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인시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야인시대'''(野人時代)는 [[SBS]]에서 [[2002년]] [[7월 29일]]부터 [[2003년]] [[9월 30일]]까지 총 124회 방송한 대하드라마이다.
野人時代
 
== 개요 ==
[[SBS]]에서 {{날짜/출력|2002-7-29}}부터 {{날짜/출력|2003-9-30}}까지 총 124회 방송한 [[김두한]]의 일대기<del>실은 [[심영]]의 일대기</del>를 그린 대하드라마이다. 극본은 [[이환경]], 연출은 [[장형일]] 감독이다.
 
최고 시청률 57.1%, 평균 30%대 등 드라마로서 이례적으로 맞이방에서 시청하는 풍경, 방영시간에 거리에 사람이 없다 하여 귀가 시계로 불리며 [[대한민국]]은 물론 [[로스앤젤레스]]의 [[코리아타운]] 등 신드롬을 일으켰으며 방영 동안 방영 후에도 [[부천]] 야인시대 세트장은 관광지가 되기도 하였다.또한, [[2004년]] [[몽골]]에서도 방송되어 김두한 역을 연기했던 배우 [[안재모]]는 사회주의자인 [[나차긴 바가반디]] 몽골 대통령으로부터 국빈초청을 받기도 했으며 주로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왔던 몽골에서 [[한국 드라마]]가 방송되는 기폭제가 되었다. [[일본]] KNTV에서 방송과 [[북한]]에서도 인기를 끌었다.{{ㅊ|그리고 이걸 봤던 북한사람들은 숙청 되었다.(...)}}<ref>실제 북한에서 몰래 야인시대를 보다가 걸려서 처형 되었다고 한다. 북한에서는 남한의 영상매체는 체제에 위협이 되기 때문에 몰래 보다가 걸릴 경우 엄하게 처벌받는다.</ref>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 1부 ===
=== 1부 ===
*[[김두한]] ([[곽정욱]]- [[안재모]]- [[김영철 (배우)|김영철]])
*[[김두한]] (곽정욱- [[안재모]]- [[김영철 (배우)|김영철]])
*[[구마적]] ([[이원종]])
*[[구마적]] ([[이원종]])
*[[신마적]] ([[최철호]])
*[[신마적]] ([[최철호]])
*[[나미코]] ([[이세은]])
*[[나미코]] (이세은)
* 미와 ([[이재용 (1963년)|이재용]])
* 미와 ([[이재용 (1963)|이재용]])
* 하야시 ([[이창훈]])
* 하야시 ([[이창훈]])
* 마루오까 ([[최재성]])
* 마루오까 ([[최재성]])
* 최동열 ([[정동환]])
* 최동열 ([[정동환]])
* 쌍칼 ([[박준규 (배우)|박준규]])
* 쌍칼 (박준규)
* 김영태 (박영록)
* 김영태 (박영록)
* 김무옥 (이혁재)
* 김무옥 (이혁재)
* 문영철 ([[장세진]])
* 문영철 (장세진)
* 김삼수 (성우진)
* 김삼수 (성우진)
* 털보 ([[서동수]])
* 털보 (서동수)
* 번개 ([[최상학]])
* 병수 (?)
* 와싱톤 ([[김세준]])
* 번개 (최상학)
* 신영균 ([[윤용현]])
* 와싱톤 (김세준)
* 신영균 (윤용현)
* 홍만길 (최민서)
* 홍만길 (최민서)
* 휘발유 ([[남창희]])
* 휘발유 (남창희)
* 정진영 (서현석- 김정민- [[차광수]])
* 정진영 (서현석- 김정민- 차광수)
* 개코 (류종원- 이동훈- [[성동일]])
* 개코 (류종원- 이동훈- 성동일)


