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문법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학술 관련 정보}}
[[분류:문법]]
[[분류:일본어]]
== 개요 ==
== 개요 ==
일본어 문법은 [[19세기]]부터 현대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에 비해 한 세기 정도 앞선 만큼 체계와 규칙성이 잘 정리된 측면이 있다. 또 그 때문에 타국어 사용자가 접하기 쉬운 언어가 되었기도 하다.
일본어 문법을 현대적으로 연구하기 시작된 것은 [[19세기]]이다. 한국어에 비해 한 세기 정도 앞선만큼 체계와 규칙성이 잘 정리된 측면이 있다. 또 그때문에 타국어 사용자가 접하기 쉬운 언어가 되었기도 하다.


단순 학습자에게 일본어의 문법은 간단히 정리하자면 어미의 활용의 비중이 크다 할 수 있다. 특히, 형용사와 동사는 그 어미 변화가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일본어의 조사는 일본어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일본어와 같이 조사를 덧붙여서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을 가진 한국어 화자의 경우에는, 그저 한국어의 그것과 같겠거니라고 생각해 잘못되거나 어색한 표현을 만들어 내거나, 일본어 직역투 같은 번역체를 만들어냈다.
단순 학습자에게 일본어의 문법은 간단히 정리하자면 어미의 활용의 비중이 크다 할 수 있다. 특히, 형용사와 동사는 그 어미 변화가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일본어의 조사는 일본어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일본어와 같이 조사를 덧붙여서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을 가진 한국어 화자의 경우에는, 그저 한국어의 그것과 같겠거니라고 생각해 잘못되거나 어색한 표현을 만들어 내거나, 일본어 직역투 같은 번역체를 만들어냈다.
14번째 줄: 17번째 줄:


== 어순 ==
== 어순 ==
일본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한국어와 같은 SOV(Subject Object Verb; 주어-목적어-동사)의 형태를 취한다.
일본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한국어와 같은 SOV(Subject Object Verb; 주어-목적어-동사)의 형태를 취한다.  
 
한국어와 비교를 해보면, 한국어에서는 "나는 치킨을 먹는다"라는 문장을 보았을 때, 주어(나), 목적어(치킨), 동사(먹다)의 형태를 취한다.  
한국어와 비교를 해보면, 한국어에서는 "나는 치킨을 먹는다"라는 문장을 보았을 때, 주어(나), 목적어(치킨), 동사(먹다)의 형태를 취한다.
 
일본어는 「私はチキンを食べる」라는 문장을 보았을 때, 주어(私), 목적어(チキン), 동사(食べる)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어는 「私はチキンを食べる」라는 문장을 보았을 때, 주어(私), 목적어(チキン), 동사(食べる)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어순상의 유사성으로 한국인들은 일본어를 쉽게 학습할 수 있다.
이런 어순상의 유사성으로 한국인들은 일본어를 쉽게 학습할 수 있다.


31번째 줄: 32번째 줄:


== 명사 ==
== 명사 ==
명사(名詞)는 사물을 나타내는 단어를 이르는 말로, 품사의 하나이다. 일본어 문법에서는 명사를 자립어로 활용하지 않고, 문장의 주어로 기능할 수 있는 단어라 정의한다. 명사는 다시 고유명사와 보통명사로 나뉘는데, 고유명사는 특정한 사람의 이름 또는 사물의 고유한 이름을 의미하며 보통명사는 일반적으로 전반적으로 두루 쓰이는 이름을 의미한다.
명사(名詞)란 사물의 이름을 말해주는 품사이다. 명사는 다시 고유명사와 보통명사로 나뉘는데, 고유명사는 특정한 사람의 이름 또는 사물의 고유한 이름을 의미하며 보통명사는 일반적으로 전반적으로 두루 쓰이는 이름을 의미한다.
 
== 대명사 ==
대명사(代名詞)는 명사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단어를 이르는 말로, 크게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로 나뉜다. 대명사는 명사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보기도 하고, 하나의 독립된 품사로 보기도 하는데, 학교 문법에서는 전자를 채택하고 있다.
 
