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탱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게임이름 = 월드 오브 탱크
|이미지 = [[파일:Wot_logo.png|200픽셀]]
|원어이름 = World of Tanks
| 제목        =  ''월드 오브 탱크''
|배경색  =
| 원제목      = World of Tanks
|글자색  =
| 개발사      = [[워게이밍|WARGAMING.NET]]
|그림    = [[파일:Wot logo.png|200픽셀]]
| 배급사      = [[워게이밍|WARGAMING.NET]]
|그림설명 =  
| 엔진        = 빅월드
|배급사  = [[워게이밍|WARGAMING.NET]]
| 버전        = 0.9.14.1
|개발사  = [[워게이밍|WARGAMING.NET]]
| 언어       =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 [[일본어]]
|제작    =  
| 플랫폼      = PC
|작가    =  
| 출시        = 2010.08.12
|미술    =
| 장르        = MMO 전차 슈팅
|작곡가  =
| 관련 사이트 = [http://www.worldoftanks.kr 한국 공식 홈]<br>[http://www.worldoftanks.asia 아시아 공식 홈]<br>[http://www.worldoftanks.com 북미 공식 홈]
|장르    = MMO 전차 슈팅
|출시일  = 2010.08.12
|종료일  =
|플랫폼  = PC
|모드    =
|언어     =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 [[일본어]]
|엔진    = 빅월드
|시리즈  =  
|이전작  =  
|후속작  =
|웹사이트 = [http://www.worldoftanks.asia 아시아 공식 홈]<br />[http://www.worldoftanks.com 북미 공식 홈]
|비고    =
}}
}}
<youtube width="500" height="330">OpmxwVU8bLc</youtube>
<youtube width="500" height="330">OpmxwVU8bLc</youtube>


==개요==
==개요==
벨라루스의 게임 제작사 워게이밍넷의 월드 오브 시리즈 중 첫 번째이다.  1차 대전 말에 나온 전차부터 1, 2세대 MBT 전차까지 등장하는 온라인 슈팅게임이다.
벨라루스의 게임 제작사 워게이밍넷의 월드 오브 시리즈 중 첫 번째이다.  1차 대전 말에 나온 전차부터 1, 2세대 MBT 전차까지 등장하는 온라인 슈팅게임이다.
[[2010년]] [[8월 12일]] 러시아 서버를 시작으로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어 해외로 진출하였다. 현재에는 북미, 유럽, 아시아, 중국 등지에도 서버가 존재한다.
{{날짜/출력|2010-8-12}} 러시아 서버를 시작으로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어 해외로 진출하였다. 현재에는 북미, 유럽, 아시아, 한국, 중국 등지에도 서버가 존재한다. 그 중 한국인이 많이 플레이하는 서버는 한국, 아시아, 북미의 세 서버이다.


현재에는 플랫폼 확장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중으로, [[2014년]] [[2월 12일]]에는 XBOX 360판이 한글화되어 발매되었으며, [[2014년]] [[6월 26일]]에는 모바일용인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가 iOS 버전으로, [[2014년]] [[12월 4일]]에는 안드로이드 버전이 출시되었다. 다만 이때 블리츠의 경우 한글화는 되었으나 한국 서버는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에는 플랫폼 확장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중으로, {{날짜/출력|2014-2-12}}에는 XBOX 360판이 한글화되어 발매되었으며, {{날짜/출력|2014-6-26}}에는 모바일용인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가 iOS 버전으로, {{날짜/출력|2014-12-4}}에는 안드로이드 버전이 출시되었다. 다만 이때 블리츠의 경우 한글화는 되었으나 한국 서버는 존재하지 않는다.


