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 아웃 (2015년 영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영상물 정보
{{애니메이션
|영상물이름  = 인사이드 아웃
|구분 = 극장판 원작
|원어이름    = Inside Out
|장르 = 모험, 코미디
|배경색      =  
|제목 = 인사이드 아웃
|글자색      =  
|제목/원어 = Inside Out
|그림         = [[파일:인사이드 아웃 2015 포스터.jpg|150px]]
|제목/영어 =  
|그림설명    =  
|제목/기타 =
|배급사      =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주)
|로고 =  
|방송채널    =  
|그림 = [[File:Inside Out 2015 Poster.jpg|300px]]
|제작사      = 월트 디즈니 픽처스<br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화수 = 1화
|감독        = 피트 닥터<br />로니 델카르멘
|전작 =  
|제작        = 조나스 리베라<br />존 라세터<br />앤드류 스탠튼<br />마크 닐슨
|후속작 =  
|작가        = 피트 닥터<br />멕 러포브<br />조시 쿨리
<!-- 방영 정보: 일본 -->
|출연        = 에이미 포엘러<br />필리스 스미스<br />리차드 카인드<br />루이스 블랙<br />빌 헤이더<br />민디 캘링<br />케이틀린 디아스<br />다이안 레인<br />카일 맥라클란
|방영일자 =
|해설        =
|최속방송 =
|장르        = 애니메이션, 코미디
|방영시각 =  
|나라        =  
|개봉일자 = [[2015년]] [[6월 19일]]
|언어        =  
|상영시간 = 1시간 34분
|연작제목    =  
|방영사이트 =  
|개봉일      = [[2015년]] [[7월 9일]]
|공식사이트 = http://movies.disney.com/inside-out/
|방영일      =  
<!-- 방영 정보: 한국 -->
|방영시각    =  
|한국방영일자 =  
|시즌수      =  
|한국최속방송 =  
|화수        =  
|한국방영시각 =  
|시간        = 94분
|한국개봉일자 = [[2015년]] [[7월 9일]]
|시리즈       =  
|한국상영시간 =
|이전작품    =  
|한국방영사이트 =  
|다음작품    =  
|한국공식사이트 = http://www.disney.co.kr/movies/insideout2015/
|웹사이트    =  
<!-- 제작 정보 -->
|캐릭터원안  =  
|원작 =  
|캐릭터디자인 =  
|총감독 = [[피트 닥터]]
|연출        =  
|감독 = [[존 라세터]], [[조나스 리베라]]
|미술        =  
|시리즈 구성 = 장편영화
|촬영감독    =  
|음악 =
|음악        = 마이클 자키노
|제작사 = [[디즈니]] - [[픽사]]
|여는곡      =  
|제작위원회 =  
|닫는곡      =  
<!-- 세부 제작 정보 -->
|영상포맷    =  
|각본 = [[마이클 안트]]
|음성포맷    =  
|연출 = [[멕 레파우브]]
|번역배급사  =  
|캐릭터 원안 =  
|번역방송채널 =  
|캐릭터 디자인 =  
|번역개봉일  =  
|메카닉디자인 =  
|번역방영일  =  
|배경 = [[미네소타]] -> [[샌프란시스코]]
|번역방영시각 =  
|작화감독 = [[버트 베리]]
|비고        =  
|미술감독 = [[제임스 S. 베이커]]
|색채설계 = [[랠프 에글레스톤]]
|음향감독 = [[존 윌리엄스]]
|음악 =  
|음악제작 = [[마이클 지아치노]]
|촬영감독 =  
|편집 = [[케빈 놀팅]]
|특수효과 =  
|3D감독 =  
|기획 =  
|프로듀스 =  
}}
}}


== 개요 ==
== 개요 ==
[[2015년]]에 개봉한 장편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
[[2015년]]에 개봉한 극장판 장편 [[미국 애니메이션]].


{{youtube|EqZVHEDLeaM|480px|280px}}
{{youtube|EqZVHEDLeaM|480px|280px}}
67번째 줄: 77번째 줄:
=== 라일리의 내면 ===
=== 라일리의 내면 ===
==== 본부 ====
==== 본부 ====
[[파일:Inside Out 2015 Emotions.jpg|300px|thumb|라일리의 다섯 가지 감정]]
[[File:Inside Out 2015 Emotions.jpg|300px|thumb|라일리의 5가지 감정]]
* 기쁨 (Joy) - 그림의 가운데, 매우 밝은 성격으로 {{--|물리적으로도 밝다}} 매사에 의욕적으로 행동한다. 라일리의 감정 중에서 가장 첫 번째로 생겨났으며 그 때문인지 라일리의 주요감정이기도 하다.
* 기쁨 (Joy) - 그림의 가운데, 매우 밝은 성격으로 {{--|물리적으로도 밝다}} 매사에 의욕적으로 행동한다. 라일리의 감정 중에서 가장 첫 번째로 생겨났으며 그 때문인지 라일리의 주요감정이기도 하다.