=== 인칭 대명사 ===
=== 인칭 대명사 ===
{| class="wikitable infobox"
{| class="wikitable infobox"
49번째 줄: 46번째 줄:
|}
|}
상대방과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세세하게 따지는 일본 문화의 특성에 맞게, 일본어는 인칭 대명사의 쓰임이 매우 다양하다. 오른쪽의 표는 현대 일본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칭 대명사만을 적어둔 것이다.
상대방과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세세하게 따지는 일본 문화의 특성에 맞게, 일본어는 인칭 대명사의 쓰임이 매우 다양하다. 오른쪽의 표는 현대 일본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칭 대명사만을 적어둔 것이다.
==== 1인칭 대명사 ====
==== 1인칭 대명사 ====
일본어의 기본적인 1인칭 대명사는 私(わたし、あたし、わたくし)、僕(ぼく)、俺(おれ) 등이 있다. 이외에도 我(われ)는 옛말이나 힘줌말로, 儂(わし)는 사투리에서 사용되는 등 매우 다양하다.
일본어의 기본적인 1인칭 대명사는 私(わたし、あたし、わたくし)、僕(ぼく)、俺(おれ) 등이 있다. 이외에도 我(われ)는 옛말이나 힘줌말로, 儂(わし)는 사투리에서 사용되는 등 매우 다양하다.
98번째 줄: 94번째 줄:
|}
|}
참고로 人(ひと)의 높임말은 方(かた)이고, こちら~どちら는 こっち, そっち, あっち, どっち로 바꿔 말할 수 있지만 경칭성을 잃는다.
참고로 人(ひと)의 높임말은 方(かた)이고, こちら~どちら는 こっち, そっち, あっち, どっち로 바꿔 말할 수 있지만 경칭성을 잃는다.
==== 기타 인칭 대명사 ====
아래 인칭 대명사들은 자주 쓰이지 않으며, 주로 특정 지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언이거나, 고어(古語)들이다.
*わっち(私):1인칭 'わたし'에서 변형된 말로 한자는 'わたし’와 동일하다. 주로 하층민들이 사용하던 말이었다.
== 동사 ==
한국어의 동사와 마찬가지로 사물의 동작・작용・상태・존재 등을 나타낸다. 형용사(形容詞, い형용사라고도 함)・형용동사(形容動詞, な형용사라고도 함)와 함께 용언(用言)에 속한다. 즉, 활용(活用, 어떠한 말이 용법의 차이에 따라 체계적으로 어형 변화를 하는 것)을 하는 자립어(自立語, 단독으로 문절을 구성할 수 있는 단어)로, 문장 내에서 단독으로 서술어로써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종지형은 그 어미(語尾)가 う단의 음을 가진다. 이는 일본어의 동사의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이다. 그러나 有り(あり, 있다), 居り(をり, 있다) 등 몇몇 동사의 경우 특수하게 종지형의 어미가 い단의 음을 가지기도 한다.<ref>이 문단의 내용을 엄밀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본어의 동사의 종지형(終止形)은 일반적으로는 う단의 음으로 끝나지만, 문어(文語)의 동사의 활용 형식 중 하나인 ラ행 변격(ラ行変格)에 따라 활용하는 동사[有り(あり, 있다), 居り(をり, 있다), 侍り(はべり, いる의 겸양어, ある・いる의 정녕어), 在すがり(いますがり, あり・をり의 존경어) 등]에 한하여 종지형이 い단의 음인 り로 끝난다."</ref>
5단, 상1단, 하1단, カ행 변격, サ행 변격의 다섯 종류의 활용 형식이 있으며, 각각의 활용 형식에 따라 활용하는 동사를 각각 5단 동사, 상1단 동사, 하1단 동사, カ행 변격 동사, サ행 변격 동사라고 부른다.<ref>간편함을 위해 1류동사(5단), 2류동사(상1단, 하1단), 3류동사(サ변, カ변)로 나누기도 한다.</ref>
=== 동사의 활용 ===
일본어의 동사는 미연형(未然形)・연용형(連用形)・종지형(終止形)・연체형(連体形)・가정형(仮定形)・명령형(命令形)의 여섯 가지의 활용형을 취한다.
* 미연형(未然形)은 동사에 부정(否定)의 조동사 ない, 사역(使役)의 조동사 せる・させる, 수동(受動)의 조동사 れる・られる, 의지(意志)의 조동사 う・よう 등이 이어질 때에 동사가 취하는 활용형이다.
* 연용형(連用形)은 동사에 의하여 문장이 중지(中止)될 때에 동사가 취하는 활용형이다.
* 종지형(終止形)은 동사에 의하여 문장이 종결될 때에 동사가 취하는 활용형이다.
* 연체형(連体形)은 동사에 체언(体言)이 이어질 때에 동사가 취하는 활용형으로, 일반적으로 연체 수식어(連体修飾語, 체언을 수식하는 수식어)로 이용된다.
* 가정형(仮定形)은 동사의 뒤에 접속 조사 ば가 이어질 때에 동사가 취하는 활용형이다.
* 명령형(命令形)은 동사에 의하여 명령문(命令文, 화자가 청자에게 무엇을 시키거나 행동을 요구하는 문장)이 종결될 때에 동사가 취하는 활용형이다.
위에서 말하였지만, 일본어의 동사는 어떠한 활용 형식을 따르는지에 따라 5단 동사, 상1단 동사, 하1단 동사, カ행 변격 동사, サ행 변격 동사의 다섯 종류로 나누어진다.