== 한국 서비스 ==
== 한국 서비스 ==
<youtube width="500" height="330">Nn8RR-uQOwI</youtube>
<youtube width="500" height="330">Nn8RR-uQOwI</youtube>


[[2012년]] [[5월 7일]] 정식으로 한국을 대상으로 서비스 할 것임을 발표하였으며, 동년 [[11월 15일]]부터 [[12월 19일]]까지 일종의 베타 개념인 '수퍼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해당 베타 기간 동안에는 일정량의 골드를 지급하였었고, 테스트 유저에게는 프리미엄 전차 KV-220T을 제공하였다. 한편 일본과 대만 등지를 묶어 동아시아 서버를 개설하려고 하였으나 셧다운제의 문제로 실패하였다는 후문이 있다. <ref>이후 일본과 대만은 SEA 서버가 ASIA 서버로 확장되면서 호주와 함께 해당 서버에 편입되었다.</ref> 이후 [[2012년]] [[12월 27일]] 오후 6시부터 한국 정식 서비스를 실시했다. 현재 워게이밍은 한국지사 워게이밍 코리아를 설립하여 이를 통해 운영하고 있다.


한편 한국 시장만의 특이성을 인정, [[2013년]] [[9월 26일]]부터 PC방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해당 서비스의 내용은 PC방이 가입한 서비스에 따라 추가적인 경험치와 일정 승수/플레이 판수마다 골드를 보상으로 지급하는 것을 골자로 하였다. 이에 따라 프리미엄 PC방에서 플레이를 할 경우, 경험치 50%가 가산되며 매 10승마다 100골드, 1000판마다 1000골드를 지급한다. 또한 동년 [[12월 28일]]부터는 프리미엄 PC방 전용 차고와 한국군 위장, 한글 장식 및 문양이 추가되었다. [[2014년#2월|2014년 2월]]에는 PC방 전용 이벤트와 각종 위장이 추가되었고, 14년 [[11월]]부터는 프리미엄 PC 방에서 정규 전차와 프리미엄 전차 24 종을 별도의 비용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날짜/출력|2012-5-7}} 정식으로 한국을 대상으로 서비스 할 것임을 발표하였으며, 동년 [[11월 15일]]부터 [[12월 19일]]까지 일종의 베타 개념인 '수퍼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해당 베타 기간 동안에는 일정량의 골드를 지급하였었고, 테스트 유저에게는 프리미엄 전차 KV-220T을 제공하였다. 한편 일본과 대만 등지를 묶어 동아시아 서버를 개설하려고 하였으나 셧다운제의 문제로 실패하였다는 후문이 있다. <ref>이후 일본과 대만은 SEA 서버가 ASIA 서버로 확장되면서 호주와 함께 해당 서버에 편입되었다.</ref> 이후 {{날짜/출력|2012-12-27}} 오후 6시부터 한국 정식 서비스를 실시했다. 현재 워게이밍은 한국지사 워게이밍 코리아를 설립하여 이를 통해 운영하고 있다.
 
한편 한국 시장만의 특이성을 인정, {{날짜/출력|2013-09-26}}부터 PC방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해당 서비스의 내용은 PC방이 가입한 서비스에 따라 추가적인 경험치와 일정 승수/플레이 판수마다 골드를 보상으로 지급하는 것을 골자로 하였다. 이에 따라 프리미엄 PC방에서 플레이를 할 경우, 경험치 50%가 가산되며 매 10승마다 100골드, 1000판마다 1000골드를 지급한다. 또한 동년 [[12월 28일]]부터는 프리미엄 PC방 전용 차고와 한국군 위장, 한글 장식 및 문양이 추가되었다. [[2014년#2월|2014년 2월]]에는 PC방 전용 이벤트와 각종 위장이 추가되었고, 14년 [[11월]]부터는 프리미엄 PC 방에서 정규 전차와 프리미엄 전차 24 종을 별도의 비용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2016년#5월|2016년 5월]] 기준, 동접자 수는 주말 3000여 명 사이이다. 새벽에는 천 명 미만으로 줄어든다. 거의 같은 유저를 반복적으로 보게 될 것이다. 이것은 초창기 1만 명 ~ 1만 5천 명 내외였던 것을 생각하면 1/3~1/5 수준으로 감소한 셈이다. 한국 시장에서 밀리터리 게임이 성공하기 힘든 장르적 특성과 서비스, 기존 인구 감소세에 따른 저티어 플레이 불가 문제 등의 문제가 시너지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위의 PC방 서비스나 각종 프리미엄 전차를 일정 조건 하에 제공하는 서비스 등은 모두 이러한 동접자 감소가 원인으로 생각되지만 효과는 미지수였다.
[[2016년#5월|2016년 5월]] 기준, 동접자 수는 주말 3000여 명 사이이다. 새벽에는 천 명 미만으로 줄어든다. 거의 같은 유저를 반복적으로 보게 될 것이다. 이것은 초창기 1만 명 ~ 1만 5천 명 내외였던 것을 생각하면 1/3~1/5 수준으로 감소한 셈이다. 한국 시장에서 밀리터리 게임이 성공하기 힘든 장르적 특성과 서비스, 기존 인구 감소세에 따른 저티어 플레이 불가 문제 등의 문제가 시너지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위의 PC방 서비스나 각종 프리미엄 전차를 일정 조건 하에 제공하는 서비스 등은 모두 이러한 동접자 감소가 원인으로 생각되지만 효과는 미지수였다.
이러한 동접자 감소로 인해 정상적인 매칭이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고, 결국 한국 서버는 문을 닫았으며 신청자들에 한해 한국 서버 계정을 아시아 서버로 이전시켜 주었다.


