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갈리아의 딸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책 정보
{{토막글}}
|책/만화이름  = 이갈리아의 딸들
|원어이름    = Egalias døtre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Egalias døtre 1977 cover art.png|150px]]
|그림설명    = 초판(1997년) 표지
|지은이      = [[게르드 브란튼베르그]]
|그린이      =
|장르        = 소설
|나라        = {{나라|노르웨이}}
|언어        = [[노르웨이어]]
|연작제목    =
|발행일      = 1977년
|출판사      =
|ISBN        =
|연재처      =
|연재기간    =
|권수        =
|화수        =
|시리즈      =
|이전작품    =
|다음작품    =
|팬픽원작    =
|웹사이트    =
|옮긴이      = 히스테리아 (노옥재, 엄연수, 윤자영, 이현정)
|번역발행일  =
|번역출판사  =
|번역ISBN    =
|번역연채처  =
|번역연재기간 =
|비고        =
}}
{{인용문|
{{인용문|
맨움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br />
맨움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br />
39번째 줄: 7번째 줄:
만일 그들이 교화되지 않는다면,<br />
만일 그들이 교화되지 않는다면,<br />
만일 그들이 〈그들의 자리를 지키지 않는다면〉<br />
만일 그들이 〈그들의 자리를 지키지 않는다면〉<br />
생명은 소멸할거다.|서문, 그리고 한국어 번역판 348쪽}}
생명은 소멸할거다.}}
《'''이갈리아의 딸들'''》(Egalias døtre, {{영어|Egalia's Daughters - A Satire of the Sexes}})은 [[노르웨이]]의 작가 [[게르드 브란튼베르그]]가 1977년에 출간한 [[소설]]로,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이 뒤바뀐 "이갈리아"라는 가상의 세계를 바탕으로 하는 작품이다.
Egalia's Daughters - A Satire of the Sexes


한국어 번역본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의 여성학 전공자들 4명(노옥재, 엄연수, 윤자영, 이현정)이 만든 모임인 "히스테리아"가 번역해서 [[황금가지]] 출판사를 통해 1996년 출간됐다.<ref>{{뉴스 인용 |저자= 정재숙|제목= '이갈리아의 딸들'공동번역 네 여성학도|url=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71000289112001&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96-07-10&officeId=00028&pageNo=12&printNo=2611&publishType=00010|뉴스= 한겨레신문|출판사= 한겨레신문|쪽= 13|날짜= 1996-07-10}}</ref><ref>{{뉴스 인용 |저자= 박현진|제목= 「남성지배 반기」에 여성들"통쾌"|url=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90400209134010&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9-04&officeId=00020&pageNo=34&printNo=23301&publishType=00010|뉴스= 동아일보|출판사= 동아일보|쪽= 35|날짜= 1996-09-04}}</ref>
== 개요 ==
 
[[게르드 브란튼베르그]]가 1977년에 출간한 [[소설]]로,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이 뒤바뀐 "이갈리아"라는 가상의 세계를 바탕으로 하는 작품이다.
== 줄거리 ==
{{빈 문단}}
 
== 등장인물 ==
;루스 브램
: 브램 가족의 가장이며, 이갈리아의 장관직을 맡고 있다.
 
;크리스토퍼 브램
: 루스 브램의 하우스바운드.
 
;바 브램
: 주인공의 여동생.
 
;페트로니우스 브램
: 작품의 주인공으로, 맨움이다.