* カ행 변격 동사는 활용 시에 「'''こ'''・'''き'''・'''く'''る・'''く'''る・'''く'''れ・'''こ'''い」와 같이 그 형태가 カ행에서 イ단, ウ단, オ단의 세 개의 단에 걸쳐 변화하는 동사이다.
* サ행 변격 동사는 활용 시에 「'''し'''/'''せ'''/'''さ'''・'''し'''・'''す'''る・'''す'''る・'''す'''れ・'''し'''ろ/'''せ'''よ」와 같이 그 형태가 サ행에서 ア단, イ단, ウ단, エ단의 네 개의 단에 걸쳐 변화하는 동사이다.
어떠한 동사가 이 다섯 가지의 범주 중에서 어떠한 범주에 속하는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일본어 학습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인데, 이는 활용의 양상이 판이하기 때문이다.
5단 동사는 어미가 う, く, ぐ, す, つ, ぬ, ぶ, む, る로 끝나는 동사를 의미한다. 상1단 동사와 하1단 동사는 어미가 る로 끝나는 동사를 의미한다.  불규칙 동사는 カ행 변격 동사(来る;오다), サ행 변격 동사(する;하다)로 나뉜다.
이렇게 말하면 아마 '장난해? る로 끝나는 단어는 그럼 어떻게 구분해?'라는 의문이 생기는 게 당연하다. 애초에 단순히 る로 끝나는 단어로는 이 단어가 5단 동사인지, 상1단 동사인지, 하1단 동사인지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5단 동사의 る는 る앞에 あ、う、お단(a, u, o단)이 앞에 온다, 즉  あ、う、お단(a, u, o단)+る의 형식을 취한다. 예를 들어 '''あ'''る('''a'''ru)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상1단 동사는 い단(i단)+る의 형식을 취한다. 예를 들어 見る('''み'''る;'''mi'''ru)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하1단 동사는 え단(e단)+ る의 형식을 취한다. 예를 들어 食べる(た'''べ'''る;ta'''be'''ru)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문제는 상1단 동사의 형식을 따르지만 그 변화는 5단 동사를 따르는 동사가 있다. 이를 예외 5단 동사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일본어=|要|r=い}}る(필요하다), {{일본어=|帰|r=かえ}}る(돌아가[오]다), {{일본어=|限|r=かぎ}}る(제한하다), {{일본어=|切|r=き}}る(자르다), {{일본어=|蹴|r=け}}る(차다), {{일본어=|知|r=し}}る(알다), {{일본어=|入|r=はい}}る(들어가다), {{일본어=|走|r=はし}}る(달리다), {{일본어=|参|r=まい}}る(가다, 오다의 겸양어)
이 외에도 예외 5단 동사는 나올 때마다 외워 주는 것이 좋다.
=== 동사의 활용의 예시 ===
==== 5단 동사(1류 동사)의 활용의 예시 ====
{| class="wikitable"
|-
! 동사 !! 어간 !! 미연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가정형 !! 명령형
|-
| 合う || あ || わ || い || う || う || え || え
|-
| 書く || か || か || き || く || く || け || け
|-
| 嗅ぐ || か || が || ぎ || ぐ || ぐ || げ || げ
|-
| 指す || さ || さ || し || す || す || せ || せ
|-
| 立つ || た || た || ち || つ || つ || て || て
|-
| 死ぬ || し || な || に || ぬ || ぬ || ね || ね
|-
| 呼ぶ || よ || ば || び || ぶ || ぶ || べ || べ
|-
| 組む || く || ま || み || む || む || め || め
|-
| 有る || あ || ら || り || る || る || れ || れ
|}
==== 1단 동사(2류 동사)의 활용의 예시 ====
상1단동사와 하1단동사의 차이는 -る앞이 い단이냐 え단이냐로, 활용에서는 차이가 없다
{| class="wikitable"
|-
! 동사 !! ない형 !! ます형 !! 사전형 !! ば형 !! 명령형 !!의지형
|-
|みる || みない || みます || みる || みれば || みろ || みよう
|-
| たべる || たべない || たべます || たべる || たべれば || たべろ || たべよう
|}
==== 변격 동사(3류 동사)의 활용의 예시 ====
변격동사는 불규칙활용이란 뜻이기도 하다.<br />
이에 대비하여 위에 서술한 5단동사와 1단동사는 정격동사라고 한다.<br />
여기서는 편의상 さ행변격동사와 か행변격동사를 함께 다룬다.
{| class="wikitable"
|-
! 동사 !! 어간 !! 미연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가정형 !! 명령형
|-
| する || - || し/さ/せ || し || する || する || すれ || しろ/せよ
|-
| くる || - || こ || き || くる || くる || くれ || こい
|}