== 연재웹툰 ==
== 연재웹툰 ==
51번째 줄: 39번째 줄:
==전차의 종류==
==전차의 종류==
===경전차===
===경전차===
주로 정찰이 목적인 약한 장갑, 주포와 빠른 기동성을 가진 전차이다. 정찰을 중심으로 한 끊어먹기 등 서포팅에 주력하게 된다. 모든 병과 중 유일하게 기동 중에도 위장률이 떨어지지 않는다. 때문에 시야와 위장을 이용한 정찰전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대신 그만큼 한번 발각되면 사방에서 빗발치는 포탄의 세례에 순식간에 걸레짝이 되기 쉽다. 직사포를 사용하는 병과 중에서 티어 대비 관통력은 가장 떨어진다. 같은 경전차 내지는 중형전차와의 교전에선 별 문제가 없으나 떡장갑 중전차들을 상대하려면 측후방을 잡는 게 필수적이다.
주로 정찰이 목적인 약한 장갑, 주포와 빠른 기동성을 가진 전차이다. 정찰을 중심으로 한 끊어먹기 등 서포팅에 주력하게 된다. 그러나 [[2015년]]을 초를 전후로 하여 대거 추가된 신규 전차들 + 기동전으로의 메타 변화로 인해 가장 핫한 차종이다. 독일의 Ru-251을 필두로한 AMX-13 90, 워커불독 등은 티어대비 준수한 주포와 기동, 위장을 고루 갖추었기 때문. 특히 8티어 제한 + 한타위주의 싸움 + 무조건 골탄에 풀세팅이라는 삼박자를 갖춘 E-SPORT에서는 이미 이들 경전이 AMX 50 100 등 일부 고기동 전차와 함께 주력이라고 할 수 있다.


===중형전차===
===중형전차===
63번째 줄: 51번째 줄:


