후에 [[KTX]]가 본격적으로 투입되기 시작했다. 2017년 현재는 [[호남고속선]]을 이용해 운행하는 계통과, 기존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호남선]]을 이용해 운행하는 두 계통이 운행된다.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 또는 [[호남선]] 구간이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전라선 고속화 사업 이후에 [[KTX]]가 본격적으로 투입되기 시작했다. 2017년 현재는 [[호남고속선]]을 이용해 운행하는 계통과, 기존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호남선]]을 이용해 운행하는 두 계통이 운행된다.
* '''KTX''' (500): ''[[용산역|용산]] - [[익산역|익산]] -'' [[전주역|전주]] - [[남원역|남원]] - [[순천역|순천]] - [[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1일 14왕복 운행)
* '''KTX''' (580): ''용산 - [[서대전역|서대전]] - [[논산역|논산]] -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수엑스포 (1일 4왕복 운행<ref>전구간은 2왕복</ref>)
* '''SRT''' (680): ''[[수서역|수서]]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수엑스포 (1일 2왕복)


선형을 개선하여 KTX를 운행하고 있지만 최대 200 km/h까지만 속도를 낼 수 있어, 지역에서 고속화 요구가 계속 있었다. 결국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었다.
* '''KTX''' (500): ([[호남고속선]] [[공주역|공주]] 경유 ←) [[익산역|익산]] - [[전주역|전주]] - [[남원역|남원]] - [[곡성역|곡성]] - [[구례구역|구례구]] - [[순천역|순천]] - [[여천역|여천]] - [[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1일 12왕복 운행)
* '''KTX''' (580): ([[호남선]] [[서대전역|서대전]] 경유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1일 2왕복 운행)


=== ITX ===
=== ITX-새마을 ===
[[ITX]]'''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로 차량은 [[ITX-마음]]과 [[ITX-새마을]]을 사용한다. 전술한대로 과거에는 포항 및 울산 발착의 새마을호도 운행했으나, 현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및 [[호남선]] 구간이다.
[[ITX-새마을]]'''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기울임체''로 표기된 구간은 [[경부선]] 및 [[호남선]] 구간이다.
* '''ITX-마음''' (1180): ''용산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서대전역|서대전]] - [[논산역|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역|곡성]] - [[구례구역|구례구]] - 순천 - [[여천역|여천]] - 여수엑스포 (1일 2왕복)
 
* '''ITX-새마을''' (108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1일 2왕복)
* '''ITX-새마을''' (1080): ''[[용산역|용산]]''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서대전역|서대전]]'' - ''[[논산역|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1일 2왕복)


=== 무궁화호 ===
=== 무궁화호 ===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이다. ITX 열차보다 더 많은 역을 정차한다. 현재 운행되는 전라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기울임체''로 표기된 구간은 [[경부선]] 및 [[호남선]] 구간이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고,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이다. 과거 [[누리로]]로 운행한 적이 있다.  ITX-새마을 (1120)의 정차역에 더해 더 많은 역을 정차하나 정차역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현재 운행되는 전라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기울임체''로 표기된 구간은 [[경부선]] 및 [[호남선]] 구간이다.
* '''무궁화호''' (150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역|평택]] - 천안 - [[조치원역|조치원]] - 서대전 - 논산 -'' 익산 - 전주 - [[임실역|임실]] - [[오수역|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1일 10왕복<ref>전구간은 4왕복</ref>)


=== 관광열차 ===
* '''무궁화호''' (1500, 1530<sup>일부 구간만 운행</sup>):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역|평택]] - 천안 - [[조치원역|조치원]] - 서대전 - [[계룡역|계룡]] - 논산'' - 익산 - 전주 - [[오수역|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1일 9왕복, 구간 운행은 3왕복)
* [[남도해양관광열차]] 전라선 (2520)