* 슬픔 (Sadness) - 그림의 오른쪽 끝, 극이 시작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감정으로 어떤 일이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의외로 통찰력이 좋아 극의 반전을 이끌어내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슬픔 (Sadness) - 그림의 오른쪽 끝, 극이 시작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감정으로 어떤 일이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의외로 통찰력이 좋아 극의 반전을 이끌어내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소심 (Fear) - 기쁨이와 슬픔이 사이에 있는 감정, 어떤 일이든지 검토를 여러 번 하는 꼼꼼한 성격이나, 예상 밖의 일이 벌어질 경우 곧바로 패닉 상태로 빠져버린다.
* 소심 (Fear) - 기쁨이와 슬픔이 사이에 있는 감정, 어떤 일이든지 검토를 여러 번 하는 꼼꼼한 성격이나, 예상 밖의 일이 벌어질 경우 곧바로 패닉 상태로 빠져버린다.
* 까칠 (Disgust) - 왼쪽에서 두 번째. 낯선 것에대한 경계심이 있으며 외모에 관심이 많다. 지적인 성향도 있어서 이야기 진행 중 문제가 발생할 때 '감당이 되는 범위 안에서'는 상황을 장악하고 정리하는 능력을 발휘한다.
* 까칠 (Disgust) - 왼쪽에서 두 번째. 낯선 것에대한 경계심이 있으며 외모에 관심이 많다. 지적인 성향도 있어서 이야기 진행 중 문제가 발생할 때 '감당이 되는 범위 안에서'는 상황을 장악하고 정리하는 능력을 발휘한다.
* 버럭 (Anger) - 그림의 왼쪽 끝, 항상 투덜대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는다. 화가 굉장히 나면 머리에서 불을 뿜는다. {{--|용?}}{{-}}
* 버럭 (Anger) - 그림의 왼쪽 끝, 항상 투덜대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는다. 화가 굉장히 나면 머리에서 불을 뿜는다. {{--|용?}}
{{스포일러}}
{{스포일러}}
{{숨기기|이후의 내용은 스토리의 일부분을 포함하기에 감추어졌다. 오른쪽 [펼치기] 링크를 누르면 내용이 나타난다.|
{{숨기기|이후의 내용은 스토리의 일부분을 포함하기에 감추어졌다. 오른쪽 [펼치기] 링크를 누르면 내용이 나타난다.|
102번째 줄: 112번째 줄:
== 트리비아 ==
== 트리비아 ==
* 픽사 영화로썬 처음으로 이렇다 할 악당이 없는 영화이다. 업무상 일어난 사고를 수습하는 스토리이기 때문, 그러나 악당이 없을 뿐이지 나쁜 짓을 하는 캐릭터가 없는 것은 아니다. {{--|빙봉}}<ref>초반에는 몰래 기억들을 훔치고, 지름길이라며 위험한 길로 안내를 하는 등의 행동이 보인다. [[스포일러|그리고 나중엔...]]</ref>{{--|이라든지 조이코패스}}<ref>Joy가 Sadness를 따돌리는 것 때문에 붙여진 이름. "슬픔의 원"이 대표적인 예.</ref>{{--|라든지}}
* 픽사 영화로썬 처음으로 이렇다 할 악당이 없는 영화이다. 업무상 일어난 사고를 수습하는 스토리이기 때문, 그러나 악당이 없을 뿐이지 나쁜 짓을 하는 캐릭터가 없는 것은 아니다. {{--|빙봉}}<ref>초반에는 몰래 기억들을 훔치고, 지름길이라며 위험한 길로 안내를 하는 등의 행동이 보인다. [[스포일러|그리고 나중엔...]]</ref>{{--|이라든지 조이코패스}}<ref>Joy가 Sadness를 따돌리는 것 때문에 붙여진 이름. "슬픔의 원"이 대표적인 예.</ref>{{--|라든지}}
* 영화의 총 제작비가 '''약 2억 4500만 달러'''라고 한다. 마케팅 비용 등을 제외한 순수제작비는 약 1억 7500만 달러. 2시간 30분짜리 SF 영화인 [[인터스텔라]]》의 총 제작비가 '''약 2억 2500만 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애니메이션 치고는 굉장히 돈이 많이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 영화의 총 제작비가 '''약 2억 4500만 달러'''라고 한다. 마케팅 비용 등을 제외한 순수제작비는 약 1억 7500만 달러. 2시간 30분짜리 SF 영화인 [[인터스텔라]]총 제작비가 '''약 2억 2500만 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애니메이션 치고는 굉장히 돈이 많이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 감정 캐릭터들의 피부(?)는 멀리서 보면 복실복실한 느낌을 준다. 그 이유는 감정이 하나의 덩어리가 아니라 '''매우 작은 입자가 모인 것'''이기 때문. 참고로 이 작은 입자는 "에너지"를 상징한다.
* 감정 캐릭터들의 피부(?)는 멀리서 보면 복실복실한 느낌을 준다. 그 이유는 감정이 하나의 덩어리가 아니라 '''매우 작은 입자가 모인 것'''이기 때문. 참고로 이 작은 입자는 "에너지"를 상징한다.