===자주포===
===자주포===
작은 장애물에는 상관없이 적을 공격할 수 있는 병과로 다른 병과들과는 플레이 방식이 확연히 다르다. 위성 시점으로 전장을 둘러보며 적을 멀리서 공격할 수 있고, 승무원 기절 효과와 은 피격 범위를 가진 고폭탄을 주로 사용하나 장갑이 매우 약하고 속도도 느린 경우가 많아 대경전차 능력과 대중형전차 능력이 떨어진다. 자주포는 맵의 뒤에 방열하여서 멀리 있는 적 전차<del>중전차</del>를 공격한다. 안 보이는 곳에서 일방적으로 적을 공격한다는 특성 상 다른 차량을 타는 유저들에게 원성을 사는 계열로, 비자주포 유저들은 여러 월탱 관련 커뮤니티에 온갖 육두문자를 활용해 자주포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데 자주포에 대한 맹렬한 증오심이 어찌 강력한지, [[나무위키]]의 월탱 항목에서조차 유독 자주포 관련 항목은 매우 비판적이고 비하성이 짙은 어휘가 자주 보였을 정도이다. 다만, 이 차종은 겉보기와 다르게 은근 고수용 차종이다. 자주포의 대부분이 직사포 내지는 평사포인지라, 포각이 나오게 하려면 위치선정을 잘 해야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맵 전체를 익혀놔야 하기 때문. 요구하는 피지컬이 낮으니 쉽게 생각하고 건드렸다간 게임시간 내내 정말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생긴다.
작은 장애물에는 상관없이 적을 공격할 수 있는 전차로 멀리서 공격할 수 있고 넓은 피격 범위를 가진 고폭탄과 고공격력의 주포를 주로 사용하나 장갑이 매우 약하고 속도도 느린 경우가 많아 대경전차 능력과 대중형전차 능력이 떨어진다. 자주포는 맵의 뒤에 방열하여서 멀리 있는 적 전차<del>중전차</del>를 공격한다. 안 보이는 곳에서 일방적으로 적을 공격한다는 특성 상 다른 차량을 타는 유저들에게 원성을 사는 계열로, 비자주포 유저들은 여러 월탱 관련 커뮤니티에 온갖 육두문자를 활용해 자주포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데 자주포에 대한 맹렬한 증오심이 어찌 강력한지, [[나무위키]]의 월탱 항목에서조차 유독 자주포 관련 항목은 매우 비판적이고 비하성이 짙은 어휘가 자주 보였을 정도이다. 다만, 이 차종은 겉보기와 다르게 은근 고수용 차종이다. 자주포의 대부분이 직사포 내지는 평사포인지라, 포각이 나오게 하려면 위치선정을 잘 해야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맵 전체를 익혀놔야 하기 때문.


==국가==
==국가==
===독일===
===독일===
전통과 명성의 독일. 독일 전차는 2차 대전기의 활약을 바탕으로 상당히 유명한 전차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7티어 중전차 티거, 7티어 중형전차 판터, 5티어 중형전차 4호 전차, 10티어 중전차 마우스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전차는 정직한 장갑에 신뢰도 높은 주포를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보다 먼 거리에서, 보다 성능이 나쁜 전차들을 상대했지만 이건 게임이고, 따라서 비슷한 성능의 전차와 훨씬 가까운 거리에서 전투하게 된다. 덕분에 현실과 이상의 괴리가 심한 편.
전통과 명성의 독일. 독일 전차는 2차 대전기의 활약을 바탕으로 상당히 유명한 전차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7티어 중전차 티거, 7티어 중형전차 판터, 5티어 중형전차 4호 전차, 10티어 중전차 마우스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전차는 정직한 장갑에 신뢰도 높은 주포를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보다 먼 거리에서, 보다 성능이 나쁜 전차들을 상대했지만 이건 게임이고, 따라서 비슷한 성능의 전차와 훨씬 가까운 거리에서 전투하게 된다. 덕분에 현실과 이상의 괴리가 심한 편. 자주포를 제외하곤 각 2개 씩의 최종 테크를 보유하고 있다.


E-100과 마우스는 전통적인 중장갑 대구경의 탱킹형 중전차로 E-100의 경우 강력한 주포와 장갑, 높은 HP를 바탕으로 호평받고 있다. 또한 중형전차의 경우 중장갑에 신뢰할만한 주포 성능, 평균적인 민첩성을 가진 E-50M과 경장갑 고성능 주포, 매우 좋은 기동성을 가진 레오파르트1으로 나뉜다. 구축전차는 뛰어난 위장과 기동성, 거기에 회전 포탑을 얹은 Grile 15, 최강의 한방과 중장갑을 갖췄지만 속도나 위장은 마찬가지로 내다버린 Jagdpanzer E-100으로 나뉜다.
E-100과 마우스는 전통적인 중장갑 대구경의 탱킹형 중전차로 E-100의 경우 강력한 주포와 장갑, 높은 HP를 바탕으로 호평받고 있다. 또한 중형전차의 경우 중장갑에 신뢰할만한 주포 성능, 평균적인 민첩성을 가진 E-50M과 경장갑 고성능 주포, 매우 좋은 기동성을 가진 레오파르트1으로 나뉜다. 구축전차는 뛰어난 위장과 기동성, 거기에 회전 포탑을 얹은 Grile 15, 최강의 한방과 중장갑을 갖췄지만 속도나 위장은 마찬가지로 내다버린 Jagdpanzer E-100으로 나뉜다.


