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나라 정보
{{나라 정보
|나라이름    = 오만술탄국
| 나라 이름 = 오만 술탄국
|원어이름    = سلطنة عُمان
| 다른 이름 = سلطنة عُمان / Sultanate of Oman
|존속연도    =
| 국기 = Flag of Oman.svg
|국기       = Flag of Oman.svg
| 국기 이름 = 오만의 국기
|국기설명    =  
| 국장 = National emblem of Oman.svg
|국장       = National emblem of Oman.svg
| 공식 명칭 =
|국장설명    =  
| 공용어 =  
|지도        =  
| 수도 =  
|지도설명    =  
| 표어 =  
|표어       =  
| 표어 설명 =  
|국가       =  
| 국가 =  
|수도        = 무스카트
| 국화 =
|공용어      = [[아랍어]]
| 국교 =
|국어        =  
| 인구 =
|국교        =  
| 인구 순위 =
|정부유형    = [[전제군주제]]
| 인구 밀도 =
|군주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인구 밀도 순위 =
|수반 직책  =  
| 면적 =
|수반        =  
| 면적 순위 =
|부수반 직책 =  
| 시간대 =
|부수반      =  
| 정부 형태 =
|입법부      =  
| 지도자 직함1 =
|인구        =  
| 지도자 이름1 =
|인구밀도    =  
| 지도자 직함2 =  
|인구 연도  =  
| 지도자 이름2 =  
|면적        =  
| 지도자 직함3 =  
|면적 연도  =  
| 지도자 이름3 =  
|GDP PPP     =  
| 지도자 직함4 =  
|GDP PPP 1인 =  
| 지도자 이름4 =  
|GDP        =  
| 지도자 직함5 =  
|GDP 1인    =  
| 지도자 이름5 =  
|GDP 연도    =  
| 지도자 직함6 =  
|화폐        = [[오만 리알|리알]]
| 지도자 이름6 =  
|시간대      =  
| 유통화폐 =  
|ISO        = 512, OM, OMN
| 수입 =  
|국가도메인  = .om
| 수입 순위 =  
|국제전화    =  
| 수출 =  
|이전나라    =  
| 수출 순위 =  
|이후나라    =  
| 명목 GDP =  
|비고        =  
| 명목 GDP 순위 =
| 명목 1인당 =
| 명목 1인당 순위 =
| PPP GDP =  
| PPP GDP 순위 =
| PPP 1인당 =
| PPP 1인당 순위 =  
| 외환보유액 =
| 외환보유 순위 =
| 평가기관1 =
| 신용등급1 =
| 평가기관2 =
| 신용등급2 =
| 평가기관3 =
| 신용등급3 =
| 평가기관4 =
| 신용등급4 =  
| 평가기관5 =  
| 신용등급5 =  
| 평가기관6 =  
| 신용등급6 =
| 평가기관7 =  
| 신용등급7 =  
| 평가기관8 =  
| 신용등급8 =  
| ISO =  
| 국가 도메인 =  
| 국제전화번호 =  
}}
}}
{{ㅊ|오만한 나라가 아니다}} {{ㅊ|50,000}}
{{ㅊ|오만한 나라가 아니다}} {{ㅊ|50,000}}
47번째 줄: 73번째 줄:
== 역사 ==
== 역사 ==
===고대===
===고대===
오만 지역에는 옛날부터 [[구리]] 광산이 있었으며, 이는 [[수메르]]인들의 기록에도 남아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구리 산업이 기원전 4세기부터 있었으며, [[인도양]] 각지로 교역을 했다. 다만 이는 [[철기 시대]]가 도래하면서 중요성이 줄어들었다.
오만 지역에는 옛날부터 [[구리]] 광산이 있었으며, 이는 [[수메르]]인들의 기록에도 남아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구리 산업이 기원전 4세기부터 있었으며, [[인도양]] 각지로 교역을 했다. 다만 이는 [[철기 시대]]가 도래하면서 중요성이 줄어들었다.  


반면에 오만 남부는 세계적으로 매우 귀한 향신료인 [[유향]]의 재배 지역이어서 중요성이 매우 컸다. 유향은 종교 의식 등에 많이 쓰였기 때문에 무역량이 매우 컸는데, 이 덕분에 이곳은 매우 부유했으며, 6세기 초반까지도 꾸준히 무역이 지속되었다.
반면에 오만 남부는 세계적으로 매우 귀한 향신료인 [[유향]]의 재배 지역이어서 중요성이 매우 컸다. 유향은 종교 의식 등에 많이 쓰였기 때문에 무역량이 매우 컸는데, 이 덕분에 이곳은 매우 부유했으며, 6세기 초반까지도 꾸준히 무역이 지속되었다.  