== 형용사 ==
== 형용사 ==
일본어의 형용사는 い형용사와 な형용사(형용동사)로 나뉜다. 일본어의 형용사는 어간과 어미로 나뉘며, 어미 부분이 변화하여 활용을 하게 된다.
일본어의 형용사는 い형용사와 な형용사(형용동사)로 나뉘어진다. 일본어의 형용사는 어간과 어미로 나뉘며, 어미 부분이 변화하여 활용을 하게 된다.  


=== い형용사 ===
=== い형용사 ===
273번째 줄: 178번째 줄:


대부분이 한자어(綺麗だ、上手だ)나 외래어(クールだ、ポジティブだ)에 접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 때문에
대부분이 한자어(綺麗だ、上手だ)나 외래어(クールだ、ポジティブだ)에 접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 때문에
일본어 학계에서는 애당초 ~な형용사는 형용사가 아니라 명사로 취급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일본어 학계에서는 애시당초 ~な형용사는 형용사가 아니라 명사로 취급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上手の方(잘 하시는 분)、高価の本(고가의 책, 비싼 책)과 같이 명사와 명사를 이어주는 の를 な대신에 넣어줘도  
上手の方(잘 하시는 분)、高価の本(고가의 책, 비싼 책)과 같이 명사와 명사를 이어주는 の를 な대신에 넣어줘도  
이상하지 않기 때문이다.(단,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와 그렇지 않은 단어가 나뉘어 있다.)
이상하지 않기 때문이다.(단,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와 그렇지 않은 단어가 나뉘어져 있다.)


아래는 親切だ로 활용한 일례다.
아래는 親切だ로 활용한 일례다.
286번째 줄: 191번째 줄:
  추량형:親切だろう(친절하겠지)
  추량형:親切だろう(친절하겠지)


== 조동사 ==
== 동사 ==
용언(用言, 동사・형용사・형용동사)이나 여타의 조동사에 붙어 말이 행하고 있는 서술(叙述)의 기능을 돕거나, 체언(体言)이나 여타의 말에 붙어 그 말이 서술의 기능을 행하게끔 하는 말이다.
학술적으로는 5단동사, 상1단동사, 하1단동사, サ행변격동사, カ행변격동사로 나눈다.<ref>간편함을 위해 1류동사(5단), 2류동사(상1단, 하1단), 3류동사(サ변, カ변)로 나누기도 한다.</ref>
 