0.8.11 이전만 해도 하도 대우가 안 좋은 국가였기에 유저들은 워게이밍 개발부서 직원들이 혐독성향이 아니냐고 했지만... 0.8.11 이후에 나온 독일 2차구축라인과 일부 전차에서 엔진이 후방으로 옮겨가고 2차 구축라인의 강력함 때문에 독일유저들의 불만은 거의 없어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0.8.11 이전만 해도 하도 대우가 안 좋은 국가였기에 유저들은 워게이밍 개발부서 직원들이 혐독성향이 아니냐고 했지만... 0.8.11 이후에 나온 독일 2차구축라인과 일부 전차에서 엔진이 후방으로 옮겨가고 2차 구축라인의 강력함 때문에 독일유저들의 불만은 거의 없어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 장점
* 장점
** 훌륭한 정확도 : 다른나라들이 0.4x대에서 머무르고 있을때 독일만 0.3x에서 머무르고 있다. 특히 독일 2차 구축라인의 경우 10티어 그릴레 15의 포는 정확도가 무려 0.27이다. 심지어, 함포를 전차에다 때려박았다는 야크트판처 E-100의 명중률조차 0.3x이다. 다른 국가라면 그저 로또가 터지길 바랄 수밖에 없는 초장거리 저격에서조차 약점 부위를 노리는 게 가능한 국가다.
** 훌륭한 정확도 : 다른나라들이 0.4x대에서 머무르고 있을때 독일만 0.3x에서 머무르고 있다. 특히 독일 2차 구축라인의 경우 10티어 그릴레 15의 포는 정확도가 무려 0.27이다. 심지어, 함포를 전차에다 때려박았다는 야크트판처 E-100의 명중률조차 0.3x이다. 다른 국가라면 그저 로또가 터지길 바랄 수밖에 없는 초장거리 저격에서조차 약점 부위를 노리는 게 가능한 국가다.
77번째 줄: 67번째 줄:
** 정직한 수직장갑 및 경사장갑 : 최소 소련의 기동중전차라인과 비교해서 장점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왜 장점인가 하면 적과의 각도가 90도 일때에는 적탄이 쉽게 관통되지만 티타임이나 역티타임을 줄 경우 도탄확률이 최소 소련에 비해서는 증가한다. 소련의 경우, 고티어 중전차들이 단순 경사장갑에 한번 더 경사장갑을 입힌 바람에<ref>소련의 기동 중전차라인 9티어 T-10의 정면장갑을 보면 이해가 쉽다. 이 단락을 작성한 이유가 그것이기도 하고</ref>정면에서 티타임을 주게되면 오히려 복합장갑부분이 쉽게 뚫리는 상황이 되어버린다는 걸 생각해 보면 나름 장점이라 할 수 있다.
** 정직한 수직장갑 및 경사장갑 : 최소 소련의 기동중전차라인과 비교해서 장점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왜 장점인가 하면 적과의 각도가 90도 일때에는 적탄이 쉽게 관통되지만 티타임이나 역티타임을 줄 경우 도탄확률이 최소 소련에 비해서는 증가한다. 소련의 경우, 고티어 중전차들이 단순 경사장갑에 한번 더 경사장갑을 입힌 바람에<ref>소련의 기동 중전차라인 9티어 T-10의 정면장갑을 보면 이해가 쉽다. 이 단락을 작성한 이유가 그것이기도 하고</ref>정면에서 티타임을 주게되면 오히려 복합장갑부분이 쉽게 뚫리는 상황이 되어버린다는 걸 생각해 보면 나름 장점이라 할 수 있다.