* 픽사 영화의 특성상 [[이스터 에그]]{{--|라고 쓰고 재활용이라고 읽는다.}}가 많다. 조이가 초반에 기억 구슬을 보던 중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가는 장면이 담긴 구슬이 있었는데, 그 미끄럼틀은 사실 [[토이 스토리 3]]》의 서니사이드 돌봄센터의 미끄럼틀에서 약간 수정한 것이다. 또한 학교의 첫 등교를 마치고 나누는 가족과의 대화에서 라일리는 중국 음식 박스를 뒤적거리는데, 이 종이 박스는 [[벅스 라이프]], [[토이 스토리]], [[라따뚜이]]등에서 나온 박스와 같다. 피자 플래닛 트럭은 무려 '''3번'''이나 등장하지만, 감독의 말로는 찾기 어렵다고 한다. 샌프란시스코로 이사 올 때 교통정체가 일어나는데, 이 때 서있는 차들은 [[카 2]]의 모델을 {{--|복붙}}재활용 한 것이다. 또한 라일리가 어릴 때 울고 떼 쓰는 소리는 [[몬스터 주식회사]]》의 어린 여자아이 "부"의 목소리를 {{--|복붙}} 재활용했으며, 라일리의 기억 중 일부는 [[업 (애니메이션)|업]]》의 "결혼 생활" 장면이 담겨있다. {{--|참 살뜰히도 써먹는다}} 라일리가 가출한 후 엄마한테서 온 전화를 받을 때 보이는 벽에 [[그래피티]]로 "[[A113]]"가 써져 있다. 또한 라일리가 전학 온 반이 "A113"이라고 한다.
* 픽사 영화의 특성상 이스터 에그{{--|라고 쓰고 재활용이라고 읽는다.}}가 많은데, {{--|하도 많아서 별도 항목으로 만들 지경이다.}} 조이가 초반에 기억 구슬을 보던 중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가는 장면이 담긴 구슬이 있었는데, 그 미끄럼틀은 사실 [[토이스토리 3]]서니사이드 돌봄센터의 미끄럼틀에서 약간 수정한 것이다. 또한 학교의 첫 등교를 마치고 나누는 가족과의 대화에서 라일리는 중국음식 박스를 뒤적거리는데, 이 종이 박스는 [[벅스 라이프]], [[토이 스토리]], [[라따뚜이]] 등에서 나온 박스와 같다. 피자 플래닛 트럭은 무려 '''3번'''이나 등장하지만, 감독의 말로는 찾기 어렵다고 한다. 샌프란시스코로 이사 올 때 교통정체가 일어나는데, 이 때 서있는 차들은 [[카 2]]의 모델을 {{--|복붙}}재활용 한 것이다. 또한 라일리가 어릴 때 울고 떼 쓰는 소리는 [[몬스터 주식회사]]어린 여자아이 "부"의 목소리를 {{--|복붙}} 재활용했으며, 라일리의 기억 중 일부는 [[업(애니메이션)|업]]"결혼 생활" 장면이 담겨있다. {{--|참 살뜰히도 써먹는다}} 라일리가 가출한 후 엄마한테서 온 전화를 받을 때 보이는 벽에 [[그래피티]]로 "[[A113]]"가 써져 있다. 또한 라일리가 전학 온 반이 "A113"이라고 한다.
* 또한 픽사 영화의 경우 차기작의 캐릭터를 은근슬쩍 보여주는 경우가 있다. 기억 중에 공원에서 차를 세워 놓고 브레이크를 걸지 않아 그대로 미끄러지는 기억이 있는데, 이 때 보이는 공룡은 [[굿 다이노]]의 주인공 아를로이다.
* 또한 픽사 영화의 경우 차기작의 캐릭터를 은근슬쩍 보여주는 경우가 있다. 기억 중에 공원에서 차를 세워 놓고 브레이크를 걸지 않아 그대로 미끄러지는 기억이 있는데, 이 때 보이는 공룡은 [[굿 다이노]]의 주인공 아를로이다.
* 개봉국가마다 이름이 다른 곳이 있다. 프랑스의 경우 '''Vice-Versa'''<ref>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영어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양방향의, 또는 거꾸로라는 의미를 가진다.</ref>, 브라질에선 '''재밌는 마음'''(Divertida Mente), 러시아에선 '''수수께끼'''(Головоломка), 일본에선 "인사이도 헤도(インサイド・ヘッド)", 즉 말 그대로 '''머릿속'''이란 이름으로 개봉하였다.
* 개봉국가마다 이름이 다른 곳이 있다. 프랑스의 경우 '''Vice-Versa'''<ref>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영어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양방향의, 또는 거꾸로라는 의미를 가진다.</ref>, 브라질에선 '''재밌는 마음(Divertida Mente)''', 러시아에선 '''수수께끼(Головоломка)''', 일본에선 "인사이도 헤도(インサイド・ヘッド)", 즉 말 그대로 '''머릿속'''이란 이름으로 개봉하였다.
{{각주}}
{{각주}}
[[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
 
[[분류:코미디 애니메이션]]
[[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분류:코미디 영화]]
[[분류:영화]]
[[분류:2015년 애니메이션 영화]]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