=== 2부 ===
=== 2부 ===
*김두한 ([[김영철 (배우)|김영철]])
*김두한 ([[김영철 (배우)|김영철]])
*[[심영]] <s>진주인공</s> (김영인)
*[[심영]] <s>진주인공</s> (김영인)
*[[상하이 조]] ([[조상기]])
*[[상하이 조]] (조상기)
*[[의사양반]] <s>?</s> (강승원)
*[[의사양반]] <s>?</s> (강승원)
*이정재 (김영호)
*이정재 (김영호)
*김영태 (박영록)
*김영태 (박영록)
*김무옥 (이혁재)
*김무옥 (이혁재)
*문영철 ([[장세진]])
*문영철 (장세진)
*김삼수 (성우진)
*김삼수 (성우진)
*신영균 ([[윤용현]])
*신영균 (윤용현)
*홍만길 (정일모)
*홍만길 (정일모)
*휘발유 (이배국)
*휘발유 (이배국)
*개코 ([[성동일]])
*개코 (성동일)
*정진영 ([[차광수]])
*정진영 (차광수)
*김관철 ([[이정용]])
*김관철 (이정용)
*아구 (김진형)
*아구 (김진형)
*갈치 (강성하)
*갈치 (강성하)
48번째 줄: 54번째 줄:
==얘기거리==
==얘기거리==
* [[토이스타]]에서 신제품 출시 이벤트로 야인시대 셋트장에서 서바이벌 게임을 개최했다.
* [[토이스타]]에서 신제품 출시 이벤트로 야인시대 셋트장에서 서바이벌 게임을 개최했다.
* 셋트장은 2012년 시설물 노후로 인해 철거되고 캠핑장이 들어섰다. 개장 초기에는 셋트장의 흔적이 일부 남아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없어진듯 보인다.
* 셋트장은 2012년 시설물 노후로 인해 철거되고 캠핑장이 들어섰다. 개장 초기에는 셋트장의 흔적이 일부 남아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없어진듯 보인다.
* 총기 고증에 오류가 있다. 총격전 액션이 주가 아니여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6.25 전쟁과 김동진을 습격하는 장면에서 베레타 92가 사용이 되었는데 베레타 92는 1972년에 처음 공개 되었고 1985년 미군 권총으로 제식채택된 이후에서야 대중에게 알려진 총기라 야인시대의 시대적 배경(1920 ~ 1972)과는 맞지 않다. 이 때는 콜트 M1911 모델을 사용해야 맞다. 4딸라 임금협상 장면에서 서로 권총을 들고 겨눌 때 사용된 권총이 CZ75 모델인데 이 역시 베레타 92가 공개되고 3년 뒤인 1975년에 만들어진 권총이라 극중 사람들은 구경도 못했을 총이다.
* 총기 고증에 오류가 있다. 총격전 액션이 주가 아니여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6.25 전쟁과 김동진을 습격하는 장면에서 베레타 92가 사용이 되었는데 베레타 92는 1972년에 처음 공개 되었고 1985년 미군 권총으로 제식채택된 이후에서야 대중에게 알려진 총기라 야인시대의 시대적 배경(1920 ~ 1972)과는 맞지 않다. 이 때는 콜트 M1911 모델을 사용해야 맞다. 4딸라 임금협상 장면에서 서로 권총을 들고 겨눌 때 사용된 권총이 CZ75 모델인데 이 역시 베레타 92가 공개되고 3년 뒤인 1975년에 만들어진 권총이라 극중 사람들은 구경도 못했을 총이다.
* [[내가 고자라니!|내가 고자라니]] 드립이 여기서 파생되었다. 이 드립은 심영물이라는 합성물로 다시 또 파생된다.
 
* 내가 고자라니 드립이 여기서 파생되었다. 이 드립은 심영물이라는 합성물로 다시 또 파생된다.
 