** 나쁘지 않은 부앙각 : 0.8대의 버전들까지만 해도 독일은 약간의 고지대만 가도 자기는 발등까지는데 적을 바라볼 수가 없어 언덕에서는 취약한 국가였으나 중국의 등장이후 부앙각에서 대체적으로 버프를 받아 언덕에서도 어느 정도 교전이 가능한 국가가 되었다.
** 나쁘지 않은 부앙각 : 0.8대의 버전들까지만 해도 독일은 약간의 고지대만 가도 자기는 발등까지는데 적을 바라볼 수가 없어 언덕에서는 취약한 국가였으나 중국의 등장이후 부앙각에서 대체적으로 버프를 받아 언덕에서도 어느 정도 교전이 가능한 국가가 되었다.
* 단점
* 단점
** 약간 아쉬움이 남는 한 방 화력 : 중전차의 경우 타 국가에 비해 위력이 그다지 높은 수준은 아니라 탱킹하는데 약간의 제약이 따른다. 물론 그 대신 빠른 연사력과 훌륭한 정확도가 있지만 아무래도 소련에 비해 조금은 아쉬운 부분. 다만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서 2차구축라인의 경우 위 단점이 해당되지 않는다. 게다가 영국트리의 추가 이후 영국의 바늘포를 보면 독일은 이 부분에서는 그나마 나은 국가가 되었다.
** 약간 아쉬움이 남는 한 방 화력 : 중전차의 경우 타 국가에 비해 위력이 그다지 높은 수준은 아니라 탱킹하는데 약간의 제약이 따른다. 물론 그 대신 빠른 연사력과 훌륭한 정확도가 있지만 아무래도 소련에 비해 조금은 아쉬운 부분. 다만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서 2차구축라인의 경우 위 단점이 해당되지 않는다. 게다가 영국트리의 추가 이후 영국의 바늘포를 보면 독일은 이 부분에서는 그나마 나은 국가가 되었다.  
** 엔진의 전면위치 : 과거 독일의 장갑이 빈약했던 시절 가장 큰 단점으로서 특히 헨셸라인 7티어 티거가 그 희생양이었다. 전차 전면 하단만 관통되면 바로 <s>불이야!</s>화재가 발생해서 모듈, 승무원, 내구도를 깎이고 심하면 엔진이 파괴됨으로서 전차가 정지된 상황에서 격파되기 마련이었다. 다만, 0.9.8버전 현재에는 이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전차들도 있고 장갑도 9.0들어서서 강화되었기에 지금은 한시름 놓은 부분이라 할 수 있다.<br /> 게다가 영국과 비교해보면 영국 중형, 중전차들은 8티어부터 전면 하단에 탄약고(!!!)가 위치하면서 전면 엔진이 문제되는 독일은 불만있다고 말하기도 힘든 상황이 되었다.
** 엔진의 전면위치 : 과거 독일의 장갑이 빈약했던 시절 가장 큰 단점으로서 특히 헨셸라인 7티어 티거가 그 희생양이었다. 전차 전면 하단만 관통되면 바로 <s>불이야!</s>화재가 발생해서 모듈, 승무원, 내구도를 깎이고 심하면 엔진이 파괴됨으로서 전차가 정지된 상황에서 격파되기 마련이었다. 다만, 0.9.8버전 현재에는 이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전차들도 있고 장갑도 9.0들어서서 강화되었기에 지금은 한시름 놓은 부분이라 할 수 있다.<br> 게다가 영국과 비교해보면 영국 중형, 중전차들은 8티어부터 전면 하단에 탄약고(!!!)가 위치하면서 전면 엔진이 문제되는 독일은 불만있다고 말하기도 힘든 상황이 되었다.