이후 [[이슬람교]]가 선지자 [[무함마드]]에 의해 창시되고 아라비아 지역을 중심으로 퍼져 나갔다. 이때 무함마드는 오만으로 특사를 보내 이슬람교를 믿을 것을 권고하였으며 이를 곧 받아들여 오만은 630년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는다. 이후 약 1세기간 [[우마이야 왕조]]의 통치를 받다가 [[이라크]]의 [[압바스 왕조]]의 통치를 받게된다. 그러다가 오만인들은 칼리프가 더 이상 세습되어서는 안 된다는 [[이바디파]]의 교리를 받아들여 8세기에 자신들만의 이맘, 즉 종교 지도자를 선출하였다.
이후 [[이슬람교]]가 선지자 [[무함마드]]에 의해 창시되고 아라비아 지역을 중심으로 퍼져 나갔다. 이때 무함마드는 오만으로 특사를 보내 이슬람교를 믿을 것을 권고하였으며 이를 곧 받아들여 오만은 630년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는다. 이후 약 1세기간 [[우마이야 왕조]]의 통치를 받다가 [[이라크]]의 [[압바스 왕조]]의 통치를 받게된다. 그러다가 오만인들은 칼리프가 더 이상 세습되어서는 안 된다는 [[이바디파]]의 교리를 받아들여 8세기에 자신들만의 이맘, 즉 종교 지도자를 선출하였다.  


===중세===
===중세===
그 후 오만은 고립된 지리적 위치를 통해 혼란스러운 중동의 정세에서 한발짝 물러나 교역에 집중하였다. 특히 소하르(Sohar)는 중동의 주요 무역지로 떠오른다. 하지만 동시에 [[포르투갈]]은 인도양 무역을 장악하기 위해 16세기에 오만의 해안가를 점령하고 150년간 통치한다. 그러던 중 [[1650년]] 오만의 술탄 빈 사이프 알 아루비가 포르투갈인들을 축출하고 오만의 최초 왕조인 야아루바(Ya'aruba) 왕조를 연다. 이 때는 오만의 황금기라 일컬어지며, 여러 가지 문화 유산들이 그 당시 세워졌다.
그 후 오만은 고립된 지리적 위치를 통해 혼란스러운 중동의 정세에서 한발짝 물러나 교역에 집중하였다. 특히 소하르(Sohar)는 중동의 주요 무역지로 떠오른다. 하지만 동시에 [[포르투갈]]은 인도양 무역을 장악하기 위해 16세기에 오만의 해안가를 점령하고 150년간 통치한다. 그러던 중 [[1650년]] 오만의 술탄 빈 사이프 알 아루비가 포르투갈인들을 축출하고 오만의 최초 왕조인 야아루바(Ya'aruba) 왕조를 연다. 이 때는 오만의 황금기라 일컬어지며, 여러 가지 문화 유산들이 그 당시 세워졌다.


그러나 [[1744년]] 술탄 빈 사이프 2세가 사망하자 누가 그를 이을지를 두고 해안가 사람들과 내륙 지방 사람들과의 내전을 벌어지다가 이를 기회로 삼은 [[이란|페르시아]]가 해안가 지방을 점령하였다. 이도 잠시, 오만의 장군이었던 아흐메드 빈 사이드(Ahmed bin Said)가 이들을 내쫓고 오만의 현 왕조인 사이드 왕조를 세운다.
그러나 [[1744년]] 술탄 빈 사이프 2세가 사망하자 누가 그를 이을지를 두고 해안가 사람들과 내륙 지방 사람들과의 내전을 벌어지다가 이를 기회로 삼은 [[이란|페르시아]]가 해안가 지방을 점령하였다. 이도 잠시, 오만의 장군이었던 아흐메드 빈 사이드(Ahmed bin Said)가 이들을 내쫓고 오만의 현 왕조인 사이드 왕조를 세운다.  


곧 오만은 팽창주의적 정책을 펼쳐 저 멀리 남쪽의 [[케냐]]의 몸바사와 [[탄자니아]]의 잔지바르에 교역소(또는 식민지)를 설치하고 [[영국|서]][[프랑스|방]] [[미국|국]][[네덜란드|가]]와도 외교 관계를 세운다. 이때는 오만의 전성기라 불리운다.
곧 오만은 팽창주의적 정책을 펼쳐 저 멀리 남쪽의 [[케냐]]의 몸바사와 [[탄자니아]]의 잔지바르에 교역소(또는 식민지)를 설치하고 [[영국|서]][[프랑스|방]] [[미국|국]][[네덜란드|가]]와도 외교 관계를 세운다. 이때는 오만의 전성기라 불리운다.