일본어 동사는 사전형의 어미가 う단으로 끝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동사 종류 정의 ===
위에서 말했듯이 일본어 동사는 5단 동사, 상1단 동사, 하1단 동사, サ행변격동사, カ행변격동사로 나뉘어진다. 동사의 종류가 중요한 이유는 활용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5단 동사는 어미가 う, く, ぐ, す, つ, ぬ, ぶ, む, る로 끝나는 동사를 의미한다. 상1단 동사와 하1단 동사는 어미가 る로 끝나는 동사를 의미한다.  불규칙 동사는 カ행변격동사(来る;오다), サ행변격동사(する;하다)로 나뉜다.
 
이렇게 말하면 아마 '장난해? る로 끝나는 단어는 그럼 어떻게 구분해?'라는 의문이 생기는 게 당연하다. 애초에 단순히 る로 끝나는 단어로는 이 단어가 5단 동사인지, 상1단 동사인지, 하1단 동사인지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5단 동사의 る는 る앞에 あ、う、お단(a, u, o단)이 앞에 온다, 즉  あ、う、お단(a, u, o단)+る의 형식을 취한다. 예를 들어 '''あ'''る('''a'''ru)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상1단 동사는 い단(i단)+る의 형식을 취한다. 예를 들어 見る('''み'''る;'''mi'''ru)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하1단 동사는 え단(e단)+ る의 형식을 취한다. 예를 들어 食べる(た'''べ'''る;ta'''be'''ru)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문제는 상1단 동사의 형식을 따르지만 그 변화는 5단 동사를 따르는 동사가 있다. 이를 예외 5단 동사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帰る(돌아가[오]다), 走る(달리다), {{ruby-ja|入|はい}}る(들어가다), 切る(자르다), 限る(제한하다), 要る(필요하다), 蹴る(차다), 参る(가다, 오다의 겸양어), 知る(알다)
 
이 외에도 예외 5단 동사는 나올 때마다 외워 주는 것이 좋다.
 
=== 동사의 활용 ===
"?단 동사"에서 ?숫자는 임의로 정해진 것이 아니다.
?개의 단을 사용하여 활용한다는 뜻이다.
==== 5단동사(1류동사) ====
{| class="wikitable"
|-
! 동사 !! ない형 !! ます형 !! 사전형 !! ば형 !! 명령형 !!의지형
|-
| やる || やらない || やります || やる || やれば || やれ ||やろう
|}
==== 1단동사(2류동사) ====
상1단동사와 하1단동사의 차이는 -る앞이 い단이냐 え단이냐로, 활용에서는 차이가 없다
 
{| class="wikitable"
|-
! 동사 !! ない형 !! ます형 !! 사전형 !! ば형 !! 명령형 !!의지형
|-
|みる || みない || みます || みる || みれば || みろ || みよう
 
|-
| たべる || たべない || たべます || たべる || たべれば || たべろ || たべよう
|}
 
==== 변격동사 (3류동사) ====
변격동사는 불규칙활용이란 뜻이기도 하다.<br />
이에 대비하여 위에 서술한 5단동사와 1단동사는 정격동사라고 한다.<br />
여기서는 편의상 さ행변격동사와 か행변격동사를 함께 다룬다.
 
{| class="wikitable"
|-
! 동사 !! ない형 !! ます형 !! 사전형 !! ば형 !! 명령형 !!의지형
|-
| する || しない || します || する || すれば || しろ || しよう
|-
| くる || こない || きます || くる || くれば || こい || こよう
|}


== 조사 ==
== 조사 ==
295번째 줄: 255번째 줄:
== 일본어의 의문사 ==
== 일본어의 의문사 ==
=== 시간과 관련된 의문사 ===
=== 시간과 관련된 의문사 ===
* いつ :'''언제'''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의문사, 보통 하루 중의 시간을 물을 땐 何時를 쓰는 경향이 있다.
* いつ :'''언제'''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의문사, 보통 하루 중의 시간을 물을 땐 何時를 쓰는 경향이 있다.  
 
