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데드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소개==
==소개==
'통제자'에 의해 만들어진 불사의 생명체. 지구 생물의 조상이 된 52종 외에 어느 생물의 조상도 아닌 특수한 조커를 더해 총 53종이 있다. 조커를 제외한 언데드들은 [[트럼프 카드]]처럼 스페이드, 다이아, 하트, 클럽의 4종류로 나뉘며, 다시 A(에이스=1)부터 K(킹=13)까지 13개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J(잭), Q(퀸), K(킹)에 속하는 언데드들은 지적이고 전투력도 높으며, 현대에서는 인간으로 의태할 수 있는 강력한 존재들로, BOARD(보드)에서는 상급 언데드로 불렸다.
'통제자'에 의해 만들어진 불사의 생명체. 지구 생물의 조상이 된 52종 외에 어느 생물의 조상도 아닌 특수한 조커를 더해 총 53종이 있다. 조커를 제외한 언데드들은 [[트럼프 카드]]처럼 스페이드, 다이아, 하트, 클럽의 4종류로 나뉘며, 다시 A(에이스=1)부터 K(킹=13)까지 13개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J(잭), Q(퀸), K(킹)에 속하는 언데드들은 지적이고 전투력도 높으며, 현대에서는 인간으로 의태할 수 있는 강력한 존재들로, BOARD(보드)에서는 상급 언데드로 불렸다.
스페이드의 비틀 언데드, 다이아의 스태그비틀 언데드, 하트의 맨티스 언데드, 클럽의 스파이더 언데드 등 4구의 언데드는 '카테고리 A(에이스)'라고 불린다. 봉인된 [[라우즈 카드]]가 가면라이더 변신에 이용되기 때문에 '베이스 언데드'라고도 불리며 각각의 라우즈 카드가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가렌, 카리스, 렌겔로 변신할 때 사용된다.


언데드의 존재 의의는 배틀 파이트에서 승리해 자신의 종을 번영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 호전적인 경향이 있지만 상급 언데드는 성격이 다양하고, 개중에는 종의 번영에 대한 갈망이 부족한 타란툴라 언데드나 싸울 운명 그 자체를 기피하던 코카서스 비틀 언데드처럼 싸움을 바라지 않는 자도 있었다.
언데드의 존재 의의는 배틀 파이트에서 승리해 자신의 종을 번영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 호전적인 경향이 있지만 상급 언데드는 성격이 다양하고, 개중에는 종의 번영에 대한 갈망이 부족한 타란툴라 언데드나 싸울 운명 그 자체를 기피하던 코카서스 비틀 언데드처럼 싸움을 바라지 않는 자도 있었다.


== 종류 ==
==목록==
* [[맨티스 언데드]]
===카테고리 A(에이스)===
스페이드의 비틀 언데드, 다이아의 스태그비틀 언데드, 하트의 맨티스 언데드, 클럽의 스파이더 언데드 등 4구. 봉인된 [[라우즈 카드]]가 가면라이더 변신에 이용되기 때문에 '베이스 언데드'라고도 불리며 각각의 라우즈 카드가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가렌, 카리스, 렌겔로 변신할 때 사용된다.


===조커===
===조커===
22번째 줄: 21번째 줄:
디자인 유래는 [[트럼프 카드]] 중 하나인 조커. 스페이드나 하트 등의 수트에는 속하지 않는 특수한 카드로, 트럼프를 이용한 게임에서는 다른 카드의 대용으로 쓸 수 있는 경우도 많다.
디자인 유래는 [[트럼프 카드]] 중 하나인 조커. 스페이드나 하트 등의 수트에는 속하지 않는 특수한 카드로, 트럼프를 이용한 게임에서는 다른 카드의 대용으로 쓸 수 있는 경우도 많다.


==디자인 비화==
==비화==
디자인은 디어 언데드와 지브라 언데드 외에는 니라사와 야스시(韮沢靖)가 담당했다.<ref>『헤이세이 가면라이더 괴인 디자인 대감 완전초악(平成仮面ライダー怪人デザイン大鑑 完全超悪)』. 하비 재팬, 2020년 12월 24일. ISBN 978-4-7986-2338-2.</ref>
디자인은 디어 언데드와 지브라 언데드 외에는 니라사와 야스시가 담당했다. 디자인 컨셉은 '압정'과 '가죽'. 타카하시 아키라(高橋章)에 의한 특촬물 <가면라이더(1971년)>의 쇼커 괴인·겔쇼커 괴인을 리스펙트해서 인간형이고 가면을 쓴 것 같은 디자인을 기본으로 삼았다. 또한, 전작 [[가면라이더 555]]의 오르페녹이 흰색이나 회색을 기조로 한 석상 같았기 때문에 차별화하고자 영화 <매드맥스>나 영화 <헬레이저>의 이미지로부터 검정색을 기조로 삼고 모티브 동물 고유의 무늬나 디테일을 넣었다.
 
타카하시 아키라(高橋章)에 의한 특촬물 <가면라이더(1971년)>의 [[쇼커]] 괴인·겔쇼커 괴인을 리스펙트해서 인간형이고 가면을 쓴 것 같은 디자인을 기본으로 삼았다. 또한 전작 [[가면라이더 555]]의 오르페녹이 흰색이나 회색을 기조로 한 석상 같았기 때문에 그와 차별화하고자 영화 <매드맥스>나 영화 <헬레이저>의 이미지로부터 검정색을 기조로 모티브 동물의 고유한 무늬나 디테일을 넣었다.<ref>잡지 『우주선(宇宙船)』Vol.112 (2004년 5월호)</ref>
 
디자인 컨셉은 '압정'과 '가죽'. 온몸의 검정색 가죽과 압정(스터즈; 장식 못)은 쇼커 벨트의 컨셉으로, 1만년 전의 싸움의 상처를 수복한 이미지이다. 트릴로바이트 언데드와 같은 고참은 몸에서 검정색 부분의 면적이 특히 넓다고 한다. 또한 로커스트 언데드 등은 가면 아래에 맨얼굴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죽음을 이미지한 [[언데드]]이기 때문에 그것을 심볼라이즈하기 위해 해골 모티브를 빈번히 사용했다.<ref>『UNDEAD GREEN BLOOD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니라사와 야스시 언데드 웍스(仮面ライダー剣 韮沢靖 アンデッドワークス)』. 미디어 팩토리, 2006년 8월 4일. ISBN 4-8401-1578-8.</ref>
 
{{각주}}
[[분류:가면라이더 시리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