===소련===
===소련===
독일과 같이 중전차는 준수한 중량과 장갑에 중형 전차와 경전차는 빠른 기동성, 주로 오랜 시간을 두고 강한 공격력을 가진 공격을 해 근거리 라인전에 강하다.
독일과 같이 중전차는 준수한 중량과 장갑에 중형 전차와 경전차는 빠른 기동성, 주로 오랜 시간을 두고 강한 공격력을 가진 공격을 해 근거리 라인전에 강하다.
* 장점
* 장점
** 단단한 장갑.
** 단단한 장갑.
117번째 줄: 109번째 줄:


===[[월드 오브 탱크/국가별 테크 트리/일본| 일본]]===
===[[월드 오브 탱크/국가별 테크 트리/일본| 일본]]===
8.10 버전에서 5티어 프리미엄 전차 Chi-Nu Kai로 첫선을 보였다.
8.10 버전에서 5티어 프리미엄 전차 Chi-Nu Kai로 첫선을 보였다.  
 
현재 저티어 경전차와 중형트리, 그리고 최종적으로 중전차트리가 구현되어 있으며 차후 자주포 트리도 구현될 예정인 듯 하다.  
현재 저티어 경전차와 중형트리, 그리고 최종적으로 중전차트리가 구현되어 있으며 차후 자주포 트리도 구현될 예정인 듯 하다.


8티어 이상의 중형전차를 기준으로 할 때, 준수한 부앙각과 기동성을 특징으로 한다. 저티어에서부터 웹상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끌어온 [[치하]] 등 태평양 전쟁기 일본 제국 육군이 운용한 만나볼 수 있는데, 차라리 치하가 낫다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5~7티어가 그 뒤를 잇는다. 8티어 STA-1부터는 전후 전차로, 최종 테크인 STB-1은 74식의 프로토타입에 해당한다. 강력한 기동성과 높은 위장을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주포에 나사가 빠졌다.
8티어 이상의 중형전차를 기준으로 할 때, 준수한 부앙각과 기동성을 특징으로 한다. 저티어에서부터 웹상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끌어온 [[치하]] 등 태평양 전쟁기 일본 제국 육군이 운용한 만나볼 수 있는데, 차라리 치하가 낫다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5~7티어가 그 뒤를 잇는다. 8티어 STA-1부터는 전후 전차로, 최종 테크인 STB-1은 74식의 프로토타입에 해당한다. 강력한 기동성과 높은 위장을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주포에 나사가 빠졌다.
126번째 줄: 117번째 줄:


===유럽연합===
===유럽연합===
[[2015년]] [[6월 11일]]자 개발자 QnA에서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218&name=subjcont&keyword=%C0%AF%B7%B4&l=4865|유럽트리는 없을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개별 국가 트리로 독립되어 나올 예정이라고 함. 결과적으로 체코, 스웨덴, 이탈리아가 독자트리로 나왔고, 앞으로 헝가리, 스위스가 독립트리로 나올 전망이다.
{{날짜/출력|2015-6-11}}자 개발자 QnA에서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218&name=subjcont&keyword=%C0%AF%B7%B4&l=4865|유럽트리는 없을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개별 국가 트리로 독립되어 나올 예정이라고 함. 결과적으로 체코가 독자트리로 나왔고, 앞으로 헝가리, 스위스, 스웨덴이 독립트리로 나올 전망이다.


===스웨덴===
===스웨덴===
중전차와 구축전차 두 개의 트리만 존재한다. 자주포는 없다.


중전차 트리는 4발 클립식 주포에 돌대가리 포탑을 보유하고 있어 언덕을 낀 교전에선 언터처블의 방어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체 국가 중전차 중에서 관통력을 비롯한 주포 신뢰성이 가장 나쁘다. 동시에 내구도도 부족하며 차체 방호력도 처참하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218&l=4029 2015년 1월 20일 질답에서 이탈리아, 스웨덴이 독립 트리를 갖는 것도 "가능은 하다"고 했다.]


구축전차 트리는 유압식 현가장치 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했는데 10티어가 다름 아닌 [[Strv-103]] 이다. 주행 모드와 공성모드를 넘나들고 주행모드 상태에선 주포 성능이 바닥을 기나 공성 모드로 돌입하면 독일 2차 구축전차 트리를 능가하는 가공할 명중률을 보려준다. 한편, 월탱 최초로 운전수가 두명인 전차이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218&l=4629 {{날짜/출력|2015-5-2}}에도 독자 트리가 나올것이라 했다.
 