=== 수량과 관련된 의문사 ===
=== 수량과 관련된 의문사 ===
*いくら:ひとつ、ふたつ、みっつ의 의문사 형 및 가격을 물어볼 때 사용하는 의문사로 '''몇 (개), 얼마(수, 가격)'''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보통 その本、いくらですか의 형식으로 가격을 물어볼 때 사용한다.
*どのくらい、どのぐらい、どれくらい、どれぐらい:'''어느 정도, 얼마나'''라는 뜻을 가진 의문사.
=== 문법적으로 명사 앞에서 사용되는 의문사===
=== 문법적으로 명사 앞에서 사용되는 의문사===
*どの:この、その、あの의 의문사로 '''어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どんな:こんな、そんな、あんな의 의문사형으로 '''어떤'''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위치와 관견된 의문사 ===
=== 위치와 관견된 의문사 ===
* どこ:ここ、そこ、あそこ의 의문사형으로 '''어디'''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의문사, 주로 위치를 물을때 사용하며 학교, 회사 명칭을 물을 경우에도 사용한다.
* どこ:ここ、そこ、あそこ의 의문사형으로 '''어디'''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의문사, 주로 위치를 물을때 사용하며 학교, 회사 명칭을 물을 경우에도 사용한다. 
*どちら:こちら、そちら、あちら의 의문사형으로 '''어느 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こっち、そっち、あっち의 의문사형은 どっち가 된다. どちら가 どっち보다 공손한 말로 사용된다
*どちら:こちら、そちら、あちら의 의문사형으로 '''어느 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こっち、そっち、あっち의 의문사형은 どっち가 된다. どちら가 どっち보다 공손한 말로 사용된다
*どれ: これ、それ、あれ의 의문사형으로 '''어느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どれ: これ、それ、あれ의 의문사형으로 '''어느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이유 등을 물어볼 때 사용하는 의문사 ===


== 경어 ==
== 경어 ==
319번째 줄: 271번째 줄:
|+
|+
| 会う (만나다)
| 会う (만나다)
| お会いになる<br />会われる
| お会いになる<br/>会われる
| 会います
| 会います
| お目にかかる<br />お目もじする
| お目にかかる<br />お目もじする
339번째 줄: 291번째 줄:
|}
|}


화자 혹은 필자가 상대방이나 화제(話題, 이야기의 제목)가 되는 인물에 대하여 경의(敬意, 존경하는 뜻)를 표시하는 언어 표현이다.[[일본어/문법#조사|조사]]의 경우처럼 사람간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일본인은 언어에 경어를 매우 발전시켰다. 오른쪽의 표는 대표적인 어휘 몇 가지의 경어 표현을 보여준다. 그러나 경어는 단순히 접두사/접미사를 붙이거나 어휘를 바꾸는 것뿐 아니라 전혀 다른 관용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는 만큼, 정답이 없다고 볼 수 있다. <del>그래서 답이 없나보다.</del>
[[일본어/문법#조사|조사]]의 경우처럼 사람간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일본인은 언어에 경어를 매우 발전시켰다. 오른쪽의 표는 대표적인 어휘 몇 가지의 경어 표현을 보여준다. 그러나 경어는 단순히 접두사/접미사를 붙이거나 어휘를 바꾸는 것뿐 아니라 전혀 다른 관용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는 만큼, 정답이 없다고 볼 수 있다. <del>그래서 답이 없나보다.</del>


=== 겸양어 ===
=== 겸양어 ===
화자 혹은 필자가, 자기 자신(自己自身) 혹은 자기편(自己便)에 있다고 판단되는 것에 대하여 겸손한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대방이나 화제가 되는 인물에 대하여 경의를 표시하는 것이다. 겸양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여기서는 쉽게 겸양어 I, 겸양어 II로 나눈다. 겸양어 I은 화자가 상대방 또는 제3자에게 어떤 행위 등을 할 때, 그 행위의 작용을 받는 사람을 높이는 말이다. 겸양어 II는 동작의 주체를 낮추어 청자를 높이는 말이다.
겸양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여기서는 쉽게 겸양어 1, 2로 나눈다. 겸양어 1은 화자가 상대방 또는 제3자에게 어떤 행위 등을 할 때, 그 행위의 작용을 받는 사람을 높이는 말이다. 겸양어 2는 동작의 주체를 낮추어 청자를 높이는 말이다.  