== 세계관 ==
== 세계관 ==


=== 용어 ===
=== 용어 ===
다음은 본 소설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ref>게르드 브란튼베르그 (1977), 《이갈리아의 딸들》, 노옥재·엄연수·윤자영·이현정 옮김. 황금가지. {{ISBN|978-8982730009}}</ref>
다음은 본 소설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ref>게르드 브란튼베르그 (1977), 《이갈리아의 딸들》, 노옥재·엄연수·윤자영·이현정 옮김. 황금가지. ISBN 9788982730009</ref>
* 이갈리아(Egalia): 소설의 주 무대가 되는 가상 국가. [[평등주의]](egalitarianism)와 [[유토피아]](Utopia 이상향)의 합성어라는 설이 유력하다.
* 이갈리아(Egalia): 소설의 주 무대가 되는 가상 국가. [[평등주의]](egalitarianism)와 [[유토피아]](Utopia 이상향)의 합성어라는 설이 유력하다.
* 움(wom):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으로 분류되는 성의 인간. 또는 일반적인 인간을 나타낸다. ex) spokeswom, seawom.
* 움(wom)
* 맨움(manwom):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으로 분류되는 성의 인간.
* 맨움(manwom)
* 아내(wife)/하우스바운드(housebound): 움과 맨움이 결혼하면 움은 아내, 맨움은 하우스바운드가 된다.
* 미즈(Ms)
* 미즈(Ms): 움의 성(명) 앞에 붙이는 경칭.
* 미재스(Msass)
* 미재스(Msass): 기혼 맨움의 성이나 그 아내의 성에 붙어 기혼 맨움을 나타내는 경칭.
* 스피너맨(Spinnerman)
* 스피너맨(Spinnerman): 미혼 맨움의 성() 앞에 붙는 경칭.
* 아내(wife)/하우스바운드(housebound)
* 부성보호(fatherhood-protection): 움이 아이의 아버지라고 지목한 맨움이 갖는 혜택과 의무.
* 부성보호(fatherhood-protection)
* [[예수|도나 제시카]](Donna Jessica): 이갈리아인이 하느님 어머님의 딸이라고 믿는 움의 이름.
* 도나 제시카(Donna Jessica)
** BJ: 도나 제시카 탄생 이전 시대.
** BJ: 도나 제시카 탄생 이전 시대.
** AJ: 도나 제시카 탄생 이후 시대.
** AJ: 도나 제시카 탄생 이후 시대.
* 로디(Lordy): 어떤 맨움을 공손함과 존중을 표하면서 지칭하는 말이다.
* 로디(Lordy)
* 젠틀움(gentlewom, gentlewim)
* 젠틀움(gentlewom, gentlewim)
* 메이드맨(maidman):
* 메이드맨(maidman)
** 메이드맨의 무도회(maidman's ball)
** 메이드맨의 무도회(maidman's ball)
* [[브래지어|페호]](peho): 맨움이 [[음경]]을 받치기 위해 입는 옷.
* 페호(peho)
{{인용문|소년들은 그것이 끔찍하고 불편하며 페니스를 그 바보 같은 상자 속에 억지로 밀어넣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오줌을 눌 때 특히 불편했다. 먼저 페호를 고정시키는 허리띠를 풀어야 했다. 허리띠는 치마 아래에 단단히 묶여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특히 처음에는 더듬어 찾아야 한다. 허리띠는 보통 너무 단단해서 피부를 파고 들었다. 더군다나 페호가 밖에서 자유롭게 달려 있도록 아귀를 치마에 꿰매야 했다. (한국어 번역판 18쪽)}}
* 팔루리안(phallurian)
* [[게이|팔루리안]](phallurian): 맨움 [[동성애자]]를 일컫는 말.
* 맨움해방주의(masculinism)
* 맨움해방주의(masculinism): 맨움도 움이 가진 것과 똑같은 권리, 권력, 기회를 가져야 하며, 평등을 얻기 위해 현재 상황이 변화해야 한다는 정치적 신념, 또는 이 믿음에 근거한 사회 운동.
* 스파크스주의(sparksism)
* [[마르크스주의|스파크스주의]](sparksism): [[계급투쟁]]이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여기는 [[정치철학]]. [[칼 마르크스|클라라 스파크스]](Clara Sparks)라는 가상 인물의 이름을 따왔다.
* 휴우미즘(huwomism)
{{인용문|벽에 걸려 있는 것은 뱃사람의 옷을 입은 커다란 늙은 움의 사진이었다. 클라라 스파크스 얼굴의 특색 있는 윤곽을 그린 커다란 녹색 포스터도 한 장 있었다. 이것을 보면서 페트로니우스는 조금 걱정이 되었다. 루스 브램이 이 세상에서 가장 경멸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스파크스주의였다. 텔레비전이나 클럽에서 누군가가 못마땅한 소리를 할 때면 그녀는 씩씩거리며 〈스파크스주의 쓰레기들!〉이라고 말했으며 페트로니우스는 클라라 스파크스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기 오래 전부터, 아주 어렸을 때부터 이 소리를 들어왔다. 사실 그는 지금도 잘 모른다. (한국어 번역판 154쪽)}}
* 달러블(dollable)
* [[휴머니즘|휴우미즘]](huwomism): 종교의 도움 없이 행복과 만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인간(womkind)의 능력을 믿는 철학.
{{인용문|… 우리는 더 이상 이런 맨움의 비인간화에 협력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더 이상 아이 키우는 가축이 되는 것을 참고 있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모든 사람들이 인간으로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맨움 종속의 상징인 페호를 태우는 이유입니다. 맨움해방주의는 휴우미즘<ref>원래 번역판에는 "인본주의(Huwomism)"로 적고 있다.</ref>입니다! (한국어 번역판 295쪽)}}
* 달러블(dollable): 이갈리아의 화폐 단위.
 
=== 사회상 ===
{{빈 문단}}


== 책 찾기 ==
== 책 찾기 ==
* {{ISBN|978-1878067586}} (영어판)
* ISBN 978-1878067586 (영어판)
* {{ISBN|978-8982730009}} (번역판)
* ISBN 9788982730009 (번역판)
 
== 같이 보기 ==
* [[여성주의]]
* [[메갈리안]]


{{주석}}
{{주석}}
[[분류:노르웨이의 소설]]
[[분류:소설]]
[[분류:1977년 소설]]
[[분류:페미니즘]]
[[분류:페미니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