== 역 목록 ==
== 역 목록 ==
* '''K''': 서대전 경유 KTX 및 전라선 SRT, '''I''': ITX-마음 및 ITX-새마을, '''무''': 무궁화호
* '''K''': 서대전 경유 KTX, '''''': ITX-새마을, '''무''':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새''': 일부 ITX-새마을만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 필수 정차역, ▲: 일부 열차 정차역, ┃: 통과역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정거장
! 역명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KTX}}; color: white;" | K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KTX}}; color: white;" | K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color: white;" | I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102번째 줄: 102번째 줄:
| [[삼례역|삼례]]
| [[삼례역|삼례]]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완주군]]
| [[완주군]]
148번째 줄: 148번째 줄:
| [[임실역|임실]]
| [[임실역|임실]]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
162번째 줄: 162번째 줄:
| [[오수역|오수]]
| [[오수역|오수]]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212번째 줄: 212번째 줄:
| [[곡성역|곡성]]
| [[곡성역|곡성]]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228번째 줄: 228번째 줄:
| [[구례구역|구례구]]
| [[구례구역|구례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306번째 줄: 306번째 줄:
|}
|}


=== 폐역 ===
== 지선 ==
*[[춘포역]]
지선이 많지 않으므로, 본문에서 서술하기로 한다.
*[[덕진역]]
 
=== 북전주선 ===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북전주선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그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0901
|구간 = [[동산역|동산]] ~ [[북전주역|북전주]] <small>(1.7 km, 2개)</small>
|개통일 = [[1914년]] [[11월 17일]]
|폐지일 =
|선로 = 1
|전기 = 비전철
|주석 = 나머지 정보는 전라선과 동일
}}
 
1981년 전주 시내 구간 이설 전까지 원래 전라선이었던 구간으로, 화물 수송 목적으로 남겨진 구선 지선이다. 여객취급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지만 전주시 주요 공업지대인 팔복동 일대의 물류 수송을 담당하는 제법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전주페이퍼 공장 등의 수요가 꾸준하게 발생하며, 이를 위해 북전주역을 지나 공장 안까지 인입선이 깔려있다. 주로 이들 화물은 인근 동산역이나 동익산역에서 컨테이너를 분류해 화차에 적재하는 식으로 수송된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km
! 역명
! 연계 노선
|-
| style="text-align: right;" | 0.0
| [[동산역|동산]]
| style="text-align: left;" | 전라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1.7
| [[북전주역|북전주]]
| style="text-align: left;" |
|-
|}
{{-}}
 
=== 여천선 ===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여천선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그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0902
|구간 = [[덕양역|덕양]] ~ [[적량역|적량]] <small>(11.6 km, 3개)</small>
|개통일 = [[1969년]] [[5월 1일]]
|폐지일 =
|선로 = 1
|전기 = 비전철
|주석 = 나머지 정보는 전라선과 동일
}}
 
여수반도 동북쪽에 자리잡은 여수산업단지(구 여천공단)의 화물 인입 기능을 위해 1960년대 말에 생겨난 철도다. 현재는 화물 수송만 이루어지지만,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소소하게 여객 수송이 이루어진 적이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km
! 역명
! 연계 노선
|-
| style="text-align: right;" | 0.0
| [[덕양역|덕양]]
| style="text-align: left;" | 전라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6.2
| [[흥국사역|흥국사]]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11.6
| [[적량역|적량]]
| style="text-align: left;" |
|-
|}
{{-}}
 
== 폐역 목록 ==
{{참조|분류:전라선의 폐역}}
<!--*[[춘포역]]
*[[송천역]]
*[[송천역]]
*[[아중역]]
*[[아중역]]
*[[오류역]]
*[[오류역]]
*[[상동역 (남원)|상동역]]
*[[침곡역]]
*[[침곡역]]
*[[동순천역]]
*[[동순천역]]
*[[신풍역 (여수)|신풍역]]
*[[신풍역]]
*[[미평역]]
*[[미평역]]
*[[만성임시승강장]]
*[[만성역]]
*[[여수항역]]
*[[여수부두역]]
*[[여수부두역]]


== 지선 ==
===전주 시내 이설 구간(1981) ===
* [[북전주선]]
[[동산역]] - [[북전주역]] - [[덕진역]] - [[신리역]]
* [[여천선]]
옛 전주역과 신리역 사이에 "색장역"이 존재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 역이 기록된 자료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발견되는 대로 추가 예정.
-->


{{각주}}
{{각주}}
329번째 줄: 405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전라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