이렇게 문법적으로 설명하면 어려우니 예를 들어보자.
이렇게 문법적으로 설명하면 어려우니 예를 들어보자.  


겸양어 1은 "여기는 길이 복잡하니 제가 안내해드리겠습니다."라는 문장과 같은데. '안내하다'라는 동사를 높여 상대를 높이는 말이다. 겸양어 2는 "정말로 면목이 없습니다" 와 같이 죄송하다라는 말을 더 낮추어 표현해 청자를 높이는 말을 의미한다.
겸양어 1은 "여기는 길이 복잡하니 제가 안내해드리겠습니다."라는 문장과 같은데. '안내하다'라는 동사를 높여 상대를 높이는 말이다. 겸양어 2는 "정말로 면목이 없습니다" 와 같이 죄송하다라는 말을 더 낮추어 표현해 청자를 높이는 말을 의미한다.
355번째 줄: 307번째 줄:


=== 미화어 お와 ご ===
=== 미화어 お와 ご ===
미화어는 말 그대로 뒤에 오는 말을 높이거나 강조할 때, 또는 습관적으로 붙이는 말이다. 예를 들어 {{루비|水|みず}}는 '물'이지만 お{{루비|水|みず}}처럼 お를 붙임으로써 '당신의 물', '그 공원의 약수'와 같은 특별한 의미가 생긴다. 또 手洗い는 '손씻기'이지만 お(오)를 붙여 お{{루비|手|て}}{{루비|洗|あら}}い가 되면 '화장실'이라는 새로운 의미가 생기기도 한다. 접객할 때는 お나 ご를 술어에 붙여 <del>나님의</del>행위를 높이기도 한다.
미화어는 말 그대로 뒤에 오는 말을 높이거나 강조할 때, 또는 습관적으로 붙이는 말이다. 예를 들어 {{루비|水|みず}}는 <del>답을 알고 있는</del>'물'이지만 お{{루비|水|みず}}처럼 お를 붙임으로써 '당신의 물', '그 공원의 약수'와 같은 특별한 의미가 생긴다. 또 手洗い는 '손씻기'이지만 お(오)를 붙여 お{{루비|手|て}}{{루비|洗|あら}}い가 되면 '화장실'이라는 새로운 의미가 생기기도 한다. 접객할 때는 お나 ご를 술어에 붙여 <del>나님의</del>행위를 높이기도 한다.


다음은 습관적으로 미화어를 붙이는 명사나 동사의 목록이다. 더 좋은 예시가 있다면 추가바람.
다음은 습관적으로 미화어를 붙이는 명사나 동사의 목록이다. 더 좋은 예시가 있다면 추가바람.
407번째 줄: 359번째 줄:
|}<br />
|}<br />


다음은 일(日)을 읽는 방법인데, 하루~열흘, 스무날 그리고 2주와 24일을 제외하면 숫자를 읽고 뒤에 ~にち만 붙이면 된다.<br />
다음은 일(日)을 읽는 방법인데, 1~10일, 20일 그리고 14일과 24일 제외하면 숫자를 읽고 뒤에 ~にち만 붙이면 된다.<br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날짜 !! 표기법
! 날짜 !! 표기법
|-
|-
| 초하루 || ついたち
| 1일 || ついたち
|-
|-
| 이틀 || ふつか
| 2일 || ふつか
|-
|-
| 사흘 || みっか
| 3일 || みっか
|-
|-
| 나흘 || よっか
| 4일 || よっか
|-
|-
| 닷새 || いつか
| 5일 || いつか
|-
|-
| 엿새 || むいか
| 6일 || むいか
|-
|-
| 이레 || なのか
| 7일 || なのか
|-
|-
| 여드레 || ようか
| 8일 || ようか
|-
|-
| 아흐레 || ここのか
| 9일 || ここのか
|-
|-
| 열흘 || とうか
| 10일 || とうか
|-
|-
| 14일 || じゅうよっか<ref>십나흗날</ref><br />
| 14일 || じゅうよっか
|-
|-
| 스무날 || はつか
| 20일 || はつか
|-
|-
| 24일|| にじゅうよっか<ref>이십나흗날</ref><br />
| 24일|| にじゅうよっか
|}
|}