10단계 중형전차가 [[Strv-103]] 이다.
월탱 최초로 운전수가 두명인 전차이다.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1단계 경전차 Kolohousenka 부터 시작해 10단계 중형전차 TVP 50/51 로 끝나는 단일 트리만 존재한다. 클립 전차는 6티어, 9티어, 10티어에 있다. 월탱 전체를 통틀어 단 둘 뿐인 10티어 클립식 중형전차라는 공통점으로 인해 프랑스 1차 중형전차 트리와 비교하는 경우가 잦다.
체코 중형은 프랑스 중형과 비교하여 탄간 재장전 시간과 전체 재장전 시간이 짧아 우위를 점하나, 프랑스 중형전차보다 덩치가 크고 둔하며 포탄 한발의 공격력, 클립 탄수, 관통력 등 재장전 시간과 조준시간을 제외한 거의 모든 면에서 후달린다.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와 마찬가지로 중형전차 단일 트리만 존재한다. 8티어부터 자동장전 장치를 장착한 전차들이 나오는데, 클립식이면서도 각각의 포탄들이 별도의 재장전 시간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확실한 딜각이 보일 때는 모든 탄을 퍼부을 수 있고, 산발적인 교전이 벌어질 때는 여타 단발포 전차들과 마찬가지로 1발씩만 사격하고 재장전할 수 있다.


DPM 면에서는 단발포로 쓰건 클립을 싹 털건 빈말로도 우수하다고 할 수 없지만, 다른 클립 전차들이 1~2발을 사격하여 잔탄이 애매한 상황에 재장전을 할지 말지로 고민할 때가 많은 반면 이탈리아 중형은 그런 고민을 할 시간도 없이 재장전이 완료되어 있다. 때문에 유연성이 매우 뛰어나다.
[http://gall.dcinside.com/worldoftanks/1839784]


한방 공격력은 체코중형과 마찬가지로 105mm 320 대미지다.
체코 트리 또한 대략적인 안이 나왔다.
==서버==
===북미서버===
크게 West와 East로 나뉘어있다. 한국시간으로 새벽에는 West서버 접속자가 많고 그 외 시간대에는 East서버 접속자가 많다. 한섭에 비해 저탑방이 잘 잡히는 편이긴 하나 때에 따라 다르고, 무엇보다 유저들의 평균실력이 한섭보다 떨어진다.


===아시아 서버===
1단계 경전차 Kolohousenka 부터 시작해 10단계 중형전차 TVP 50/51 로 끝나는 일렬 트리로 나왔다. 클립 전차는 4대이다.
한섭이 살아 있던 시절 한국 플레이어들이 편입되길 간절히 원하던 서버<s>허나 현실은</s>. 실제로는 한섭보다 똘끼있는 유저들이 많고 특히나 기지에서 놀고있는 캠핑족들이 많다. 오죽하면 워게이밍 유저 커뮤니티에서는 '''암시아'''라고 불리울 정도.


모든 서버 중에서 캠핑과 저격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다. 공방에선 중전차고 구축이고 할 것 없이 모두가 은엄폐를 한 후 아군 경전차에게 자살에 가까운 정찰을 강요하거나 적이 스팟될 때까지 돌부처마냥 자리를 지키는 경우가 많다.
===이탈리아(?)===
===유럽 서버===
===러시아 서버===
서버가 1번부터 5번까지 존재한다. 원래 월탱 고수들이 즐비했던 서버였으나, 현재는 망하고 있는 상태.
===중국 서버===
중국 정부의 폐쇄적인 인터넷 정책으로 인해 탄생한 서버이다. 현질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졸부집 자녀분들 때문인지 중국 서버만의 별의별 현질 이벤트가 존재한다.


==커뮤니티==
[http://wot.inven.co.kr/ 월탱 인벤]
[http://www.todayhumor.co.kr/board/list.php?table=wtank 오늘의 유머 월탱 게시판]
[http://www.ilbe.com/wot 일베저장소 워게이밍 게시판]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worldoftanks&page= 디시인사이드 월탱갤러리]
==[[월탱 패치내역| 패치내역]]==
해당항목 참고.


{{각주}}
{{각주}}
{{워게이밍}}
{{워게이밍}}
[[분류:월드 오브 탱크| ]]
[[분류:월드 오브 탱크| ]]
[[분류:2010년 비디오 게임]]
[[분류:온라인 게임]]
[[분류:윈도우 게임]]
[[분류:슈팅 게임]]
[[분류:플레이스테이션 4 게임]]
[[분류:워게이밍]]
[[분류:XBOX 360 게임]]
[[분류:XBOX ONE 게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