*당시 심의규제가 느슨해서 그런지 공중파 방송에서 충격적인 장면이 나온다. 어린 개코가 엉덩이를 내밀고 식당 주인을 놀리는 장면에서 엉덩이가 적나라하게 나온다.(...) 아무리 어린이지만 좀 과했다 싶을 정도. 짱구에서 엉덩이를 내놓는 장면조차 바지를 덧씌워서 가리는 조치를 취하는 요즘 시점과는 대조적이다.
*당시 심의규제가 느슨해서 그런지 공중파 방송에서 충격적인 장면이 나온다. 어린 개코가 엉덩이를 내밀고 식당 주인을 놀리는 장면에서 엉덩이가 적나라하게 나온다.(...) 아무리 어린이지만 좀 과했다 싶을 정도. 짱구에서 엉덩이를 내놓는 장면조차 바지를 덧씌워서 가리는 조치를 취하는 요즘 시점과는 대조적이다.
*셋트장의 고증이 2부에서 어긋난다. 1부는 일제 강점기 시대 배경이라 문제 없지만 2부는 광복과 군사정권 시기를 다루는 내용인데도 불구하고 일제시대 사용되던 간판들이 세트장에 그대로 남아 있다. 셋트를 새로짓는건 제작 비용상 무리가 있어 어쩔수 없다 치더라도 적어도 일제시대 간판들을 철거하고 간판을 바꾸는 성의를 보여주어야 했다.
*셋트장의 고증이 2부에서 어긋난다. 1부는 일제 강점기 시대 배경이라 문제 없지만 2부는 광복과 군사정권 시기를 다루는 내용인데도 불구하고 일제시대 사용되던 간판들이 세트장에 그대로 남아 있다. 셋트를 새로짓는건 제작 비용상 무리가 있어 어쩔수 없다 치더라도 적어도 일제시대 간판들을 철거하고 간판을 바꾸는 성의를 보여주어야 했다.


57번째 줄: 68번째 줄:
* 드라마에서는 김두한을 마치 일본에 맞서 종로의 상권을 지킨 영웅인 것처럼 [[주작]]한다. 그러나 실제로 김두한이 깡패로 활동한 [[1930년]]대에 종로 상권은 이미 그 주도권을 잃은 상태였다. 게다가 조선 전체가 일본의 식민지가 된 상황에서 일개 깡패 무리가 일제에 주먹 하나로 저항할 수 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ref>정지환 (2002.11). [실증분석/김두한 신화의 공간사회화]영웅은 없었다 몰락한 시장의 깡패였을 뿐. 『월간말』,146-151.</ref>
* 드라마에서는 김두한을 마치 일본에 맞서 종로의 상권을 지킨 영웅인 것처럼 [[주작]]한다. 그러나 실제로 김두한이 깡패로 활동한 [[1930년]]대에 종로 상권은 이미 그 주도권을 잃은 상태였다. 게다가 조선 전체가 일본의 식민지가 된 상황에서 일개 깡패 무리가 일제에 주먹 하나로 저항할 수 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ref>정지환 (2002.11). [실증분석/김두한 신화의 공간사회화]영웅은 없었다 몰락한 시장의 깡패였을 뿐. 『월간말』,146-151.</ref>
* 드라마에서는 김두한의 거짓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주작]]을 저지른다. 가령, 김두한은 [[김좌진]]이 공산주의자에게 죽었다는 것을 [[백의사]]에서 알려주었기 때문에 반공 활동을 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고 실제로 이 내용이 방영된 바 있지만, 실제로는 김좌진이 죽었을 때 그 사실이 신문으로 보도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방 직후 좌익 활동을 한 전력이 있다. 따라서 김두한의 테러 활동은 아버지와는 관계가 없다 할 것이며, 그 당시 주먹 세계의 시류에 따랐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ref>김성환 (2003.5). '장군의 아들'이 넘나드는 끝없는 거짓말의 경계선. 『월간말』,102-107.</ref>
* 드라마에서는 김두한의 거짓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주작]]을 저지른다. 가령, 김두한은 [[김좌진]]이 공산주의자에게 죽었다는 것을 [[백의사]]에서 알려주었기 때문에 반공 활동을 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고 실제로 이 내용이 방영된 바 있지만, 실제로는 김좌진이 죽었을 때 그 사실이 신문으로 보도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방 직후 좌익 활동을 한 전력이 있다. 따라서 김두한의 테러 활동은 아버지와는 관계가 없다 할 것이며, 그 당시 주먹 세계의 시류에 따랐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ref>김성환 (2003.5). '장군의 아들'이 넘나드는 끝없는 거짓말의 경계선. 『월간말』,102-107.</ref>
== 관련항목 ==
* [[Wall Su]]


{{각주}}
{{각주}}
[[분류:야인시대| ]]
[[분류:야인시대|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