=== 일본어의 조수사 ===
=== 일본어의 조수사 ===
==== 가늘고 긴 것을 셀 때 사용하는 本(ほん)====
==== 기계, 인공적인 것을 세는 台(だい) ====
막대기, 연필 등의 가늘고 긴 막대기 모양의 것의 수를 때에는 本(ほん)이라는 조수사를 사용한다. 이 조수사는 한국어의 '자루'라는 명사에 대응된다.
자동차, 컴퓨터, 로봇와 같은 기계류 등을 때 쓰는 단위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숫자 !! 발음
|-
| 1 || いっぽん
|-
| 2 || にほん
|-
| 3 || さんぼん
|-
| 4 || よんほん
|-
| 5 || ごほん
|-
| 6 || ろっぽん
|-
| 7 || ななほん
|-
| 8 || はっぽん
|-
| 9 || きゅうほん
|-
| 10 || じゅっぽん
|-
| 何(몇 자루) || なんぼん
|}
==== 기계, 인공적인 것을 셀 때 사용하는 台(だい) ====
차량이나 기계 등의 수를 셀 때에는 台(だい)라는 조수사를 사용한다. 이 조수사는 한국어의 '대(臺)'라는 명사에 대응된다.
{| class="wikitable"
|-
|-
! 숫자 !! 발음
! 숫자 !! 발음
498번째 줄: 421번째 줄:
|}
|}


==== 사람의 수를 셀 때 사용하는 人(にん) ====
==== 사람의 수를 셀 때 ====
사람의 수를 때에는 人(にん)이라는 조수사를 사용한다. 하지만 한 명을 셀 때와 명을 셀 때에는 예외적으로 ひとり, ふたり라는 표현을 사용한다<ref>실제로는 ひとり와 ふたり 역시 사람의 수를 셀 때 사용하는 조수사가 붙은 표현으로, 이때 사용된 조수사는 り이다(ひと+り→ひとり, ふた+り→ふたり). 그러나, 초중급 수준의 일본어 학습자라면, 이 정도까지 알 필요는 없고, ひとり와 ふたり는 예외적인 표현으로만 알아 두어도 좋을 것이다.</ref>.
사람을 때는 人(にん)을 쓴다. 하지만 한 명, 명은 세는 방법이 다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527번째 줄: 450번째 줄:
|}
|}


==== 얇은 것을 셀 때 사용하는 枚(まい)====
==== 얇은 것을 셀 때 쓰는 枚(まい)====
종이, 판자, 접시 등과 같이 얇고 평평한 것의 수를 때에는 枚(まい)라는 조수사를 사용한다. 이 조수사는 한국어의 '(張)'이라는 명사에 대응된다.
종이, 셔츠, 그릇 등과 같이 '''얇은 것'''을 때 쓰는 단위다. 보통 한국어에서 ~단위를 쓰는 것을 말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숫자 !! 발음
! 숫자 !! 발음
|-
|-
| 1 || いちまい
| 1|| いちまい
|-
|-
| 2 || にまい
| 2 || にまい
557번째 줄: 479번째 줄:
|}
|}


==== 횟수를 셀 때 사용하는 回(かい) ====
==== 횟수를 셀 때 세는 回(かい) ====
횟수 혹은 순서를 때에는 回(かい)라는 조수사를 사용한다. 이 조수사는 한국어의 '회(回)'라는 명사에 대응된다.
몇 번, 몇 회 등 행동 등의 횟수를 때 쓰는 단위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585번째 줄: 507번째 줄:
| 何(몇 회, 번) || なんかい
| 何(몇 회, 번) || なんかい
|}
|}
==번외, 고어(古語)==
[[분류:문법]]
[[분류:일본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