하지만 또 다시 권력 승계를 놓고 후계자들이 다투던 중, [[영국]]이 이에 간섭하면서 오만과 잔지바르를 분리시킨다. 그러면서 오만은 쇠퇴하고, 다시 중동의 조용한 국가로 돌아간다.
하지만 또 다시 권력 승계를 놓고 후계자들이 다투던 중, [[영국]]이 이에 간섭하면서 오만과 잔지바르를 분리시킨다. 그러면서 오만은 쇠퇴하고, 다시 중동의 조용한 국가로 돌아간다.  


===근대와 현재===
===근대와 현재===
69번째 줄: 95번째 줄:
오만은 [[아라비아 반도]]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호르무즈 해협]]과 [[인도양]]을 끼고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동부 해안가에는 산맥이 있다.
오만은 [[아라비아 반도]]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호르무즈 해협]]과 [[인도양]]을 끼고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동부 해안가에는 산맥이 있다.


오만은 북서쪽에는 [[아랍에미리트]]와, 서쪽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그리고 남서쪽으로는 [[예멘]]과 접하고 있다. 해상으로는 [[이란]], [[파키스탄]], [[인도]]와도 접하고 있다.
오만은 북서쪽에는 [[아랍에미리트]]와, 서쪽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그리고 남서쪽으로는 [[예멘]]과 접하고 있다. 해상으로는 [[이란]], [[파키스탄]], [[인도]]와도 접하고 있다.  


총 면적은 31만 km<sup>2</sup>이며, 이는 [[한반도]]의 약 1.4배 크기이다.
총 면적은 31만 km<sup>2</sup>이며, 이는 [[한반도]]의 약 1.4배 크기이다.
86번째 줄: 112번째 줄:
현재 국왕인 카부스 국왕의 즉위 이전까지는 철저한 고립 정책을 취했으나, 카부스 국왕의 취임 이후로는 적극적인 개방 정책을 펼치고 있다. 또한 이웃나라인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등과 국경 획정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우호 관계를 지내고 있다. 서방 국가와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합동 군사 훈련도 한 바 있다.
현재 국왕인 카부스 국왕의 즉위 이전까지는 철저한 고립 정책을 취했으나, 카부스 국왕의 취임 이후로는 적극적인 개방 정책을 펼치고 있다. 또한 이웃나라인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등과 국경 획정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우호 관계를 지내고 있다. 서방 국가와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합동 군사 훈련도 한 바 있다.


대한민국은 [[1971년]] [[7월 27일]] 오만을 승인하였다. [[대한민국]]과는 [[1974년]] [[3월 28일]]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며, [[1976년]]에는 주오만 한국대사관이, [[1984년]]에는 주한 오만대사관이 설립되었다. 또한 오만에서는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을 보고 대한민국을 경제적 모델로 보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오만에서 석유같은 에너지자원을 수입해 오고 있다. [[북한]]과도 형식적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나, 경제적, 문화적 교류는 전무하다. <s>당연하지.</s>
대한민국은 {{날짜/출력|1971-7-27}} 오만을 승인하였다. [[대한민국]]과는 {{날짜/출력|1974-3-28}}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며, [[1976년]]에는 주오만 한국대사관이, [[1984년]]에는 주한 오만대사관이 설립되었다. 또한 오만에서는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을 보고 대한민국을 경제적 모델로 보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오만에서 석유같은 에너지자원을 수입해 오고 있다. [[북한]]과도 형식적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나, 경제적, 문화적 교류는 전무하다. <s>당연하지.</s>


주한 오만 대사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9 (신문로1가 58–13)에 위치해 있다.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9497216 중앙일보 “경희궁 옆 ‘아랍 궁전’ 오만대사관 문 열다”]
주한 오만 대사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9 (신문로1가 58–13)에 위치해 있다.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9497216 중앙일보 “경희궁 옆 ‘아랍 궁전’ 오만대사관 문 열다”]
96번째 줄: 122번째 줄:
==사회==
==사회==
===민족 구성===
===민족 구성===
오만은 절대 다수가 아랍인이나, 몇몇은 [[아프리카]]계, [[이란]]계, [[파키스탄]]계 혼혈이다. 또한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필리핀]]에서 건너온 사람들이 일하기도 한다.
오만은 절대 다수가 아랍인이나, 몇몇은 [[아프리카]]계, [[이란]]계, [[파키스탄]]계 혼혈이다. 또한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필리핀]]에서 건너온 사람들이 일하기도 한다.  


===종교===
===종교===
108번째 줄: 134번째 줄:


{{주석}}
{{주석}}
{{아시아의 나라}}
{{나라}}
[[분류:아시아의 나라]]
[[분류:아시아의 나라]]
[[분류:아랍권]]
[[분류:아랍권]]
{{리브레 맵스 마커|21.571490859154554|57.085377261518715|5|오만}}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